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727A - 범주선 - Google Patents

범주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727A
KR20110105727A KR1020110024255A KR20110024255A KR20110105727A KR 20110105727 A KR20110105727 A KR 20110105727A KR 1020110024255 A KR1020110024255 A KR 1020110024255A KR 20110024255 A KR20110024255 A KR 20110024255A KR 20110105727 A KR20110105727 A KR 20110105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piece
warp
pieces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유키 오우치
기요시 우자와
가쿠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우치 카이요우 컨설턴트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이치 크래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우치 카이요우 컨설턴트,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이치 크래프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우치 카이요우 컨설턴트
Publication of KR2011010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9/061Rigid sails; Aerofoil s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8Connections of sails to masts, spa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083Masts for sailing ships or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9/067Sai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r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63B2015/0041Telescoping 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arth Drill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범(硬帆)을 가지는 범주(帆走) 기구를 구비하는 범주선으로서, 경범의 높이가 가변인 범주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익단면통체(翼斷面筒體)의 경범편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의 경범편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이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는 경범 집합체와;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통체의 마스트(mast)편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의 마스트편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이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에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는 마스트 집합체와; 동일 단의 경범편의 상단부와 마스트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체와; 최하단의 마스트편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마스트 집합체를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수단을 가지는 범주 기구를 구비하고, 적층하는 마스트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하여 적층하는 경범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경범 집합체를 전개 및 축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범주선{SAILING SHIP}
본 발명은, 경범(硬帆)을 가지는 범주(帆走) 기구를 구비하는 범주선(帆走船)에 관한 것이다.
경범을 가지는 범주 기구를 구비하는 범주선이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5-280533
특허 문헌 1의 경범은, 가로 방향으로 접을 수 있지만, 높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교량 밑을 항행할 때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경범을 가지는 범주 기구를 구비하는 돛을 장착한 배이며, 경범의 높이가 가변인 범주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익단면통체(翼斷面筒體)의 경범편(硬帆片)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最下段)의 경범편을 제외한 각 단(段)의 경범편이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진 경범 집합체와;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통체의 마스트(mast)편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의 마스트편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이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에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진 마스트 집합체와; 동일 단의 경범편의 상단부(上端部)와 마스트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체와; 최하단의 마스트편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과; 마스트 집합체를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수단을 가지는 범주 기구를 구비하고, 적층되는 마스트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하여 적층하는 경범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경범 집합체를 전개 및 축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주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주선에 있어서는, 제1 구동 수단을 사용하여 적층하는 마스트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적층하는 경범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하여, 경범 집합체를 전범(展帆) 또는 축범(縮帆)한다. 제2 구동 수단을 사용하여 전범 상태에 있는 경범 집합체를 바람에 대하여 최적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주선에 있어서는,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익단면통체의 경범편으로 이루어지는 경범 집합체를 전개 및 축소에 의해 높이를 가변으로 하고 있으므로, 경범 집합체는 교량 밑의 항행의 장애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범주선에 있어서는, 최하단의 경범편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이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고 있으므로, 전범 상태의 경범 집합체의 익현(翼弦)의 길이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할수록 증가한다. 한편, 풍속은 갑판으로부터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범주선의 경범 집합체는, 풍력을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주선에 있어서는, 동일 단의 경범편 상단부와 마스트편 상단부를 연결하여, 마스트편이 경범편을 지지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큰 치수의 경범편을 경량의 수지로 형성하고, 경범편에 비해 작은 치수의 마스트편을 강철 등의 고강도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범주 기구의 경량화와 적정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경범편은, 통체 상단부와 통체 하단부에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를 가지고, 통체 상단부의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는 동일 단의 경범편의 상단부와 마스트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체이며, 통체 하단부의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는 경범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프레임이다.
익단면통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통체 상단부와 통체 하단부에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단의 경범편의 상단부와 마스트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통체 상단부의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경범편의 상단부에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재 수가 감소한다. 통체 하단부의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인 경범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프레임에는, 경범 집합체의 전개 및 축소를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범주 기구는, 최하단의 경범편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을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가진다.
