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764A - 스토퍼 장치 - Google Patents

스토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764A
KR20110112764A KR1020100094186A KR20100094186A KR20110112764A KR 20110112764 A KR20110112764 A KR 20110112764A KR 1020100094186 A KR1020100094186 A KR 1020100094186A KR 20100094186 A KR20100094186 A KR 20100094186A KR 20110112764 A KR20110112764 A KR 20110112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otating member
cam
cam groo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602B1 (ko
Inventor
히사노부 니와
시게카즈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스토퍼 장치(10)는 몸체(11)와, 몸체(11) 내에 수용된 통형상의 회전부재(21)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1)는 모터(18)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부재(21) 내에는 로드(31)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로드(31)의 둘레면에 한 쌍의 캠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는 한 쌍의 캠홈(32)에 각각 계합되는 동시에, 캠홈(32)을 따라 안내되는 한 쌍의 캠 팔로워(24)를 갖는다. 각 캠 팔로워(24)는 회전부재(21)의 중심선축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재(21)의 회전에 따라 각 캠 팔로워(24)가 대응하는 캠홈(32)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로드(31)가 회전부재(21) 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스토퍼 장치{STOPPER APPARATUS}
본 발명은 워크를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를 사용한 생산설비에서는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워크를 소정 위치에 일단 정지시켜서 소정의 작업이 행해진다. 작업 종료 후에는 다시 컨베이어를 따라 워크가 이동된다. 그리고, 워크를 소정 위치에 일단 정지시키기 위해 스토퍼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토퍼 장치는 원통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몸체 내를 직선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에는 쇼크 업소버가 내장된다. 로드의 선단부에는 쇼크 업소버에 연동되어 워크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레버는 로드와 일체적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워크를 소정 위치에 일단 정지시킬 때에는 로드를 몸체에서 돌출되도록 하여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스토퍼 레버가 직선 이동된다. 그 결과, 스토퍼 레버에 워크가 맞닿아 워크의 반송이 제지된다. 이 때, 쇼크 업소버에 의해 컨베이어 상에서 반송되는 워크에 대한 충격이 완충된다.
그런데, 모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로드를 직선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3-8827호 공보의 액추에이터가 있다. 이 공보의 액추에이터는 원통형상의 조작축 내에 이송나사축이 삽입통이 되는 동시에, 조작축과 이송나사축이 볼나사를 개재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전동기의 회전축과 이송 나사축이 기어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기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기어를 통하여 이송나사축이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이송나사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볼나사가 이송나사축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되어 조작축이 직선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조작축의 선단부에 장착된 피동부가 직선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조작축을 직선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나사축의 외측에 원통형의 조작축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축은 적어도 조작축의 직선이동거리에 따른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그 조작축의 선단부에 피동부가 장착되기 때문에 조작축의 축방향으로의 액추에이터의 길이치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화하지 않고 모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로드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스토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형태에 의하면, 스토퍼 장치가 제공된다. 스토퍼 장치는 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통형상의 로드로써,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캠홈을 갖는 로드,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워크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부,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내장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에 의해 워크를 정지시킬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기구,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로드가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둘레면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선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캠홈에 계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 팔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 팔로워가 상기 캠홈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상기 로드가 상기 회전부재 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타 이점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회전부재의 캠홈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5는 스포터부에 의해 워크의 반송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스토퍼 장치의 부분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장치를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장치(10)는 통형상의 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몸체(11)에는 원형상의 수용공(12)이 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12) 내의 선단부에는 환상의 로드커버(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11)의 기단에는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1)의 선단면에는 플랜지(14)가 설치되는 동시에, 플랜지(14)에는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4)의 선단면에는 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기둥(15)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기둥(15)의 선단부에는 규제링(15a)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몸체(11)의 기단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18)가 장착되어 있다. 