KR2022002200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003A
KR20220022003A KR1020200102602A KR20200102602A KR20220022003A KR 20220022003 A KR20220022003 A KR 20220022003A KR 1020200102602 A KR1020200102602 A KR 1020200102602A KR 20200102602 A KR20200102602 A KR 20200102602A KR 20220022003 A KR20220022003 A KR 2022002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rea
area
display module
cov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재
김민섭
유부균
함문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003A/ko
Priority to US17/331,038 priority patent/US11570920B2/en
Priority to CN202110879009.4A priority patent/CN114078374A/zh
Priority to EP21188999.3A priority patent/EP3955091A1/en
Publication of KR2022002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003A/ko
Priority to US18/161,658 priority patent/US1183904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량이 감소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테블릿,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전자장치들은 표시장치 이외에 다양한 전자모듈들을 더 포함한다.
표시장치와 전자모듈들을 조립하여 전자장치를 제조한다. 이때 전자장치의 외부 케이스와 브라켓을 이용하여 전자모듈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이송 과정에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좀더 보호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폴딩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비밴딩 영역, 및 상기 비밴딩 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밴딩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2 커버부와 연결되는 제1 바디 부분, 상기 제1 바디 부분에서 상기 제2 커버부로부터 멀어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바디 부분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바 형상을 각각 가지고,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연결되는 제2 바디 부분 및 상기 제2 바디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 부분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암 부분은 상기 밴딩 영역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암 부분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밴딩 영역의 나머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제1 부분과 결합된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2 부분과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제2 홀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암 부분에서 상기 제2 바디 부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홀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커버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측면의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 필름과 상기 제2 이형 필름 사이에 상기 제1 이형 필름과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접착하는 복수 개의 접착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접착 부재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형 필름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부분,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3 부분에 부착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의 사이 및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의 사이에는 절단 선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부분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비폴딩 영역의 일부 및 상기 밴딩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노출된 비폴딩 영역의 일부 및 상기 밴딩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표시 모듈과 두께 방향에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비밴딩 영역 및 상기 비밴딩 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윈도우 위에 배치된 제1 이형 필름,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 필름 및 상기 제2 이형 필름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에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을 전면적으로 커버하는 커버부 및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구비하여, 공정 중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윈도우 및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부품들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ED)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펼쳐진 상태를, 도 1b는 폴딩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표시면(DS)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표시면(DS)을 통해 이미지(IM)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 주변의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이미지(IM)를 표시하고, 비표시영역(NDA)은 이미지(IM)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NDA)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전자 장치(ED)는 폴딩 영역(F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 내에서,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 영역(FA)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소정의 곡률 및 곡률반경을 갖는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들(NFA2)은 서로 마주보고, 전자 장치(E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ner-fol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er-fol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는 펼침 동작으로부터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는 펼침 동작,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ED)는 표시 유닛(DD), 전자모듈(EM), 전원모듈(PSM) 및 케이스(EDC)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원모듈(PSM)은 표시 유닛(DD)의 폴딩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유닛(DD)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외부입력을 감지한다. 표시 유닛(DD)은 윈도우(WM) 및 표시 모듈(DM)을 포함한다. 윈도우(WM)는 전자 장치(ED)의 전면을 제공한다. 윈도우(WM)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WM)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의 두께는 30um 이하일 수 있다.
