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061A -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061A
KR20110107061A KR1020100026223A KR20100026223A KR20110107061A KR 20110107061 A KR20110107061 A KR 20110107061A KR 1020100026223 A KR1020100026223 A KR 1020100026223A KR 20100026223 A KR20100026223 A KR 20100026223A KR 20110107061 A KR20110107061 A KR 2011010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teel sheet
mist
plated steel
p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152B1 (ko
Inventor
이용현
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2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1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23C2/00342Moving elements, e.g. pumps or mixers
    • C23C2/00344Means for moving substrates, e.g. immersed rollers or immersed 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C23C2/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with means for measuring or sensing
    • C23C2/524Position of the substrate
    • C23C2/5245Position of the substrate for reducing vibrations of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5/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use of gas or air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도금강판의 진행을 지지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도금강판 진행롤 특히, 서포트 롤의 표면에 이물 특히, 도금물질(용융아연)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도금강판 진행롤에 근접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 및,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면서 롤 표면에 수막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미스트 발생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강판의 진행을 지지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서포트 롤)의 표면 전체에 빈틈없는 균일한 수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이를 통하여 롤과 강판 표면의 냉각은 물론, 도금물질(용융아연)이나 기타 이물 등의 롤 표면 부착을 안정적으로 방지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Materials from Attaching to Support Roll for Coated Strip}
본 발명은 도금강판 진행롤 특히, 도금강판 서포트 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금강판의 진행을 지지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도금강판 서포트 롤의 표면 전체에 빈틈없는 균일한 수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이를 통하여 롤 표면이나 강판의 표면 냉각은 물론, 도금물질(용융아연)이나 기타 이물 등의 롤 표면 부착을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하게 한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도금 공정 특히, 용융 아연을 연속적으로 강판에 도금하는 연속 아연 도금 공정을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아연 도금라인(CGL)은, 도금되는 연속 진행 강판(스트립)(100)은 도금조(110)에 채워진 용융아연(112)을 통과하면서, 아연 도금된다.
이때, 도 1과 같은 도금조에 투입된 강판(100)의 진행 방향은 도금조(110)내에 배치된 싱크롤(sink roll)(120)에 의해 상향으로 전환되는 한편, 상기 싱크롤 상부의 스테빌라이징 롤(130)들에 의하여 강판의 상향 진행이 조정된다.
그리고, 도금조를 통과하여 용융아연(112)이 부착된 강판(100)은 도금조 직상부의 에어 나이프(와이핑 노즐)(140)을 통과하면서 분사되는 고압의 기체(에어)에 의하여 강판 표면에 부착된 용융아연이 깍여지면서 강판의 도금두께가 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나이프를 통과한 도금 강판은 상부의 도금강판 진행롤 즉, 도금강판 서포트 롤(150)과 냉각타워(160)를 거치면서 도금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서포트 롤(터치롤이라고도 한다)은, 진행되는 도금강판을 지지하여, 도금강판의 진행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 서포트 롤(150)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진행되는 강판이 터치되면서 강판 진행을 지지하여 진동을 억제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다음의 도 4에서 설명하듯이, 외부 구동원으로 구동되고, 강판을 향하여 강판 두께에 대응하여 이동하면서 진행 도금강판을 지지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도금강판의 진행시 발생되는 진동은 도 1과 같이, 도금조내의 스테빌라이징 롤(130)과 도금조 상부의 서포트 롤(150)이 협력하여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강판 연속 도금 공정에서, 도금강판의 진동은, 도금조 내부의 싱크롤과 스테빌라이징롤의 자체 진동과 냉각 타워에서의 에어 분사에 의한 원인으로 발생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도금 강판이 진행되면서 발생되는 강판의 진동은 앞에서 설명한 에어 나이프에서의 도금두께 편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금강판의 도금 품질을 결정하여 도금강판의 진행중 발생되는 진동의 억제는 도금강판의 생산단계에서 중요하다.