모터(18)의 회전축(19)은 몸체(11)의 관통공(11a) 내에 도달할 때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수용공(12) 내에는 회전부재(21)가 수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21)는 선단부에서 개구하는 동시에 기단에서 폐쇄된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의 본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2)의 선단면에는 한 쌍의 연장설치부(23)가 본체부(22)의 직경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연장설치부(23)의 선단부 내면에는 캠 팔로워(24)가 연장설치부(23)의 연장설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또한 회전부재(21)의 중심축선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캠 팔로워(24)는 회전부재(21)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22)의 기단면에는 본체부(22)의 중심축선 상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25)의 중앙부에는 모터(18)에서의 회전축(19)의 선단부를 끼워맞출 수 있는 감합 오목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5)와 회전축(19)은 회전축(19)의 선단부가 감합 오목부(25a) 내에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나사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18)가 구동함으로써 회전축(19)의 회전운동이 연결부(25)에 전달되어 회전부재(21)가 수용공(12)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2)에서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둘레방향 전체둘레에 걸쳐 장착오목부(22a)가 형성되는 동시에, 장착오목부(22a)에는 웨어링(22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 쌍의 연장설치부(23)의 외주면에서의 본체부(22)에 가까운 위치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장착오목부(23a)가 형성되는 동시에, 장착오목부(23a)에는 웨어링(23b)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21)가 수용공(1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웨어링(22b, 23b)의 외주면 전체가 수용공(12)의 내주면에 맞닿는다. 이로 인하여 웨어링(22b, 23b)이 회전부재(21)에 대한 센터링용 축받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21)가 회전하여 회전부재(21)에 편하중이 가해졌다고 해도 이 웨어링(22b, 23b)에 의해 회전부재(21)가 편심 되어버리는 일이 억제되어 있다.
회전부재(21)에는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로드(31)가 진퇴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이 로드(31)는 플렌지(14)의 관통공(14a)을 통하여 몸체(11)에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드(31)에는 완충기구로서 유압식의 쇼크 업소버(35)가 내장되어 있다. 쇼크 업소버(35)는 도시하지 않는 오리피스를 내부에 갖는 실린더(37)와, 실린더(37) 내에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업소버 로드(36)를 구비한다. 실린더(37) 내에는 작동유가 충전되어 있다. 업소버 로드(36)의 선단부는 실린더(37)로부터 항상 통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로드(31)의 선단부에는 컨베이어(C)(도 5 참조) 상을 반송되는 워크(W)(도 5 참조)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31)의 선단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31a)가 스토퍼부(41)의 지지체(42)에 형성된 수용오목부(42a)의 암나사(도시생략)에 나사결함됨으로써 로드(31)와 지지체(42)는 일체화되어 있다. 지지체(42)의 일측면에는 삽입통과공(43a)을 갖는 삽입통과부(4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삽입통과공(43a)에는 지지기둥(15)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42) 상에는 한 쌍의 장착편(44)이 업소버 로드(36)를 끼우도록 서로 대향하여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장착편(44)의 사이에는 지지축(45)이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축(45)에는 워크 정지용 스토퍼(46)가 소정의 각도 범위만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 레버(46)는 업소버 로드(36) 상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레버(46)의 선단부에는 워크받이 롤러(47)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레버(46)의 기단은 업소버 로드(36)에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31)의 기단측에서의 외주면에는 캠 팔로워(24)가 계합 가능한 나선상의 2개의 캠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각 캠홈(32)의 선단부는 로드(31) 내부의 도중에서 폐쇄되어 있는 동시에, 기단은 로드(31)의 기단면으로부터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캠홈(32)의 기단으로부터 각 캠 팔로워(24)를 캠홈(32) 내로 삽입함으로써 각 캠 팔로워(24)가 각 캠홈(32)에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캠홈(32)의 전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홈(32)은 변형사인곡선(L)(도 4에 나타내는 일점쇄선)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캠홈(32)은 사인곡선에 근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 팔로워(24)가 캠홈(32) 내에서 변형사인곡선(L)의 개시점(P1)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로드(31)는 몸체(11)에 대하여 몰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로드(31)가 몸체(11)에 대하여 몰입된 상태에서 모터(18)를 정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21)가 정회전하여 캠 팔로워(24)가 캠홈(32)을 따라 캠홈(32)의 개시점(P1)에서 종료점(P3)으로 향하여 안내된다.