표시 유닛(DD)은 전자 장치의 일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적어도 표시 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에서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과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표시 모듈(DM)은 복수 개의 구성이 적층된 적층 구조물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전자 장치(ED)의 표시영역(DA, 도 1a 참조) 및 비표시영역(NDA, 도 1a 참조) 에 대응하는 표시영역(DP-DA) 및 비표시영역(DP-NDA)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역/부분과 영역/부분이 대응한다”는 것은 중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일한 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모듈(DM)은 비표시영역(DP-NDA) 상에 배치된 구동칩(DIC)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비표시영역(DP-NDA)에 결합된 연성회로필름(F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칩(DIC)은 표시 패널(DP)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구동칩(DIC)이 표시 패널(DP) 상에 실장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칩(DIC)은 연성회로필름(FCB)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전자모듈(EM)은 적어도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자모듈(EM)은 무선통신모듈, 카메라모듈, 근접센서모듈, 영상입력모듈, 음향입력모듈, 음향출력모듈, 메모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거나, 플렉서블 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모듈(EM)은 전원모듈(PS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인 컨트롤러는 전자 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자 입력에 부합하게 표시 유닛(DD)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메인 컨트롤러는 표시 유닛(DD) 및 다른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EDC1, EDC2)는 표시 모듈(DM), 전자모듈(EM), 및 전원모듈(PSM)을 수용한다. 서로 분리된 2개의 케이스(EDC1, EDC2)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ED)는 2개의 케이스(EDC1, EDC2)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EDC1, EDC2)는 윈도우(WM)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EDC1, EDC2)는 표시 모듈(DM), 전자모듈(EM), 및 전원모듈(PSM) 등 케이스(EDC)에 수용된 구성들을 보호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표시영역(DP-DA) 및 표시영역(DP-DA) 주변의 비표시영역(DP-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P-DA)과 비표시영역(DP-NDA)은 화소(PX)의 배치 유무에 의해 구분된다. 표시영역(DP-DA)에 화소(PX)가 배치된다. 비표시영역(DP-NDA)에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 및 발광 구동부(EDV)가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도 3a에 도시된 구동칩(DIC)에 구성된 일부 회로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2 방향(DR2) 내에서 구분되는 제1 영역(AA1), 제2 영역(AA2), 및 밴딩 영역(BA)을 포함한다. 제2 영역(AA2) 및 밴딩 영역(BA)은 비표시영역(DP-NDA)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밴딩 영역(BA)은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영역(AA1)은 비밴딩 영역일 수 있다.
도 3b는 표시 패널(DP)이 밴딩되기 이전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표시 패널(DP)이 전자 장치(ED)에 설치된 상태를 가정하면, 도 1a와 같이 전자 장치(ED)가 펼쳐진 상태에서, 표시 패널(DP)의 제1 영역(AA1)과 제2 영역(AA2)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는 도 3c에 도시되었다. 밴딩 영역(BA)의 밴딩 형상에 대해서는 도 3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영역(AA1)은 도 1a의 표시면(DS)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제1 영역(AA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0), 제2 비폴딩 영역(NFA20), 및 폴딩 영역(FA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0), 제2 비폴딩 영역(NFA20), 및 폴딩 영역(FA0)은 도 1a 및 도 1b의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에 각각 대응한다.
제1 방향(DR1) 내에서 밴딩 영역(BA) 및 제2 영역(AA2)의 길이는 제1 영역(AA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밴딩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영역은 좀 더 쉽게 밴딩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복수 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복수 개의 발광 라인들(EL1~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 CSL2), 전원 라인(PL), 및 복수 개의 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주사 라인들(SL1~SLm), 데이터 라인들(DL1~DLn), 및 발광 라인들(EL1~ELm)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밴딩 영역(BA)을 경유하여 구동칩(DIC)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부분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 중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부분은 밴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1 전압을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되고, 밴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되고, 밴딩 영역(BA)을 경유하여 제2 영역(AA2)의 하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봤을 때, 패드들(PD)은 제2 영역(AA2)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DIC), 전원 라인(PL),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필름(FCB)은 이방성 도전 접착층을 통해 패드들(P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표시 유닛(DD)은 윈도우(WM) 및 표시 모듈(DM)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DM)은 광학필름(LF), 표시 패널(DP), 패널 보호층(PPL), 배리어층(BRL), 지지층(PLT), 커버층(SCV), 방열층(SUP), 쿠션층(CUL), 절연층(INL), 스페이서(SPC), 단차보상패턴(CP) 및 제2 내지 제11 접착층들(AL2 내지 AL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11 접착층들(AL2~AL11)은 감압 접착제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와 같은 투명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단차보상패턴(CP)과 그에 연관된 제10 및 제11 접착층들(AL10, AL11)은 생략될 수 있다.
