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238A - 차량용 실내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238A
KR20110111238A KR1020110025268A KR20110025268A KR20110111238A KR 20110111238 A KR20110111238 A KR 20110111238A KR 1020110025268 A KR1020110025268 A KR 1020110025268A KR 20110025268 A KR20110025268 A KR 20110025268A KR 20110111238 A KR20110111238 A KR 2011011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amp lens
lens
shaft
la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렌즈를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램프 하우징(2)과, 램프 렌즈(3)를 구비한다. 램프 렌즈(3)에는 램프 렌즈(3)의 회전축(O-O)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편(12)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12)에는 축부(15)가 설치되어 있다. 램프 하우징(2)에는 축 구멍(23)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15)가 축 구멍(23)에 램프 렌즈(3)의 회전축(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실내등기구{INDOOR LIGHT FOR VEHICLE}
본 발명은 램프 렌즈를 회전 조작하여 푸시 스위치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광원이 점등/소등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차량용 룸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종래부터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하, 종래의 차량용 실내등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주위에 배열 설치한 림과,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 경동(傾動) 가능하게 배열 설치한 렌즈와, 렌즈 및 하우징에 의해 구성한 실내에 배열 설치한 밸브 및 밸브 점·소등용의 푸쉬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고, 렌즈의 핀부가 하우징과 림에 의해 형성한 오목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는 것이다. 렌즈를 누르면, 렌즈가 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회전한 렌즈가 푸쉬 버튼 스위치를 온/오프(개폐)하여 밸브가 점등/소등된다.
이 종류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렌즈의 회전조작으로 푸쉬 버튼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여 밸브를 점등/소등시키는 것이므로, 렌즈의 회전조작이 정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종류의 차량용 실내등기구에서는, 렌즈를 하우징에 덜거덕거리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8-181634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 종류의 차량용 실내등기구에서는, 렌즈를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램프 렌즈에는 램프 렌즈의 회전축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편이 설치되어 있고, 탄성편에는 축부가 설치되어 있고, 램프 하우징에는 축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축부가 축 구멍에 램프 렌즈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탄성편에는 제 1 절결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램프 하우징이 일방이 개구되고 또한 타방이 폐색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루고, 축 구멍이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설치되어 있고, 램프 렌즈가 일방이 폐색되고 또한 타방이 개구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루고, 램프 렌즈의 폐색부가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등실(燈室)이 구획되어 있고, 탄성편이 램프 렌즈의 개구부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축부가 탄성편에 램프 렌즈의 회전축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축부에는 축부를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축 구멍에 위치시킬 때에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맞닿음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램프 하우징 중 개구부로부터 축 구멍까지의 개소에는 축부를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축 구멍에 위치시킬 때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볼록부가 램프 렌즈의 회전축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축부의 중앙부에는 제 2 절결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축부가 단면 원형 형상을 이루고, 축 구멍이 단면 반원형 형상의 제 1 부분과 단면 반원형 형상의 제 2 부분을 합하여 단면 원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탄성편의 램프 렌즈의 회전축방향의 탄성에 의해,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의 내경치수와 램프 렌즈의 축부의 외형 크기와의 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해도, 램프 렌즈의 축부를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를 램프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램프 하우징에 축 구멍을 설치하고, 램프 렌즈에 탄성편을 설치하고, 탄성편에 축부를 설치한 것이므로, 부품이 램프 하우징과 램프 렌즈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수를 경감할 수 있고,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탄성편에 설치한 제 1 절결 구멍에 의해, 탄성편의 강성이 저하되어, 그만큼, 탄성이 높아지므로, 램프 렌즈를 램프 하우징에 더욱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램프 렌즈의 축부를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축 구멍에 위치시킬 때, 축부의 맞닿음면이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으므로, 특히, 단단한 재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램프 렌즈에 대하여 연한 재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램프 하우징에, 혹은, 램프 하우징 및 램프 렌즈 모두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상처에 의한 미관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상처에 의한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과 램프 렌즈의 축부 사이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램프 렌즈를 램프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가이드 볼록부에 의해,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의 내경 치수와 램프 렌즈의 축부의 외형크기와의 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해도, 램프 렌즈의 축부를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축 구멍에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또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의 축부를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고, 램프 렌즈를 램프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램프 하우징의 가이드 볼록부가 램프 렌즈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램프 하우징의 가이드 볼록부가 램프 렌즈에 램프 렌즈의 회전축방향에 맞닿아, 램프 렌즈를 램프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축부의 중앙부에 설치한 제 2 절결 구멍에 의해, 램프 렌즈의 탄성편의 두께와 축부의 두께를 거의 균등하게 할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의 사출성형시에 있어서, 램프 렌즈의 탄성편과 축부에 수지를 거의 균등하게 흘릴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축부의 표면에 변형이나 수축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를 램프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을 슬라이드 금형이 아니고 커팅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깊이가 긴 축 구멍을 성형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실내등기구는, 축 구멍의 깊이를 길게 한 만큼, 램프 렌즈를 램프 하우징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램프 하우징과 램프 렌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실내등기구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동 실내등기구의 도 2에서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동 실내등기구의 도 2에서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동 실내등기구의 푸시 스위치를 누름 조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도.
