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089A - 전력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089A
KR20110110089A KR1020117009513A KR20117009513A KR20110110089A KR 20110110089 A KR20110110089 A KR 20110110089A KR 1020117009513 A KR1020117009513 A KR 1020117009513A KR 20117009513 A KR20117009513 A KR 20117009513A KR 20110110089 A KR20110110089 A KR 2011011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rver
bus line
power suppl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타지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1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9Powe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8Monitor sensor; Alarm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41Contacts arranged for sequential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신호와 전력이 중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버스 라인과, 버스 라인에 접속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서버와, 버스 라인에 접속되고 전원 서버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2 이상의 시스템을, 버스 라인 사이를 도선으로 접속함으로써 상호 접속하고, 도선은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각 도선과 접속하는 2 이상의 전극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하나의 전극은 커넥터를 버스 라인에 접속할 때에 다른 전극보다 우선 버스 라인과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 전력 공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시스템 {ELECTRIC POWER SUPPLYING SYSTEM}
본 발명은 전력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신호가 전력에 중첩하여 공급되는 전력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게임기와 같은 전자 기기의 대부분은, 기기의 동작이나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상용 전원으로부터 교류(AC)의 전력을 입력하여 기기에 맞춘 전력을 출력하는 AC 어댑터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전자 기기에서는 직류(DC)에 의해 동작하는데, 전압이나 전류는 각각의 기기에서 다르다. 따라서 기기에 맞춘 전력을 출력하는 AC 어댑터의 규격도 기기마다 다르게 되고, 같은 형상을 갖는 AC 어댑터라도 호환성을 갖지 않게 되어, 기기의 증가에 수반하여 AC 어댑터의 수도 증가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배터리나 AC 어댑터 등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블록과 당해 전원 공급 블록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소비 블록을 직류의 1개의 공통 버스 라인에 접속한 전원 버스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러한 전원 버스 시스템에서는 직류의 전류가 버스 라인을 흐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원 버스 시스템에서는 각 블록은 스스로 오브젝트로서 기술(記述)되어 있고, 각 블록의 오브젝트가 버스 라인을 통하여 서로 정보(상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또한, 각 블록의 오브젝트는 다른 블록의 오브젝트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정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회답 데이터로서 송신하고 있다. 그리고 회답 데이터를 수신한 블록의 오브젝트는 수신한 회답 데이터의 내용에 의거하여 전력의 공급이나 소비를 제어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1-306191호 공보
이와 같은 전원 버스 시스템은 버스 라인끼리를 접속함으로써 다른 전원 버스 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각 전원 버스 시스템에는 고유의 타이밍에서 전원 공급 블록으로부터 전력이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버스 라인끼리를 갑자기 접속하여 전원 버스 시스템 사이를 접속하여 버리면, 전력의 출력이 경합(競合)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다. 전력의 출력이 경합하여 버리면, 클라이언트가 규격과 다른 전력을 받아 버릴 우려가 있고, 클라이언트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여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정보의 전달과 전력의 전송 사이에 시간차를 마련함으로써, 버스 라인끼리의 접속에 의해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 개량된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신호와 전력이 중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버스 라인과, 버스 라인에 접속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서버와, 버스 라인에 접속되고 전원 서버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2 이상의 시스템을, 버스 라인 사이를 도선으로 접속함으로써 상호 접속하고, 도선은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각 도선과 접속하는 2 이상의 전극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버스 라인에 접속할 때에 하나의 전극이 다른 전극보다 우선 버스 라인과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 전력 공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각 시스템은 전원 서버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동기 서버를 또한 구비하고, 동기 서버는 다른 시스템과의 접속을 검지하는 검지 패킷을 정기적으로 송출하고, 다른 시스템에 포함되는 동기 서버가 송출한 검지 패킷을 검출하면, 검지 패킷의 송출을 정지하고, 당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전원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 대해 동기 서버의 변경을 통지하여도 좋다.
동기 서버는 전원 서버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기간의 직전에 전력의 공급 시작을 통지하는 시작 패킷을 송출하여도 좋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시작 패킷의 수신에 의거하여 전원 서버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도록 하여도 좋다.
다른 전극보다 우선 버스 라인과 접속되는 전극은 다른 전극보다도 짧아도 좋다.