특히, 근래 도금강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판의 고속진행을 전제로 도금 특히, 아연 도금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강판이 고속으로 진행되면 될 수록 강판의 진동을 더 증폭되고, 따라서 강판 진동을 억제하는 서포트 롤(150)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도금강판 서포트 롤(150)(즉, 강판 진동을 억제토록 강판과 터치되면서 지지하는 터치롤)은, 강판의 표면의 도금물질 즉, 용융아연이 전달되어 그 표면에 부착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포트 롤의 표면에 부착되는 용융 아연은 누적되면, 롤을 통과하는 강판 표면에 다시 전달되어 용융아연이 강판 표면에 부착되고, 이는 결국 강판의 도금 품질 즉, 표면의 도금두께가 일정하지 않거나 국부적인 과도금 등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서포트 롤의 표면에 강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용융아연의 부착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53368호에서는, 이와 같은 서포트 롤의 표면에 용융아연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하여, 롤 표면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허의 경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롤 표면에 냉각수를 삼투압 현상의 의해 고온의 서포트 롤(터치롤) 표면으로 전달시키는 와이퍼 패드를 이용하여 롤 표면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와이퍼 패드는, 통상 수분 공급성이 양호한 인조 가죽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강판의 폭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되는 서포트 롤의 형태 특성으로 인하여, 인조 가죽인 와이퍼 패드가 롤 표면의 전 부분에 걸쳐서 균일하게 접촉하거나 그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결국 롤 표면에서의 수막분포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국부적인 용융아연 또는 기타 이물이 부착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와이퍼 패드는 롤 표면에 직접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마모되어 실질적인 롤 표면의 수막 형성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비 보수에 따른 조업 부하도 상당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금강판 진행롤 특히, 서포트 롤의 표면에 수막을 매우 용이하게 형성하되, 특히 종래 와이퍼 패드 대신에 그 수막 형성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실질적인 이물 부착성을 높인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도금강판의 진행을 지지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도금강판 진행롤 특히, 서포트 롤의 표면 전체에 균일한 수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하여, 서포트 롤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고 빈틈없이 수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일차적으로는 롤 표면이나 롤을 통과하는 강판 표면의 냉각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특히 도금강판의 용융아연이나 기타 이물 등의 롤 표면 부착을 안정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도금강판 진행롤에 근접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 및,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면서 롤 표면에 수막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미스트 발생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금강판 진행롤은, 도금강판의 진동을 억제토록 도금조 상부에 배치되는 진행강판 서포트 롤로 제공되고,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기 서포트 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롤 의 하부에 위치되고 표면에 근접 위치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스트 발생유닛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면서 롤표면에 미스트를 분출토록 제공되는 미스트 노즐수단; 및,
상기 미스트 노즐수단에 연계되는 미스트 발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 노즐수단은, 장치 하우징의 하부에 제공된 물 저장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노즐 몸체 및, 상기 노즐 몸체의 상단에 롤 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된 미스트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물 저장부에 제공되면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 몸체에는 미스트 또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몸체의 내부에는 소형 팬이 더 구비되어 적어도 미스트 순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의 압전소자는,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의 압전소자는, 롤 주변으로 