여기에서, 삽입통과부(43)의 삽입통과공(43a)에는 지지기둥(15)이 삽입통과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31)는 몸체(11)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돌출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드(31)가 돌출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스토퍼부(41)도 돌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삽입통과부(43)의 상면이 규제링(15a)에 맞닿음으로써 삽입통과부(43)가 지지기둥(15)에서 빠져버리는 일이 규제되어 있다.
각 캠 팔로워(24)가 대응하는 캠홈(32) 내에서 변형사인곡선(L)의 개시점(P1)에 존재한 상태로부터 종료점(P3)으로 향하여 각 캠 팔로워(24)가 대응하는 캠홈(32)을 따라 안내된다. 이 때, 로드(31)의 직선이동에서의 가속도는 개시점(P1)부터 중간점(P2)까지 사이에 완만하게 가속된다. 그리고, 각 캠 팔로워(24)가 대응하는 캠홈(32) 내에서 변형사인곡선(L)의 개시점(P1)과 종료점(P3) 사이의 중간점(P2)을 통과할 때, 로드(31)의 직선이동범위에서의 가속도가 최대가 된다. 또한, 로드(31)의 직선이동에서의 가속도는 중간점(P2)부터 종료점(P3)까지 사이에 완만하게 가속된다.
상기 스토퍼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토퍼 장치(10)는 로드(31)가 몸체(11)에 대하여 몰입된 상태에서는 스토퍼부(41)가 컨베이어(C)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컨베이어(C) 상을 반송되는 워크(W)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로드(31)가 몸체(11)에 대하여 몰입된 상태에서 모터(18)를 정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21)가 정회전된다. 그러면 각 갬 팔로워(24)가 대응하는 캠홈(32)을 따라 안내되는 동시에, 로드(31)가 몸체(11)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돌출방향으로 일정한 가속도를 유지하면 직선 이동한다.
이 로드(31)의 직선이동에 따라 스토퍼(41)가 일정한 가속도를 유지하면서 완만하게 상승한 후, 최대가속도에서 상승한다. 그 후, 로드(31)는 완만하게 감속되면서 돌출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41)의 워크받이 롤러(47)가 컨베이어(C) 상을 반송되는 워크(W)의 반송경로 상에 도달하면 로드(31)의 가속도가 0이 되고, 스토퍼부(41)의 상승이 완만하게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워크(W)가 컨베이어(C) 상을 반송되면 워크(W)가 워크받이 롤러(47)에 맞닿는 동시에, 스토퍼 레버(46)가 회전운동한다. 스토퍼 레버(46)가 회전운동하면, 스토퍼 레버(46)의 기단이 업소버 로드(36)에 맞닿아 업소버 로드(36)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업소버 레버(36)가 아래쪽으로 가압되면 업소버 로드(36)는 실린더(37) 내로 몰입된다. 이 실린더(37)에 대한 업소버 로드(36)의 몰입에 의해 오리피스에 오일이 유통될 때의 저항을 이용하여 워크(W)가 워크받이 롤러(47)에 맞닿았을 때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컨베이어(C) 상의 워크(W)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8)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21)가 역회전된다. 그러면 각 캠 팔로워(24)가 대응하는 캠홈(32)을 따라 안내되는 동시에, 로드(31)가 몸체(11)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몰입방향으로 일정한 가속도를 유지하면서 직선 이동한다.