광학필름(LF)은 도 3a에 도시된 제1 영역(AA1)에 배치된다. 광학필름(LF)은 적어도 표시영역(DP-DA)을 커버한다. 제2 접착층(AL2)이 광학필름(LF)과 윈도우(WM)를 결합하고, 제3 접착층(AL3)이 광학필름(LF)과 표시 패널(DP)을 결합한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층(PPL)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패널 보호층(PPL)은 폴딩 영역(FA)에 미-배치될 수도 있다. 제4 접착층(AL4)이 패널 보호층(PPL)과 표시 패널(DP)을 결합하고, 제5 접착층(AL5)이 패널 보호층(PPL)과 배리어층(BRL)을 결합한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의 제1 영역(AA1)을 보호하는 제1 패널 보호층(PPL-1) 및 제2 영역(AA2)을 보호하는 제2 패널 보호층(PPL-2)을 포함할 수 있다. 밴딩 영역(BA)이 휘어질 때, 제2 패널 보호층(PPL-2)은 제2 영역(AA2)과 함께 제1 영역(AA1) 및 제1 패널 보호층(PPL-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이 밴딩 영역(BA)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밴딩 영역(BA)이 보다 용이하게 밴딩될 수 있다. 제4 접착층(AL4)은 제1 패널 보호층(PPL-1)에 대응하는 제1 부분(AL4-1) 및 제2 패널 보호층(PPL-2)에 대응하는 제2 부분(AL4-2)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패널 보호층(PP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외부의 눌림에 따른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배리어층(BRL)은 표시 패널(DP)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폴리 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BRL)은 광투과율이 낮은 유색의 필름일 수 있다. 배리어층(BRL)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BRL)은 검정색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의 상측으로부터 표시 유닛(DD)을 바라봤을 때, 배리어층(BRL) 아래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5 접착층(AL5)이 패널 보호층(PPL)과 배리어층(BRL)을 결합하고, 제6 접착층(AL6)이 배리어층(BRL)과 지지층(PLT)을 결합한다.
지지층(PLT)은 배리어층(BRL) 하측에 배치된다. 지지층(PLT)은 60G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PLT)은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PLT)은 SUS 30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층(PLT)은 다양한 금속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PLT)은 표시 패널(DP)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층(PLT)에 의해 표시 유닛(DD)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딩 영역(FA0)에 대응하는 지지층(PLT)의 일부 영역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에 의해 지지층(PLT)의 가요성이 향상된다. 제6 접착층(AL6)은 서로 이격된 제1 부분(AL6-1)과 제2 부분(AL6-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6 접착층(AL6)이 미-배치됨으로써 지지층(PLT)의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밴딩 영역(BA)상에는 보호층(BPL)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BPL)은 밴딩 영역(BA)의 표시 패널(DP)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유닛(DD)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유닛(DD) 및 표시 유닛(DD)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0)는 제작된 표시 유닛(DD)을 전자 장치(ED)의 제조 공정 중에 불량 없이 이송하기 위해 보호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유닛(DD), 제1 이형 필름(100), 제2 이형 필름(200) 및 보호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유닛(DD)은 윈도우(WM, 도 2참조) 및 표시 모듈(DM,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100)은 표시 유닛(DD)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200)은 표시 유닛(DD)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이형 필름(100) 및 제2 이형 필름(200)은 표시 유닛(DD)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덮는다. 여기에서, 상면은 표시 유닛(DD)의 제1 이형 필름(100)과 마주하는 면이고, 하면은 표시 유닛(DD)의 제2 이형 필름(200)과 마주하는 면이다.
