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408A - 훈연 및 공기-건조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 및 이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훈연 및 공기-건조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 및 이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408A
KR20110112408A KR1020117018255A KR20117018255A KR20110112408A KR 20110112408 A KR20110112408 A KR 20110112408A KR 1020117018255 A KR1020117018255 A KR 1020117018255A KR 20117018255 A KR20117018255 A KR 20117018255A KR 20110112408 A KR20110112408 A KR 2011011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eight
food film
blen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쉬프만
Original Assignee
퀴흐네 안라겐바우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4915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1240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퀴흐네 안라겐바우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퀴흐네 안라겐바우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1011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4Cellulosic particles, e.g. ray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32B2264/062Cellulose particl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1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24Flexible food casing [e.g., sausage typ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에 관한 것이며, 특히, 훈연 및/또는 공기-건조된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에 대한 소시지 케이싱(casing)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계의 식품 필름은 (공)압출((co-)extrusion) 필름 블로우 몰딩 공장에서 블로우 헤드의 노즐에 (공)압출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고 삼중-버블(triple-bubble) 공정에서 2축 연신되는 방식으로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PET 혹은 다양한 PET들 및 PVOH들 및/또는 PEBA들의 블렌드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훈연 및 공기-건조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 및 이의 생산 방법{SINGLE-LAYER OR MULTILAYER TUBULAR FOOD PACKAGING FILM THAT CAN BE SMOKED AND AIR-DRIED,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에 관한 것이며, 특히, 훈연 및/또는 공기-건조된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에 대한 소시지 케이싱(casing)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르면, 고분자 계의 식품 필름은 (공)압출((co-)extrusion) 필름 블로우 몰딩 공장에서 블로우 헤드의 노즐에 (공)압출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고 삼중-버블(triple-bubble) 공정에서 2축 연신되는 방식으로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1항에 따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훈연가능한(smokeable) 소시지 케이싱은 실험 및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DE 199 42 835 A1은 가스 및 산소가 침투가능하고 연성의 플라스틱 재료가 채용되는 인공 소시지 케이싱 재료로 구성되는 소시지 케이싱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문헌 DE 199 42 835 A1에 개시되는 상기 소시지 케이싱 재료는 용접된 종방향 심(seam)들을 갖는 불규칙한 곡면의 소시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소시지 케이싱은 훈연가능하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다.
특허문헌 DE 198 30 389 A1은 공기-건조 가능하며 훈연 가능한 식품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DE 101 25 762 A1은 용접 및 절단 기계 내에서 용접 가능한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필름 재료의 한번 접혀진 웹(web)으로 부터 제조되며 불규칙한 외측 곡선을 갖는 성형 제품을 개시한다. 이러한 절단-용접 성형 제품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훈연 가능한 소시지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특허문헌 DE 35 26 394 C2의 생 소시지 케이싱은 종방향으로의 호스 내부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polyamide : PA)의 바인더-비함유 스펀 플리스(binder-free spun fleece)로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특허문헌 DE 35 26 394 C2는 또한 훈연 가능한 섬유 플리스-강화 인공 케이싱을 개시하는 특허문헌 DE 30 29 028 A1을 인용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플리스는 PA를 기초로 형성된다. 특히, 적합한 스펀 플리스는 PA 및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을 기초로 형성된다. 유사한 스펀 플리스들은 코팅 용액으로 함침될 수 있다. 특허문헌 DE 30 29 028 A1에 따르면, 적절한 코팅 물질은 파우더 형태로 적용되어 열에 의해 필름으로 용융될 수 있는 임의의 필름-형성 고분자들이다. 또한, 적절한 필름-형성 고분자들은 용융체, 용액, 서스펜션 혹은 분산물(dispersion) 형태의 코팅제로서 적용되며 후속 건조 공정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적절한 코팅 물질은 분자 분산물 혹은 콜로이드 용액 혹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 PVOH)과 같은 다양한 고분자들 및 이들의 혼합물의 서스펜션일 수 있다.
특허문헌 DE 42 20 957 A1은 발포막(foam layer)으로 제공되는 플렉시블 캐리어 물질을 포함하는 패키징 케이싱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물질은 완전히 비누화된 PVOH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 이루어진 발포막은 방수성 및 유성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산소, 질소 및 이산화탄소에 불침투성을 갖는다. 단지 수증기가 완전히 비누화된 PVOH로 이루어진 상기 발포막을 자유롭게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비누화된 PVOH는 소시지 케이싱에 적합하며, 특히 생 소시지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PVOH를 다른 플라스틱 분산물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특허문헌 WO 00/75220 A1은 PA 및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polyether block amide : PEBA)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의 압출, 관형 블렌드(blend)를 기초로 형성되는 필름 케이싱을 개시하고 있다. 실제로, 상기에 언급된 블렌드는 종래의 PA 블렌드보다 높은 수증기 및 산소 투과성을 보이며, 따라서 제한된 훈연성을 갖는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에 필요한 원하는 염색성이 떨어진다.
