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632A -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632A
KR20110111632A KR1020100030803A KR20100030803A KR20110111632A KR 20110111632 A KR20110111632 A KR 20110111632A KR 1020100030803 A KR1020100030803 A KR 1020100030803A KR 20100030803 A KR20100030803 A KR 20100030803A KR 20110111632 A KR20110111632 A KR 2011011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de
signal
multimedia
publicatio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532B1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10003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5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62Relative movement
    • G06K7/10772Moved readers, e.g. pen, w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barcod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패턴코드 인식펜을 이용해 감식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또는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각각 표출시킬 뿐만 아니라,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상세고유 문양을 패턴코드 인식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패턴 코드 감식을 통해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를 쉽고 빠르게 호출 및 재생시킬 수 있고, 패턴코드 인식펜만으로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감식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와 무관하게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판 용지가 많은 출판물 대신 패턴 코드가 인쇄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출간하여 출판시 소모되는 인쇄비, 인쇄시간 및 인쇄 용지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코드 출판물을 구매하는 독자들이 출판 내용을 눈으로 일일히 탐독하지 않아도 음성, 영상,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패턴코드 인식펜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정보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코드 출판물을 구매하는 독자들의 정보 취득에 관한 편리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켜 독자들의 구매율을 높이고 이에 따른 매출 증대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고무시킨다.

Description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Pattern Code Cogni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센싱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패턴코드 인식펜을 이용해 감식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켜 음성, 영상 또는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IT 시장에는 센싱 기술이 적용된 감지 장치가 다양하게 출시되어 이를 구매하는 사용자들에게 학습 혹은 생활면에서 편리하게 사용되게끔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허나, 종래의 감지 장치는 특히 인쇄물을 감지하는 감지기에 있어서 출판물 자체를 모두 프린팅한 후에야 비로소 이를 지칭하는 음성이 표출되는 절차상에 번거러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쇄물 감지기는 프린팅된 인쇄물에 찍힌 코드와 별도 인쇄된 글자, 그림, 사진 간의 차이를 식별하지 못해 인쇄물에 찍힌 코드에 해당하는 음성을 표출하는 것이 아닌 동작오류로 인한 엉뚱한 음성이 표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인쇄물 감지기는 이를 구매하는 사용자들의 구매욕을 불충족시켜 줌으로 인해 센싱 기술을 주 업으로 하는 동종 업체들로부터 출시되는 관련 제품에 대한 이미지에 누를 끼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패턴코드 인식펜을 이용해 감식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켜 음성, 영상 또는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시킬 뿐만 아니라,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상세고유 문양을 패턴코드 인식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패턴 코드 감식을 통해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를 쉽고 빠르게 호출 및 재생시킬 수 있고, 패턴코드 인식펜만으로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감식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와 무관하게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출판 용지가 많은 출판물 대신 패턴 코드가 인쇄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출간하여 출판시 소모되는 인쇄비, 인쇄시간 및 인쇄 용지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패턴코드 출판물을 구매하는 독자들이 출판 내용을 눈으로 일일히 탐독하지 않아도 음성, 영상,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패턴코드 인식펜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정보 취득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패턴코드 출판물을 구매하는 독자들의 정보 취득에 관한 편리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켜 독자들의 구매율을 높이고 이에 따른 매출 증대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고무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은, 규격화된 패턴 코드를 기준비된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한 후 상기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글자, 그림 또는 사진이 덮여 인쇄함으로써 생성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외부 출간하는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 상기 패턴 코드를 감식(鑑識)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및 상기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시키는 패턴코드 인식펜; 및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대한 상세고유 문양을 화면상에 나타내는 패턴코드 인식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방법은,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가 규격화된 패턴 코드를 기준비된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한 후 상기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글자, 그림 또는 사진이 덮여 인쇄함으로써 생성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외부 출간하는 단계; 패턴코드 인식펜이 상기 패턴 코드를 감식(鑑識)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및 상기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시키는 단계; 및 패턴코드 인식기기가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대한 상세고유 문양을 화면상에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패턴코드 인식펜을 이용해 감식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켜 음성, 영상 또는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시킬 뿐만 아니라,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상세고유 문양을 패턴코드 인식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패턴 코드 감식을 통해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를 쉽고 빠르게 호출 및 재생시킬 수 있고, 패턴코드 인식펜만으로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감식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와 무관하게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출판 용지가 많은 출판물 대신 패턴 코드가 인쇄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출간하여 출판시 소모되는 인쇄비, 인쇄시간 및 인쇄 용지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코드 출판물을 구매하는 독자들이 출판 내용을 눈으로 일일히 탐독하지 않아도 음성, 영상,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패턴코드 인식펜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정보 취득할 수 있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코드 출판물을 구매하는 독자들의 정보 취득에 관한 편리성 및 유용성을 향상시켜 독자들의 구매율을 높이고 이에 따른 매출 증대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고무시키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의 패턴코드 인식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의 패턴코드 인식펜 실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의 패턴코드 인식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1000)은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100), 패턴코드 인식펜(200) 및 패턴코드 인식기기(300)를 포함한다.