보호 커버(300)는 제2 이형 필름(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0)는 제2 이형 필름(200)에 부착되어 표시 유닛(DD)을 지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보호 커버(300)가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윈도우(WM) 및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을 커버함으로써 표시 유닛(DD)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호 커버(300)가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이물질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4의 보호 커버(300)를 뒤집어 놓은 형상을 도시하였다. 보호 커버(300)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다. 압출, 사출 성형과 같은 통상의 플라스틱 성형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보호 커버(300)의 재료는 제한되지 않고, 보호 커버(300)는 금속 부재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부재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호 커버(300)는 제1 커버부(310), 제2 커버부(320) 및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310)는 표시 모듈(DM, 도 2 참조)의 폴딩 영역(FA) 및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버부(320)는 표시 모듈(DM)의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커버할 수 있다. 보호 커버(300)의 형상은 사출 성형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보호 커버(300)는 편평한 플레이트 위에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310)는 편평한 플레이트로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에서, 돌출부는 제1 커버부(310)를 휘어지지 않도록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커버부(310)는 제1 바디 부분(311), 제1 부분(312) 및 제2 부분(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 부분(311)은 제2 커버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 부분(311)은 제1 부분(312) 및 제2 부분(31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분(312)은 제1 바디 부분(311)으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312)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313)은 제1 부분(312)과 평면상에서 직교하도록 제1 바디 부분(31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313)은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분(313)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312)과 제2 부분(313)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바디 부분(311)의 폭은 제1 부분(312) 및 제2 부분(313)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된 것과 다르게, 제1 부분(312), 제2 부분(313) 및 제1 바디 부분(311)의 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제1 부분(312) 및 제2 부분(313) 각각의 폭이 제1 바디 부분(311)의 폭보다 클 수도 있다.
제2 부분(313)의 제2 이형 필름(200)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접착 부재(ADH)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DH)는 제2 부분(313)을 제2 이형 필름(20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즉, 보호 커버(300)는 접착 부재(ADH)를 통해서 제2 이형 필름(200)에 고정된다. 제2 이형 필름(200)은 제1 이형 필름(100)과 다른 복수 개의 접착 부재들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도 6 내지 8d에서 후술한다.
제2 커버부(320)는 제2 비폴딩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커버부(320)는 제2 바디 부분(321), 암 부분(322) 및 측벽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 부분(321)은 제1 커버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 부분(321)은 제1 커버부(310)의 제1 바디 부분(311)에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바디 부분(321)은 제1 커버부(310)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2 바디 부분(321)은 제1 커버부(310)로부터 절곡되어 제3 방향(DR3)에서 표시 유닛(DD)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커버부(320)는 제1 커버부(310)보다 표시 유닛(DD)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바디 부분(321)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암 부분(322)은 제2 바디 부분(321)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 부분(322)은 제1 방향(DR1)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 부분(322)은 밴딩 영역(BA, 도 3c 참조)을 커버할 수 있다. 측벽부(323)는 암 부분(32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벽부(323)는 암 부분(322)과 제3 홀딩부(330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323)는 암 부분(322)에서 제3 방향(DR3)으로 제3 홀딩부(330C)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제1 및 제2 커버부들(310, 320)에서 연장되어 표시 모듈(DM)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모듈(DM)의 외측은 평면상에서 표시 모듈(DM)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제1 홀딩부(330a), 제2 홀딩부(330b) 및 제3 홀딩부(3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딩부(330a)는 제1 커버부(310)의 제1 부분(312)과 결합한다. 