강판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강판진동 감지센서 및 강판온도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연계되거나, 강판 진행속도가 사전에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장치 제어부와 연계되어 제어 작동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제어부에는, 장치 하우징의 물 저장부에 연계되는 물 공급관 또는, 더 연계되는 물 배출관에 구비된 전자식 밸브와 연계되고, 상기 물 저장부에는 상기 장치 제어부와 연계되는 레벨 센서가 더 배치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하우징의 상단에는 가이드롤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에 의하면, 기존 패드 방식 대신에, 미스트 공급방식으로 도금강판 진행롤 특히, 서포트 롤의 표면 전체에 걸쳐서 빈틈없이 균일한 수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롤 표면 또는 롤을 통과하는 강판 표면의 냉각은 물론, 특히 용융아연이나 기타 이물질의 롤 표면 부착이 안정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도금강판 진행롤 특히, 서포트 롤의 이물 예를 들어, 용융아연은 물론, 기타 다른 이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서포트 롤을 통과하는 진행 도금강판의 표면 손상이 예방되고, 롤에 부착된 이물에 의한 강판의 진동 증폭 등을 방지시키어 도금강판의 품질이나 생산성을 향상 가능하게 하는 등의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알려진 도금강판 진행롤 즉, 서포트 롤을 도시한 연속 아연 도금 공정(CGL)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본 발명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본 실시예에서 크게 도금강판을 지지하는 서포트 롤 (150)에 근접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롤 표면의 수막형성을 위한 미스트를 발생토록 제공되는 미스트 발생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진행되는 도금강판(100)을 지지하는 서포트 롤(150)의 하부에 근접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물 입자를 다량 포함하는 미스트(M)를 서포트 롤의 하부에서 근접 발생시키어 발생된 미스트가 롤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수막에 의하여 이물 특히, 도금강판의 용융물질(용융아연)이 롤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 장치는, 미스트를 이용하여 롤 표면에 수막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롤 표면의 전 부분에 걸쳐서 균일하게 수막을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그 형성 분포도 균일하게 구현되기 때문에, 기존 패드 등을 이용한 수막 형성보다 롤 표면의 이물 부착을 더 안정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 장치를 서포트 롤(150)의 표면에 극박(미세 두께)의 수막(W)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롤 표면과 강판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용융아연의 롤 부착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의 경우 미스트를 롤 하부에서 롤 표면에 전 부분에 걸쳐서 분사시키기 때문에, 롤의 표면이나 롤에 접촉하는 강판의 표면 냉각도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 장치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미스트 발생수단(70)으로 압전소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미스트 발생량의 제어가 정밀하게 구현되는 이점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금강판 진행롤은 실질적으로 서포트 롤(150)로서, 이와 같은 서포트 롤은 도 1과 같이, 외부 구동원이 연결되지 않고, 공회전하면서 진행되는 강판이 터치 지지되거나, 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M)가 롤 축부수(152)로 지지되는 서포트 롤(150)에 연계되어, 외부 구동력이 전달되면서 진행 강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롤 축부수(152)에는 구동실린더(156)들이 연결되어 롤들은 강판 두께 변화에 대응하면서 진행되는 도금강판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본 발명 장치 하우징(10)은, 도 1과 같이 롤이 이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롤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도 4와 같이 롤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 롤(150)의 롤 축부수(152)에 고정되는 이동판(154)사이에 연결대(158)를 매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서포트 롤(150)이 이동하는 경우, 본 발명 장치의 하우징(10)은, 서포트 롤(150)의 구동축(미부호)이 연결되는 롤 축수부(152)에 고정되는 이동판(154)사이에 연결되기 때문에, 롤 축수부(152)가 구동 실린더(156)로 강판 두께에 대응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여 서포트 롤이 이동하는 경우, 동시에 동일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미스트의 롤 표면 분사위치는 롤의 이동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된다.