최하단의 경범편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을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경범 집합체의 전개 및 축소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조사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조사선이 구비하는 범주 기구의 구조도이다. (a)는 전범 시의 날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며, (b)는 축범 시의 날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며, (c)는 경범 집합체의 사시도이며, (d)는 마스트 집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조사선이 구비하는 범주 기구를 구성하는 경범 집합체와 마스트 집합체와 유압 실린더의 축범 시의 단면도이다. (a)는 날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며, (b)는 날개 두께 방향의 단면도이며, (c)는 마스트편끼리를 걸거나 분리하는 기구의 수평 단면도, (d)는 경범편 사이에 설치된 안내 부재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조사선이 구비하는 범주 기구를 구성하는 경범 집합체와 마스트 집합체와 유압 실린더의 전개 도중의 단면도이다. (a)는 날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며, (b)는 날개 두께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마스트편 구동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범편을 구비하는 범주선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쌍동식(雙胴式) 해양 조사선 A는, 프로펠러 추진 기구(1)와, 경범을 가지는 범주 기구(2)를 구비하고 있다.
범주 기구(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범 집합체(3)와, 마스트 집합체(4)와, 마스트 집합체(4)를 신축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5)와, 마스트 집합체(4)를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기어 장치(6)와, 후술하는 마스트편끼리를 걸거나 분리하는 기구와, 마스트편과 유압 실린더를 걸거나 분리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경범 집합체(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정렬하여 5단으로 적층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경범편(31)을 가지고 있다. 경범편(31)은 대칭익단면통체이며, 최하단의 경범편(31)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31)은,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31)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고 있다. 각 경범편(31)은,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로서, 통체 상단부에 설치된 정상벽(31a)과, 통체 하단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프레임(31b)를 가지고 있다.
마스트 집합체(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정렬하여 5단으로 적층된 강철제의 마스트편(41)을 가지고 있다. 마스트편(41)은 정사각형 단면 통체이며,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은,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고 있다.
동일 단의 경범편(31)의 상단부와 마스트편(41)의 상단부가, 경범편(31)의 정상벽(31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의 상단은 최상단의 경범편(31)의 정상벽(31a)에 의해 막혀져 있다.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의 하단은 바닥벽(41a)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최하단의 마스트편(4) 내에 유압 실린더(5)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5)는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의 바닥벽(41a)에 장착되고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해양 조사선 A의 갑판 A'를 관통하여 상하에 연장되는 포스트(7)가,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지지하고 있다. 모터·기어 장치(6)가 포스트(7)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는,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의 바닥벽(41a)에 하단(下端)이 축지지된 실린더 로드(5a)와, 실린더 로드(5a)의 상부가 삽입된 실린더 튜브(5b)를 가지고 있다.
마스트편끼리를 걸거나 분리하는 기구와 마스트편과 유압 실린더를 걸거나 분리하는 기구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걸거나 분리하는 기구와 상기 걸거나분리하는 기구와 유압 실린더(5)를 사용한 마스트 집합체(4)의 신축 기구의 상세한 것은, 일본특허 제3212467호, 일본특허 제4263280호 등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실린더 튜브(5b)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진퇴 구동되는 걸어맞춤 부재(8)와, 도시하지 않은 다른 유압 실린더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진퇴 구동되는 한쌍의 핀(9)이 장착되어 있다. 걸어맞춤 부재(8)와 핀(9)은, 주위 방향으로 90°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하단 근방부에, 스프링으로 수평 방향 외측으로 가압된 핀(10)이 장착되어 있다.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하단 근방부에, 바로 위쪽단의 마스트편(41)의 핀(10)이 끼워넣어질 수 있는 구멍(11)이 형성되고,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상단 근방부에, 바로 위쪽단의 마스트편(41)의 핀(10)이 끼워넣어질 수 있는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하단 근방부에,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한쌍의 핀(9)이 끼워넣어질 수 있는 한쌍의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범주 기구(2)의 작동을 설명한다.