먼저,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100)는 규격화된 패턴 코드를 기준비된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한 후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글자, 그림 또는 사진이 덮여 인쇄함으로써 생성된 패턴코드 출판물(110)을 외부 출간한다.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100)는 카본 성분이 포함된 제 1 블랙 잉크(Black Ink)에 열, 압력, 진동 또는 광을 인가하여 패턴 코드를 출판 용지에 인쇄한 후, 카본 성분이 불포함된 각각의 시안 잉크(Cyan Ink ; 파란색), 마젠타 잉크(Magenta Ink : 빨간색), 엘로우 잉크(Yellow Ink : 노란색) 및 제 2 블랙 잉크(Black Ink)에 동일한 자극을 주어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인쇄하고자 하는 글자, 그림 또는 사진을 덮여 인쇄한다.
다시 말해,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100)는 패턴 코드 인쇄시 카본 성분이 함유된 잉크를 사용하여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하고, 글자, 그림 또는 사진 인쇄시 카본 성분이 배제된 적어도 하나의 잉크를 사용하여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덮여 인쇄한다.
이에 따라, 카본 성분이 포함된 패턴 코드는 카본 성분이 불포함된 글자, 그림 또는 사진과 확연히 구분됨으로 인해 카본 성분이 포함된 패턴 코드만을 감식하는 패턴코드 인식펜(200)에 의해 원활히 감식된다.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패턴 코드를 감식(鑑識)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및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210), 메모리부(220), 복합 재생부(230), 재현 표시부(240) 및 음성 입력부(250)를 포함한다.
감지기(210)는 패턴 코드를 감식한다.
메모리부(220)는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1:1 매칭되는 어드레스 접근을 허가함에 따라, 접근 허가된 어드레스에 기저장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호출한다.
복합 재생부(230)는 호출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수신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킨다.
재현 표시부(240)는 오디오 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가 재생될 경우 음성이나 영상으로 각각 외부 표출시키고, 멀티미디어 신호가 재생될 경우 멀티미디어를 외부 표출시킨다.
재현 표시부(24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가 복합 재생부(230)에 의해 재생될 경우, 외부 표출되는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볼륨 조절을 8 단계 혹은 12 단계로 구분시켜 듀팅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을 기구비된 음성 입력부(250)를 통해 녹음 또는 재녹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음 또는 재녹음된 녹취음을 증폭 변환하고, 이로부터 생성된 녹취 신호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
또한,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복합 재생부(230)로부터 외부 돌출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이용해 메모리부(220)에 임시 저장된 녹취 신호를 비롯하여 상기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재생, 반복 재생, 삭제 및 음소거한다.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구비된 다수의 선택버튼에 의해 음성, 영상 혹은 이들의 복합매체인 멀티미디어를 외부로 표출시킨다.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패턴코드 출판물(110)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감식하는 감지기(210), 영상을 보여주는 표시 수단(215)(ex : LCD, LED, PDP, OLED, FED, 3D),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18),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 수단(216) 및 전원 온/오프를 알려주는 전등부(214)를 외관상에 포함한다.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외관상에 다수의 선택버튼을 구비한다. 다수의 선택 버튼으로는 패턴 코드 감식시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를 재생-반복재생하거나 녹음 또는 재녹음된 음성을 재생-반복재생하는 엔터키(212),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를 기설정된 배속 중 선택된 하나로 재생시키는 배속 조절키(213), 엔터키(212)의 동작을 중지 또는 종료시키는 멈춤키(211) 및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볼륨을 8 단계 혹은 12 단계로 조절하고 음소거하는 볼륨키(217)로 형성된다.