도 6은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렌즈의 탄성편 및 축부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
도 7은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 및 가이드 볼록부를 도시하는 일부 측면도.
도 8은 동 실내등기구의 도 6에서의 VIII-VIII선 단면도와 도 7에서의 VIII-VIII선 단면도를 합성한 단면도.
도 9는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렌즈의 축부의 맞닿음면이 램프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0은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렌즈의 축부가 램프 하우징의 가이드 볼록부에 가이드 되고 또한 램프 렌즈의 탄성편이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1은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렌즈의 축부가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2는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의 부분을 성형하는 커팅 금형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의 부분을 성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커팅 금형의 일부 단면도.
도 14는 동 실내등기구의 램프 하우징의 축 구멍의 부분을 성형한 후의 형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커팅 금형의 일부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기구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구성의 설명)
이하,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에 있어서, 부호 1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램프 하우징(2)과, 램프 렌즈(3)와, 광원(4)과, 푸시 스위치(5)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 하우징(2)에는 상기 램프 렌즈(3)가 회전축(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과 상기 램프 렌즈(3)에 의해, 등실(6)이 구획되어 있다. 상기 등실(6) 내에는 상기 광원(4) 및 상기 푸시 스위치(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3)는, 이 예에서는, 광 투과성의 부재이며,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부재,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3)은,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이 폐색되고 또한 타방이 개구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램프 렌즈(3)는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측벽부(7)와, 폐색부의 천벽부(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측벽부(7) 중, 상기 회전축(O-O)과 직교하는 방향측의 측벽부(7)에는, 걸어맞춤 돌기(9)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천벽부(8) 중, 상기 회전축(O-O)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이며, 상기 걸어맞춤 돌기(9)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의 내면에는, 누름 돌기(1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천벽부(8)의 외면 중 상기 누름 돌기(10)와 대응하는 개소에는, 타원 형상의 얕은 오목부의 누름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측벽부(7) 중, 상기 회전축(O-O) 방향측의 측벽부(7)이며, 상기 걸어맞춤 돌기(9) 및 상기 누름 돌기(10) 및 상기 누름부(11)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7)에는, 상기 회전축(O-O)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2매의 탄성편(1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12)은, 도 6, 도 8∼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측벽부(7)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홈(1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12)은 작은 장방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탄성편(12)의 중앙부에는, 작은 장방형의 제 1 절결 구멍(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12)의 하변의 중앙이며 상기 탄성편(12)의 외면에는, 축부(15)가 상기 회전축(O-O)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부(15)는, 단면 원형 형상 즉 상기 회전축(O-O) 방향에서 보면 원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축부(15)의 중앙부에는, 작은 반원형의 제 2 절결 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부(15)의 상기 제 2 절결 구멍(16)으로부터 상측의 부분은, 상기 탄성편(12)과 일체로 줄지어 있다. 