본 출원인의 실험적 경험에 따르면, 훈연성은 PEBA 함량에 크게 의존하나, 높은 PEBA 농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PEBA는 고비용의 연성 물질이라는 단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높은 PEBA 함량을 갖는 블렌드들은 어느 정도의 훈연성을 갖는다. 그러나, 고비용 및 특히 지나치게 낮은 강도 혹은 경도로 인해 소시지 제품을 위해 요구되는 필름의 형성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한편, 낮은 치수안정성으로 인해 생 소시지 혹은 경화 소시지 및 특히 살라미(salami)를 위한 필름 케이싱으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특허 문헌 DE 102 95 683 T5는 PA 및 낮은 함량의 PVOH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소시지 케이싱을 개시하고 있다. WO 00/75220 A1에 개시된 필름 케이싱과는 달리, 상기의 블렌드는 최적은 아닐지라도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에 대한 특정한 표면 염색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요구되는 산소 혹은 가스 투과성이 매우 떨어진다. 수증기 투과성은 PA 혹은 PA/PEBA 블렌드에 비해 높지만, 훈연성 식품 필름으로 사용되기에는 여전히 매우 낮다. 상기의 필름 구조에서는, 표면 염색성 및 산소 혹은 수증기의 투과성의 향상, 즉 훈연성의 향상은 막 두께의 급격한 감소를 통해서만 가능할 수 있다. 이는, 그러나, 필름의 경도 및/또는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생 소시지 혹은 경화 소시지에 사용되기 위한 수집 적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허 문헌 DE 103 02 960 A1, DE 103 20 327 A1 및 DE 103 23 417 B3은 모두 PA에 기초한 식품 케이싱을 개시하고 있다. 훈연성 향상을 위해, PVOH 및 PEBA와 같은 복수의 추가적 성분들이 부분적으로 상기 기초 물질인 PA에 혼합된다. 생성되는 블렌드는 일부 소시지 제품들에 적용되기 위한 표면 염색성, 산소 및 수증기 투과성에 있어서 제한된 유용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필름 구조의 단점은 훈연성 및 표면 염색성을 획득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성의 기초 물질인 PA에 두 연성 성분(PVOH, PEBA)을 혼합함으로 인해, 경도 및 강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상기 두 추가적인 성분이 소량 혼합되더라도 제품에 적용되기에는 너무 낮은 레벨로 필름의 경도 및/또는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추가적인 성분들이 함량을 높이거나 막 두께를 줄이는 것이 불충분한 훈연성 및 표면 염색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용도에 필요한 강도 및 수집 적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는 고분자 기초의, 특히 PVOH 및 PEBA와 함께 PA 기초의 훈연성 식품 케이싱은 낮은 경도 및 수집 적합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치수 안정성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제한된 범위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투과성 및 흡수성이 너무 낮아 훈연의 흡수성이 떨어지고, PA의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및 경도 보충을 위해 막 두께가 커짐에 따라 고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의도된 목적을 위해서는 상당히 제한적인 적합성을 가지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들에는 네팅(netting), 플렉시블 캐리어 물질 또는 스펀 플리스들이 대규모로 제조되는 식품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섬유 플리스 또는 스펀 플리스의 경우, 빈번하게 축합되거나 코팅되어야 하므로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들의 낮은 경도는 충분히 증가되지 않으며, 따라서 수집 특성이 떨어지고 네팅이 없는 소구경의 수집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상기의 공지된 소시지 케이싱은 현재까지는 자동화된 프로세싱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훈연 및 공기-건조 가능한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용융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대량 생산 및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생산 가능하며, 상기 식품 필름은 산소 및 수증기 투과성과 산소 및 수증기 흡수성에 의해 결정되는 훈연성, 충진 물질의 표면 염색성, 경도 및/또는 강도(치수 안정성)등과 같은 핵심 특성들을 보유하며, 또한 자동화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 및 청구항 제11항의 공정 기술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이 제공되며, 특히, 훈연 및/또는 공기-건조된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에 대한 소시지 케이싱(casing)이 제공된다. 상기의 식품 필름은 (공)압출((co-)extrusion) 필름 블로우 몰딩 공장에서 블로우 헤드의 노즐에 (공)압출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고 삼중-버블(triple-bubble) 공정에서 2축 연신되는 방식으로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의 플라스틱 블렌드 또는 다양한 PET 및 PVOH 및/또는 PEBA 들의 블렌드로 제조된다.