이어서, 패턴코드 인식기기(300)는 패턴코드 인식펜(200)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감식된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표시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대한 상세고유 문양을 화면상에 나타낸다.
패턴코드 인식펜(200)이 패턴코드 출판물(110)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감식할 경우, 패턴코드 인식펜(200)은 감식된 패턴 코드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패턴코드 인식기기(300)에 전송하며, 패턴코드 인식기기(30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달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기형성된 USB 포트에 부착된 외장형 메모리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패턴코드 인식기기(300)는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외장형 메모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외장형 메모리로부터 추출해 낸다.
이에 따라, 패턴코드 인식기기(300)는 추출된 고유식별 번호를 기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표시할 뿐만 아니라 패턴 코드의 상세고유 문양을 줌 인(Zoom in) 혹은 줌 아웃(Zoom out)으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게끔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패턴코드 인식기기(300)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어부(310), 추출부(320) 및 패턴코드 인식컨텐츠(330)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감식된 패턴 코드를 기형성된 USB 포트에 부착된 외장형 메모리에 접근케 하여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외장형 메모리에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조회한다.
추출부(320)는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외장형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경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추출한다.
패턴코드 인식컨텐츠(330)는 고유식별 번호를 기지정된 번호표시 영역에 표출시키고, 상세고유 문양 그대로 촬영한 영상을 기지정된 영상표시 영역에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코드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턴코드 인식 방법은 패턴코드 출판물에 인쇄된 패턴 코드를 패턴코드 인식펜을 이용해 감식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및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각각 표출시킬 뿐만 아니라,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상세고유 문양을 패턴코드 인식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이다.
먼저,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는 규격화된 패턴 코드를 기준비된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한 후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글자, 그림 또는 사진이 덮여 인쇄함으로써 생성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외부 출간한다(S10, S20, S30).
이때,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는 패턴 코드 인쇄시 카본 성분이 함유된 잉크를 사용하여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하며, 글자, 그림 또는 사진 인쇄시 카본 성분이 배제된 적어도 하나의 잉크를 사용하여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덮여 인쇄한다.
패턴코드 인식펜은 패턴 코드를 감식(鑑識)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및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시킨다(S40, S50, S60).
즉, 패턴코드 인식펜은 기구비된 감지기, 메모리부, 복합 재생부 및 재현 표시부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을 실시한다.
패턴코드 인식펜의 감지기는 패턴 코드를 감식한다.
메모리부는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1:1 매칭되는 어드레스 접근을 허가함에 따라, 접근 허가된 어드레스에 기저장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호출한다.
복합 재생부는 호출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수신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킨다.
재현 표시부는 오디오 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 재생시, 음성이나 영상으로 각각 외부 표출시키며, 멀티미디어 신호 재생시엔 멀티미디어를 외부 표출시킨다.
재현 표시부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가 복합 재생부에 의해 재생될 경우, 외부 표출되는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볼륨 조절을 8 단계 혹은 12 단계로 구분시켜 듀팅한다.
또한, 패턴코드 인식펜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을 기구비된 음성 입력부를 통해 녹음 또는 재녹음할 뿐만 아니라 녹음 또는 재녹음된 녹취음을 증폭 변환한 녹취 신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복합 재생부로부터 외부 돌출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이용해 메모리부에 임시 저장된 음성 신호를 비롯하여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재생, 반복 재생, 삭제 및 음소거를 실시한다.