상기 축부(15)의 외측 단면으로부터 상기 축부(15)의 상기 제 2 절결 구멍(16)보다 하측의 부분에는, 경사면의 맞닿음면(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부(15)의 외면과 상기 맞닿음면(17)의 경계는, 도 6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측벽부(7) 및 상기 천벽부(8)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측벽부(7)의 하면(상기 천벽부(8)와 반대측의 면)과 상기 제 1 절결 구멍(14)의 상면(상기 천벽부(8)측의 면)에는, 도 6 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렛(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은, 이 예에서는, 광 불투과성의 부재이며, 비교적 연한 재질의 부재,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은, 도 1∼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이 개구되고 또한 타방이 폐색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램프 하우징(2)은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플랜지부(19)와,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측벽부(20)와, 저벽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저벽(20)의 상기 회전축(O-O)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광원(4)과 상기 푸시 스위치(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측벽부(20) 중, 상기 회전축(O-O)과 직교하는 방향측의 측벽부(20)이며, 상기 푸시 스위치(5)가 위치하는 측의 측벽부(20)에는, 걸어맞춤 구멍(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측벽부(20) 중, 상기 회전축(O-O) 방향측의 측벽부(20)이며, 상기 광원(4)이 위치하는 측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20)에는, 축 구멍(23)과 가이드 볼록부(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 구멍(23)은, 도 6∼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원형 형상 즉 상기 회전축(O-O) 방향에서 보면 원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축 구멍(23)은, 단면 반원형 형상 즉 상측 반원형의 제 1 부분(25)과, 단면 반원형 형상 즉 하측 반원형의 제 2 부분(26)을 합쳐 단면 원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 축 구멍(23)은 상기 축부(15)가 상기 회전축(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볼록부(24)는, 상기 램프 하우징(2) 중 개구부로부터 상기 축 구멍(23)까지의 개소, 즉, 상기 플랜지부(19)로부터 상기 축 구멍(23)의 상기 제 1 부분(25)까지의 개소에, 상기 회전축(O-O)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볼록부(24)는, 상기 축 구멍(23)의 양측에 2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상기 가이드 볼록부(24) 사이의 폭은, 상기 플랜지부(19)에 있어서 최대폭이며, 상기 플랜지부(19)로부터 상기 축 구멍(23)에 걸쳐서 서서히 좁혀지고, 상기 축 구멍(23)의 상기 제 1 부분(25)과 상기 제 2 부분(26)과의 경계(원형상의 상기 축 구멍(11)의 직경에 상당함)에서 최소폭으로 된다. 상기 가이드 볼록부(24)는 상기 축부(15)를 상기 램프 하우징(2)의 개구부 즉 상기 플랜지부(19)로부터 상기 축 구멍(23)에 위치시킬 때의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램프 하우징(2)은, 도 12∼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팅 금형(27, 28)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팅 금형(27, 28)을 닫음으로써 캐버티(2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팅 금형(27, 28)의 상기 캐버티(29) 속에 수지(30)가 흘러들어간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팅 금형(27, 28)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램프 하우징(2), 즉, 상기 플랜지부(19), 상기 측벽부(20), 상기 저벽부(21), 상기 걸어맞춤 구멍(22), 상기 축 구멍(23)의 상기 제 1 부분(25) 및 상기 제 2 부분(26), 상기 가이드 볼록부(24)가 성형된다.