비범주 시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는 수축되어 있다. 마스트 집합체(4)를 구성하는 마스트편(41) 사이의 상하 방향이 중첩량이 최대값이 되어 마스트 집합체(4)는 수축되어 있고, 경범 집합체(3)를 구성하는 경범편(31)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이 최대값이 되어 경범 집합체(3)는 축범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걸어맞춤 부재(8)가 진출 위치에 있으며, 최상단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도 3의 (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부재(8)는 수평 방향으로 핀(10)과 걸어맞추어지지만, 상하 방향으로는 핀(10)과 걸어맞추어지지 않는다.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한쌍의 핀(9)이 진출 위치에 있으며,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의 한쌍의 구멍(13)에 끼워넣어져,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실린더 튜브(5b)에 고정시키고 있다.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이, 스프링의 가압력을 받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의 구멍(11)에 끼워넣어져,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고정시키고 있다.
범주 시에는, 걸어맞춤 부재(8)가 후퇴 위치로 이동하여, 최상단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형성된 구멍(11)으로부터 이탈하여, 최상단의 마스트편(41)과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과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5)가 신장(伸長)되어 실린더 튜브(5b)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실린더 튜브(5b)에 고정된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정상벽(31a)을 통하여 최상단의 마스트편(41)에 연결된 최상단의 경범편(31)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걸어맞춤 부재(8)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여, 최상단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이,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형성된 구멍(12)에 갑입하여,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고정시킨다.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한쌍의 핀(9)이 후퇴 위치로 이동하여,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의 한쌍의 구멍(13)으로부터 이탈하여, 최상단의 마스트편(41)과 실린더 튜브(5b)와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유압 실린더(5)가 수축하여 실린더 튜브(5b)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최상단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은, 스프링의 가압력을 받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형성된 구멍(12)에 끼워넣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최상단의 마스트편(41)과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과의 고정 상태는 유지된다. 진출 위치에 있는 걸어맞춤 부재(8)와 최상단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과의 걸어맞춤 상태는, 양자의 걸어맞춤이 수평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는 양자는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실린더 튜브(5b)가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해제된다. 따라서, 실린더 튜브(5b)는 문제없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진출 위치에 있는 걸어맞춤 부재(8)가,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과 걸어맞추어지면, 실린더 튜브(5b)가 정지한다.
걸어맞춤 부재(8)가 후퇴 위치로 이동하여,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형성된 구멍(11)으로부터 이탈하여,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과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과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한쌍의 핀(9)이 진출 위치로 이동하여,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의 한쌍의 구멍(13)에 끼워넣어져,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을 실린더 튜브(5b)에 고정한다.
유압 실린더(5)가 신장되어 실린더 튜브(5b)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실린더 튜브(5b)에 고정된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정상벽(31a)을 통하여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에 연결된 위로부터 2단째의 경범편(31)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걸어맞춤 부재(8)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여,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이,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형성된 구멍(12)에 끼워넣어져,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에 고정한다.
실린더 튜브(5b)에 장착된 한쌍의 핀(9)이 후퇴 위치로 이동하여,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의 한쌍의 구멍(13)으로부터 이탈하여, 위로부터 2단째의 마스트편(41)과 실린더 튜브(5b)와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유압 실린더(5)가 수축하여 실린더 튜브(5b)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진출 위치에 있는 걸어맞춤 부재(8)가, 위로부터 3단째의 마스트편(41)에 장착된 핀(10)과 걸어맞추어지면, 실린더 튜브(5b)가 정지한다.
전술한 동작이 반복되어, 마스트 집합체(4)를 구성하는 마스트편(41)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이 최소값까지 감소하여 마스트 집합체(4)가 신장하고, 경범 집합체(3)를 구성하는 경범편(31)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이 최소값까지 감소하여, 경범 집합체(3)가 전범한다.
모터·기어 장치(6)가 작동하여 포스트(7)가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마스트 집합체(4)가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여, 경범 집합체(3)를 바람에 대하여 최적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쌍동식 해양 조사선 A는, 프로펠러 추진기(1)의 추진력에 더하여 범주 기구(2)의 경범 집합체(3)가 발생시킨 추진력도 사용하여 항행한다.