이때, 공회전하는 실린더와 연동되지 않은 위치 고정된 서포트 롤의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 하우징은 별도 설비 프레임 상에 롤의 하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본 발명 장치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적어도 강판의 최대 폭 보다는 더 길게 설치되는 것이 필요함은 물론이고, 바람직하게는 미스트 발생면적이 도 3과 같이, 강판과 'D'만큼 더 연장되게 하여 롤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도 2의 W)이 적어도 최대 강판의 폭 보다는 크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미스트 발생을 위하여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박스 형태의 물 저장부(12)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물 저장부(12)에는 물 공급관(14)과 물 배출관(16)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1)에서, 상기 미스트 발생유닛(30)은, 크게 장치 하우징(10)의 내부에 제공되면서 롤표면에 미스트(M)를 분사토록 제공되는 미스트 노즐수단(50) 및, 상기 미스트 노즐수단(50)에 연계되는 미스트 발생수단(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장치의 상기 미스트 노즐수단(50)은 미스트 발생수단(7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미스트(M)를 롤 표면에 집중적으로 분사 부착되어 수막의 형성을 원활하게 하면서 수막 분포도 균일하게 하는 미스트의 롤 표면 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스트 노즐수단(50)은, 장치 하우징의 하부에 제공된 물 저장부(12)의 상부에 장착되는 노즐 몸체(52)와, 상기 노즐 몸체(52)의 상부에 롤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된 미스트 노즐부(54)롤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몸체(52)의 양측에는 미스트(M) 또는 응축수(w')가 유입되는 유입구(56)를 더 포함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 몸체(52)의 내부에는 십자 형태의 지지대(미부호)에 설치되는 소형 팬(58)(팬과 모터가 일체로 된 팬 모터일 수 있다)를 제공하여, 적어도 미스트 순환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노즐몸체(52)는 도 2와 같이, 미스트 노즐부(54)를 형성하는 제1 몸체(52a)와, 상기 제1 몸체 사이에서 유입구(56)를 형성하는 제2 몸체(52b)의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노즐 몸체(52)는,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작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형태로 설치하면서, 내부 하측으로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70)을 물 저장부(12)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 몸체 사이의 유입구(56)에는 구멍을 형성하든가 지지막대를 소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미스트가 물 저장부측으로 유입되면서 소형팬에 의하여 새로 발생되는 미스트와 함께 롤 표면으로 순환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롤 표면에서 미스트가 냉각되어 떨어지는 응축수(w')는, 물 저장부(12)로 모이도록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물 저장부 상측으로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노즐 몸체(52)의 장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2 몸체(52b)에는 별도의 부호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응축수가 통과하는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미스트 발생수단(70)에서 발생되는 미스트(M)는, 소형팬(58)에 의하여 노즐수단의 몸체(52) 상부에 형성되는 노즐부(54)를 통하여 근접 위치된 롤 표면에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수막(W)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롤 표면에 바로 부착되지 않은 잔여 미스트는 노즐 몸체의 유입구(56)로 소형팬에 의한 기류형성에 의하여 유입되면서 순환되고,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미스트가 충분하게 롤 표면에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롤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롤 표면의 전체부분에 고르게 공급되어 수막이 롤 표면에 고르게 빈틈없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70)은, 상기 물 저장부(12)의 장치 하우징 바다측에 제공되는 외부 제어되는 압전소자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미스트 발생은 알려져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도금강판 서포트 롤이 적어도 강판 폭 보다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압전소자의 미스트 발생수단(70)은, 도 3과 같이, 소정 간격으로 미스트를 롤 표면에 균일하게 공급하여 수막을 형성토록 다수개가 물 저장부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70)의 압전소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롤 주변으로 진행하는 도금강판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강판 진동 감지센서(90) 또는 강판 온도센서(90')와 연계되는 장치 제어부(C)에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판진동 감지센서(90)는 알려져 있는데, 적외선이나 레이져 빔을 방출하고, 강판에 충돌하여 되돌아 오는 신호 주기를 비교하여 강판 진동폭을 연계된 장치제어부(C)에서 판단하면, 장치 제어부(C)는 압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그 인가 전류량을 제어하면서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미스트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강판의 온도를 온도센서(90')를 통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강판 온도에 맞추어 장치제어부(C)를 통하여 압전소자인 미스트 발생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미스트 발생량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미스트 발생량이 증가하면 롤 표면의 수막층이 증대되고 따라서, 롤과 접촉하는 강판 온도가 하강하여 강판 냉각이 증대되기 때문에, 강판의 온도 감지를 통하여 적정한 강판 온도의 제어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강판온도 감지센서(90')는, 도 2와 같이 롤과 강판이 접촉한 롤 상류측에 강판에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 제어부(C)에 강판 진행속도가 사전에 또는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이를 통하여 장치 제어부(C)는 미스트 발생수단(70)인 압전소자를 제어 작동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강판 진행속도가 '0'인 경우, 롤의 회전(공회전이든 외부 구동이든)이 중단되므로, 연동하여 미스트의 발생을 중단시키고, 강판 진행속도가 증가되면 미스트 발생량 즉, 압전소자에 인가되는 전류 인가량을 장치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여 미스트의 발생 증대를 통하여 롤 표면에 수막을 강판의 고속 진행에 대응하여 롤이 고속 회전되어도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강판의 진행 속도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강판 진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기(센서)(미도시)를 장치 제어부(C)에 연계시키어 실시간으로 강판 진행 속도에 대응하여 압전소자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2에서 롤 하류 측의 강판진동 감지센서(90) 대신에, 강판 진행 속도 감지기(센서)를 배치하여 장치 제어부와 연계하면, 실시간으로 강판 진행 속도에 대응하여 압전소자를 제어 구동시킬 것이다.