패턴코드 인식기기는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감식된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표시하고, 감식된 패턴 코드에 대한 상세고유 문양을 화면상에 나타낸다(S70, S80, S90).
즉, 패턴코드 인식기기는 기구비된 제어부, 추출부 및 패턴코드 인식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을 실시한다.
패턴코드 인식기기의 제어부는 감식된 패턴 코드를 기형성된 USB 포트에 부착된 외장형 메모리에 접근케 하여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외장형 메모리에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조회한다.
추출부는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외장형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경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추출한다.
패턴코드 인식컨텐츠는 고유식별 번호를 기지정된 번호표시 영역에 표출시키고, 상세고유 문양 그대로 촬영한 영상을 기지정된 영상표시 영역에 나타낸다.
1000 :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100 :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
110 : 패턴코드 출판물
200 : 패턴코드 인식펜
300 : 패턴코드 인식기기

Claims (12)

  1. 규격화된 패턴 코드를 기준비된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한 후 상기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글자, 그림 또는 사진이 덮여 인쇄함으로써 생성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외부 출간하는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
    상기 패턴 코드를 감식(鑑識)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및 상기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시키는 패턴코드 인식펜; 및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대한 상세고유 문양을 화면상에 나타내는 패턴코드 인식기기를 포함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는,
    상기 패턴 코드 인쇄시 카본 성분이 함유된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하고, 상기 글자, 그림 또는 사진 인쇄시 상기 카본 성분이 배제된 적어도 하나의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덮여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은,
    상기 패턴 코드를 감식하는 감지기;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1:1 매칭되는 어드레스 접근을 허가함에 따라, 상기 접근 허가된 어드레스에 기저장된 상기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호출하는 메모리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키는 복합 재생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가 재생될 경우 상기 음성이나 영상으로 각각 외부 표출시키고,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가 재생될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를 외부 표출시키는 재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을 기구비된 음성 입력부를 통해 녹음 또는 재녹음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녹음 또는 재녹음된 녹취음을 증폭 변환한 녹취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복합 재생부로부터 외부 돌출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이용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녹취 신호를 비롯하여 상기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재생, 반복 재생, 및 음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표시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가 상기 복합 재생부에 의해 재생될 경우, 상기 외부 표출되는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볼륨 조절을 8 단계 혹은 12단계로 구분시켜 듀팅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인식기기는,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를 기형성된 USB 포트에 부착된 외장형 메모리에 접근케 하여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조회하는 제어부;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경우,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고유식별 번호를 기지정된 번호표시 영역에 표출시키고, 상기 상세고유 문양 그대로 촬영한 영상을 기지정된 영상표시 영역에 나타내는 패턴코드 인식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7.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가 규격화된 패턴 코드를 기준비된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한 후 상기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글자, 그림 또는 사진이 덮여 인쇄함으로써 생성된 패턴코드 출판물을 외부 출간하는 단계;
    패턴코드 인식펜이 상기 패턴 코드를 감식(鑑識)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의해 호출되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이들의 복합 신호인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킴에 따라 음성, 영상 및 상기 음성과 영상이 동시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로 선택 표출시키는 단계; 및
    패턴코드 인식기기가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과 기연결된 유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표시하고,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대한 상세고유 문양을 화면상에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턴코드 인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출판물 인쇄기가,
    상기 패턴 코드 인쇄시 카본 성분이 함유된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출판 용지에 우선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글자, 그림 또는 사진 인쇄시 상기 카본 성분이 배제된 적어도 하나의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패턴 코드가 인쇄된 출판 용지 위에 덮여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에 기구비된,
    감지기가 상기 패턴 코드를 감식하는 단계;
    메모리부가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와 1:1 매칭되는 어드레스 접근을 허가함에 따라, 상기 접근 허가된 어드레스에 기저장된 상기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호출하는 단계;
    복합 재생부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키는 단계;