전범한 경범 집합체(3)를 축범할 때는, 전범 시의 수순과 반대 수순으로, 최하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41)을 향하여 하강시켜, 마스트 집합체(4)를 구성하는 마스트편(41)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최대값까지 증가시켜, 경범 집합체(3)를 구성하는 경범편(31)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최대값까지 증가시킨다.
해양 조사선 A에 있어서는,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익단면통체의 경범편(31)으로 이루어지는 경범 집합체(3)를 전개 및 축소에 의해 높이를 가변으로 하였으므로, 경범 집합체(3)는 교량 밑의 항행의 장애가 되지 않는다.
해양 조사선 A에 있어서는, 최하단의 경범편(31)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31)이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31)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고 있으므로, 전범 상태의 경범 집합체(3)의 익현의 길이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할수록 증가한다. 한편, 풍속은 갑판 A'로부터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해양 조사선 A의 경범 집합체(3)는, 풍력을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
해양 조사선 A에 있어서는, 동일 단의 경범편(31)의 상단부와 마스트편(41)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마스트편(41)이 경범편(31)을 지지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큰 치수의 경범편(31)을 경량의 수지로 형성하고, 경범편(31)에 비해 작은 치수의 마스트편(41)을 강철 등의 고강도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범주 기구(2)의 경량화와 적정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경범편(31)의 통체 상단부에 설치된 정상벽(31a)과, 경범편(31)의 통체 하단부에 설치된 프레임(31b)은, 경범편(31)의 익단면 형상을 유지하는 부재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경범편(31)의 상단부와 마스트편(4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정상벽(31a)을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통체 상부에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재 수가 감소한다. 통체 하단부의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인 경범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프레임(31b)은, 경범 집합체(3)의 전개 및 축소를 방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하단의 경범편(31)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31)의 내면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의 레일(14a)을 고정하고,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31)의 외면 상부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대차(臺車) 부재(14b)를 고정하고, 볼 베어링(14c)을 통하여 레일(14a)에 대차 부재(14b)를 걸어맞추어도 된다. 레일(14a)과 대차 부재(14b)와 볼베어링(14c)으로 형성되는 안내 부재(14)가, 최하단의 경범편(31)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31)을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3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경범 집합체(3)의 전개 및 축소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안내 부재의 구성은,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하부 내면과 바로 위쪽의 마스트편(41)의 상부 외면을 유압 잭(15)을 통하여 연결하고, 4개의 유압 잭(15)을 구동하여, 마스트 집합체(4)를 신축시켜도 된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의 내면과 바로 위쪽의 마스트편(41)의 외면을 랙·피니언(16)을 통하여 연결하고, 피니언을 구동하는 모터를 설치하여, 마스트 집합체(4)를 신축시켜도 된다.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의 마스트편(41)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41)과 바로 위쪽의 마스트편(41)과의 사이에 윈치(winch)(17)를 설치하여, 마스트 집합체(4)를 신축시켜도 된다.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첩되는 경범편(31)의 정상벽(31a) 사이에, 팬터그래프(pantograph)(18)와 팬터그래프를 승강 구동하는 유압 잭(19)을 설치하여, 마스트 집합체(4)를 신축시켜도 된다.
마스트 집합체(4)의 신축 기구는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마스트 집합체(4)를 신축할 수 있고, 또한 신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모터·기어 장치(6)는, 도 2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마스트 집합체(4)를 길이 방향 축선 주위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범주 기구(2)를, 각종 상선, 여객선 등, 각종 배에 탑재해도 된다.
본 발명은, 선박에 폭 넓게 이용할 수 있다.
