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901A -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901A
KR20110104901A KR1020110023259A KR20110023259A KR20110104901A KR 20110104901 A KR20110104901 A KR 20110104901A KR 1020110023259 A KR1020110023259 A KR 1020110023259A KR 20110023259 A KR20110023259 A KR 20110023259A KR 20110104901 A KR20110104901 A KR 2011010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ransport
drying
air
reduce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나카무라
미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슈토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슈토르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슈토르츠
Publication of KR2011010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연속적인 감압 건조가 가능하고, 단시간에 온도 불균일이 없는 상태로 재료를 건조한다.
[해결 수단] 건조 장치(10)는 재료(W)의 감압 건조를 행하는 제 1 드럼(12), 건조 재료를 감압 하에서 보온하는 제 2 드럼(70), 이들 드럼을 개별적으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 감압 수단, 감압 해제 수단이나, 재료의 수송 경로 및 수송 수단에 의해 구성된다. 수송 경로의 수직부(42A,56A,84A)에는 수송 경로의 밀폐ㆍ개방을 행하는 컨트롤 밸브(44,58,86)가 설치된다. 외부로의 재료(W)의 공급을 제 2 드럼(70)으로부터 행함으로써 제 1 드럼(12)에서는 건조중에 감압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져 연속적인 감압 건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드럼(12)에 교반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건조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품질의 재료를 단시간에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컨트롤 밸브를 수송 경로의 수직부에 설치함으로써 확실한 밀봉을 확보하고, 개폐부의 내구성도 향상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건조물의 건조를 행하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감압 하에 있어서의 건조를 행하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지의 사출 성형의 원료로서는, 예를 들면 펠릿 형상의 수지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지 재료는 흡습하기 쉬운 것이 많고, 제조 장소로부터 사출 성형을 행하는 장소까지 반송하는 동안이나 보관 중에 공기중의 수분을 포함해 버린다. 수지 재료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사출 성형시에 수증기가 발생하고, 성형품에 실버라 불리는 선상의 모양이 발생하거나, 가수 분해에 의해 성형품의 강도가 저하하거나 등 불량의 발생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제품 품질을 높여 불량율을 저감한 후에 성형전에 수지 재료를 건조하는 것이 불가결로 되어 있다. 또한, 수지 재료에 따라서는 대기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를 일으키고, 성형품이 황변될 경우가 있어 이러한 수지 재료에 대하여는 감압하고, 산소 농도를 저하시킨 상태로 건조하는 것이 일반반으로 되어 있다.