버스 라인 상에 마련되고, 나사구멍을 가지며, 커넥터가 나사구멍에 삽입된 후에 틀어 넣어짐으로써 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또한 구비하고, 커넥터를 결합부에 삽입하면 그 결합부에 의하여 버스 라인 중의 하나의 도선만이 접속되고, 커넥터를 결합부에 틀어넣음으로써 버스 라인 중의 다른 도선도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버스 라인 상에 마련되고, 커넥터가 삽입되는 암컷형(雌型) 커넥터를 또한 구비하고, 암컷형 커넥터는 커넥터가 삽입되면 커넥터의 하나의 전극만을 버스 라인에 접속하고,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커넥터가 회전되면, 다른 전극도 버스 라인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의 전달과 전력의 전송과의 사이에 시간차를 마련함으로써, 버스 라인끼리의 접속에 의해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 개량된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원 서버(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300)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서버가 송신하는 비컨 패킷에 관해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단면의 형상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단면의 형상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형상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플러그의 형상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커넥터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에 의한 전력 공급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전력 패킷의 송출의 직전에 시작 패킷이 송출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
[2] 전원 서버의 구성
[3] 클라이언트의 구성
[4] 전력 공급 시스템끼리를 접속할 때의 문제점
[5] 복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구성례
[6] 통신 프로토콜의 한 예
[7] 복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변형례
[8] 정리
[1]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
우선,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은 전원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는 버스 라인(1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2)은 전원 서버(101)와 클라이언트(2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 서버(101)와 클라이언트(201)는 버스 라인(1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전원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에 대해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와의 사이에서 정보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 사이의 직류 전력의 공급 및 정보 신호의 송수신은 버스 라인(10)에서 공용되고 있다. 전력 공급 시스템(2)에서의 전원 서버(101) 및 클라이언트(201)의 관계도 전력 공급 시스템(1)에서의 전원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200)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전원 서버(10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로부터 직류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이다. 또한,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와의 사이에서 정보 신호를 송수신한다.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서는 하나의 전원 서버(100)와 2개의 클라이언트(200)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원 서버의 수와 및 클라이언트의 수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전력 공급 시스템(2)에서 전원 서버(101)와 클라이언트(201)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원 서버(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2] 전원 서버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원 서버(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원 서버(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원 서버(100)는, AC/DC 컨버터(110)와 서버 컨트롤러(120)와 모뎀(130)과 인덕터(140)와 스위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DC 컨버터(110)는 상용 전원(16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의 전력을 클라이언트(2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직류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이다. AC/DC 컨버터(110)에서 교류로부터 직류로 변환된 전력은 버스 라인(10)을 경유하여 클라이언트(200)에 공급된다. 또한, 버스 라인(10) 중의 1개와 AC/DC 컨버터(110)와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터(140) 및 스위치(150)가 마련된다. 인덕터(140)는 AC/DC 컨버터(110)의 출력부에 통상 마련되는 바이패스 콘덴서에 의해, 통신로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150)는 전원 서버(100)로부터 갑자기 버스 라인(10)에 전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서버 컨트롤러(120)는 전원 서버(100)에 의한 전력 공급을 위한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이다. 서버 컨트롤러(1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당해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동작시키는 주변 회로로 구성된다. 서버 컨트롤러(120)가 실행하는 제어에는, 예를 들면, AC/DC 컨버터(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버스 라인(10)과 접속하는지 여부의 제어, 클라이언트(200)와의 사이의 통신에서의 통신 프로토콜의 제어가 있다. 그 밖에도 서버 컨트롤러(120)가 실행하는 제어에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200)와의 사이의 정보 신호의 송수신 제어 등이 있다. 또한 서버 컨트롤러(120)는 그 전력 사양(서버 프로파일)이나 정보 신호를 위한 프로토콜, 통신에 의해 취득한 클라이언트(200)의 정보 등을 내부 정보로서 기억하는 기억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모뎀(130)은 버스 라인(10)을 통한 전원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 사이의 정보 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서는 정보 신호와 전력은 동일한 한 쌍의 도선을 공유한다. 따라서 혼신(混信)하지 않도록 주파수 분할에 의해 정보 신호와 전력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서는, 전원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와의 사이에서는 버스 라인(10)을 통하여 정보 신호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이 정보 신호의 송수신은 전력의 전송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400Hz 이하 정도의 저주파 대역)과 혼신하지 않도록 충분히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모뎀(130)은 이 충분히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행하여지는 정보 신호의 송수신에서의 신호의 변조·복조를 행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원 서버(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3] 클라이언트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클라이언트(200)는, DC/DC 컨버터(210)와 클라이언트 컨트롤러(220)와 모뎀(230)과 인덕터(240)와 스위치(250, 260)와 배터리(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C/DC 컨버터(210)는 전원 서버(100)로부터 공급된 직류의 전력을 클라이언트(200)에 접속된 부하(280)가 필요로 하는 전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210)와 버스 라인(10) 중의 1개의 버스 라인과의 사이에는 인덕터(240) 및 스위치(250, 260)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인덕터 및 스위치는 상술한 전원 서버(100)의 인덕터(140) 및 스위치(150)와 마찬가지로 기능 한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220)는 클라이언트(200)가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해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220)는 상술한 서버 컨트롤러(12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당해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동작시키는 