    재현 표시부가 상기 오디오 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 재생시, 상기 음성이나 영상으로 각각 외부 표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현 표시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재생시, 상기 멀티미디어를 외부 표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인식펜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을 기구비된 음성 입력부를 통해 녹음 또는 재녹음할 뿐만 아니라 상기 녹음 또는 재녹음된 녹취음을 증폭 변환한 녹취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재생부로부터 외부 돌출된 다수의 선택 버튼을 이용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녹취 신호를 비롯하여 상기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재생, 반복 재생, 삭제 및 음소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신호가 상기 복합 재생부에 의해 재생될 경우,
    상기 재현 표시부가 상기 외부 표출되는 음성,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볼륨 조절을 8 단계 혹은 12 단계로 구분시켜 듀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코드 인식기기에 기구비된,
    제어부가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를 기형성된 USB 포트에 부착된 외장형 메모리에 접근케 하여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존재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조회하는 단계;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와 동일한 패턴 코드가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경우, 추출부가 상기 감식된 패턴 코드에 기부여된 고유식별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패턴코드 인식컨텐츠가 상기 고유식별 번호를 기지정된 번호표시 영역에 표출시키고, 상기 상세고유 문양 그대로 촬영한 영상을 기지정된 영상표시 영역에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코드 인식 방법.
KR1020100030803A 2010-04-05 2010-04-05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803A KR101149532B1 (ko) 2010-04-05 2010-04-05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803A KR101149532B1 (ko) 2010-04-05 2010-04-05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632A true KR20110111632A (ko) 2011-10-12
KR101149532B1 KR101149532B1 (ko) 2012-05-25

Family

ID=4502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803A KR101149532B1 (ko) 2010-04-05 2010-04-05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97B1 (ko) * 2013-01-18 2014-08-13 (주)씨앤엔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시 재생 기능을 갖는 학습용 펜
CN106097797A (zh) * 2016-08-15 2016-11-09 张乐 一种智能图像识别点读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1004B2 (en) 1991-12-10 2005-11-01 Rajendra Kumar Portable messaging and scheduling device with homebase station
KR20020090736A (ko) * 2001-05-29 2002-12-05 고려시스템 주식회사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텍스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바코드/음성 재생시스템과 그의 재생방법
KR20050049024A (ko) * 2003-11-20 2005-05-25 (주) 우리아이티 시각 장애인을 위한 2차원 바코드와 2차원 바코드리더기를 통한 도서의 음성 변환 출력 시스템
KR100921441B1 (ko) * 2007-11-01 2009-10-13 주식회사 지팡이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지능형광학펜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97B1 (ko) * 2013-01-18 2014-08-13 (주)씨앤엔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시 재생 기능을 갖는 학습용 펜
CN106097797A (zh) * 2016-08-15 2016-11-09 张乐 一种智能图像识别点读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532B1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443A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N101534407A (zh) 信息记录装置
KR20140089771A (ko) 오디오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55572A (ko) 패턴코드 인식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49532B1 (ko) 패턴코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59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ound information and playing sound information back using an all-in-one printer
JP2005114996A (ja) 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書き込み取得方法
US8432402B2 (en) Apparatus for retouching and displaying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068419A (ja) カラオケ装置
JP405054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962517B2 (ja) 再生情報表示装置
KR101757596B1 (ko) 인쇄 매체에 삽입된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561130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信号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552662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070317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等
JP2006079688A (ja) 遠隔操作装置
KR20070014885A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기록/재생기 및 그영상기록/재생기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80094317A (ko) 부가정보 처리하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410782A (zh) 一种终端
JP514798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信号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1333373A (ja) 電子装置
JPH079645Y2 (ja) 音声磁気記録/再生手段を有するプリンタ
JP3268773B2 (ja) ハイビジヨン静止画ソフト製作方法
EP1624336A1 (en) Photo-manager for recording/reproducing audio signals associated with photographic prints
JP2007052889A (ja)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hdd内蔵のdvdレコーダ、及び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dvd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