펠릿 형상의 수지 재료를 건조하는 장치로서는 이미 여러가지 구조의 건조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대기압하의 건조 드럼 내에 열풍을 보내주고, 재료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재료중의 수분을 방출시키는 열풍식 건조 장치(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1)나, 열풍에 저노점의 건조 에어를 혼입시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킨 제습식 건조 장치, 더욱이 건조 드럼 내에서 재료를 정류(停留)시키고 있는 동안 재료를 가열함과 아울러 드럼 내를 감압하고, 산소 농도를 저하시키는 감압식 건조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상술한 감압식 건조 장치는 일반적으로 감압에 의해 황변을 방지함과 아울러 비점이 저하하는 것을 이용하고, 수분의 방출을 촉진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을 높인 것이다. 대표적인 감압 건조 장치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낸다. 동도에 나타낸 감압 건조 장치(200)에서는 건조 드럼(202) 내를 감압함과 아울러 드럼 내외에 설치된 복수개의 히터(204A∼204C)에 의해 수지 재료가 접촉하는 벽면(206A∼206D)을 가열함과 아울러 이들 벽면(206A∼206D)의 근접 간격을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벽면(206A∼206D)으로부터 상기 수지 재료로의 전도 열을 균일화하고 있다. 또한, 각 벽면(206A∼206D)의 형태는 수지 재료에 대한 전열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보다 균일한 가열이 되도록 연구되고 있거나, 핀(fin) 형상으로 가공된 복수의 가열 벽을 긴밀하게 배치하고, 그들의 사이에 재료를 정류시키는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감압실인 상기 건조 드럼(202)은 원재료부(218)로부터의 수지 재료의 투입시나, 성형기(220)로의 수지 재료의 배출시 이외는 재료 투입구(208)에 형성된 개폐 셔터(210)나, 재료 배출구(212)에 형성된 개폐 셔터(214)에 의해 밀봉됨과 아울러 감압 발생 장치(216) 등으로 흡기함으로써 대기압보다도 감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건조 드럼(202)에서 건조된 재료는 성형기(220) 상에 설치된 성형기 호퍼(222)에 배출되어 성형기(220)로 공급된다. 성형기 호퍼(222)에는 재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재료 검출 센서(224)가 설치되어 있고, 잔량이 소정의 양으로 되면 재료 검출 센서(224)가 「공(空)」을 검출하고, 건조 드럼(202)의 감압을 해제함과 아울러 건조 드럼 하부의 배출구(212)로부터 성형기 호퍼(222)로 소정량을 공급함으로써 연속 성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0-301535호 공보
그런데, 상기 성형기 호퍼(222)는 일반적으로는 감압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성형기 호퍼(222) 내의 건조 재료가 산화나 흡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형기 호퍼는 용적을 작게 해 정류 시간을 짧게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성형기 호퍼(222)로의 재료 공급은 빈번히 행하여지게 된다. 한편, 건조 드럼(202) 내의 재료는 상기 성형기 호퍼(222)로 공급을 반복함으로써 차제에 감소한다. 그 때문에, 건조 드럼(202)에는 재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재료 검출 센서(226)가 설치되어 있고, 잔량이 소정의 양에 달한 시점에서 건조 드럼(202)의 감압을 해제함과 아울러 원재료부(218)로부터 보내진 미건조 재료를 상부의 투입구(208)로부터 보충 투입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배경기술에 있어서는 재료의 보충 투입이나 성형기 호퍼(222)로 재료를 공급하는 정도로 건조 드럼(202)의 감압이 해제되는 것이므로 건조 드럼(202) 내의 재료는 빈번히 대기와 접촉하게 되고, 매우 효율이 나쁜 건조로 되어 있었다.
그 대책으로서, 건조 드럼(202)의 투입구(208)나 배출구(212)에 소형의 감압실(도시되지 않음)을 추가 설치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건조 드럼(202)의 입구의 개폐 셔터(210), 출구의 개폐 셔터(214) 이외에 소형 투입구 감압실의 투입구, 소형 배출구 감압실의 배출구에도 개폐 셔터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개폐 셔터의 설치수가 늘어나고, 구조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코스트가 올라버린다고 하는 부적합이 있다.