다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강판 진행 속도에 연동하여 미스트 발생수단의 압전소자를 일차적으로 제어 작동시키는 것이고, 그 다음 강판 진동이나 온도 상태를 바탕으로 압전소자를 제어 작동시키는 것이나, 이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미스트 발생량을 제어하는 데에도 어려움은 없다.
더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장치 제어부(C)에는, 본 발명 장치 하우징(10)의 물 저장부(12)에 연계되는 물 공급관(14) 또는/및 물 배출관(16)에 구비된 전자식 밸브(V)와 연계되어, 물 저장부로의 물 공급과 드레인을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 형태의 물 저장부(12)에는 레벨 센서(92)가 더 설치하고, 상기 레벨 센서를 전기적으로 장치 제어부(C)와 연계시키면, 물 저장부에서의 물 레벨에 따라 물 공급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강판이 통상 연속적으로 도금이 수행되기 때문에, 도금강판의 연속 도금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물 공급을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어 물 부족으로 조업중에 미스트의 발생이 중단되지 않는 것이다.
더하여,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상단에는 서포트 롤(150)의 표면사이에 배치되면서 미스트의 외부누출을 차단하거나 또는 롤 표면의 수막이 과도하게 형성되면 이를 압착 균일하게 하는 가이드롤(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치 하우징(10)의 상단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분할 위치되는 가이드롤 들을 베어링 지지대(블록) 등을 매개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 장치(1)에서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상부에 개구부(10a)가 형성된 'U'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개구부를 어느 정도 확보하는 것이 롤 표면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는 모아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에 의하면, 기존 패드 등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롤 표면의 수막 형성 자체가 용이함은 물론, 그 형성 균일도도 높아, 롤 표면 전체적으로 고른 수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물 특히 용융아연의 롤 표면 부착을 고르게 방지시키는 것이다.
특히, 미스트 발생량의 제어를 통한 수막두께도 조절할 수 있어 더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10.... 장치 하우징 12.... 물 저장부
30.... 미스트 발생유닛 50.... 미스트 노즐수단
52.... 노즐몸체 54.... 미스트 노즐부
56.... 유입구 58.... 소형팬
70.... 미스트 발생수단 90.... 진동 감지센서
90'.... 온도 감지센서 92.... 레벨 센서
C.... 장치 제어부

Claims (8)

  1. 도금강판 진행롤에 근접 배치되는 장치 하우징(10); 및,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내부에 제공되면서 롤 표면에 수막을 형성토록 제공되는 미스트 발생유닛(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강판 진행롤은, 도금강판의 진동을 억제토록 도금조 상부에 배치되는 진행강판 서포트 롤로 제공되고,
    상기 장치 하우징(10)은, 상기 서포트 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롤의 하부에 위치되고 표면에 근접 위치되는 개구부(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유닛(30)은,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내부에 제공되면서 롤표면에 미스트를 분출토록 제공되는 미스트 노즐수단(50); 및,
    상기 미스트 노즐수단(50)에 연계되는 미스트 발생수단(70);
    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노즐수단(50)은, 장치 하우징의 하부에 제공된 물 저장부(12)의 상부에 장착되는 노즐 몸체(52) 및, 상기 노즐 몸체(52)의 상단에 롤 표면에 근접하여 형성된 미스트 노즐부(54)를 포함하고,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70)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물 저장부에 제공되면서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52)에는 미스트 또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몸체(52)의 내부에는 소형 팬(58)이 더 구비되어 적어도 미스트 순환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발생수단(70)의 압전소자는, 롤 주변으로 강판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강판진동 감지센서(90)와 강판온도 감지센서(9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연계되거나, 강판 진행속도가 사전에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장치 제어부 (C)와 연계되어 제어 작동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어부(C)에는, 장치 하우징의 물 저장부(12)에 연계되는 물 공급관(14) 또는, 더 연계되는 물 배출관(16)에 구비된 전자식 밸브(V)와 연계되고,
    상기 물 저장부(12)에는 상기 장치 제어부와 연계되는 레벨 센서(92)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롤(1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부착 방지장치.