이 로드(31)의 직선이동에 따라 스토퍼(41)가 일정한 가속도를 유지하면서 완만하게 하강한 후, 최대가속도에서 하강한다. 그 후, 로드(31)는 완만하게 감속되면서 몰입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그리고, 스토퍼(41)가 컨베이어(C)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 로드(31)의 가속도가 0이 되고, 스토퍼(41)의 하강이 완만하게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워크(W)는 컨베이어(C) 상에서 정지하지 않고 스토퍼 장치(10)의 위쪽을 통과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모터(18)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21)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 내에 로드(31)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31)의 둘레면에 2개의 캠홈(3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1)에 한 쌍의 캠 팔로워(24)가 설치되어 있다. 한 상의 캠 팔로워(24)는 캠홈(32)에 각각 계합되는 동시에 캠홈(32)을 따라 각각 안내된다. 캠 팔로워(24)는 회전부재(21)의 중심축선으로 향하여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부재(21)가 회전함으로써 각 캠 팔로워(24)가 대응하는 캠홈(32)을 따라 안내된다. 이로 인하여 로드(31)를 회전부재(21) 내에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과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나사축의 외측에 통형상의 조작축을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회전부재(21) 내에서 진퇴하는 로드(31) 내에 쇼크 업소버(35)를 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 장치(10)의 길이치수가 대형화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토퍼 장치(10) 자체가 대형화하지 않고 모터(18)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로드(31)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2) 회전부재(21)에는 한 쌍의 캠 팔로워(24)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회전부재(21)에 캠 팔로워(24)가 하나 설치되어 있고, 회전부재(21)가 회전함으로써 하나의 캠 팔로워(24)가 캠홈(32)을 따라 안내되어 로드(31)를 직선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캠 팔로워(24)와 캠홈(32) 사이에서 걸림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3) 캠홈(32)은 변형사인곡선(L)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캠홈(32)은 사인곡선에 근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캠 팔로워(24)가 캠홈(32) 내에서 변형사인곡선(L)의 개시점(P1)에 존재한 상태로부터 종료점(P3)으로 향하여 캠 팔로워(24)가 캠홈(32)을 따라 안내되면, 로드(31)의 직선이동에서의 가속도는 개시점(P1)부터 중간점(P2)까지 사이에 완만하게 가속된다. 또한, 캠 팔로워(24)는 중간점(P2)부터 종료점(P3)까지 사이에 완만하게 감속된다. 따라서, 로드(31)의 직선이동에서의 가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어수단에 의해 모터(18)의 회전속도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로드(31)의 직선이동에서의 가속도를 기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로드(31)의 속도 제어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4)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8)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로드(31)가 직선 이동된다. 따라서, 유체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압축공기 등의 작동유체를 공급 또는 배출함으로써 로드(31)를 직선 이동시키는 경우와 같이 작동유체의 누출에 의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없다. 따라서, 모터(18)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로드(31)를 효율적으로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실시예에 있어서, 각 캠홈(32)은 변형사인곡선(L)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 캠홈(32)은 변형 사다리꼴곡선이나 변형 등속도곡선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재(21)에는 한 쌍의 캠 팔로워(24)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회전부재(21)에 캠 팔로워(24)가 하나 또는 3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 실시예에서는 캠홈(32)을 변형사인곡선(L)을 그리도록 형성함으로써 로드(31)의 직선이동에서의 가속도가 기계적으로 제어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어수단에 의해 모터(18)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로드(31)의 직선이동에서의 가속도를 전기적으로 제어해도 된다.
○ 실시예에 있어서, 쇼크 업소버(35)는 유압식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공기압식이어도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스토퍼 장치에 있어서,
    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통형상의 로드로써,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캠홈을 갖는 로드;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워크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부;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 내장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에 의해 상기 워크를 정지시켰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기구;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로드가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둘레면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회전부재의 중심축선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캠홈에 계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캠 팔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 팔로워가 상기 캠홈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상기 로드가 상기 회전부재 내에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워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캠홈은 상기 캠 팔로워와 같은 수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사인곡선에 근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팔로워는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캠 팔로워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구는 유압식의 쇼크 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장치.