이는 노즐 분사 흡입 공정(nozzle blast drawing process) 및 후속의 삼중-버블 공정의 이축 연신에 있어서, 식품 패키징을 위한 훈연성의 공기-건조 가능한 관형 식품 필름을 제공하며, 또한 대량 생산에 있어 불리할 수 있는 상술한 네팅(netting), 플렉시블 캐리어 물질 혹은 스펀 플리스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충분한 투과성 및 흡수성, 불충분한 경도 및 고비용 등에 기인하여 상업적으로 제한적인 유용성을 갖는 공지된 PA 블렌드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필름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및 실험들을 통해 몇가지 경향이 발견되었다. 높은 PET 함량은 우수한 치수 안정성 및 경도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PA 기초의 블렌드와는 달리, 높은 PET 함량은 높은 훈연 투과성, 충진물의 표면 염색성 및 충진물의 낮은 접착성 등과 같은 바람직한 특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즉, 표면 염색성 뿐만 아니라, 수증기 흡수성 및 투과성과 병행하는 훈연 투과성은 유사한 PA 합성물에서 보다 높은 PET 함량에 의해 덜 감소된다. 추가적으로, 충진물 접착성도 불리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수증기 및 훈연 투과성과 함께 박피성(peelability)이 PEBA의 첨가에 의해 실질적으로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PEBA의 첨가에 의해 원하는 높은 산소 혹은 수증기 투과성 및 훈연 투과성을 갖도록 조절될 수 없다. 또한, PEBA의 첨가만으로는 만족할만한 표면 염색성을 갖도록 조절될 수 없다. 추가적으로 PEBA의 부적절한 첨가로 인해 치수 안정성 및/또는 경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한 특성들과 상쇄될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추가적인 PVOH의 혼합은 블렌드 비율이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되어 배분되는 경우, 원하는 높은 수증기 투과성 및 훈연 투과성을 보이는 플라스틱 블렌드가 얻어질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게다가, 높은 표면 염색성 및 실질적으로 높은 경도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충진물의 접착성도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블렌드에 의하면 치수 안정성도 최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훈연성의 공기-건조 가능한 식품 필름은 특히, 예를 들면 살라미와 같은 생 소시지에 적합하며, 충진물이 수작업으로, 즉 높은 압력의 인가 없이 특정한 충진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채워지더라도 주름을 생성하지 않고 충진물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훈연성, 공기-건조 가능한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으로 제조된 생 소시지 및 특히 경화 소시지 혹은 살라미 등과 같은 고기 또는 소시지 제품들은 훈제 혹은 훈연에 매우 적합하며, 특히 공기-건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식품 필름의 발전적 특징들이 청구항들의 발명적 특징이 된다.
즉, 단일층 혹은 복층의 훈연성 및 공기-건조 가능한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의 플라스틱 블렌드의 제1 변형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50 내지 99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및
- 1 내지 50 중량%의 PVOH
제2 변형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70 내지 99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및
- 1 내지 30 중량%의 PEBA
제3 변형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20 내지 98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 1 내지 50 중량%의 PVOH, 및
- 1 내지 30 중량%의 PEBA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변형체의 플라스틱 블렌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55 내지 90 중량%, 특히 60 내지 75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 5 내지 30 중량%, 특히 15 내지 25 중량%의 PVOH, 및
- 1 내지 15 중량%, 특히 5 내지 10 중량%의 PEBA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은 먼저 노즐 분사 흡입 공정(nozzle blast drawing process) 및 후속의 삼중-버블 공정의 이축 연신에 있어서 훈연성, 공기-건조 가능한 관형 식품 필름의 간단한 제조를 가능케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살라미 등과 같은 훈연성 소시지 케이싱의 조건을 완전히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의 식품 필름, 즉 소시지 케이싱 혹은 식품 필름에 의해 최대의 수증기 흡수성 및 훈연 투과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산소 투과성과는 별도로 수증기 투과성 및 흡수성이 훈연 과정에서 중요하다. 동시에, 우수한 수집 과정을 위해 중요한 높은 경도를 획득할 수 있다. 최적의 충진 과정을 위해 요구되는 우수한 치수 안정성 또한 상기 식품 필름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후속의 처리 작업시 중요하게 요청되는 충진물의 낮은 접착성 및 우수한 박피성을 본 발명의 식품 필름에 의해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 원료인 PET는 PA 기초의 블렌드들과는 달리 충진물과 접착성을 보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훈연된 소시지 제품의 전형적인 시각적 외양을 위해 행해지는, 특히 소시지 제품인 충진물의 높은 표면 염색성이 본 발명의 식품 필름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식품 필름은 특히 150mm 까지의 구경,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90mm의 구경에서,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필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 케이싱에 의하면, 충분한 고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제공하는 필름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필름은 20㎛의 필름 두께에서 최소한 1.5kg/(m2·day)의 수증기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측정 방법 : ISO 15106-1). 상기 수증기 투과성은 종래의 PA 기초 블렌드의 5배 내지 6배의 값이며, 동시에 높은 경도를 갖는다. 이와 같은 높은 수증기 투과성은 본 발명의 식품 필름으로 패키징된 식품 충진물의 효과적인 훈연을 가능케한다.