A: 해양 조사선 1: 프로펠러 추진기
2: 범주 기구 3: 경범 집합체
31: 경범편 4: 마스트 집합체
41: 마스트편 5: 유압 잭
6: 모터·기어 장치

Claims (4)

  1.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익단면통체(翼斷面筒體)의 경범편(硬帆片)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最下段)의 경범편이 바로 아래 단(段)의 경범편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는 경범 집합체;
    상하로 정렬하여 적층된 복수의 통체의 마스트(mast)편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의 마스트편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이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에 내측으로부터 끼워맞추어지는 마스트 집합체;
    동일 단의 경범편의 상단부(上端部)와 마스트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체;
    상기 최하단의 마스트편을 제외한 각 단의 마스트편을 바로 아래 단의 마스트편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도록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및
    상기 마스트 집합체를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제2 구동 수단
    을 가지는 범주(帆走) 기구를 포함하고,
    적층하는 마스트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하여 적층하는 경범편 사이의 상하 방향의 중첩량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경범 집합체를 전개 및 축소 가능한, 범주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범편은, 통체 상단부와 통체 하단부에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통체 상단부의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는 동일 단의 경범편의 상단부와 마스트편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체이며,
    상기 통체 하단부의 상기 익단면 형상 유지 부재는 경범편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프레임인, 범주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주 기구는, 최하단의 경범편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을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범주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주 기구는, 최하단의 경범편을 제외한 각 단의 경범편을 바로 아래 단의 경범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범주선.
KR1020110024255A 2010-03-19 2011-03-18 범주선 KR20110105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5143A JP5318008B2 (ja) 2010-03-19 2010-03-19 帆走船
JPJP-P-2010-065143 2010-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27A true KR20110105727A (ko) 2011-09-27

Family

ID=4423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255A KR20110105727A (ko) 2010-03-19 2011-03-18 범주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3598B2 (ko)
EP (1) EP2366621B1 (ko)
JP (1) JP5318008B2 (ko)
KR (1) KR20110105727A (ko)
CN (1) CN1021900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959A (ko) * 2019-09-23 202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11601B1 (en) * 2011-03-21 2023-10-11 Engineered Controls International, LLC Rapid-connect coupler with vent-stop
CN102407928B (zh) * 2011-10-24 2014-08-13 重庆长航东风船舶工业公司 船用液压升降烟囱
ES2770948T3 (es) * 2012-06-29 2020-07-06 Windship Tech Limited Vela aerodinámica
RS58629B1 (sr) * 2012-11-28 2019-05-31 Robert Reginald Bray Krilo i njegova primena
CN103253351B (zh) * 2013-05-14 2015-12-02 上海珐伊玻璃钢船艇有限公司 帆船
CN103538710B (zh) * 2013-11-04 2015-09-30 上海海事大学 一种高度可调的分节式风帆
JP6439260B2 (ja) * 2014-03-18 2018-12-19 株式会社タダノ 硬帆船の伸縮硬帆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15205525A (ja) * 2014-04-17 2015-11-19 株式会社タダノ 硬帆船
CN104118551B (zh) * 2014-08-11 2017-02-1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自动收放式组合风翼装置
JP6373156B2 (ja) * 2014-10-14 2018-08-15 株式会社大内海洋コンサルタント コンテナ船の舷側風防装置及び舷側風防方法
CN104890845B (zh) * 2015-06-23 2017-04-05 江苏科技大学 横向可折叠自动收放翼型帆
CN104973217A (zh) * 2015-07-20 2015-10-1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一种风帆船上层建筑布局结构
ES2557518B1 (es) * 2015-08-24 2016-10-19 Andrés CHACON FIDALGO Sistema de izado y arriado para velas de ala y vela correspondiente
CN105539795A (zh) * 2015-12-21 2016-05-0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层叠可调式硬质帆面风帆
FR3058386B1 (fr) * 2016-11-08 2019-06-28 Ayro Navire a propulsion velique.
