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294A - 슬라이딩 램프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294A
KR20110109294A KR1020100028948A KR20100028948A KR20110109294A KR 20110109294 A KR20110109294 A KR 20110109294A KR 1020100028948 A KR1020100028948 A KR 1020100028948A KR 20100028948 A KR20100028948 A KR 20100028948A KR 20110109294 A KR20110109294 A KR 20110109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arriage
lifting bracket
lamp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알앤디
Priority to KR102010002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294A/ko
Publication of KR2011010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stored under the loading floor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used for more than one height of loading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의 승하차를 위해 차량으로 부터 인출입되어 경사지게 놓이는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면서 별도의 동력이 없이 후단부가 상승되어 차량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가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슬라이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버스의 바닥 하부에서 버스 승강구를 향하여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캐리지와, 전방 선단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캐리지의 전방 선단에 힌지 연결된 리프팅 브라켓과, 상기 리프팅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리프팅 브라켓의 전방 선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버스 바닥 하부로 인입되고 버스 바닥 하부로부터 승강구를 지나 승강구 외측으로 인출되는 램프 플랫폼과,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그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캐리지와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리프팅 브라켓을 회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과, 상기 로드 선단이 상기 캐리지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를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되되, 상기 램프 플랫폼은 상기 캐리지가 버스의 승강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의 하부로 수용되게 인입되고, 상기 캐리지가 승강구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리프팅 수단에 의해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그 리프팅 브라켓의 선단에 연결된 후단 말단이 들려져 버스의 바닥 가장자리의 높이까지 상승되며 선단은 도로 바닥에 접촉되어 경사지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램프{SLIDING LAMP}
본 발명은 슬라이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의 승하차를 위해 차량으로 부터 인출입되어 경사지게 놓이는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면서 별도의 동력이 없이 후단부가 상승되어 차량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가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슬라이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노약자 및 장애인의 승, 하차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버스의 최저 지상고를 400mm 이하로 설계하는 초저상 버스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 바, 이러한 초저상 버스에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애인의 휠체어가 출입할 수 있도록 버스의 바닥면에서 도로까지 인출되는 슬라이딩 램프(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슬라이딩 램프(100)는 버스의 바닥에 구비된 차체 프레임(F)에 고정된 램프 카세트(100a)에서 램프 플랫폼(100b)이 도로까지 경사지게 인출되어 그 선단이 지면에 접촉되게 인출는데, 그 램프 플랫폼(100b)은 카세트(100a)로부터 밀리거나 당겨져 버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램프(100)는 버스의 승강구 바닥을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F)에 고정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버스 바닥면(B)과 램프 플랫폼(100b) 사이에 단차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차(H)를 해결하기 위하여 버스 바닥면(B)과 램프 플랫폼(100b) 사이에 단차 연결판(100c)를 설치하였으나, 단차 연결판(100c)에서 램프 프랫폼(100b)보다 경사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어 휠체어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슬라이딩 램프(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00b)의 선단이 지면에 접촉된다.
그런데, 버스는 사람의 승하차 및 휠체어가 플랫폼(100b)의 상부로 이동되거나 그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경우에 좌우로 요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플랫폼(100b)의 선단이 지면과의 마찰로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램프(100)는 운전석에서 멀리 떨어진 승강구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램프(100)의 램프 플랫폼(100b)이 인출입 작동시 그 주위에 있는 승객이 슬라잉 램프(100)의 작동을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램프(100)는 램프 카세트(100a)를 버스의 차체 프레임(F)에 연결하여 장착되는데, 버스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램프(100)의 장착이 용이하기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면서 후단부가 상승되어 차량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가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슬라이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 플랫폼의 선단에 접촉롤러를 설치하여 램프 플랫폼의 선단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램프의 작동시 음성으로 작동여부를 출력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 플랫폼의 양측에 발광 램프를 설치하여 램프 플랫폼이 인출입 작동 중인 상태에서는 작동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인출되어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램프의 발광으로 이용자가 램프 플랫폼의 가장자리를 인지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 움직이고 있거나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램프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버스의 바닥 하부에서 버스 승강구를 향하여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캐리지와, 전방 선단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캐리지의 전방 선단에 힌지 연결된 리프팅 브라켓과, 상기 리프팅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리프팅 브라켓의 전방 선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버스 바닥 하부로 인입되고 버스 바닥 하부로부터 승강구를 지나 승강구 외측으로 인출되는 램프 플랫폼과,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그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캐리지와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리프팅 브라켓을 회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과, 상기 로드 선단이 상기 캐리지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를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되되, 상기 램프 플랫폼은 상기 