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861A - 프린트 기판 천공기 - Google Patents

프린트 기판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861A
KR20110109861A KR1020110023007A KR20110023007A KR20110109861A KR 20110109861 A KR20110109861 A KR 20110109861A KR 1020110023007 A KR1020110023007 A KR 1020110023007A KR 20110023007 A KR20110023007 A KR 20110023007A KR 20110109861 A KR20110109861 A KR 20110109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oot
tip
workpiece
spindle uni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307B1 (ko
Inventor
타카유키 하시모토
카츠히로 나가사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비아 메카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비아 메카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비아 메카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5/00Methods for boring or drilling, or for working essentially requiring the use of boring or drilling machine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34Arrangements for removing chips out of the holes made; Chip- breaking arrangements attached to the to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47Drilling of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통상 가공 및 고정밀도 가공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공기 차단량이 작고, 가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린트 기판 천공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기 구멍(8)을, 홀더(2)에 대해 가장 가공물(20) 측에 위치결정된 스핀들 유닛(1)에 유지된 공구(6)의 선단이 가공물(20)의 상면에 접했을 때에 공간(31)과 외기를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프레셔풋(7)의 선단이 가공물(20)에 접하지 않을 때, 일단이, 프레셔풋(7)의 선단이 가공물(20)에 접하지 않을 때 프레셔풋(7)의 외면에 개구되는 통기 구멍(8)의 하단으로부터, 프레셔풋(7)의 선단이 가공물에 접하지 않을 때의 프레셔풋(7)의 선단으로부터 공구(6)의 선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만큼 상방으로 위치결정되고, 타단이 홀더(2)에 유지되는 판 형상의 셔터(50)를 설치하며, 공구(6)의 선단이 가공물(20)의 상면에 접했을 때에 셔터(50)에 의해 공간(31)을 외기로부터 차단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프린트 기판 천공기{DRILLER FOR PRINT SUBSTRATE}
본 발명은 중심부에 회전 가능한 스핀들을 구비한 스핀들 유닛의 선단에 배치된 프레셔풋(기판 가압)에 의해 가공물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한 프린트 기판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 기판을 가공하는 경우, 프린트 기판을 복수장 적층하여 두고, 복수장의 프린트 기판을 동시에 가공함으로써 능률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가공한 구멍(hole)의 입구부에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통상 적층한 프린트 기판의 최상층에는 상판이 배치된다. 이하, 프린트 기판과 상판을 모두 포함하여 프린트 기판이라고 한다. 프린트 기판은 기판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것이 많아, 적층한 프린트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드릴의 천공에 따라 프린트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드릴이 구부러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프레셔풋에 의해 미리 프린트 기판의 가공부 주변을 가압하여, 프린트 기판을 테이블에 가압한 상태에서 드릴로 천공한다.
또한, 프레셔풋과 스핀들 유닛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하, 「프레셔풋 내 공간」이라 함)을 집진기에 접속하며, 프레셔풋에 설치된 드릴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하, 「드릴용 구멍」이라 함)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여,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절삭 가루(切粉)를 프린트 기판 상측으로부터 회수한다. 프린트 기판 천공기의 경우는 가공 택트(tact)가 짧으므로, 프린트 기판을 가공하는 동안, 집진기를 항상 작동시킨다.
드릴을 다음 가공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프레셔풋과 프린트 기판의 거리를 작게 하면, 이른바 공기 차단(air cut) 시간이 짧아져, 가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프레셔풋을 프린트 기판에 근접시키면, 집진기의 흡인력에 의해 상판이 부상(浮上)하여, 공기 유입구를 겸한 드릴용 구멍을 막기 때문에, 절삭 가루의 배출이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가공물을 가압할 때에 프레셔풋과 스핀들 유닛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이용한 프린트 기판 천공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즉, 프레셔풋 내 공간과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 구멍을, 가공물을 가공하고 있을 때에만 스핀들 유닛과 대향하는 프레셔풋 측면에 설치해 두고, 가공시에는 프레셔풋 내 공간을 외기로부터 차단하며, 드릴을 다음 가공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프레셔풋 내 공간을 외기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 천공기로 가공하는 구멍의 직경은, 통상 0.1~6.4㎜이지만, 스핀들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핀들 선단으로부터 드릴의 선단(블레이드 엣지)까지의 거리(이하, 「드릴 돌출 길이」라고 함)를 드릴의 공칭 직경에 관계없이 일정값(예컨대, 25㎜)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절삭 가루의 배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드릴을 다음 가공 위치로 이동시킬 때의 상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80433호
미세 직경의 드릴의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릴의 선단이 진동에 의해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드릴 돌출 길이를 짧게 하면(예컨대, 15㎜),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드릴 돌출 길이를 종래 길이로 한 가공을 「통상 가공」이라 하고, 드릴 돌출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를 「고정밀도 가공」이라 한다. 또한, 고정밀도 가공을 행하는 경우는, 스핀들 유닛을 유지하는 홀더에 대한 스핀들 유닛의 부착 위치를 통상 가공에서의 스핀들 유닛의 부착 위치보다 하방으로 함으로써, 드릴 돌출 길이를 짧게 한다.