또한, 감압 하에 있어서의 열전달의 대부분은 접촉 부위에 있어서의 열전도가 되지만, 일반적으로 수지 재료는 금속과 비교하고,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열이동이 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건조 드럼(202) 내에 정류되어 있는 수지 재료는 열원(벽면)으로부터 벗어난 재료일수록 열이동이 완만해져서 승온되기 어렵다고 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배경기술에 있어서는 건조 드럼(202) 내에 투입된 재료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은 곤란해서, 결과적으로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고, 균일한 건조 품질이 유지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건조 시간도 길어져, 결단코 건조 효율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한, 배경기술에 있어서의 건조 드럼(상술한 소형 감압실을 포함함)의 재료투입구, 재료 배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 셔터(210,214) 등에 있어서, 특히 건조 드럼(202)의 배출구(212)에 설치되는 개폐 셔터(214)의 개폐부는 재료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특히 분쇄 재료를 혼입시킨 재료의 경우는 분쇄 재료는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셔터의 개폐부에 물려 들어감이 발생하고, 개폐 불량이나 밀봉 불량이라 한 불량이 발생하는 걱정이 있다. 더욱이, 개폐부에는 건조 드럼 내 재료의 거의 전체 중량이 관계되기 때문에 하중을 받은 상태로 스무스하게 개폐가능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고, 구조의 복잡화 및 코스트업의 요인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착안한 것으로, 감압을 해제하지 않고 피건조물을 연속적으로 건조함과 아룰러 단시간에 온도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상태로 건조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른 목적은 개폐 셔터를 이용하지 않고 건조 드럼 등의 감압실 재료 투입구 및 재료 배출구의 밀폐가 가능한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 장치는 감압 하에 있어서 피건조물인 재료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감압 건조를 행하는 제 1 드럼과, 상기 제 1 드럼 내의 전체 재료가 일괄 투입가능하며 투입된 건조 재료를 감압 하에서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는 제 2 드럼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가열가능한 가열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가능한 감압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 해제가능한 감압 해제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으로의 재료의 공급, 상기 제 1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재료의 상기 제 2 드럼으로의 공급,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을 각각 행하는 복수의 수송 경로와,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수송 경로를 개별적으로 밀봉 및 개방가능한 복수의 컨트롤 밸브와,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재료의 수송을 행하는 수송 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로의 건조 재료의 공급을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을 행하는 수송 경로로 행함으로써 상기 제 1 드럼에 있어서의 감압 건조중에 감압 상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요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 중 적어도 상기 제 1 드럼에 상기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형태는 상기 컨트롤 밸브를 상기 수송 경로가 거의 수직 방향에 설치된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형태는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 재료를 배출하는 수송 경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드럼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2차 에어 인입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2 드럼 내의 재료를 흡인하는 흡인 파이프와, 상기 흡인 파이프 또는 상기 재료를 배출하는 수송 경로에서 상기 2차 에어 인입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3차 에어 인입부와, 상기 3차 에어 인입부에 접속되어 있고, 3차 에어를 차단 및 개방하는 개폐 밸브ㄹ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에 의한 2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상기 흡인 파이프로부터 재료를 흡인하고, 소정량을 배출한 시점에서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고, 3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재료의 흡인력을 저하시켜서 재료의 배출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송 경로를 공수송(空輸送)시켜서 재료의 잔류를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료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압 하에 있어서 피건조물인 재료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감압 건조를 행하는 제 1 드럼과, 상기 제 1 드럼 내의 전체 재료가 일괄 투입가능하며 투입된 건조 재료를 감압 하에서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는 제 2 드럼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가열가능한 가열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가능한 감압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 해제가능한 감압 해제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으로의 재료의 공급, 상기 제 1 드럼으로부터 배출한 재료의 상기 제 2 드럼으로의 공급,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을 각각 행하는 복수의 수송 경로와,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수송 경로를 각각 개별적으로 밀봉 및 개방가능한 복수의 컨트롤 밸브와,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재료의 수송을 행하는 수송 수단을 구비한다.