상기 광원(4)은, 이 예에서는 웨지 밸브 등의 백열 밸브(LED 등의 반도체형 광원, 할로겐 벌브 등의 광원이어도 됨)이다. 상기 광원(4)은, 소켓(3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소켓(31)은,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저벽부(2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소켓(31)은, 하니스(도시 생략)나 커넥터(도시 생략)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광원(4)은 상기 소켓(31)을 통하여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푸시 스위치(5)는 조작부(32)와 본체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32)는, 상기 본체부(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33) 내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항상 도 1, 도 4에 나타내는 상태, 즉,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3)는, 상기 조작부(32)가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누름 돌기(10)와 대향하도록,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저벽부(2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3) 내에는, 상기 조작부(32)의 누름 조작에 의해 온/오프(개폐)하는 스위치 기구(도시 생략)가 상기 스프링과 함께 내장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기구는 하니스(도시 생략)나 커넥터(도시 생략)를 통하여, 상기 광원(4)의 상기 소켓(32) 및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램프 렌즈의 램프 하우징으로의 부착하는 방법의 설명)
이하, 상기 램프 하우징(2)에 상기 램프 렌즈(3)를 부착하는 부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걸어맞춤 돌기(9)를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걸어맞춤 구멍(22)에 걸어맞추어지게 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를 실선 화살표(34)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램프 하우징(2)의 2개의 상기 가이드 볼록부(24)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의 상기 맞닿음면(17)이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플랜지부(19)와 상기 측벽부(20)와의 코너부에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이 때,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의 외면과 상기 맞닿음면(17)과의 경계는, 도 6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측벽부(7) 및 상기 천벽부(8)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플랜지부(19)와 상기 측벽부(20)와의 코너부에 선접촉의 상태 즉 안정한 상태로 위치해 있어, 상기 램프 렌즈(3)가 상기 램프 하우징(2)에 임시 고정되어 상태에 있다.
상기의 임시 고정의 상태에서는,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걸어맞춤 돌기(9)를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걸어맞춤 구멍(22)에 걸어맞추어지게 하여, 상기 램프 렌즈(3)의 2개의 상기 축부(15)를 상기 램프 하우징(2)에 임시 고정시키는 경우와,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걸어맞춤 돌기(9)를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걸어맞춤 구멍(22)에 걸어맞추어지게 하고, 또한, 상기 램프 렌즈(3)의 1개의 상기 축부(15)를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축 구멍(23)에 삽입시키고, 상기 램프 렌즈(3)의 나머지 1개의 상기 축부(15)를 상기 램프 하우징(2)에 임시 고정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임시 고정의 상태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를 실선 화살표(34) 방향으로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축 구멍(23)측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탄성편(12)이 실선 화살표(35)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또한,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의 외면이 상기 램프 하우징(2)의 2개의 상기 가이드 볼록부(24) 사이의 상기 측벽부(20)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가 실선 화살표(34) 방향으로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축 구멍(23)측으로 상기 램프 하우징(2)의 2개의 상기 가이드 볼록부(24)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이동한다.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가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축 구멍(23)에 위치한 시점에서, 탄성 변형하고 있는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탄성편(12)이 실선 화살표(36) 방향으로 탄성 복귀한다. 그러면, 상기 램프 렌즈(3)의 상기 축부(15)가 상기 램프 하우징(2)의 상기 축 구멍(23) 속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결과, 상기 램프 렌즈(3)는, 상기 램프 하우징(2)에, 회전축(O-O)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하우징(2)에 상기 램프 렌즈(3)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도 2∼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의 천정 혹은 벽(도 2∼도 5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냄)(37)에 부착된다.
(작용의 설명)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 중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램프 렌즈(3)의 누름부(11)를 누른다. 그러면, 램프 렌즈(3)가 램프 하우징(2)에 대하여 회전축(O-O) 주위로 회전한다. 이 램프 렌즈(3)가 회전함으로써, 램프 렌즈(3)의 누름 돌기(10)가 푸시 스위치(5)의 조작부(32)를 푸시 스위치(5)의 스프링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누른다. 이 조작부(32)의 일단의 누름 조작에 의해 광원(4)이 점등한다. 광원(4)으로부터의 광은 램프 렌즈(3)를 투과하여 차량의 실내(도시 생략)를 조명한다.