주변 회로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컨트롤러(220)는, 예를 들면, 전원 서버(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어떻게 소비하는지의 결정, 전원 서버(100)와의 사이의 정보 신호의 통신에서의 프로토콜의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컨트롤러(220)는 정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나, 클라이언트(200)의 사양에 관한 클라이언트 정보(클라이언트 전원 프로파일) 등을 내부 정보로서 기억하는 기억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모뎀(230)은 버스 라인(10)을 통한 전원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 사이의 정보 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모뎀(230)은 상술한 모뎀(130)과 같이, 충분히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행하여지는 정보 신호의 송수신에서의 신호의 변조·복조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클라이언트(200)는 부하(280)의 소비 전력이 제로 또는 적은 경우에 전원 서버(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270)에 축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4] 전력 공급 시스템끼리를 접속할 때의 문제점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전력 공급 시스템(1)과 전력 공급 시스템(2)을 버스 라인(10, 11)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은 버스 라인끼리를 접속함으로써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각 전력 공급 시스템에는 고유의 타이밍에서 전원 서버(100, 101)로부터 전력이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버스 라인끼리를 갑자기 접속하여 2개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하여 버리면, 전력의 출력이 경합(競合)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에서는, 버스 라인(10, 11)은 각각 2개의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버스 라인(10, 11)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2핀의 커넥터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핀의 길이가 동일하면,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도선이 동시에 접속되게 된다. 2개의 도선이 동시에 접속되어 버리면, 전원 서버(100) 및 전원 서버(101)로부터의 전력의 출력이 경합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전력 공급 시스템(1, 2)에서는 직류 전원 또는 저주파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고주파의 정보가 중첩되어 버스 라인(10, 11)을 흐르고 있다. 이 직류 전원 또는 저주파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버스 라인(10, 11)을 구성하는 도선 중 하나의 도선과만 접속된 상태에서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주파의 정보는 버스 라인(10, 11)을 구성하는 도선 중 하나의 도선과만 접속되었을 뿐의 상태라도 버스 라인 상을 흐를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는 시간차를 마련하여 버스 라인(10, 11)을 구성하는 도선에 1개씩 접속할 수 있도록 버스 라인(10, 11)을 접속하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나 커넥터의 구성과 당해 플러그 및 커넥터에 의해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과 접속할 때에 있어서의 통신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5] 복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구성례
우선, 버스 라인(10, 11)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구성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300)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다. 또한 도 4에는, 버스 라인(10)에 마련된 잭(12)도 아울러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300)는 길이가 다른 핀(310, 3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한 커넥터(300)는, 잭(12)에 삽입함으로써 우선 한쪽의 핀(310)만을 버스 라인(10)에 도통(導通)시킬 수 있고, 그 후 커넥터(300)를 더욱 잭(12)의 속까지 삽입함으로써 핀(311)도 버스 라인(10)에 도통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의 정보는 하나의 도선과만 접속되었을 뿐의 상태라도 버스 라인 상을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 시스템(1, 2)은 커넥터(300)가 잭(12)에 삽입될 때에, 한쪽의 핀(310)만이 버스 라인(10)에 도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주파의 정보를 버스 라인(10, 11)에 흘릴 수 있다.
커넥터(300)의 한쪽의 핀(310)이 버스 라인(10)에 도통하고,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에서 통신 경로가 확립하였다면, 신속하게 양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의 전원 서버로부터의 급전(給電)의 정지 및 클라이언트의 수전(受電)의 정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원 서버로부터의 급전의 정지 및 클라이언트의 수전의 정지를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6] 통신 프로토콜의 한 예
우선,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서의 전력 공급 처리의 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서의 전력 공급 처리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본원의 발명자와 동일한 발명자에 의한, 일본 특개 2008-123051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도 아울러서 참조하여 주길 바란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서는, 전원 서버(100)로부터 클라이언트(200)에의 전력 공급 처리는 전원 서버(100)로부터 버스 라인(10)에 대해 정기적으로 출력되는 동기 패킷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동기 패킷은 예를 들면 1.1초 간격으로 송신된다. 클라이언트(200)는 버스 라인(10)을 전송되고 오는 동기 패킷에 의해 전원 서버(100)의 존재를 인식하고, 전원 서버(100)에 액세스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로부터의 액세스를 받은 전원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에 대해 자신의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전원 서버(100)의 어드레스를 수신한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에 대해 수신한 어드레스 앞(宛)으로 전력 공급을 요구하는 정보 신호를 송신한다. 클라이언트(200)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요구하는 정보 신호를 수신한 전원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 의한 전력 공급 처리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이다. 이하,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1)에 의한 전력 공급 처리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서버(100)는 버스 라인(10)에 대해 정기적으로 동기 패킷(A1, A2, A3, …)을 출력한다. 또한, 전원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에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 신호인 정보 패킷(B1, B2, B3, …) 및 전력 에너지를 패킷화한 전력 패킷(C1, C2, C3, …)을 출력한다. 한편,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해, 전원 서버(1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 신호인 정보 패킷(D1, D2, D3, …)을 출력한다.
전원 서버(100)는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1초 간격)의 타임 슬롯의 시작시에 동기 패킷(A1, A2, A3, …)을 출력한다. 타임 슬롯은 정보 패킷이 송신되는 정보 슬롯과 전력 패킷이 송신되는 전력 슬롯으로 이루어진다. 정보 슬롯(IS1, IS2, IS3, …)은 전원 서버(100)와 클라이언트(200) 사이에서 정보 패킷의 교환이 행하여지는 구간이다. 또한 전원 슬롯(PS1, PS2, PS3, …)은 전원 서버(100)로부터 클라이언트(200)에 공급되는 전력 패킷(C1, C2, C3, …)이 출력되는 구간이다. 정보 패킷은 정보 슬롯(IS1, IS2, IS3, …)의 구간에서만 출력 가능한 패킷이다. 따라서 하나의 정보 슬롯에서 정보 패킷의 송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정보 슬롯에 걸쳐서 정보 패킷이 송신된다. 한편, 전력 패킷은 전원 슬롯(PS1, PS2, PS3, …)의 구간에서만 출력 가능한 패킷이다.