그래서, 외부로의 건조 재료의 공급을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을 행하는 수송 경로로부터 행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제 1 드럼은 건조 도중에 감압을 해제하지 않고 연속적인 감압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 1 드럼 또는 제 2 드럼 중 적어도 제 1 드럼에 교반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단시간에 건조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건조 재료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감압 하에 있어서 건조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산화에 의한 황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에 대한 재료의 공급 및 배출을 행하는 수송 경로의 적절한 위치에 상기 수송 경로의 밀봉 및 개방이 가능한 컨트롤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재료의 물려 들어감 등에 의한 불량이 없고, 종래 필요로 되어 있었던 개폐 셔터를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의 원재료부로부터 제 1 드럼으로의 재료 수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의 제 1 드럼으로부터 제 2 드럼으로의 재료 수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의 제 2 드럼으로부터 성형기 호퍼로의 재료 수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의 제 2 드럼으로부터 성형기 호퍼로의 재료 수송(3차 에어에 공수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의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의 감압 동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1의 각 동작에 있어서의 제 1 드럼, 제 2 드럼, 성형기 호퍼 내의 재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1의 각 동작에 있어서의 제 1 드럼, 제 2 드럼, 성형기 호퍼 내의 재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배경기술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최초에,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도 6은 본 실시예의 각종 수송 동작에 있어서의 각 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는 원재료부로부터 제 1 드럼으로의 재료 수송 동작을 나타내고, 도 3은 제 1 드럼으로부터 제 2 드럼으로의 재료 수송 동작을 나타내고, 도 4는 제 2 드럼으로부터 성형기 호퍼로의 재료 수송 동작을 나타내고, 도 5는 제 2 드럼으로부터 성형기 호퍼로의 재료 수송에 있어서의 3차 에어에 의한 공수송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6은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에 있어서의 감압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상기 각 부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 1 드럼, 제 2 드럼, 성형기 호퍼중의 재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건조물로서 사출 성형 재료의 펠릿 형상의 수지 재료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적용 대상은 상기 수지 재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지 재료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피건조물의 형상은 펠릿 형상에 한하지 않고, 입상 등의 각종 형상의 것이 적용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조 장치(10)는 감압 하에 있어서 피건조물인 수지 재료(이하 「재료(W)」)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감압 건조를 행하는 제 1 드럼(12)과, 상기 제 1 드럼(12) 내의 전체 재료가 일괄 투입가능하며 투입된 건조 재료를 감압 하에서 소정의 온도로 보온해서 흡습이나 산화를 방지하는 제 2 드럼(70)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건조 장치(10)에는 상기 제 1 드럼(12) 및 제 2 드럼(70)을 개별적으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 개별적으로 감압하는 감압 수단, 개별적으로 감압 해제하는 감압 해제 수단, 복수의 수송 경로, 수송 블로워(54), 복수의 컨트롤 밸브(44,58,86)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 1 드럼(12)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제 1 드럼(12)의 벽면(12A)의 주위에는 가열용의 공기가 송입되는 외주 공간(15)을 형성하는 재킷(1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재킷(14)에는 열풍 공급로(16A) 및 열풍 회수로(16B)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 열풍 공급로(16A), 열풍 회수로(16B)는 함께 송풍 블로워(1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열풍 공급로(16A)에는 송풍 블로워(18)에 의해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0)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히터(20)에 의해 가열된 공기(열풍)을 상기 외주 공간(15)에 송풍함으로써 제 1 드럼 벽면(12A)을 통해서 내부의 재료(W)에 전열하고, 재료(W)를 가열한다. 