램프 렌즈(3)의 누름부(11)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푸시 스위치(5)의 조작부(32)이 스프링 스프링력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원래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 때, 램프 렌즈(3)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램프 렌즈(3)의 누름부(11)를 다시 누르면, 램프 렌즈(3)가 램프 하우징(2)에 대하여 회전축(O-O) 주위로 회전하고, 램프 렌즈(3)의 누름 돌기(10)가 푸시 스위치(5)의 조작부(32)를 다시 누른다. 이 조작부(32)의 2차의 누름 조작에 의해 광원(4)이 소등된다. 누름부(11)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푸시 스위치(5)의 조작부(32) 및 램프 렌즈(3)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효과의 설명)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이상과 같은 구성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탄성편(12)의 램프 렌즈(3)의 회전축(O-O) 방향의 탄성에 의해,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제 1 부분(25) 및 제 2 부분(26))의 내경 치수와 램프 렌즈(3)의 축부(15)의 외형크기와의 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해도, 램프 렌즈(3)의 축부(15)를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흔들리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특히,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의 내경 치수와 램프 렌즈(3)의 축부(15)의 외형 크기와의 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3)의 회전축(O-O)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흔들림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램프 하우징(2)에 축 구멍(23)을 설치하고, 램프 렌즈(3)에 탄성편(12)을 설치하고, 탄성편(12)에 축부(15)를 설치한 것이므로, 부품이 광원(4) 및 푸시 스위치(5)를 포함하여 램프 하우징(2)과 램프 렌즈(3)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품수를 경감할 수 있고, 그만큼,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제 1 절결 구멍(14)에 의해, 탄성편(12)의 강성이 저하되고, 그만큼, 탄성이 높아지므로,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더욱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램프 렌즈(3)의 축부(15)를 램프 하우징(2)의 개구부로부터 축 구멍(23)에 위치시킬 때에, 축부(15)의 맞닿음면(17)이 램프 하우징(2)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즉 플랜지부(19)와 측벽부(20)와의 코너부에 탄성적으로 맞닿으므로, 특히, 단단한 재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램프 렌즈(3)에 대하여 연한 재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램프 하우징(2)에, 또는, 램프 하우징(2) 및 램프 렌즈(3) 모두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상처에 의한 미관의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상처에 의한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과 램프 렌즈(3)의 축부(15) 사이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2개의 가이드 볼록부(24)에 의해,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의 내경치수와 램프 렌즈의 축부의 외형크기와의 차를 가능한 한 작게 해도, 램프 렌즈(3)의 축부(15)를 램프 하우징(2)의 개구부로부터 축 구멍(23)에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또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3)의 축부(15)를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고,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가이드 볼록부(24) 사이의 폭이 플랜지부(19)에 있어서 최대폭이고, 플랜지부(19)로부터 축 구멍(23)에 걸쳐서 서서히 좁아져, 축 구멍(23)의 제 1 부분(25)과 제 2 부분(26)과의 경계에서 최소폭이 되므로, 축부(15)를 램프 하우징(2)의 개구부 즉 플랜지부(19)로부터 축 구멍(23)에 확실하게 가이드 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램프 하우징(2)의 가이드 볼록부(24)가 램프 렌즈(3)의 회전축(O-O)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램프 하우징(2)의 가이드 볼록부(24)가 램프 렌즈(3)에 램프 렌즈(3)의 회전축(O-O) 방향에 맞닿아,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축부(15)의 중앙부에 설치한 제 2 절결 구멍(16)에 의해, 램프 렌즈(3)의 탄성편(12)의 두께와 축부(15)의 두께를 거의 균등하게 할 수 있으므로, 램프 렌즈(3)의 사출성형시에 있어서, 램프 렌즈(3)의 탄성편(12)과 축부(15)에 수지를 거의 균등하게 흘릴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축부(15)의 표면에 변형이나 수축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으므로, 축부(15)를 단면 진원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을 슬라이드 금형이 아니고 커팅 금형(27, 28)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깊이의 긴 축 구멍(23)을 성형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축 구멍(23)의 깊이를 길게 한 만큼, 램프 렌즈(3)를 램프 하우징(2)에 흔들림 없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램프 렌즈(3)의 측벽부(7)의 하면과 제 1 절결 구멍(14)의 상면에 롤렛(18)을 설치한 것이므로, 이 롤렛(18)에 의해, 램프 렌즈(3)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미관의 통일감이 얻어진다. 즉, 탄성편(12)에 제 1 절결 구멍(14)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탄성편(12)에는 롤렛(18)을 설치할 수 없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실내등기구(1)는, 탄성편(12)에 제 1 절결 구멍(14)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탄성편(12)의 제 1 절결 구멍(14)에 롤렛(18)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편(12)의 양측의 홈(13)에는 롤렛(18)을 설치할 수 없지만, 이 홈(13)의 폭은 작으므로, 미관의 통일감을 손상시키지는 않는다.