전원 서버(100)는 자신이 공급 가능한 전력 사양을 나타내는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1 또는 2 이상 갖고 있고, 클라이언트(200)는 자신의 사양에 적합한 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 서버(10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으로 한다. 이때,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로부터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취득하여 자신에 대한 전원 서버(100)의 사양(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결정한다. 이 때문에 우선,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가 출력하는 동기 패킷(A1)을 검출하여 동기 패킷(A1)에 포함되는 전원 서버(100)의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로 할 수 있다. 뒤이어,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에 대해 전원 서버(100)가 갖는 서버 전원 프로파일의 수(數)의 송신을 요구하는 정보 패킷(D1)을 송신한다.
정보 패킷(D1)을 수신한 전원 서버(100)는 정보 패킷(B1)에서 전원 서버(100)가 갖는 서버 전원 프로파일의 수인 서버 전원 프로파일 수를 송신한다. 정보 패킷(B1)을 수신한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의 수만큼 서버 전원 프로파일의 내용을 전원 서버(100)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면 전원 서버(100)가 2개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클라이언트(200)는, 우선, 1개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취득한다. 1개째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취득한 클라이언트(200)는, 전원의 사용을 요구하는 정보 패킷(D2)으로서 전원 서버(100)에 송신한다.
정보 패킷(D2)을 수신한 전원 서버(100)는 서버 컨트롤러(120)의 기억부(도시 생략)에 기억된 제 1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정보 패킷(B2)으로서 클라이언트(200)에 송신한다. 전원 서버(100)로부터 정보 패킷(B2)을 수신한 클라이언트(200)는 제 2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취득하기 위한 정보 패킷을 송신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정보 슬롯(IS1)이 종료되고, 전원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전원 슬롯(PS1)이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 패킷은 다음의 정보 슬롯(IS2)에서 송신된다. 또한, 전원 슬롯(PS1)에서는 클라이언트(200)가 전원 서버(100)로부터 공급을 받는 전원 사양이 확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력의 공급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전원 슬롯(PS1)이 종료되고, 다음의 타임 슬롯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 패킷(A2)이 전원 서버(100)로부터 출력된다. 그 후, 전원 서버(100)로부터 정보 패킷(B2)을 수신한 클라이언트(200)는 제 2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취득하기 위한 정보를 정보 패킷(D3)으로서 송신한다.
정보 패킷(D3)을 수신한 전원 서버(100)는, 서버 컨트롤러(120)의 기억부(도시 생략)에 기억된 제 2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정보 패킷(B3)으로서 클라이언트(200)에 송신한다. 정보 패킷(B3)을 수신하여 전원 서버(100)가 갖는 2개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취득한 클라이언트(200)는, 자신에게 적합한 전원 사양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선택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200)는 전원 서버(100)에 대해 선택한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확정시키기 위한 정보 패킷(D4)을 송신한다.
정보 패킷(D4)을 수신한 전원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에 대해 제 1의 서버 전원 프로파일을 확정한 것을 통지하기 위해, 정보 패킷(B4)으로서 전원 사양이 확정된 취지의 응답을 나타내는 정보를 클라이언트(200)에 송신한다. 그 후, 정보 슬롯(IS2)이 종료되고 전원 슬롯(PS2)이 시작하면, 전원 서버(100)는 클라이언트(200)에 대해 전원 패킷(C1)을 출력하고, 전원 공급을 행한다. 또한, 전력 패킷의 송신의 타이밍에서 관해서는, 송신 시작 시간 설정 리퀘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함에 의해 전력 공급 시작 시간을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전원 서버(100)에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클라이언트(200)는 정보 슬롯에서 전원 서버(100)와의 교섭을 행하고, 다음의 전력 슬롯에서 전원 서버(100)로부터 전력을 수취하는 권리를 획득하면, 전원 슬롯의 시작시에 무조건으로 전력 수신의 회로를 닫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사양을 일부 변경하여 클라이언트는 통신 시작시에 검출한 동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동기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한 전력 수신 회로를 닫지 않고서 계속 대기한다. 또한, 동기 패킷에 송신원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는 당해 MAC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어느 동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패킷의 전력 부분인지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클라이언트에게 등록되지 않은 동기 서버로부터의 동기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곧바로 스위치(250, 260)를 개방하여 전력 수신 회로를 연다. 이것은, 버스 라인이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버스 라인과 접속된(핫 커넥션된)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사양에 의해, 핫 커넥션 시에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 패킷을 잘못하여 수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종래의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는, 동기 패킷은 대강 1.1초 주기로 송출되고 있다. 그러나 동기 패킷만으로는 핫 커넥션의 검출에 시간이 너무 걸려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컨 패킷을 정의하여, 핫 커넥션의 검출에 비컨 패킷을 이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서버(100, 101)가 송신하는 비컨 패킷에 관해 도시하는 설명도 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서버(100, 101)는 각각 전력 송신기간 중에 비컨 패킷을 50밀리 초 간격으로 전송한다. 또한, 비컨 패킷의 포맷은 동기 패킷과 동일하지만, 전원 패킷 종류별의 값을 동기 패킷에 할당되어 있는 값과 다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동기 패킷과 구별할 필요가 있다. 클라이언트(200, 201)는 수신한 비컨 패킷의 내용에 응하여, 전력 패킷을 수신하는지 또는 파기하는지를 판별한다. 클라이언트(200, 201)는 전력 수신 회로를 닫아 전력을 수취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불명의 MAC 어드레스를 갖는 비컨 패킷을 수신한 때는, 곧바로 전력 수신 회로를 열어 그 전원 슬롯에서의 전력의 인수를 포기한다. 또한, 복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이 접속되면, 동기 서버의 변경이 수반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200, 201)는 새로운 동기 서버의 어드레스로의 갱신 처리를 행한 후에, 당해 동기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자기 앞으로의 동기 패킷을 대기한다.