제2 홀딩부(330b)는 제1 커버부(310)의 제2 부분(313)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홀딩부(330b)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3 홀딩부(330c)는 제2 커버부(320)의 암 부분(321)과 결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제1 및 제2 커버부들(310, 32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제1 및 제2 커버부들(310, 320)보다 제3 방향(DR3)에서 윈도우(WM, 도 2 참조)와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제1 및 제2 커버부들(310, 320)과 달리, 평면상에서 표시 유닛(DD)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커버부들(310, 320)은 1 및 제2 커버부들(310, 320)로부터 윈도우(WM)와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표시 장치(1000)에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표시 장치(1000)의 이송과정에서, 이송 장치가 표시 장치(1000)를 이송하기 위해 잡는 손잡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0)의 이송 과정에서 진공 흡착기는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을 잡을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은 평평한 판을 진공 흡착기에 각각 제공하여 진공 흡착기로 하여금 흡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측벽부(323)는 표시 모듈(DM)의 밴딩 영역(BA, 도 3c 참조)을 커버할 수 있다. 암 부분(322)들은 표시 유닛(DD)의 밴딩 영역(BA)을 상측에서 커버한다. 측벽부(323)는 밴딩 영역(BA)을 측면 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즉, 측벽부(323)는 뱅딩 영역(BA)에 배치된 표시 패널(DP, 도 3c 참조)을 포함하는 표시 유닛(DD)의 모든 구성요소를 측면 방향에서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즉, 도 6 및 도 7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수직하는 제3 방향(DR3, 도 5 참조)에서 바라본 표시 장치(1000)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이형 필름(100)과 제2 이형 필름(200)의 사이에는 표시 유닛(DD)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이형 필름(100)과 제2 이형 필름(200)은 표시 유닛(DD)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유닛(DD)의 상면은 제1 이형 필름(100)과 맞닿는 면이고, 하면은 제2 이형 필름(200)과 맞닿는 면일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100)과 제2 이형 필름(200)은 접착 부재들을 통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들은 평면 상에서 표시 유닛(DD)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홀딩부(330a)의 양측으로 제1 접착 부재들(42a, 42b)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110) 및 제2 이형 필름(120) 각각의 면적은 표시 유닛(DD)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110) 및 제2 이형 필름(120)에서 표시 유닛(DD)과 중첩하는 부분은 표시 유닛(DD)을 보호한다. 제1 이형 필름(110) 및 제2 이형 필름(120)에서 표시 유닛(DD)과 중첩하지 않고, 평면상에서 표시 유닛(DD)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들은 서로 접착 부재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제1 홀딩부(330a)의 양측에, 표시 유닛(DD)의 외곽으로 돌출된 제1 이형 필름(110)과 제2 이형 필름(120)의 일부분은 서로 제1 접착 부재들(42a, 42b)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홀딩부들(330b)과 제3 홀딩부(330c) 사이에 표시 유닛(DD)으로부터 도출된 제1 이형 필름(100) 및 제2 이형 필름(200)의 각 부분들 사이에 제2 접착 부재들(44a, 44b)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100)은 제1 손잡이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01)는 제1 이형 필름(100)에서 최외곽으로 돌출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손잡이부(101)를 잡고 제1 이형 필름(100)을 표시 유닛(DD)에서 벗겨낼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200)은 제2 손잡이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201)는 제2 이형 필름(200)에서 최외곽으로 돌출된 일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 자는 제2 손잡이부(201)를 잡고 제2 이형 필름(200)을 표시 유닛(DD)으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도 7에서, 제2 이형 필름(200)은 제1 부분(210), 제2 부분(220) 및 제3 부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10)은 표시 유닛(DD)의 제1 비표시 영역(NFA1)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부분(210)은 표시 유닛(DD)의 제2 비표시 영역(NFA2)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부분(210) 상에는 보호 커버(300)의 제1 커버부(310)의 제1 부분(3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220) 상에는 보호 커버(300)의 제1 커버부(310)의 제1 바디 부분(311) 및 제2 커버부(320)의 제2 바디 부분(32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암 부분(322)의 일부는 제2 부분(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암 부분(322)은 표시 유닛(DD)의 두께 방향에서 제2 부분(2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200)의 제3 부분(230)은 폴딩 영역(FA)에 중첩할 수 있다. 제3 부분(230) 상에는 제1 커버부(310)의 제2 부분(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10)의 제2 부분(313)은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부재는 제2 이형 필름(200)의 제3 부분(230)에 접착될 수 있다. 도 8d에서 후술한다.