KR1020100026223A 2010-03-24 2010-03-24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 KR10164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23A KR101647152B1 (ko) 2010-03-24 2010-03-24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23A KR101647152B1 (ko) 2010-03-24 2010-03-24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61A true KR20110107061A (ko) 2011-09-30
KR101647152B1 KR101647152B1 (ko) 2016-08-10

Family

ID=4495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223A KR101647152B1 (ko) 2010-03-24 2010-03-24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4077A (zh) * 2017-11-24 2020-06-26 普锐特冶金技术日本有限公司 金属板的形状测量装置、板翘曲矫正装置及连续镀敷处理设备、以及金属板的板翘曲矫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613A (ja) * 1997-01-13 1998-07-28 Kawasaki Steel Corp 溶融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020053633A (ko) * 2000-12-27 2002-07-05 이구택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KR100361754B1 (ko) * 1998-12-18 2003-02-19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냉각방법 및 그 장치_
KR100797837B1 (ko) * 2001-11-13 2008-01-2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장비의 불순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613A (ja) * 1997-01-13 1998-07-28 Kawasaki Steel Corp 溶融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361754B1 (ko) * 1998-12-18 2003-02-19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냉각방법 및 그 장치_
KR20020053633A (ko) * 2000-12-27 2002-07-05 이구택 합금화 용융아연 도금강판의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KR100797837B1 (ko) * 2001-11-13 2008-01-2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장비의 불순물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4077A (zh) * 2017-11-24 2020-06-26 普锐特冶金技术日本有限公司 金属板的形状测量装置、板翘曲矫正装置及连续镀敷处理设备、以及金属板的板翘曲矫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152B1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986B2 (en) Rolling mill roll-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KR20020093938A (ko) 용융도금 금속스트립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7061A (ko) 도금강판 진행롤의 이물 부착 방지장치
CN201543577U (zh) 钢筋表面涂层的涂覆机
KR101189515B1 (ko) 스케일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090001046A (ko) 강판 코팅롤 크리닝장치
JP2005298908A (ja) 液体ワイピング装置
CN102247995A (zh) 一种检测并调节轧辊冷却效果的方法以及轧辊冷却装置
CN102219104A (zh) 一种汽车阻尼片生产中快速降温成型的设备及工艺
JP3514130B2 (ja) 鋼帯の竪型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KR101204461B1 (ko) 에어홀이 구비된 워크롤 와이퍼 장치
KR101431021B1 (ko) 세척액 분사기 및 에어 분사기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
US10030309B2 (en) Machine to chemically engrave a plate of stainless steel
KR20120045829A (ko) 에어 나이프 장치를 가진 아연도금장치
CN205420523U (zh) 一种镀层控制装置及超声波装置
CN219409875U (zh) 一种提高涂机轧制线辊使用周期的装置
KR101308733B1 (ko) 코터 백킹롤의 닥터블레이드 세정장치
KR101359213B1 (ko) 워크롤의 스트리퍼 장치
CN108044830A (zh) 一种橡胶冷却机
KR102219559B1 (ko)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JP4706113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帯の調質圧延方法およびその調質圧延設備
JPH09256130A (ja) 連続溶融金属メッキ装置
KR20110052080A (ko) 강판 이송롤의 이물 제거장치
JP5723212B2 (ja) 洗浄装置、洗浄方法および調質圧延機
KR102065229B1 (ko) 강판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