또한, 제 1 드럼(12)의 외주 공간(15)을 통과한 열풍은 열풍 회수로(16B)를 통해서 송풍 블로워(18)로 되돌아오고, 다시 배출되어, 도 1에 화살표F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드럼(12)의 내부에는, 상기 재료(W)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스크루(26)가 외주부에 제공된 흡인 파이프(27)가 거의 수직 방향으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흡인 파이프(27)는 하단측이 제 1 드럼(12)의 저면측에 제공된 교반 모터(22)의 회전축(24)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교반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인 파이프(27)는 하단 근방에 복수의 구멍(27A)을 가짐과 아울러 상단측이 후술하는 수송 경로(56)의 단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드럼 벽면(12A)의 외측 상방, 즉 재료(W)의 투입구 부근에는 제 1 드럼(12) 내의 재료(W)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재료 검출 센서(28)가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제 1 드럼(12)의 내부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은 감압 발생 장치(36)와, 상기 감압 발생 장치(36)와 제 1 드럼(12)을 접속하는 배관(34)과, 상기 배관(34)에 제공된 진공 전자 밸브(38A)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감압을 해제하는 감압 해제 수단은 제 1 드럼(12)의 외부에 제공된 감압 해제 유닛(30)과, 그 밸브체(30A)와, 상기 감압 해제 유닛(30)과 제 1 드럼(12)을 접속하는 배관(32)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제 1 드럼(12)은 수송 경로(42)에 의해 원재료부(예컨대, 버진 탱크 등)(40)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송 경로(42)의 수직부(42A)에는 상기 수송 경로(42)의 밀봉 및 개방을 행하는 컨트롤 밸브(4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수송 경로(42)에는 상기 제 1 드럼(12)의 근방에 있어서 수송 에어 흡인로(4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송 에어 흡인로(46)는 다른 쪽이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 자체는 배관(52)에 의해 수송 블로워(54)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수송 경로(42), 수송 에어 흡인로(46),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 수송 블로워(54)에 의해 원료부(40)로부터 제 1 드럼(12)으로의 재료 수송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 1 드럼(12)은 수송 경로(56)에 의해 제 2 드럼(7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송 경로(56)는 제 1 드럼(12)으로부터의 재료(W)의 배출로임과 동시에, 제 2 드럼(70)으로의 재료(W)의 공급로이다. 상기 수송 경로(56)는 도시된 예에서는 거의 コ자상이며, 제 1 드럼(12)측의 수직부(56A)에 수송 경로(56)의 밀봉 및 개방을 행하기 위한 컨트롤 밸브(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부(56A)의 선단에는 상기 흡인 파이프(27)가 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제 1 드럼(12) 내의 재료(W)는 흡인 파이프(27)의 구멍(27A)을 통해서 흡인되고, 수송 경로(56)로 보내진다. 또한, 수송 경로(56)의 제 2 드럼(70)측의 수직부(56B)에는 수송 에어 흡인로(6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송 에어 흡인로(60)의 타단은 상기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수송 경로(56), 수송 에어 흡인로(60),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 수송 블로워(54)에 의해 제 1 드럼(12)으로부터 제 2 드럼(70)으로의 재료 수송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 2 드럼(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드럼(70)은 벽면(70A)의 외측의 거의 전체면에 히터(7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벽면(70A)를 통해서 내부의 재료(W)에 전열하고, 재료(W)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72)로서 러버 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제 2 드럼 벽면(70A)의 외측의 중간부 부근과 상방쪽의 위치에는 제 2 드럼(70)중의 재료(W)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와,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가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드럼(70)은 제 1 드럼(12)으로부터 전량 배출되는 재료(W)를 2회 이상 저류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의 높이는 공의 상태의 제 2 드럼(70)에 제 1 드럼(12)중의 전체 재료를 투입했을 때에 재료(W)가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로부터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까지의 용량은 제 1 드럼(12)의 전체 배출량보다도 약간 적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이 공을 검출한 후에 2배치 분의 원료를 수송하면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를 초과해서 재료가 들어가는 것으로 된다.