2개의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을 동적으로 결합하면, 시스템상에는 2개의 동기 서버가 존재하게 된다. 하나의 전력 공급 시스템상에 2개 이상의 동기 서버가 동시에 존재하면, 통신 프로토콜에 혼란을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하나의 동기 서버 이외의 동기 서버는 동기 서버로서의 역할을 포기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자신 이외의 동기 패킷 또는 자신의 관리하에 없는 전원 서버로부터의 비컨 패킷을 수신한 동기 서버는, 이후의 동기 패킷의 송신을 정지하고 동기 서버의 역할을 포기한다. 또한, 동기 서버의 역할을 포기한 동기 서버는 다음의 정보 슬롯의 타이밍에서 동기 서버의 변경 통지를 전력 공급 시스템상에 브로드 캐스트한다.
동기 서버의 역할을 포기한 동기 서버의 관리하에 있던 전원 서버 및 클라이언트는, 동기 서버의 변경 통지의 수신에 수반하여 각각이 내부에서 기억하고 있는 동기 서버의 어드레스를 새로운 동기 서버의 것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후는 새로운 동기 서버로부터의 동기 패킷에 맞추어서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동기 서버의 역할을 포기한 동기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동기 서버의 변경 통지는 동기 패킷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때에는 전원 패킷 종류별의 값을 동기 패킷에 할당되어 있는 값 및 비컨 패킷에 할당되어 있는 것과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핫 커넥션을 전제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전력을 받고 있는 경우 또는 전원 서버가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 다른 종류의 전력이 중첩되어 버리는 것은 피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컨 패킷의 송출 주기를 50밀리 초로 하였지만, 이 비컨 패킷의 송출 주기는 버스 라인에의 커넥터의 기계적 접속에 대해 여유가 있는 주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핫 커넥션을 전제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에서는, 전력의 공급이 행하여지는 전력 패킷의 송신의 직전에 전력 패킷이 송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시작 패킷을 동기 서버로부터 송출하여도 좋다. 전력 패킷의 송신의 직전에 시작 패킷을 동기 서버로부터 송출하고, 시작 패킷을 수신한 클라이언트에서 전력을 수취하는 준비를 시작함으로써,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에 대한 보호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2는, 전력 패킷의 송신의 직전에 시작 패킷(E1, E2, …)이 동기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것을 도시하는 설명도 이다. 이와 같이 전력 패킷의 송신의 직전에 시작 패킷을 송출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시작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전원 서버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시작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작 패킷의 포맷은 동기 패킷의 포맷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핫 커넥션 시에 있어서의 2개의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을 하기한 표 1에 표시한다. 이하의 표에서는, 전력 공급 시스템(1)을 시스템(A), 전력 공급 시스템(2)을 시스템(B)으로 하고, 동기 서버(A)가 시스템(B)으로부터의 비컨 패킷(또는 동기 패킷)을 먼저 검출한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시스템A 동기 서버A 시스템B 동기 서버B
1 독립 동작 독립 타이밍 동작 독립 동작 독립 타이밍 동작
2 핫 커넥션
3 시스템B의 비컨 패킷 (또는 동기 패킷) 검출
4 주 스위치 열림 동작정지 동작 계속 동작 계속
5 대기 동기 서버 변경 통지 동작 계속 동작 계속
6 동기 서버 변경 전원 서버 동작 시작 동작 계속 동작 계속
(표 1 : 핫 커넥션 시의 시스템 동작)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함으로써, 커넥터(300)의 한쪽의 핀(310)이 버스 라인(10)에 도통하고,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에서 통신 경로가 확립한 시점에서, 전원 서버로부터의 급전의 정지 및 클라이언트의 수전의 정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각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동기 서버의 기능을 각 전원 서버에 구비하는 경우에 관해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것도 없다. 각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서버와는 별도로 동기 서버를 마련하고, 당해 동기 서버로부터 각 패킷을 송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7] 복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변형례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400, 450)의 단면의 형상에 관해 설명하는 설명도 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400, 450)에 관해 설명한다.