제2 이형 필름(200)의 제3 부분(230)은 보호 커버(300)와 함께 제2 이형 필름(2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200)의 제1 부분(210)과 제3 부분(230) 사이 및 제2 부분(220)과 제3 부분(230) 사이에는 절단선(CL)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절단선(CL)을 통해 제3 부분(230)은 제2 이형 필름(2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200)의 제2 부분(220)은 표시 유닛(DD)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200)은 표시 유닛(DD)의 밴딩 영역(BA, 도3c 참조)과 연결된 연성회로기판(700)을 노출시킨다. 연성회로기판(700) 상에는 절연 테이프(600) 및 보호 테이프(720)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테이프(720)의 일부는 제2 이형 필름(200)과 중첩될 수 있다. 절연 테이프(600)는 연성회로기판(700)과 보호 커버(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0)는 밴딩 영역(BA) 및 밴딩 영역(BA)에 연결된 연성회로 기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6의 A 내지 A'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8b는 도 6의 B 내지 B'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8c는 도 7의 C 내지 C'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d는 도 7의 D 내지 D'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a에서, 제2 이형 필름(200)은 보호 커버(3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A 내지 A'의 절단면 상에서 제2 이형 필름(200)은 보호 커버(300)와 접착되지 않는다. 보호 커버(300)는 제1 이형 필름(100), 제2 이형 필름(200) 및 표시 유닛(DD)의 제1 방향(DR)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8b에서, 제2 접착 부재(44a)는 제1 이형 필름(100)과 제2 이형 필름(20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44a)의 두께는 표시 유닛(DD)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두께는 제3 방향(DR3)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c에서, 보호 커버(300)는 밴딩 영역(BA) 및 밴딩 영역(BA)과 인접한 비밴딩 영역(AA1)에서 표시 유닛(DD)에서 이격될 수 있다. 밴딩 영역(BA)에는 제1 및 제2 이형 필름들(100, 20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200)이 보호 커버(300)와 표시 유닛(DD)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보호 커버(300)는 표시 유닛(DD)에서 일정 폭(WD)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보호 커버(300)는 표시 유닛(DD)과 접촉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밴딩 영역(BA)에서 표시 패널(DP) 상에는 보호층(BPL)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BPL) 상에는 연성회로기판(700)이 배치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700)은 절연층(80)과 도전층(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층(90)상에는 절연 테이프(600)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0)는 절연 테이프(600)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0)는 표시 유닛(DD)의 밴딩 영역(BA)을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에서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표시 유닛(DD)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도 3c를 참조한다.
도 8d에서, 보호 커버(300)와 제2 이형 필름(200) 사이에는 접착 부재(ADH)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DH)는 폴딩 영역(FA)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1)의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300)는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00)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홀딩부들(300a, 300b, 300c)을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400)는 복수 개의 홀딩부들(330a, 330b, 330c)에 연결될 수도 있고, 커버부들(310, 320)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홀딩부(330b)와 제3 홀딩부(330c)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홀딩부(330b)는 제3 홀딩부(330c)가 연결된 제2 커버부의 암 부분(322)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홀딩부들(330a, 330b, 330c)과 마찬가지로 평면상에서 폴딩 영역, 비폴딩 영역에 중첩되지 않고, 표시 유닛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 트레이(TR)는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1000)를 담아서 전자 장치(ED, 도 2 참조)의 제조 공정 중에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트레이(TR)는 표시 유닛을 보호하는 제1 이형 필름(100), 제2 이형 필름(200) 및 보호 커버(300)의 형상에 맞추어진 가이드부(GDP)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GDP)는 이송 트레이(TR)에서 표시 장치(1000)가 담길 수 있는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커버(300)의 제3 홀딩부(330c)는 개구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딩부(330c)는 개구부(331)를 통해 이송 트레이(TR)에 표시 장치(10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WM: 윈도우
DD: 표시 유닛
DM: 표시 모듈
100: 제1 이형 필름
200: 제2 이형 필름
300: 보호 커버

Claims (20)

  1.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비밴딩 영역, 및 상기 비밴딩 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밴딩 영역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2 커버부와 연결되는 제1 바디 부분;
    상기 제1 바디 부분에서 상기 제2 커버부로부터 멀어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바디 부분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바 형상을 각각 가지고,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와 연결되는 제2 바디 부분; 및
    상기 제2 바디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 부분은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암 부분은 상기 밴딩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암 부분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밴딩 영역의 나머지 일부를 커버하는 표시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제1 부분과 결합된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2 부분과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제2 홀딩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암 부분에서 상기 제2 바디 부분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홀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커버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측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13.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비밴딩 영역 및 상기 비밴딩 영역으로부터 밴딩된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윈도우 위에 배치된 제1 이형 필름;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제2 이형 필름; 및