도 6은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통기 구멍의 위치를 통상 가공에 적합한 위치로 배치하여 고정밀도 가공을 행하는 경우, (b)는 통기 구멍의 위치를 고정밀도 가공에 적합한 위치로 배치하여 통상 가공을 행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상기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가공에 있어서 스핀들 유닛(1)을 다음 가공 위치로 수평 이동시킬 때, 고정밀도 가공용으로 위치결정된 스핀들 유닛(1)이 프레셔풋(7)에 형성된 통기 구멍(8)을 막아버리기 때문에, 프레셔풋 내 공간(31)의 압력은 올라가지 않아, 상판의 부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밀도 가공에 있어서 드릴(6)의 선단이 가공물(20)의 상단에 접했을 때, 통상 가공용으로 위치결정된 스핀들 유닛(1)이 통기 구멍(8)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외기가 통기 구멍(8)으로부터 프레셔풋 내 공간(31)에 유입되어, 프레셔풋 내 공간(31)의 압력이 내려가지 않아, 집진 능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통상 가공 및 고정밀도 가공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공기 차단량을 적게 하며, 가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린트 기판 천공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홀더에 유지되며, 공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스핀들 유닛과, 상기 홀더에 상기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스핀들 유닛의 선단을 덮도록 하여 상기 스핀들 유닛에 끼움결합하는 프레셔풋(pressure foot)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셔풋의 측면에 상기 프레셔풋과 상기 스핀들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기를 연통할 수 있는 통기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을 음압원에 접속하며, 상기 프레셔풋에 의해 가공물을 가압하여, 상기 통기 구멍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공구에 의해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한 프린트 기판 천공기로서,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홀더에 대해 가장 상기 가공물 측에 위치결정된 상기 스핀들 유닛에 유지된 상기 공구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의 상면에 접했을 때에 상기 공간과 외기를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에 접하지 않을 때, 일단이,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에 접하지 않을 때 상기 프레셔풋의 외면에 개구되는 상기 통기 구멍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에 접하지 않을 때의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공구의 선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만큼 상방에 위치결정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에 유지되는 판 형상(板狀)의 셔터를 설치하며, 상기 공구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의 상면에 접했을 때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공간을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 가공 및 고정밀도 가공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가공물의 가공 기간은 프레셔풋 내 공간을 음압 상태로 할 수 있어, 스핀들 유닛을 상승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가공물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 구조가 간단하므로, 유지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기판 천공기의 헤드부의 정면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프레셔풋(7)의 선단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의 과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기판 천공기의 헤드부의 정면 일부 단면도이며, 스핀들 유닛이 고정밀도 가공 위치에 위치결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이 원기둥 형상인 스핀들 유닛(1)은 홀더(2)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2)는 새들(3; saddle)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2)의 하측 양단부에는 한 쌍의 베어링(4)이 배치되어 있다. 새들(3)은 슬라이더(5)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위치결정 가능하다. 슬라이더(5)는 도시하지 않은 칼럼에 지지되며, 도면의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위치결정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스핀들 유닛(1)은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결정 가능하다. 