커넥터(400)는 수컷의 커넥터이고, 커넥터(450)는 암컷의 커넥터이다. 커넥터(400) 및 커넥터(450)는, 본 발명의 결합부의 한 예인 나사(430)에 틀어넣음으로써 상호 접속할 수 있다. 커넥터(400)는, 콘택트(410)와 셸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커넥터(450)는 콘택트(460)와 셸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택트(410, 460)는 도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커넥터(400, 450)를 커넥터(450)의 콘택트(460)와 접촉함에 의해, 버스 라인(10)의 도선(10b)과 버스 라인(11)의 도선(11b)이 접속된다. 또한, 셸부(420, 470)도 도체로 형성된 것이고, 나사(430)의 나사구멍(433)에 셸부(420, 470)를 틀어넣음으로써 커넥터(400, 45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나사(430)도 도체로 형성된 것이고, 나사구멍(433)에 셸부(420, 470)를 틀어넣음으로써, 버스 라인(10)의 도선(10a)과, 버스 라인(11)의 도선(11a)이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400, 45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홈(431, 432)은 서로 역(逆)나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택트(410, 460)의 주위에는 콘택트(410, 460)가 나사(430)를 통하여 도통하지 않도록,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부(422, 472)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400, 450)가 도 6과 같이 나사(430)에 단지 삽입된 상태에서는, 콘택트(410, 460)는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 상태는 버스 라인(10)의 도선(10a), 버스 라인(11)의 도선(11a)만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고주파를 이용한 통신만이 확립되어 있고, 직류 또는 저주파의 교류에 의한 전력 전송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 후, 나사구멍(433)에 커넥터(400, 450)를 틀어넣어, 도 7과 같이 콘택트(410, 460)가 접촉하면, 버스 라인(10)의 도선(10b)과 버스 라인(11)의 도선(11b)이 접속된다. 도 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버스 라인(10, 11)의 2개의 도선이 접속되어 있고, 고주파를 이용한 통신과 직류 또는 저주파의 교류에 의한 전력 전송의 양쪽이 행하여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400, 450)를 구성함으로써, 버스 라인(10, 11)의 각 도선이 각각 시간차를 갖고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400, 450)를 구성함에 의해,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할 때에 먼저 통신 경로가 확립한다. 그리고 통신 경로가 확립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 서버로부터의 급전의 정지 및 클라이언트의 수전의 정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라인(10, 11)의 각 도선이 접속될 때의 시간 차는 나사(430)의 길이에 의존하고, 나사(430)의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당해 시간 차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암컷형 커넥터(500)의 구조에 관해 도시하는 설명도 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플러그(550)의 구조에 관해 도시하는 설명도 이다.
암컷형 커넥터(500)는, 후술하는 수컷형의 커넥터인 플러그(55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우징(510)과 원호형상의 전극 받이 구멍(electrode hole)(520, 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극 받이 구멍(520)에는 암컷 측 전극(522)이 마련되고, 전극 받이 구멍(530)에는 암컷 측 전극(532)이 마련되어 있다. 암컷 측 전극(522)은,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하나의 도선과 접속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500)의 원주 방향에 따라 전극 받이 구멍(520)에 마련된다. 한편, 암컷 측 전극(532)은,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상기 하나의 도선과 다른 딴 도선과 접속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받이 구멍(530)의 일측에 반원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500)는, 전극 받이 구멍(520)에만 볼록부(524)를 갖고 있다.
한쪽의 플러그(550)는 커넥터(500)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컷 측 전극(560, 5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컷 측 전극(560, 570)은 각각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하나의 도선에 접속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550)는 수컷 측 전극(560)에만 돌기(56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562)를 마련함에 의해 플러그(550)는 수컷측 전극(560)을 전극 받이 구멍(520)에, 수컷 측 전극(570)을 전극 받이 구멍(530)에 각각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500) 및 플러그(550)를 마련함으로써,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도선을 시간차를 갖고서 접속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500)에 플러그(550)가 삽입된 시점에서는 수컷측 전극(560)과 암컷측 전극(522)만이 접촉한 상태이고, 이 상태는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도선 중 1개의 도선만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커넥터(500)에 플러그(550)를 삽입한 시점에서 통신 경로가 확립하고, 통신 경로가 확립함으로써 전원 서버로부터의 급전의 정지 및 클라이언트의 수전의 정지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500)에 플러그(550)를 삽입한 상태에서, 플러그(550)를 시계방향에 소정의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수컷 측 전극(570)과 암컷 측 전극(532)도 접속된다. 수컷 측 전극(570)과 암컷측 전극(532)이 접속됨으로써 또 다른 1개의 도선도 접속되기 때문에 직류 또는 저주파의 교류에 의한 전력 전송이 행하여지게 된다.
이상,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하였다.