더욱이, 상기 식품 필름은 최소한 0.4 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 중량%의 수증기 흡수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높은 수증기 흡수성은 효율적이고 높은 훈연성을 유도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PA 기초의 블렌드는 최소 20 내지 30% 높은 비용에 단지 약 0.1 중량%의 수증기 흡수성을 보인다.
상기 식품 필름은 2,000 내지 3,000 N/mm2 의 탄성계수를 갖는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측정 방법 : ISO 527). 이와 대조적으로, PA 기초의 블렌드들은 단지 400 내지 750 N/mm2 의 탄성계수를 갖는다(측정 방법 : ISO 527). 상기와 같이 높은 탄성 계수는 요구되는 수집 적합성의 선결 조건인 본 발명의 식품 필름의 높은 경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동시에, 상기 경도는 종래의 PA 기초 블렌드들보다 4 내지 6배의 높은 강도를 갖는 상기 식품 필름에 대한 지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품 필름에 의하면 매우 작은 필름 두께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필름은 우수한 훈연성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추가 처리 공정을 위한 최적의 적합성을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의 식품 필름은 매우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식품 필름에 의해 제조된 고기 혹은 소시지 제품은 특히 훈연 단계 이후 소시지 케이싱에 의해 미리 정해진 소정의 형태를 유지하며 또한 연장된 공기-건조 상 이후에 주어진 케이싱 내에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식품 필름은 30mm 이하의 직경의 작은 구경에서 적어도 100m의 연장 조건 및 20cm의 수집 조건의 연장된 길이의 수집된 길이에 대한 비율을 가능케하는 우수한 수집 적합성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플라스틱 블렌드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케이트(sil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증기 및 훈연 투과성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옥수수 전분, 셀룰로오스 파우더 및 마이크로 글래스 비드(micro glass beads)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추가에 의해 수증기 및 훈연 투과성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초크(chalk), 탈크(talcum), 염(salt) 및 다른 미네랄 물질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추가로 투과성 및 흡수성이 증진될 수 있다.
공정 기술 측면에서, 상술한 목적은 청구항 제11항의 특징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이점 및 특징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 동등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훈연 및 공기-건조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특히 훈연 및/또는 공기-건조된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을 위한 소시지 케이싱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은 훈연 및/또는 공기-건조 되기 전에 상기 식품 필름 내부로 충진된다. 이러한 식품 필름은 노즐 분사 흡입 공정 및 후속의 삼중-버블 공정의 이축 연신에 의해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용융 플라스틱 물질은 PET 혹은 다양한 PET들 및 PVOH들 및/또는 PEBA들의 블렌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이점들 및 개선된 특징들은 청구항들의 발명적 특징이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 케이싱의 이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도 유효하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변형체에 따른 플라스틱 블렌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변형체는 다음을 포함한다.