US11891160B2 (en) 2017-11-06 2024-02-06 Ayro Ship with sail propulsion
CN107878720B (zh) * 2017-11-09 2019-06-04 沈阳工程学院 一种可收放的对称翼型风帆装置
DE202019102941U1 (de) 2019-02-18 2019-06-05 Becker Marine Systems Gmbh Starrsegel für Wasserfahrzeuge, insbesondere für große Schiffe, und Wasserfahrzeug mit Starrsegel
CN112027043A (zh) * 2020-08-24 2020-12-0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液压油缸风帆驱动装置及协调控制方法
DE102021213123A1 (de) 2021-10-08 2023-04-13 Detlev Löll & Uwe Reum Wingsails GbR (Dipl.-Ing. Uwe Reum, 99817 Eisenach) Flügelsegel, Wasser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lügelsegels
CN115027653A (zh) * 2022-07-15 2022-09-0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升降式风力助航装置及船舶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195A (en) * 1981-05-28 1982-12-04 Nippon Kokan Kk <Nkk> Marine canvas rig
JPS57198194A (en) * 1981-05-28 1982-12-04 Nippon Kokan Kk <Nkk> Furling and unfurling system for marine canvas
JPS5828098U (ja) * 1981-08-17 1983-02-23 日立造船株式会社 帆船
JPS61200091A (ja) * 1985-02-28 1986-09-04 Osaka Sosenjo:Kk 船舶用硬帆装置
US4685410A (en) * 1985-04-08 1987-08-11 Fuller Robert R Wing sail
IT1231705B (it) * 1989-09-15 1991-12-20 Giorgio Magrini Struttura di vela cosidetta ad ala.
JPH03212467A (ja) 1990-01-17 1991-09-18 Toppan Printing Co Ltd アクリル系コーティング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4263280A (ja) 1991-02-18 1992-09-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定着用加熱装置
ES2067789T3 (es) * 1991-04-29 1995-04-01 Wilhelm Brinkmann Vela perfilada.
DE4344795A1 (de) * 1993-12-28 1995-06-29 Liebherr Werk Ehingen Fahrbarer Kran mit einem Teleskopausleger
US5517940A (en) * 1995-05-08 1996-05-21 Beyer; Jay R. Variable width multi-hulled boat with telescoping mast
JP4263280B2 (ja) * 1998-11-24 2009-05-13 株式会社タダノ 移動式クレーンのブーム伸縮機構
US6526901B2 (en) * 2001-03-30 2003-03-04 Camillo M. Iacoboni Retractable mast for sailboats
JP2005280533A (ja) 2004-03-30 2005-10-13 Sumitomo Heavy Industries Marine & Engineering Co Ltd 帆装商船
JP2006111026A (ja) 2004-10-12 2006-04-27 Fukushima Zosen Tekkosho:Kk 伸縮マスト装置
JP5137628B2 (ja) * 2008-03-08 2013-02-06 株式会社大内海洋コンサルタント 硬帆を備える帆走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959A (ko) * 2019-09-23 202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6621A3 (en) 2014-06-18
JP2011195059A (ja) 2011-10-06
US8413598B2 (en) 2013-04-09
JP5318008B2 (ja) 2013-10-16
EP2366621A2 (en) 2011-09-21
US20110226172A1 (en) 2011-09-22
EP2366621B1 (en) 2017-01-25
CN102190078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5727A (ko) 범주선
US7581507B2 (en) Launch and recovery devices for water vehicles and methods of use
JP6222644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方法および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バージ
US8117978B2 (en) Sailing ship equipped with a hard sail
KR101865164B1 (ko) 분리형 해상 구조물 설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JP2020132145A (ja) 船舶用の、特に大型船用の、硬帆、及び硬帆を具備した船舶
JP2012240540A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WO2021005420A1 (en) Telescopic square sail device
JP2012240539A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CN103958344A (zh) 用于控制系留的飞行元件的方法和设备
KR102302862B1 (ko) 돛 구조
KR10205235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설치방법
JP6001750B2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KR101471347B1 (ko) 선박용 복합 세일 시스템
JP2018108790A (ja) 舟艇用揚収装置、船舶、および舟艇用揚収方法
CN109080807B (zh) 一种无人艇风帆
KR20200057537A (ko) 풍력 발전기 설치를 위한 부유식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설치 시스템 및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FR3016341A1 (fr) Dispositif de mat telescopique de navire
JP6444810B2 (ja) 洋上風車の設置方法および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
EP0412040A1 (en) Sail propulsion device for ships
KR102474058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JP4873341B2 (ja) 船舶の舵装置
GB2530759A (en) Sailing boat height and width reduction devices
JP6964339B2 (ja) ボートダビットを用いた搭載ボートの保持方法、および、搭載ボート保持機構
CN108974246A (zh) 可分离式附加甲板吸能结构及其尺寸设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