캐리지가 버스의 승강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의 하부로 수용되게 인입되고, 상기 캐리지가 승강구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리프팅 수단에 의해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그 리프팅 브라켓의 선단에 연결된 후단 말단이 들려져 버스의 바닥 가장자리의 높이까지 상승되며 선단은 도로 바닥에 접촉되어 경사지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상기 리프팅 수단은,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그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캐리지와 리프팅 브라켓이 힌지 연결된 부분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상기 램프 플랫폼의 선단에는 접촉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와, 버스의 속도와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작동 스위치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감지부로터 버스의 속도가 0이고 브레이크가 작동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상기 램프 플랫폼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발광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출입되는 도중 및 인출된 상태에 상기 발광램프를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경우 그 작동을 안내하는 음성을 저장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출력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면서 후단부가 상승되어 차량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가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램프 플랫폼의 선단에 접촉롤러를 설치하여 램프 플랫폼의 선단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슬라이딩 램프의 작동시 음성으로 작동여부를 출력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램프 플랫폼의 양측에 발광 램프를 설치하여 램프 플랫폼이 인출입 작동 중인 상태에서는 작동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인출되어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램프의 발광으로 이용자가 램프 플랫폼의 가장자리를 인지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차량이 움직이고 있거나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램프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의 일부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의 램프 플랫폼이 인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 종래의 슬라이딩 램프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의 일부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의 램프 플랫폼이 인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램프는 레일(10), 캐리지(20), 리프팅 브라켓(30), 램프 플랫폼(40), 리프팅 수단(50), 실린더(60), 제어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10)은 상기 캐리지(20)이 가이드되기 위한 구성으로, 버스의 바닥(B) 하부에서 버스 승강구(D)를 향하여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의 바닥(B)의 하부에서 버스 바닥 구조물인 프레임(F)에 연결된다. 상기 레일(10)은 상기 승강구(D)의 위치에서 승강구(D)로부터 멀어지게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통상 상기 램프 플랫폼(30)은 버스 승강구(D)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레일(10)은 버스 승강구(D) 너비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30)는 버스 승강구(D)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레일(10)에 지지되어 그 레일(10)을 따라 가이드되어 버스의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캐리지(20)는 상기 레일(10)에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버스 바닥(B)의 하부에서 버스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상기 캐리지(20)의 이동에 따라 이에 연결된 리프팅 브라켓(30) 및 램프 플랫폼(40)도 버스의 폭방향으로 일체로 왕복이동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지(20)는 상기 램프 플랫폼(40)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갖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레일(10)에 양단이 지지된다.
상기 캐리지(20)의 전방 선단에는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그 후단이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캐리지(20)에는 상기 캐리지(20)를 버스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60)의 로드(61) 이 연결된다.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은 상기 캐리지(20)가 버스의 승강구(D)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램프 플랫폼(40)이 버스의 바닥(B)의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램프 플랫폼(40)과의 후단과 차량의 바닥(B)과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은 전방 선단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캐리지(20)의 전방 선단에 힌지로 연결된다.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은 상기 리프팅 수단(50)에 의해 전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은 상기 캐리지(20)가 승강구(D)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램프 플랫폼(40)이 버스 바닥(B)의 외부로 빠져나가고 연이어 버스 바닥(B)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상기 리프팅 수단(50)에 의해 전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버스 승강구(D)에서 차체 프레임(F)과 같은 단턱)에 걸려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이 회동됨으로써 그 전단에 후단이 힌지 연결된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2는 상기와 같이 램프 플랫폼(40)이 인출되어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이 회동에 의해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이 상방으로 들려져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이 버스 바닥(B)의 높이와 같아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램프 플랫폼(40)이 인출된 상태에서 버스 바닥(B)의 하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실린더(60)에 의해 상기 캐리지(20)가 버스 승강구(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S1)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버스 승강구(D) 쪽에서 프레임(F)에 전단부가 걸린 리프팅 브라켓(30)이 그 전단부가 하강하는 방향(S2)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캐리지(20)를 따라 이동되며, 그와 동시에 램프 플랫폼(40)이 버스 바닥(B)의 하부로 인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실린더(60)에 의해 상기 캐리지(20)가 버스 승강구(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S1)으로 계속 이동되어 리프팅 브라켓(30)이 완전히 버스 바닥(B)의 하부로 인입되고 그 리프팅 브라켓(30)에 후단이 연결된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이 버스 바닥(B)의 하부로 막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램프 플랫폼(40)이 완전히 버스 바닥(B)의 하부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3c에서와 같이 램프 플랫폼(40)이 완전히 버스 바닥(B)의 하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램프 플랫폼(40)이 버스 승강구(D)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과정은 도 3a 내지 도 3c와 반대의 과정을 거쳐 도 1 및 도 2의 상태가 되게 진행된다.