- 50 내지 99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및
- 1 내지 50 중량%의 PVOH
상기 제2 변형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70 내지 99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및
- 1 내지 30 중량%의 PEBA
상기 제3 변형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20 내지 98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 1 내지 50 중량%의 PVOH, 및
- 1 내지 30 중량%의 PEBA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변형체에 따른 식품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블렌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55 내지 90 중량%, 특히 60 내지 75 중량%의 PET 혹은 다양한 PET들의 블렌드,
- 5 내지 30 중량%, 특히 15 내지 25 중량%의 PVOH, 및
- 1 내지 15 중량%, 특히 5 내지 10 중량%의 PEBA
따라서, 상기 식품 필름은 특히 150mm 까지의 구경,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90mm의 구경에서,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필름 두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상기 식품 필름이 20㎛의 필름 두께에서 최소한 1.5kg/(m2·day)의 수증기 투과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상기 식품 필름이 최소한 0.4 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 중량%의 수증기 흡수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2,000 내지 3,000 N/mm2 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실리케이트가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에 옥수수 전분, 셀룰로오스 파우더 및 마이크로 글래스 비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에 초크(chalk), 탈크(talcum), 염(salt) 및 다른 미네랄 물질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람직한 플라스틱 블렌드들 및 추가적인 플라스틱 블렌드들에 대해 본 출원인은 소시지 케이싱과 같은 식품 패키징을 위한 본 발명의 훈연성, 공기-건조 가능한 관형 식품 필름 제조를 위한 최적의 플라스틱 블렌드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절한 플라스틱 블렌드들이 식품 필름이 노즐 분사 흡입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생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어서, 상기 필름은 삼중-버블 공정을 통해 이축 연신되었다. 최종적으로, 상기의 방식으로 연신되어 제조된 필름에 대한 상술한 특성들의 평가가 행해졌다.
훈연성의 공기-건조 가능한 식품 패키징 필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PET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 중량%이다. PVOH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이다. 이 경우, PEBA의 함량은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에 특정된 혼합 비율에 의해 생 소시지에 특히 적합한 식품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싱 혹은 필름은 단일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훈연 혹은 훈제를 위해, 자연 훈연, 액상 훈연 혹은 다른 적용 가능한 형태의 훈연 및 훈연 대체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측면 및 이점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특허 문헌 DE 199 16 428 B4 에서와 같이 압출 후에 얇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튜브의 급속 냉각이 가능한 경우 노즐 분사 흡입 공정에 의해 소시지 케이싱과 같은 식품 패키징용 관형 식품 필름 제조를 위한 장치 혹은 시스템 상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할 때 최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허 문헌 DE 100 48 178 B4에 따른 개선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블로우 헤드 내에서 용융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관형 필름은 상기 용융 플라스틱 재료로부터의 열가소성 재료의 비정형 구조가 보존될 있도록 강하게 냉각된다. 상기 용융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노즐 블로우 헤드 내에서 수직으로 압출된 상기 관형 필름은 초기에 특허 문헌 DE 199 16 428 B4 및 DE 100 48 178 B4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벽을 접촉하지 않고 냉각될 수 있는 냉각 장치 내부로 유동된다.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수단으로도 지칭되는 상기의 냉각 수단의 상세한 기술, 설계 및 작동에 관하여, 특허문헌 DE 199 16 428 B4 및 DE 100 48 178 B4의 내용이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참조로서 전체적으로 병합된다.
상기 냉각 수단에 있어서, 상기 관형 필름은 이어서 상기 관형 필름의 내부 및 상기 냉각 수단 사이의 차압에 의해 상기 필름이 지지되는 지지 부재를 통과하며, 액상 필름은 필름 및 지지 부재 사이에서 보전되어 상기 관형 필름의 부착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 부재의 지름은 상기 관형 필름의 지름과 연관되며, 따라서 이러한 냉각 부재가 본 출원인에 의해 캘리브레이션 수단으로도 지칭된다.