이하, 상기의 실시예 이외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과 램프 렌즈(3)의 탄성편(12) 및 축부(15)를 2개 설치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램프 하우징(2)의 축 구멍(23)과 램프 렌즈(3)의 탄성편(12) 및 축부(15)를 1개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1 차량용 룸 램프 2 램프 하우징
3 램프 렌즈 4 광원
5 푸시 스위치 6 등실
7 측벽부 8 천벽부
9 걸어맞춤 돌기 10 누름 돌기
11 누름부 12 탄성편
13 홈 14 제 1 절결 구멍
15 축부 16 제 2 절결 구멍
17 맞닿음면 18 롤렛
19 플랜지부 20 측벽부
21 저벽부 22 걸어맞춤 구멍
23 축 구멍 24 가이드 볼록부
25 제 1 부분 26 제 2 부분
27 커팅 금형 28 커팅 금형
29 캐버티 30 수지
31 소켓 32 조작부
33 본체부 34 밀어넣기 방향
35 탄성 변형 방향 36 탄성 복귀 방향
37 천정 혹은 벽 O-O 회전축

Claims (6)

  1. 램프 렌즈를 회전조작하여 푸시 스위치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광원이 점등/소등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에 있어서,
    등실을 구획하는 램프 하우징 및 상기 램프 렌즈와, 상기 등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광원 및 상기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 렌즈에는 상기 램프 렌즈의 회전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에는, 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램프 하우징에는 상기 축부가 상기 램프 렌즈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축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에는 제 1 절결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은 일방이 개구되고 또한 타방이 폐색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루고,
    상기 축 구멍은 상기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램프 렌즈는 일방이 폐색되고 또한 타방이 개구된 단면 오목 형상을 이루고,
    상기 램프 렌즈의 폐색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를 폐색하여 상기 등실이 구획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램프 렌즈의 개구부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부는 상기 탄성편에 상기 램프 렌즈의 회전축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부에는 상기 축부를 상기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축부에 위치시킬 때, 상기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맞닿음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 중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축 구멍까지의 개소에는, 상기 축부를 상기 램프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축부에 위치시킬 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볼록부가 상기 램프 렌즈의 회전축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중앙부에는 제 2 절결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단면 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축 구멍은 단면 반원형 형상의 제 1 부분과 단면 반원형 형상의 제 2 부분을 합하여 단면 원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등기구.
KR1020110025268A 2010-04-02 2011-03-22 차량용 실내등기구 KR20110111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6212 2010-04-02
JP2010086212A JP5494145B2 (ja) 2010-04-02 2010-04-02 車両用室内灯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238A true KR20110111238A (ko) 2011-10-10

Family

ID=4411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268A KR20110111238A (ko) 2010-04-02 2011-03-22 차량용 실내등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80811B2 (ko)
EP (1) EP2371625A1 (ko)
JP (1) JP5494145B2 (ko)
KR (1) KR20110111238A (ko)
CN (1) CN102213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1894A1 (en) * 2013-03-15 2014-09-25 Hubbell Incorporated Led architectural luminair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characteristics
CN103322492A (zh) * 2013-06-13 2013-09-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led远光灯
BR112015032767A2 (pt) * 2013-07-02 2017-07-25 Honda Motor Co Ltd corpo de luz de veículo
JP2016113032A (ja) *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テーアンテー 車両用室内照明装置
JP6439585B2 (ja) * 2015-05-26 2018-12-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照明装置
JP6908467B2 (ja) * 2017-08-21 2021-07-28 株式会社ミツバ 照明装置
US10449896B1 (en) * 2019-01-02 2019-10-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 assembly having deformable lens