[8]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할 때에, 버스 라인의 각각의 도선을 시간차를 갖고서 접속함으로써, 독립한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전력 공급 시스템끼리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독립한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전력 공급 시스템끼리를 접속할 수 있음으로써, 실(實)사용상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하고, 사용이 크게 간소화된다. 또한, 이와 같이 다른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함으로써,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접속하기 위한 루터와 같은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복수의 전력 공급 시스템의 운용이 용이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례 또는 수정례에 상도 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버스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를 버스 라인 상에 마련되는 잭이나 커넥터에 삽입한 시점에서, 버스 라인 중의 1개의 도선이 접속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플러그 및 버스 라인 상에 마련된 커넥터에 무선 통신 기능 또는 비접촉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플러그와 커넥터가 소정의 거리 미만에 근접한 시점에서 각 버스 라인에 흐르는 고주파의 신호를 상호의 전력 공급 시스템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1, 2 : 전력 공급 시스템
10, 11 : 버스 라인
10a, 10b, 11a, 11b : 도선
12 : 잭
100, 101 : 전원 서버
110 : AC/DC 컨버터
120 : 서버 컨트롤러
130 : 모뎀
140 : 인덕터
150 : 스위치
160 : 상용 전원
200, 201 : 클라이언트
210 : DC/DC 컨버터
220 : 클라이언트 컨트롤러
230 : 모뎀
240 : 인덕터
250, 260 : 스위치
270 : 배터리
280 : 부하
300 : 커넥터
310, 311 : 핀
400, 450 : 커넥터
410, 460 : 콘택트
420, 470 : 셸부
422, 472 : 절연부
430 : 나사
431, 432 : 나사 홈
433 : 나사구멍
500 : 커넥터
510 : 하우징
520, 530 : 전극 받이구멍
524 : 볼록부
522, 532 : 암컷 측 전극
550 : 플러그
560, 570 : 수컷 측 전극
562 : 돌기

Claims (7)

  1.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신호와 전력이 중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버스 라인과,
    상기 버스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서버와,
    상기 버스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전원 서버로부터 상기 전력의 공급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2 이상의 시스템을, 상기 버스 라인 사이를 도선으로 접속함으로써 상호 접속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각 도선과 접속하는 2 이상의 전극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버스 라인에 접속할 때에, 하나의 상기 전극이 다른 상기 전극보다 우선 상기 버스 라인과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전원 서버로부터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동기 서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기 서버는, 다른 시스템과의 접속을 검지하는 검지 패킷을 정기적으로 송출하고, 다른 시스템에 포함되는 동기 서버가 송출한 검지 패킷을 검출하면, 검지 패킷의 송출을 정지하고, 당해 시스템에 포함되는 전원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 대해 동기 서버의 변경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서버는, 상기 전원 서버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기간의 직전에, 전력의 공급 시작을 통지하는 시작 패킷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작 패킷의 수신에 의거하여 상기 전원 서버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다른 상기 전극보다 우선 상기 버스 라인과 접속되는 전극은, 다른 전극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라인 상에 마련되고, 나사구멍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나사구멍에 삽입된 후에 틀어 넣어짐으로써 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결합부에 삽입하면 그 결합부에 의해 상기 버스 라인 중의 하나의 도선만이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결합부에 틀어넣음으로써 상기 버스 라인 중의 다른 도선도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라인 상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암컷형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암컷형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커넥터의 하나의 전극만을 상기 버스 라인에 접속하고, 상기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상기 커넥터가 회전되면, 다른 전극도 상기 버스 라인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0117009513A 2008-12-16 2009-11-12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10110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19679 2008-12-16
JP2008319679A JP5446239B2 (ja) 2008-12-16 2008-12-16 電力供給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089A true KR20110110089A (ko) 2011-10-06

Family

ID=4226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513A KR20110110089A (ko) 2008-12-16 2009-11-12 전력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96153B2 (ko)
EP (1) EP2360848B1 (ko)
JP (1) JP5446239B2 (ko)
KR (1) KR20110110089A (ko)
CN (2) CN102239644B (ko)
BR (1) BRPI0923227A2 (ko)
RU (1) RU2483442C2 (ko)
WO (1) WO2010070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3405A (ja) * 2009-11-27 2011-06-09 Sony Corp 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方法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WO2013168523A1 (ja) * 2012-05-09 2013-11-14 ソニー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消費機器
JP5971763B2 (ja) * 2013-04-17 2016-08-17 株式会社リガク X線光学部品装置及びx線分析装置
CN105264732B (zh) * 2013-05-21 2018-09-21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电力分组生成装置、电力路由器以及电力网络
US20160173290A1 (en) * 2013-05-23 2016-06-16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power supply control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DE102015222546A1 (de) * 2015-11-16 2017-05-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s Kommunikationssignals und von elektrischer Leistung zwischen zwei Teilnehmerstationen eines Bussystems
US10306797B2 (en) 2016-12-30 2019-05-28 Google Llc Power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EP3527052B1 (en) * 2016-12-30 2020-05-13 Google LLC Power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US10404322B2 (en) 2016-12-30 2019-09-03 Google Llc Power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US10492329B2 (en) 2016-12-30 2019-11-26 Google Llc Power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US10003382B1 (en) * 2017-08-14 2018-06-19 The Boeing Company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ground terminal over a ground power line
WO2020166051A1 (ja) * 2019-02-15 2020-08-20 Tdk株式会社 分散型直流給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0194A1 (de) * 1984-03-20 1985-09-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redundanten stromversorgung
JPH0810612B2 (ja) * 1988-11-04 1996-01-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ッケージ挿抜時の信号線雑音防止方式及び接続装置
JP2752774B2 (ja) * 1990-06-01 1998-05-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活線挿抜パッケージ
US5176528A (en) * 1992-06-11 1993-01-05 Molex Incorporated Pin and socket electrical connnector assembly
GB9324152D0 (en) * 1993-11-24 1994-01-12 Remote Metering Systems Ltd Mains communication system
FR2720559B1 (fr) * 1994-05-31 1996-07-05 Alcatel Converters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pour un système d'alimentation sécurisé.