PVOH 및/또는 PEBA를 포함하는 PET의 플라스틱 블렌드의 상술한 측면들 및 이점들은 노즐 분사 흡입 공정과 후속의 상술한 캘리브레이션 수단에 의해 보조되는 급속의 강한 냉각과 결합되어 최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훈연 및/또는 공기-건조된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에 대한 소시지 케이싱에 사용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식품 필름은 (공)압출 필름 블로우 몰딩 공장에서 블로우 헤드의 노즐에 (공)압출된 플라스틱을 공급하고 삼중-버블(triple-bubble) 공정에서 2축 연신되는 방식으로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및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및/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polyether block amide)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블렌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제1 변형체, 제2 변형체 및 제3 변형체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제1 변형체는,
    50 내지 99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및
    1 내지 5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변형체는
    70 내지 99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및
    1 내지 30 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변형체는
    20 내지 98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1 내지 5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및
    1 내지 30 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변형체의 플라스틱 블렌드는,
    55 내지 90 중량%, 특히 60 내지 75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5 내지 30 중량%, 특히 15 내지 25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및
    1 내지 15 중량%, 특히 5 내지 10 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필름은 150mm 까지의 구경에서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필름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필름은 20㎛의 필름 두께에서 최소한 1.5kg/(m2·day)의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필름은 최소한 0.4 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 중량%의 수증기 흡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필름은 2,000 내지 3,000 N/mm2 의 탄성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옥수수 전분, 셀룰로오스 파우더 및 마이크로 글래스 비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초크(chalk), 탈크(talcum), 염(salt) 및 다른 미네랄 물질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
  11. 훈연 및/또는 공기-건조된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에 대한 소시지 케이싱에 사용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시지 혹은 고기 제품은 훈연 및/또는 공기 건조 되기 전에 상기 식품 필름 내부로 채워지며,
    상기 식품 필름은 노즐 분사 흡입 공정(nozzle blast drawing process) 및 후속의 삼중-버블(triple-bubble) 공정에서 2축 연신에 의해 균질한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및
    폴리비닐 알코올 및/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블렌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제1 변형체, 제2 변형체 및 제3 변형체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제1 변형체는,
    50 내지 99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및
    1 내지 5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변형체는
    70 내지 99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및
    1 내지 30 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변형체는
    20 내지 98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1 내지 50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및
    1 내지 30 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변형체는,
    55 내지 90 중량%, 특히 60 내지 75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들의 블렌드;
    5 내지 30 중량%, 특히 15 내지 25 중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및
    1 내지 15 중량%, 특히 5 내지 10 중량%의 폴리에테르 블록 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필름은 150mm 까지의 구경에서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필름 두께를 갖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상기 식품 필름이 20㎛의 필름 두께에서 최소한 1.5kg/(m2·day)의 수증기 투과성을 갖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상기 식품 필름이 최소한 0.4 중량%,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1 중량%의 수증기 흡수성을 갖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는 상기 식품 필름이 2,000 내지 3,000 N/mm2 의 탄성 계수를 갖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에 적어도 하나의 실리케이트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에 옥수수 전분, 셀룰로오스 파우더 및 마이크로 글래스 비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블렌드에 초크(chalk), 탈크(talcum), 염(salt) 및 다른 미네랄 물질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충진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공기-건조 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17018255A 2009-02-20 2009-10-27 훈연 및 공기-건조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 및 이의 생산 방법 KR20110112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9876A DE102009009876B4 (de) 2009-02-20 2009-02-20 Ein- oder mehrschichtige, räucherbare, lufttrockenbare, schlauchförmige Nahrungsmittelfolie für Lebensmittelverpackung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9009876.3 2009-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408A true KR20110112408A (ko) 2011-10-12