US11801788B2 (en) * 2021-08-30 2023-10-31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lamp assembly having an on/off switch operating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3337A (en) * 1958-04-23 1962-09-11 Rau Swf Autozubehoer Instrument housing for motor vehicles and switch construction therefor
US3811043A (en) * 1972-12-04 1974-05-14 Gen Motors Corp Map and flood light assembly
US4123634A (en) * 1977-04-20 1978-10-31 Cutler-Hammer, Inc. Snap-action switch with contact wiping action
JPS58181634U (ja) * 1982-05-31 1983-12-0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輌用室内灯
US4811180A (en) * 1988-01-05 1989-03-07 Wen Tsung Tsai Car light structure with dual purpose of auxiliary illuminating light and foglight
JPH0664926B2 (ja) * 1988-06-30 1994-08-2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5412165A (en) * 1993-11-19 1995-05-02 Eaton Corporation Multiple switch assembly with detented rocker actuator
JP2965849B2 (ja) * 1994-03-09 1999-10-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29519317U1 (de) * 1995-12-06 1996-01-25 Sidler Gmbh & Co Beleuchtungsvorrichtung
JP3182714B2 (ja) * 1996-03-11 2001-07-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照射方向可変型車輌用室内灯
DE19619382C2 (de) * 1996-05-14 2002-06-27 Sidler Gmbh & Co Leuchte mit Reflektor
US5828284A (en) * 1997-12-04 1998-10-27 Huang; Albert Circuit overload protective device
JP2002172977A (ja) * 2000-12-05 2002-06-18 Teeantee:Kk 車両用室内灯
JP3964149B2 (ja) * 2001-04-10 2007-08-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US6799875B2 (en) * 2002-09-20 2004-10-05 Innotec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light
JP4263638B2 (ja) * 2004-02-19 2009-05-1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レンズ押下型の照明装置
FR2868873A1 (fr) * 2004-04-09 2005-10-14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perfectionne de commutation simultanee de plusieurs voies de signaux, notamment de telecommunication
US20080041708A1 (en) * 2006-07-07 2008-02-21 Judco Manufacturing, Inc. Dual mode switch
JP4451454B2 (ja) * 2007-02-20 2010-04-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7985937B2 (en) * 2007-07-18 2011-07-26 Leviton Manufacturing Co., Ltd. Dimmer switch
US7775694B2 (en) * 2007-09-14 2010-08-17 Yazaki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nit
JP2010044899A (ja) * 2008-08-11 2010-02-25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操作部材の組み付け構造
US7688174B2 (en) * 2008-08-12 2010-03-30 Zing Ear Enterprise Co., Ltd. Overload protection switch
JP2010086212A (ja) 2008-09-30 2010-04-15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80811B2 (en) 2015-11-10
CN102213388A (zh) 2011-10-12
JP2011216449A (ja) 2011-10-27
JP5494145B2 (ja) 2014-05-14
CN102213388B (zh) 2015-11-25
US20110242832A1 (en) 2011-10-06
EP2371625A1 (en)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1238A (ko) 차량용 실내등기구
US8226440B2 (en) Lighting system and cap for such lighting system
US9711305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US20020122311A1 (en) Vehicle lamp
JP5896406B2 (ja) バルブソケット及び照明装置
JP5516353B2 (ja) コネクタ
JP5613075B2 (ja) 車両用灯具
JP4102621B2 (ja) スイッチ装置
JP4158628B2 (ja) 車両用灯具
JP2567031Y2 (ja) ランプソケット
JP4120781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その成形・組立方法
KR102095847B1 (ko) 헤드라이닝 오버헤드 콘솔 조립 구조
JP5622136B1 (ja) 換気ユニット
JP2002329409A (ja) 車両用灯具
JP6821878B2 (ja) 車両用灯具の取付け構造
KR200183181Y1 (ko) 피엘 소켓
KR101657689B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치수측정용 고정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200199499Y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의 푸쉬로드 고정편 고정 구조
JPS5855524Y2 (ja) 車輛用灯具
KR200148095Y1 (ko) 사출성형 외함 장착용 버튼
JP3122980B2 (ja) 車輌用室内灯
JP5706191B2 (ja) 車両用前照灯
JP3229516B2 (ja) ランプ付バニティミラーを備えた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JP2530445Y2 (ja) 収納ケース
TWI473741B (zh) Locomotive ligh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