JPH08129693A (ja) * 1994-11-02 1996-05-21 Yokogawa Electric Corp フイールドバスの2重化装置
US5644707A (en) * 1996-02-16 1997-07-01 Chen; Tian-Luh Computer mainframe signal monitoring system
JP2973924B2 (ja) * 1996-05-22 1999-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活線挿抜コネクタ
JP3841193B2 (ja) * 1998-02-19 2006-11-01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流制限機能を備えた電源装置
JP4925496B2 (ja) * 2000-04-20 2012-04-25 ソニー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と電子機器と電源供給装置および電源供給方法
ES2215650T3 (es) * 2000-05-30 2004-10-16 Ascom Powerline Communications Ag Dispositivo de acoplamiento.
RU20811U1 (ru) * 2001-07-24 2001-1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ранит"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командно-стрельбовой информационно-управляющей системы
US7030734B2 (en) * 2002-01-02 2006-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ification of proper coupling of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s to power circuits
DE10239016B3 (de) * 2002-08-20 2004-04-08 Power Plus Communications Ag Anordnung und Verfahren zum Anschluss einer Powerline-Datenübertragungseinrichtung an mehrere Stromversorgungsleitungen
JP2005183273A (ja) * 2003-12-22 2005-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保持構造
JP2005191889A (ja) * 2003-12-25 2005-07-14 Alps Electric Co Ltd 通信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線通信用モデム
US7620846B2 (en) * 2004-10-07 2009-11-17 Cisco Technology, Inc. Redundant power and data over a wired dat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581719B (zh) * 2004-05-14 2010-04-28 北京杰智讯科技有限公司 高速电力线通信局端设备
CN1860697B (zh) * 2004-08-24 2010-05-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力线通信方法及装置
US8028097B2 (en) * 2004-10-04 2011-09-2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udio-visual devices on a power line communications (PLC) network
EP1703347B1 (en) 2005-03-15 2018-10-17 Omron Corporatio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evice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JP4129648B2 (ja) 2005-03-15 2008-08-06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装置
GB0522554D0 (en) * 2005-11-04 2005-12-14 Tyco Electronics Ltd Uk An assembly for permitting power-over-ethernet connection
JP2007320467A (ja) * 2006-06-02 2007-12-13 Mitsubishi Materials Corp 車載用電力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5194435B2 (ja) 2006-11-08 2013-05-08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電力供給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4804377B2 (ja) * 2007-02-08 2011-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源装置及び記憶制御装置
JP4980123B2 (ja) * 2007-04-17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装置
CN201063619Y (zh) * 2007-06-13 2008-05-21 张昕昕 电源和信息同线传输的家用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44609B (zh) 2016-11-23
US20110233998A1 (en) 2011-09-29
CN103944609A (zh) 2014-07-23
US8896153B2 (en) 2014-11-25
JP5446239B2 (ja) 2014-03-19
JP2010148172A (ja) 2010-07-01
EP2360848A1 (en) 2011-08-24
CN102239644B (zh) 2014-04-02
RU2011122454A (ru) 2012-12-10
EP2360848A4 (en) 2014-01-15
WO2010070998A1 (ja) 2010-06-24
RU2483442C2 (ru) 2013-05-27
EP2360848B1 (en) 2015-01-07
CN102239644A (zh) 2011-11-09
BRPI0923227A2 (pt)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089A (ko) 전력 공급 시스템
US8702435B2 (en) Plug, plug receptacle and electric power supplying system
WO2011048777A1 (en) Power supply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JP4683034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モニター装置、モニター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337092B1 (en) Power over ethernet method and apparatus
EP2323309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US20050024026A1 (en) Power injector apparatus
US200701100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al power and data over a single cable
US8607078B2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and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US20110098865A1 (en) Power distributing system
WO2015119623A2 (en) Power sourcing equipment
CN107566130A (zh) 以太网受电ap设备、以太网供电ap设备及组网系统
JP5733383B2 (ja) 同期サーバ及び電力受電装置
JP2015053819A (ja) 直流電源システム
JP2012238989A (ja) 通信システム
CN108429622B (zh) 一种反向供电方法和装置
CN116317073A (zh) 电子设备、以太网供电poe系统及供电控制方法
JP2010140671A (ja) プラグ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CN117937186A (zh) 扩展坞
JP201110049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202118215A (zh) 電源供應裝置
JPH05122776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