Family

ID=4149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255A KR20110112408A (ko) 2009-02-20 2009-10-27 훈연 및 공기-건조될 수 있는 단일층 혹은 복층의 관형 식품 패키징 필름 및 이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2) US20110293862A1 (ko)
EP (1) EP2398332B1 (ko)
JP (1) JP5379868B2 (ko)
KR (1) KR20110112408A (ko)
CN (1) CN102271522B (ko)
AU (1) AU2009340246B2 (ko)
BR (1) BRPI0924295B1 (ko)
CA (1) CA2748377C (ko)
DE (1) DE102009009876B4 (ko)
DK (1) DK2398332T3 (ko)
ES (1) ES2421235T3 (ko)
MX (1) MX2011007220A (ko)
NZ (1) NZ593677A (ko)
PL (1) PL2398332T3 (ko)
PT (1) PT2398332E (ko)
RS (1) RS52839B (ko)
RU (1) RU2516294C2 (ko)
SI (1) SI2398332T1 (ko)
UA (1) UA101434C2 (ko)
WO (1) WO2010094308A1 (ko)
ZA (1) ZA201105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9859B4 (de) * 2009-02-20 2012-05-16 Kuhne Anlagenbau Gmbh Ein- oder mehrschichtige, räucherbare, lufttrockenbare, schälbare, insbesondere vollautomatisch schälbare, schlauchförmige Nahrungsmittelfolie für Lebensmittelverpackunge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457444B1 (de) * 2010-11-29 2018-04-25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Skalierbare Maschine und Verfahren zu ihrem Betrieb
US10821703B1 (en) * 2014-06-27 2020-11-03 Vikase Companies, Inc. Additive transferring film
CN104719426A (zh) * 2015-03-01 2015-06-24 熊秋红 一种腌制品风干架
DE102018201241A1 (de) * 2018-01-26 2019-08-01 Kalle Gmbh Rauch- und wasserdampfdurchlässige Nahrungsmittelhülle mit optimierten Hafteigenschaften
CN109651738A (zh) * 2019-01-02 2019-04-19 兰州理工大学 高强高弹聚对苯二甲酸乙二酯/聚乙烯醇复合膜制备方法
WO2022029228A1 (en) 2020-08-06 2022-02-10 Cryovac, Llc Multilayer, coextruded polyolefin film and manufacture thereof on triple bubble line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9028A1 (de) 1980-07-31 1982-02-18 Wolff Walsrode Ag, 3030 Walsrode Schlauchhuelle
CA1226089A (en) * 1982-12-02 1987-08-25 Cornelius M.F. Vrouenraets Packaging film permeable to smoke constituents and packaged, smoked foodstuff
DE3526394A1 (de) 1985-07-24 1987-02-05 Becker & Co Naturinwerk Rohwursthuel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fuer an der luft reifende wurstwaren
IL80764A (en) * 1985-11-29 1990-12-23 American Can Packaging Inc Multiple layer packaging films and packages formed thereof
FR2639644A1 (fr) * 1988-11-25 1990-06-01 Atochem Film elastomere thermoplastique permeable a la vapeur d'eau a base de polyetheresteramid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articles comprenant un tel film
DE4220957C2 (de) 1992-06-25 1997-07-03 Buertex Buerker & Co Gmbh Verpackungshülle
DE19830389A1 (de) 1998-07-08 2000-01-13 Basf Ag Folien für luftgetrocknete oder geräucherte Lebensmittel
US6589615B1 (en) * 1999-01-04 2003-07-08 William W. Yen Thermoplastic food casing
DE19916428B4 (de) 1999-04-12 2004-06-17 Kuhne Anlagenbau Gmbh Einrichtung zum raschen Abkühlen dünner thermoplastischer Schläuche nach deren Extrusion
DE19942835C2 (de) 1999-06-25 2003-11-13 Ifg Forschungs Und Vertriebsgm Naturdarmförmige Wursthülle aus einem künstlichen Wursthüllenmaterial
FI112587B (fi) 1999-06-04 2003-12-31 Eriksson Capital Ab Kestomakkaran polymeerisuoli, menetelmä kestomakkaran valmistamiseksi ja polymeerisuolen käyttö kestomakkaroiden valmistuksessa
DE10125762A1 (de) 2000-05-17 2001-12-20 Ifg Forschungs Und Vertriebsgm Formgebende Umhüllung für Lebensmittel,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ihrer Herstellung
RU2201683C2 (ru) * 2000-09-21 2003-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оли-Пак" Бактерицидная рукавная колбасно-сосисочная оболочка
DE10048178B4 (de) 2000-09-28 2005-12-29 Kuhne Anlagenbau Gmbh Verfahren zur Erhöhung der Abkühlgeschwindigkeit dünner thermoplastischer Schläuche nach deren Extrusio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FI114280B (fi) * 2001-01-11 2004-09-30 Eriksson Capital Ab Polyamidiin ja polyamidilohkoja ja polyeetterilohkoja sisältäviin polymeereihin perustuva makkarankuori, joka on savustettavissa
RU2182107C1 (ru) 2001-03-30 2002-05-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Коммерческая Фирма "Атлантис-Пак" Полимерная плен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упаковка из этой пленки
SE0103507L (sv) * 2001-10-22 2003-04-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laminat för en autoklaverbar förpackningsbehållare