스핀들 유닛(1)의 선단에는 드릴(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시한 스핀들 유닛(1)의 경우, 선단부에 45도의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 유닛(1)의 선단부에는 컵 형상의 프레셔풋(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있다. 스핀들 유닛(1)과 프레셔풋(7)의 직경 방향의 틈새는 직경으로 0.1㎜ 정도이다. 프레셔풋(7)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로드(15)는 베어링(4)에 지지되어, 각각 플렉시블 조인트(16)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조인트(16)의 타단은 각각 한 쌍의 실린더(17)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17)의 타단은 각각 서포트(18)에 고정되어 있다. 서포트(18)는 각각 새들(3)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17)는 항상 프레셔풋(7)을 도면의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프레셔풋(7)의 좌측면에는 통기 구멍(8)이 배치되어 있다. 통기 구멍(8)의 크기와 높이 방향의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셔풋(7) 측면의 통기 구멍(8)이 배치되는 부분은 평탄한 면(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2)의 측면에도 면(7a)과 동일한 면인 면(2a)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50)는 재질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이며, 판 두께가 t인 정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이다. 셔터(50)는 하단(51a)측이 면(7a)에 밀착하도록 하여, 2개의 홀더(51)에 의해 면(2a)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셔풋(7)의 하부에는 수지 또는 금속제의 브러시(9)가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9)의 하단부에는 외기와 드릴용 구멍(10)을 접속하는 홈(11)이 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셔풋(7)과 브러시(9)는 실질적으로 일체이므로, 이하, 브러시(9)의 하단면을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라 한다.
프레셔풋(7)의 하단측에 형성된 구멍(30)은 프레셔풋(7)과 스핀들 유닛(1)으로 둘러싸인 프레셔풋 내 공간(31)과 이음새(32)를 접속하고 있다. 이음새(32)에 접속된 호스(33)의 타단은 도시하지 않은 집전기에 접속되어 있다.
가공물인 프린트 기판(20)은 테이블(21) 위에 올려져 있다. 테이블(21)은 지면에 수직한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위치결정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홀더(2)에 대한 스핀들 유닛(1)의 고정 위치를 스핀들 유닛(1)의 축선(O) 방향으로 변화시키면, 프레셔풋 내 공간(31)의 축선(O) 방향의 길이가 변화한다.
다음으로, 통기 구멍(8)의 높이 방향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프레셔풋(7)의 선단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에 접했을 때, (b)는 드릴(6)의 선단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에 접했을 때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스핀들 유닛(1)은 고정밀도 가공용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으로부터 이격된 경우, 또는 프린트 기판(20)에 접했을 때의 스핀들 유닛(1)의 선단(1a)과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의 거리를 L로 하고, 통상 가공에서의 거리(L)를 거리(Ln), 고정밀도 가공에서의 거리(L)을 거리(Lk)로 하여, Ln>Lk이다. 따라서, 프레셔풋(7)은 거리(Ln)의 경우에 있어서도, 또한 거리(Lk)의 경우에 있어서도, 드릴(6)의 선단은 하단면(7b)보다 일정 거리(h)(통상, 2~3㎜. 여기서는 2㎜)만큼 상방으로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에 접했을 때, 스핀들 유닛(1)의 선단(1a)과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의 거리는 Lk이며, 드릴(6)의 선단은 하단면(7b)으로부터 거리(h)의 위치에 있다.
도시한 경우, 통기 구멍(8)은 직경이 m인 원형이다. 또한, 통기 구멍(8)의 외기에 면하는 측의 상단(8oa)과, 프레셔풋 내 공간(31)에 면하는 측의 상단(8ia)의 Z 방향의 높이는 동일하다. 하단(8ib)은 드릴(6)의 선단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에 접했을 때에 프레셔풋 내 공간(31)을 외기와 연통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유닛(1)의 선단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단(8ib)이 모따기부 상측(1j)보다 하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 있어서, m=3㎜로 한다. 본 예에 있어서, 통기 구멍(8)의 형상은 원형으로 했지만, 통기 구멍(8)을 작은 타원 형상의 긴 구멍으로 해도 된다.