    상기 제2 이형 필름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밴딩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커버부에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형 필름과 상기 제2 이형 필름 사이에 상기 제1 이형 필름과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접착하는 복수 개의 접착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접착 부재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형 필름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부분;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3 부분에 부착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의 사이 및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의 사이에는 절단 선이 각각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부분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비폴딩 영역의 일부 및 상기 밴딩 영역을 노출시키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노출된 비폴딩 영역의 일부 및 상기 밴딩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표시 모듈과 두께 방향에서 이격된 표시 장치.
  20.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부; 및
    평면상에서,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복수 개의 홀딩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홀딩부들은 상기 표시 모듈의 외측에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02602A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KR20220022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02A KR20220022003A (ko)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US17/331,038 US11570920B2 (en) 2020-08-14 2021-05-26 Display device
CN202110879009.4A CN114078374A (zh) 2020-08-14 2021-08-02 显示设备
EP21188999.3A EP3955091A1 (en) 2020-08-14 2021-08-02 Display device
US18/161,658 US11839042B2 (en) 2020-08-14 2023-01-3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02A KR20220022003A (ko)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003A true KR20220022003A (ko) 2022-02-23

Family

ID=7744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602A KR20220022003A (ko)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70920B2 (ko)
EP (1) EP3955091A1 (ko)
KR (1) KR20220022003A (ko)
CN (1) CN114078374A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7281B2 (en) * 2008-09-05 2010-04-13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JP5227827B2 (ja) 2009-02-16 2013-07-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用容器
KR102281910B1 (ko) 2014-06-26 2021-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41453B1 (ko) * 2015-08-31 2023-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16914B1 (ko) * 2015-12-01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490770B2 (en) * 2016-09-09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412154B1 (ko) * 2017-07-07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97666B1 (ko) * 2017-12-28 2023-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04397B1 (ko) * 2018-08-20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JP6789457B2 (ja) * 2018-09-05 2020-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630315B1 (ko) * 2018-10-24 2024-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102637071B1 (ko) * 2018-11-16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102545020B1 (ko) * 2018-12-04 2023-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459131A (zh) * 2019-07-30 2019-1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KR20210059121A (ko) * 2019-11-14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US11181942B1 (en) * 2020-07-22 2021-11-2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0920B2 (en) 2023-01-31
US11839042B2 (en) 2023-12-05
CN114078374A (zh) 2022-02-22
US20230180414A1 (en) 2023-06-08
EP3955091A1 (en) 2022-02-16
US20220053659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CN107025851B (zh) 显示装置
US11114632B2 (en) Display pane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8236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307693B1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7499B1 (ko)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전자 기기
KR20170003874A (ko)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EP3764196B1 (en) Display device
KR20210059121A (ko)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2020005262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436305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US20240006265A1 (en) Display device
EP395809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6217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N114648917A (zh) 电子装置
KR20220054486A (ko) 전자 장치
KR202200229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00137A (ko) 전자 장치
KR20220003688A (ko) 표시 장치
KR20210124608A (ko) 표시 장치
CN217821941U (zh) 显示设备及包括显示设备的电子设备
KR20220022003A (ko) 표시 장치
KR20220158186A (ko) 이형 필름
KR20230039889A (ko) 표시장치
KR20230048178A (ko) 표시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