US6880771B2 (en) * 2002-02-01 2005-04-19 Monsanto Technology Llc Axially reciprocating tubular ball mill grinding device and method
DE10208858A1 (de) * 2002-03-01 2003-09-11 Kalle Gmbh & Co Kg Rauch- und wasserdampfdurchlässige Nahrungsmittelhülle aus einem thermoplastischen Gemisch
DE10225619A1 (de) * 2002-06-07 2003-12-18 Kalle Gmbh & Co Kg Einseitig verschlossene Kunstdarmabschnitte
DE10227580A1 (de) * 2002-06-20 2004-01-08 Kuhne Anlagenbau Gmbh Mehrschichtige flächen- oder schlauchförmige Nahrungsmittelhülle oder -folie
DE10302960A1 (de) 2003-01-24 2004-08-05 Kalle Gmbh & Co. Kg Rauchdurchlässige Nahrungsmittelhülle auf Basis von Polyamid und wasserlöslichen Polymeren
US20040173491A1 (en) * 2003-03-07 2004-09-09 Buelow Duane H. Packages made from thermoplastic multilayer barrier structures
DE10320327A1 (de) * 2003-05-06 2004-12-02 Kalle Gmbh & Co. Kg Rauch- und wasserdampfdurchlässige Nahrungsmittelhülle aus einem thermoplastischem Gemisch mit einem natürlichen Erscheinungsbild
DE20321475U1 (de) * 2003-05-23 2007-08-09 Kuhne Anlagenbau Gmbh Räucherbare Flächen- oder schlauchförmige Nahrungsmittelhülle oder -folie für Lebensmittelverpackungen
CN2649315Y (zh) * 2003-09-29 2004-10-20 轻工业塑料加工应用研究所 一种高阻隔性多层共挤吹塑膜
DE102004028839A1 (de) * 2004-06-16 2005-12-29 Wipak Walsrode Gmbh & Co. Kg Folienlaminat mit wenigstens einer Diffusionssperrschicht und deren Verwendung bei Vakuumisolationspaneelen
CN1733397A (zh) * 2004-07-09 2006-02-15 朱春蕾 双向拉伸共挤高阻隔基材膜及其制备方法
DE202004019582U1 (de) * 2004-12-18 2005-04-07 Casetech Gmbh & Co Kg Neue Rafflamelle und Raffmaschine enthaltend solche Rafflamellen
DE102004061004A1 (de) * 2004-12-18 2006-06-22 Casetech Gmbh & Co Kg Verwendung von Polytetrafluorethylenbauteilen in Maschinen zur Verarbeitung von Nahrungsmittelhüllen
RU2307511C2 (ru) * 2005-06-23 2007-10-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ЛАВА" Оболоч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N101065240B (zh) * 2005-09-27 2011-12-14 凸版印刷株式会社 气体阻挡性层叠薄膜
JP3118911U (ja) * 2005-11-29 2006-02-09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バッグ
CN100363422C (zh) * 2005-12-09 2008-01-23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透明的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DE102006029400A1 (de) * 2006-06-27 2008-01-03 Kalle Gmbh Schlauchförmige Nahrungsmittelhülle mit rauchdurchlässiger Klebenaht
DE202006020560U1 (de) * 2006-09-29 2008-12-24 Kuhne Anlagenbau Gmbh Mehrschichtige flächen- oder schlauchförmige Nahrungsmittelhülle oder -fol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9868B2 (ja) 2013-12-25
JP2012516786A (ja) 2012-07-26
UA101434C2 (ru) 2013-03-25
EP2398332B1 (de) 2013-06-19
EP2398332A1 (de) 2011-12-28
CA2748377C (en) 2013-12-17
BRPI0924295A2 (pt) 2015-07-21
CN102271522B (zh) 2014-05-28
BRPI0924295B1 (pt) 2021-01-12
ES2421235T3 (es) 2013-08-29
DK2398332T3 (da) 2013-08-26
US20160207275A1 (en) 2016-07-21
NZ593677A (en) 2012-08-31
ZA201105236B (en) 2012-04-25
WO2010094308A1 (de) 2010-08-26
DE102009009876B4 (de) 2012-05-16
US20110293862A1 (en) 2011-12-01
CN102271522A (zh) 2011-12-07
DE102009009876A1 (de) 2010-09-02
SI2398332T1 (sl) 2013-10-30
RS52839B (en) 2013-10-31
CA2748377A1 (en) 2010-08-26
MX2011007220A (es) 2011-09-01
PT2398332E (pt) 2013-06-28
RU2516294C2 (ru) 2014-05-20
RU2011126690A (ru) 2013-03-27
AU2009340246B2 (en) 2012-07-26
PL2398332T3 (pl) 2013-09-30
AU2009340246A1 (en)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7275A1 (en) Single-layer or multilayer tubular food packaging film that can be smoked and air-dried,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8563057B2 (en) Smokeable planar or tubular-shaped food covering or film for food packaging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06526546A (ja) 自然な外観を有する、熱可塑性混合物よりなる煙−および水蒸気透過性食品用ケーシング
EP2260713B1 (en) Smokeable polymeric casing
WO2006112753A2 (en) Multilayer tubular food casing with variable outer layer thickness the outer layer having relief fibrous-netlike structure
US20120070592A1 (en) Permeable Polymeric Film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10311741A1 (en) Single-layer or multilayer tubular food packaging film that can be smoked, air-dried, and peeled, especially peeled in a fully automatic mann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10074162B (zh) 具有优化的结合性质的烟雾和水蒸气可渗透的食品肠衣
WO2012071228A1 (en) Method of making a food casing and food casing made by this method
CZ2005291A3 (cs) Uditelný plochý nebo tubulární potravinový obal nebo fólie s nízkou propustností vodní páry pro balení potrav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