셔터(50)의 하단(50a)은,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또는, 접했을 때)에, 통기 구멍(8)의 하단(8ob)으로부터의 거리가 h가 되도록 하여, 홀더(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셔터(50)의 폭은, 통기 구멍(8)의 폭(m; 개구 직경)의 양단보다 일측으로 2㎜ 이상 길이가 길며, 판 두께(t)는 1~2㎜이다. 또한, 상기 도 3(a)에 도시한 거리(H)는,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또는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에 접했을 때)의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으로부터 셔터(50)의 하단(50a)까지의 거리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스핀들 유닛(1)이 수평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은 프린트 기판(20)으로부터 이격되어, 통기 구멍(8)의 하단(8ob)으로부터 셔터(50)의 하단(50a)에 대향하는 위치까지는 외기에 접하고 있다. 또한, 드릴용 구멍(10)도 개방되어 있으므로, 통기 구멍(8)이나 드릴용 구멍(10)을 통해 외기가 프레셔풋 내 공간(31)에 유입된다. 이 결과, 드릴용 구멍(10) 부근의 압력은 대기압에 가까워지므로, 프린트 기판(20)이 부상하지 않는다.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에 접하고 나서 드릴(6)의 선단이 프린트 기판(20)에 접할때까지의 시간 동안, 셔터(50)와 드릴(6)(즉, 스핀들 유닛(1))은 일체로 하강한다. 따라서,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에 접하고 나서 드릴(6)의 선단이 프린트 기판(20)에 접할때까지의 시간 동안, 셔터(50)가 하강함으로써, 통기 구멍(8)의 실질적인 단면적은 점차 작아져, 드릴(6)의 선단이 프린트 기판(20)에 접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멍(8)은 셔터(50)에 의해 외기와 차단되어, 통기 구멍(8)의 실질적인 단면적은 0이 된다. 따라서, 가공시, 프레셔풋 내 공간(31)의 음압은 유지된다.
가공이 종료하여, 드릴(6)의 선단이 프린트 기판(20)으로부터 이격된 후에는, 셔터(50)가 통기 구멍(8)에 대해 상승함으로써, 통기 구멍(8)의 실질적인 단면적은 점차 증가하며, 프레셔풋(7)의 하단면(7b)이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에는 프레셔풋 내 공간(31)은 대기압에 근접한 값이 된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20)이 부상하지 않는다. 이러한 효과는 통기 구멍(8)의 직경이 3㎜ 이상에서 얻어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통상 가공시에서의 거리(Ln)는 고정밀도 가공에서의 거리(Lk)보다 크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홀더(2)의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스핀들(1) 위치만 변경하므로, 동작은 상기한 고정밀도 가공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셔터(50)의 재질로서는, 강성이 큰 합성수지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다음의 이유에서 m≥h가 바람직하다.
1. 상술한 바와 같이 h는 2㎜ 정도 이하이며, h가 작아지면 가공이 어려워지므로, 크게 하는 것이 통기 구멍(8)의 가공이 용이함.
2. 셔터(50)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통기 구멍(8)의 입구에 패킹 등을 장착한 경우, 프레셔풋(7)의 표면과 단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m≥h로 해 두면, 처음부터 셔터(50)를 패킹에 올려놓은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동작시에 셔터(50)가 패킹 등의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고, 셔터(50)가 원활하게 움직이게 됨.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m<h여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 구멍(8)은 비교적 작은 개구 직경(m)에서도 효과가 있으므로, 개구 직경을 5㎜ 이하로 하면 통기 구멍(8)을 반드시 상기와 같은 평탄한 면에 형성하지 않아도 셔터(50)가 패킹 등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도면과 같은 프레셔풋(7)의 원통 형상 측벽에 직접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구 직경이 작은 통기 구멍(8)을 복수개 형성하며, 일체형 또는 각각 개별의 셔터(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깊이가 K인 구멍을 가공하는 경우, 드릴(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K만큼 하강한다. 이때, 셔터(50)의 하단(50a)도 K만큼 하강하므로, 미리 (H-h)≥K로 해 둘 필요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멍(8)의 축선을 좌측 상방으로 하면, 통기 구멍(8)의 하단(8ob)의 위치를 하단(8ib)의 위치보다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H-h)≥K를 실현할 수 있다.