상기 램프 플랫폼(40)은 상기 버스 바닥(B)의 하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휠체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도로(R)와 버스의 바닥(B)에 놓이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 플랫폼(40)은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의 전방 선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2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버스 바닥(B)의 하부로 인입되고 상기 버스 바닥(B)의 하부로부터 인출된다. 특히, 상기 램프 플랫폼(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B)의 하부에 수용되게 인입되고, 상기 캐리지(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B)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의 회동에 의해 후단 말단이 들려져 차량의 바닥(B) 가장자리와 연결되며 선단은 도로(R) 바닥에 접촉되어 경사지게 놓인다.
한편, 램프 플랫폼(40)이 인출되어 그 선단이 도로(R)의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차량의 좌우 요동이나 램프 플랫폼(4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램프 플랫폼(40)의 선단이 도로(R)와의 마찰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본 발명은 상기 램프 플랫폼(40)의 선단에 접촉롤러(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램플 플랫폼(40)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작동중이거나 램프 플랫폼(40)이 완전히 인출되어 경사지게 놓인 상태에서 이용자가 램프 플랫폼(40)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시각적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플랫폼(4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발광램프(77a)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램프(77a)는 하술하는 제어수단(7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발광램프(77a)는 장착플레이트(77)에 수개가 배열설치되어 상기 장착플레이트(77)를 램프 플랫폼(40)에 부착시켜 램프 플랫폼(40)에 장착된다.
상기 리프팅 수단(50)은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을 그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상기 리프팅 수단(50)으로 스프링이 상기 캐리지(20)와 리프팅 브라켓(30)의 후단이 힌지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의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스프링으로 구성된 리프팅 수단(50)은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이 그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캐리지와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리프팅 브라켓(30)을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램프 플랫폼(40)이 버스 바닥(B)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연이어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이 버스 승강구(B) 외측 방향으로 빠져나오면 상기 리프팅 수단(50)인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리프팅 브라켓(30)은 그 전단이 상방으로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되고, 그에 따라 램프 플랫폼(40)은 후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리프팅 수단(50)으로 구성된 스프링은 스프링력이 강하면 상기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을 상승시켜 강하게 지지할 수 있으나, 상기 캐리지(20)의 후퇴로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인출입구(15)로 딸려 들어가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력은 저항력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 스프링(50)의 스프링력은 상기 실린더(60)의 출력을 고려하여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상기와 같이 리프팅 브라켓(30)이 회동되어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이 차량의 바닥(B)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은 상기 버스 바닥(B)의 하부로부터 빠져나와 그 전방 선단이 후방 말단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회동되어 상기 버스 승강구(B) 쪽 차체 프레임(F)에 걸려 지지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리프팅 브라켓(30)의 전단의 위치(P1)가 후단의 위치(P2)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램프 플랫폼(4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리프팅 브라켓(30)이 그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램프 플랫폼(40)에 가해진 하중은 리프팅 브라켓(30)의 전단의 위치(P1)가 후단의 위치(P2)보다 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을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를 주게 되는데 리프팅 브라켓(30)은 프레임(F)에 걸려 후방으로는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브라켓(30)은 상기 램프 플랫폼(40)의 후단이 상승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60)는 상기 캐리지(2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실린더(60)는 캐리지(20)의 너비가 넓기 때문에 좌우로 균형있게 힘을 가하도록 좌우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60)는 로드(61)가 캐리지(20)에 연결되어 실린더 케이스(62)의 내부로 출몰되면서 캐리지(20)을 버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실린더(60)은 제어수단(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실린더(60)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램프 플랫폼(4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지(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s/w)와, 차량의 속도와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감지부(72) 및 브레이크 감지부(73)와, 작동 스위치(s/w)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속도감지부(72) 및 브레이크 감지부(73)로터 차량의 속도가 0이고 브레이크가 작동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실린더(60)을 구동시키도록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1)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75)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60)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어부(71)는 실린더 구동부(74)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상기 실린더 구동부(74)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탱크(74c)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작동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74a) 및 작동유체의 흐름을 전환하여 상기 