KR20100094186A 2010-04-07 2010-09-29 스토퍼 장치 KR101183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8773A JP5149326B2 (ja) 2010-04-07 2010-04-07 ストッパ装置
JPJP-P-2010-088773 2010-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64A true KR20110112764A (ko) 2011-10-13
KR101183602B1 KR101183602B1 (ko) 2012-09-17

Family

ID=4474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4186A KR101183602B1 (ko) 2010-04-07 2010-09-29 스토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49326B2 (ko)
KR (1) KR101183602B1 (ko)
CN (1) CN102211709B (ko)
TW (1) TWI41361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6898A (zh) * 2016-06-14 2016-09-28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阻挡机构
CN109573576A (zh) * 2018-12-10 2019-04-05 日立电梯电机(广州)有限公司 阻挡器及输送生产线
CN116714950A (zh) * 2023-07-31 2023-09-08 常州睿科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减震器的自动化输送和储存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4202B2 (en) 2013-07-25 2016-11-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lutch
CN107089502B (zh) * 2017-05-18 2023-05-05 厦门精合电气自动化有限公司 一种转体开合机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7773A (ja) * 1974-08-01 1976-02-12 Hiroshi Takahashi Kurankudendosochi
JPS5610535U (ko) * 1979-07-05 1981-01-29
JPS59116323U (ja) * 1983-01-26 1984-08-06 日本精器株式会社 コンベヤラインに於ける緩衝器付ストツパ装置
JPH01121613U (ko) * 1988-02-08 1989-08-17
JP2574988Y2 (ja) * 1992-07-24 1998-06-18 太陽鉄工株式会社 ストッパ装置
JPH1030702A (ja) * 1996-07-15 1998-02-03 Minolta Co Ltd ギア機構及びギア機構を備えた機器
JP2008090107A (ja) * 2006-10-04 2008-04-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6898A (zh) * 2016-06-14 2016-09-28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阻挡机构
CN109573576A (zh) * 2018-12-10 2019-04-05 日立电梯电机(广州)有限公司 阻挡器及输送生产线
CN109573576B (zh) * 2018-12-10 2023-09-26 日立电梯电机(广州)有限公司 阻挡器及输送生产线
CN116714950A (zh) * 2023-07-31 2023-09-08 常州睿科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减震器的自动化输送和储存系统
CN116714950B (zh) * 2023-07-31 2023-09-29 常州睿科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用减震器的自动化输送和储存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602B1 (ko) 2012-09-17
CN102211709B (zh) 2013-12-25
CN102211709A (zh) 2011-10-12
TWI413611B (zh) 2013-11-01
TW201134739A (en) 2011-10-16
JP5149326B2 (ja) 2013-02-20
JP2011220411A (ja)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602B1 (ko) 스토퍼 장치
CN104494846B (zh) 一种适用于高轨卫星的弱撞击通用抓捕机构
CN1865740B (zh) 电动阀
JP5862734B1 (ja) 直線駆動装置
CN102699586A (zh) 相贯线的焊接装置
CN103517767A (zh) 用于圆形形状的盖子的再上漆头
US20110016999A1 (en) Cylinder device
CN105745445A (zh) 隔膜泵
CN103032404B (zh) 气缸
CN103925114A (zh) 一种变循环发动机可调机构中的滚轮滑块平动式前涵道引射器
CN104476211A (zh) 一种机床小半径交换台
CN112059969A (zh) 一种回转一体式夹爪
KR20120111185A (ko) 리니어 액츄에이터
EP3406942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rotational movement to linear movement
CN106763600B (zh) 一种双凸轮双轴运动机构
WO2017064742A1 (ja) 直線駆動装置
JP5561475B2 (ja) 複動機構
CN102601392A (zh) 一种立车进给刀架
CN103231309B (zh) 发动机连杆小头孔珩磨夹具
CN208019145U (zh) 便捷式组合轧辊
CN207518402U (zh) 一种磨头直驱电机
EP2543807B1 (en) Rotary actuator for moving a swivel swing door, particularly in vehicles
CN106953460B (zh) 一种基于一个电机间歇传动的球形驱动轮
CN205178742U (zh) 电缸直线传动结构
JP611173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