1 : 스핀들 유닛
2 : 홀더
6 : 공구(드릴)
7 : 프레셔풋
8 : 통기 구멍
20 : 가공물
31 : 프레셔풋 내 공간
50 : 셔터

Claims (1)

  1. 홀더에 유지되며, 공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스핀들 유닛과,
    상기 홀더에 상기 공구의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스핀들 유닛의 선단(先端)을 덮도록 하여 상기 스핀들 유닛에 끼움결합하는 프레셔풋(pressure foot)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셔풋의 측면에 상기 프레셔풋과 상기 스핀들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외기(外氣)를 연통할 수 있는 통기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을 음압원(負壓源)에 접속하며,
    상기 프레셔풋에 의해 가공물을 가압하여, 상기 통기 구멍을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공구에 의해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도록 한 프린트 기판 천공기로서,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홀더에 대해 가장 상기 가공물 측에 위치결정된 상기 스핀들 유닛에 유지된 상기 공구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의 상면에 접했을 때에 상기 공간과 외기를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에 접하지 않을 때, 일단이,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에 접하지 않을 때 상기 프레셔풋의 외면에 개구되는 상기 통기 구멍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에 접하지 않을 때의 상기 프레셔풋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공구의 선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 만큼 상방에 위치결정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에 유지되는 판 형상(板狀)의 셔터를 설치하며,
    상기 공구의 선단이 상기 가공물의 상면에 접했을 때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공간을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천공기.

KR1020110023007A 2010-03-31 2011-03-15 프린트 기판 천공기 KR101934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0388 2010-03-31
JP2010080388A JP5601865B2 (ja) 2010-03-31 2010-03-31 プリント基板穴明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861A true KR20110109861A (ko) 2011-10-06
KR101934307B1 KR101934307B1 (ko) 2019-01-02

Family

ID=4494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07A KR101934307B1 (ko) 2010-03-31 2011-03-15 프린트 기판 천공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01865B2 (ko)
KR (1) KR101934307B1 (ko)
CN (1) CN102248198B (ko)
TW (1) TWI5237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5607B (zh) * 2017-06-20 2019-10-08 广州兴森快捷电路科技有限公司 Pcb板的钻孔方法、系统、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JP7046684B2 (ja) * 2017-06-23 2022-04-04 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ドリル加工装置及びドリル加工方法
CN107457824B (zh) * 2017-08-23 2023-03-21 苏州市吴通电子有限公司 一种pcb板孔除渣机
CN113414834A (zh) * 2021-08-20 2021-09-21 苏州维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钻孔机自动压板方法及钻孔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910A (ja) * 1998-06-22 2000-01-11 Howa Mach Ltd プリント基板加工機の切り屑除去装置
JP3967991B2 (ja) * 2002-10-10 2007-08-29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穴明機における基板押え装置
JP2008080433A (ja) * 2006-09-27 2008-04-10 Hitachi Via Mechanics Ltd プリント基板穴明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3713B (zh) 2016-03-01
CN102248198A (zh) 2011-11-23
KR101934307B1 (ko) 2019-01-02
CN102248198B (zh) 2015-02-25
JP2011212757A (ja) 2011-10-27
JP5601865B2 (ja) 2014-10-08
TW201201931A (en)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0371B2 (ja) 角パイプの穴開加工装置
KR101168767B1 (ko) 프린트기판 가공기
US8534967B2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20080292416A1 (en) Printed circuit board machinging apparatus
KR20110109861A (ko) 프린트 기판 천공기
JPH03178707A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における基板押え装置
JP4795377B2 (ja) レーザ加工装置
CN205650962U (zh) 一种激光切割机
JP2007061980A (ja) 切削加工装置および切削加工方法
JP4295018B2 (ja) 穴明け加工方法
JP2000005910A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の切り屑除去装置
JPWO2007000804A1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穿孔方法、プリント配線基板、boc用基板及び穿孔装置
JP2008080433A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
JP3967991B2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における基板押え装置
JP2018094626A (ja) パイロット金型を備えたパイプ材の穴明け加工用の金型装置及びその金型装置を用いたパイプ材の穴明加工装置。
JP5578747B1 (ja) テーパ加工装置
JP5193887B2 (ja) パンチプレス
JP2011051076A5 (ko)
JP4017895B2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
JP2019202377A (ja) 基板加工装置および基板加工方法
CN214770270U (zh) 一种切弧打孔机
JP6406696B2 (ja) 孔開け装置
JP5437457B1 (ja) 絶縁スペーサの面取り方法
CN218532911U (zh) 一种打孔装置
JPH09267189A (ja) レーザ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