실린더(6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환밸브(74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70)의 제어부(71)는 상기 램프 플랫폼(4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발광램프(77a)를 발광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70)의 제어부(71)는 상기 램프 플랫폼(40)이 인출입되는 도중 및 인출된 상태에 상기 발광램프(77a)를 발광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슬라이딩 램프의 작동을 음성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76)가 상기 제어수단(70)에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1)는 상기 램프 플랫폼(40)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경우 그 작동을 안내하는 음성을 저장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출력부(76)을 제어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슬라이딩 램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레일
20 캐리지
30 리프팅 브라켓
40 램프 플랫폼
41 접촉롤러
50 리프팅 수단
60 실린더
61 로드
62 케이스
70 제어수단

Claims (6)

  1. 버스의 바닥 하부에서 버스 승강구를 향하여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캐리지와, 전방 선단이 들려지고 내려지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캐리지의 전방 선단에 힌지 연결된 리프팅 브라켓과, 상기 리프팅 브라켓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후방 말단이 상기 리프팅 브라켓의 전방 선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버스 바닥 하부로 인입되고 버스 바닥 하부로부터 승강구를 지나 승강구 외측으로 인출되는 램프 플랫폼과,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그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캐리지와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리프팅 브라켓을 회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과, 상기 로드 선단이 상기 캐리지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를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실린더가 구비되되,
    상기 램프 플랫폼은 상기 캐리지가 버스의 승강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의 하부로 수용되게 인입되고, 상기 캐리지가 승강구 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 바닥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리프팅 수단에 의해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그 리프팅 브라켓의 선단에 연결된 후단 말단이 들려져 버스의 바닥 가장자리의 높이까지 상승되며 선단은 도로 바닥에 접촉되어 경사지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은, 상기 리프팅 브라켓이 그 선단이 들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캐리지와 리프팅 브라켓이 힌지 연결된 부분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플랫폼의 선단에는 접촉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램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와,
    버스의 속도와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작동 스위치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감지부로터 버스의 속도가 0이고 브레이크가 작동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플랫폼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발광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출입되는 도중 및 인출된 상태에 상기 발광램프를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램프 플랫폼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경우 그 작동을 안내하는 음성을 저장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출력부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램프.
KR1020100028948A 2010-03-31 2010-03-31 슬라이딩 램프 KR20110109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48A KR20110109294A (ko) 2010-03-31 2010-03-31 슬라이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48A KR20110109294A (ko) 2010-03-31 2010-03-31 슬라이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94A true KR20110109294A (ko) 2011-10-06

Family

ID=4502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948A KR20110109294A (ko) 2010-03-31 2010-03-31 슬라이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2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825A1 (en) 2017-10-09 2019-04-18 The Braun Corporation RAMP ASSEMBLY FOR MOTOR VEHICLE
KR20190063910A (ko) * 2017-11-30 2019-06-10 황성공업 주식회사 차량 탑승 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825A1 (en) 2017-10-09 2019-04-18 The Braun Corporation RAMP ASSEMBLY FOR MOTOR VEHICLE
EP3694748A4 (en) * 2017-10-09 2021-06-16 The Braun Corporation RAMP ARRANGEMENT FOR MOTORIZED VEHICLE
KR20190063910A (ko) * 2017-11-30 2019-06-10 황성공업 주식회사 차량 탑승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1042B2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US7607711B2 (en) Power operated retractable tailgate assembly
KR20050121688A (ko) 슬라이딩 승강 단
JP4640588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5833268B1 (ja) 車両用窓ガラス昇降装置及び車両
US8745800B1 (en) Fold out ramp
KR20110109294A (ko) 슬라이딩 램프
EP3003947A1 (en) Retractable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JP5447989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6026862B2 (ja) 軌陸車両搭載用クレーン
CN101830385A (zh) 电梯的轿厢门装置
CN108193734B (zh) 大型挖掘机登车梯系统
KR101144394B1 (ko) 화물 차량용 가변형 스포일러
KR101022041B1 (ko) 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 램프
JP2010137687A (ja) 建設機械の乗降用ステップ装置
CA1087555A (en) Wheel chair lift for vehicles
CA2960482A1 (en) Lift with telescopic platform and guard rails
JP2008286306A (ja) 昇降装置用パワーユニット
CN109367545B (zh) 伸缩式站台补偿器
JP6201932B2 (ja) 車両の乗降装置
KR102377763B1 (ko) 덤프트럭의 안전장치
CN107444572B (zh) 隐藏式泳梯装置
KR101048476B1 (ko) 슬라이딩 램프
JP2000297554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4408685B2 (ja) 車両用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