상기 제 2 드럼(70)의 내부를 감압하는 감압 수단은 상기 감압 발생 장치(36)와, 상기 감압 발생 장치(36)와 제 2 드럼을 접속하는 배관(78)과, 상기 배관(78)에 제공된 진공 전자 밸브(38B)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감압을 해제하는 감압 해제 수단은 제 2 드럼(70)의 외부에 제공된 감압 해제 유닛(74)과, 그 밸브체(74A)와, 상기 감압 해제 유닛(74)과 제 2 드럼(70)을 접속하는 배관(76)에 의해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 2 드럼(70)은 수송 경로(84)에 의해 성형기(100)의 호퍼(10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성형기 호퍼(102)에는 성형기(100)쪽의 위치에 재료(W)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재료 검출 센서(10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수송 경로(84)의 제 2 드럼(70)측의 수직부(84A)에는 상기 수송 경로(84)의 밀봉 및 개방을 행하는 컨트롤 밸브(86)가 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성형기 호퍼(102)에는 상기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C)에 접속된 수송 에어 흡인로(106)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수송 경로(84), 수송 에어 흡인로(106),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 수송 블로워(54)에 의해 제 2 드럼(70)으로부터 성형기 호퍼(102)로의 재료 수송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송 경로(84)에는 상기 제 2 드럼(70) 내의 공기(2차 에어)를 흡인하는 2차 에어 인입구(96)를 갖는 흡인 파이프(8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인 파이프(88)는 제 2 드럼(70)에 먼저 투입된 재료(W)를 우선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선단이 제 2 드럼(70)의 저부 근방에 달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제 2 드럼(70) 외부에 있어서의 상기 수송 경로 수직부(84A)에는 상기 컨트롤 밸브(86)와 상기 2차 에어 인입구(96)의 사이에 외부의 공기(3차 에어)를 인입하기 위한 3차 에어 인입구(9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3차 에어 인입구(94)에는 3차 에어를 차단 및 개방하는 3차 에어 스위칭 밸브(9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3차 에어 스위칭 밸브(92)를 폐쇄하면 상기 2차 에어 인입구(96)로부터의 2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상기 흡인 파이프(88)로부터 재료(W)가 흡인되어 재료(W)가 성형기 호퍼(102)에 수송된다. 소정량을 배출한 시점에서 상기 3차 에어 스위칭 밸브(92)를 개방하고, 3차 에어를 인입하면 재료(W)의 흡인력을 저하시켜서 재료(W)의 배출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송 경로(84)를 공수송시켜서 재료(W)의 잔류를 방지한다.
다음에, 도 2∼도 8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건조 장치(10)의 운전 개시전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드럼(12)의 재료 검출 센서(28), 제 2 드럼(70)의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 및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 성형기 호퍼(102)의 재료 검출 센서(104)는 각각 공을 검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원재료부(40)로부터 제 1 드럼(12)으로의 재료(W)[제 1 배치(W1)]의 공급이 개시된다. 또한, 제 1 배치(W1)의 공급 개시 시점에서는 제 1 드럼은 대기압 상태이기 때문에 감압 해제 유닛(30)의 밸브체(30A)는 폐쇄 상태 그대로이다. 재료 공급시는 수송 경로(42)의 컨트롤 밸브(44)를 개방함과 아울러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A)를 개방하면 수송 블로워(54)의 운전에 의해 도 2에 화살표(FA 및 F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 에어가 흡인되고, 동도에 화살표(F2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재료부(40)로부터 제 1 드럼(12)으로 재료가 흡인 수송된다.
그 후,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드럼(12)의 재료 검출 센서(28)가 재료의 만(滿)탱크를 검출하면 수송 블로워(54)가 정지하고, 수송 경로(42)의 컨트롤 밸브(44)가 폐쇄됨과 아울러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A)가 폐쇄되고, 제 1 드럼(12)은 밀봉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트롤 밸브(44)가 수송 경로 수직부(42A)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송 블로워(54)가 정지하면 컨트롤 밸브(44)보다도 상측의 수송 경로(42)중에 있는 재료는 컨트롤 밸브(44)보다도 하방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컨트롤 밸브(44)의 개폐시에는 재료가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컨트롤 밸브(44)를 수송 개시전에 개방하고, 수송 종료후에 폐쇄 함으로써 개폐시는 재료와의 접촉이 없어지기 때문에 물려 들어감 등에 의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드럼(12)의 교반 스크루(26)에 의해 제 1 드럼(12) 내의 재료[제 1 배치(W1)]를 교반함과 아울러 감압 발생 장치(36)를 구동해서 진공 전자 밸브(38A)를 개방하고, 도 6에 화살표(F6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드럼(12)을 감압한다. 또한, 도 6에는 제 2 드럼(70)측의 감압 동작도 동시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제 1 드럼(12), 제 2 드럼(70)의 감압은 상황에 따라서 동시에 행할 것도 있으면 독립해서 행할 것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드럼(12) 내를 감압한 상태로 송풍 블로워(18) 및 히터(20)를 구동하면 재킷(14) 내에 공급된 열풍에 의해 벽면(12A)이 가열되어 상기 벽면(12A)을 통해서 재료가 가열 건조된다. 일반적으로, 감압 하에 있어서의 열전달의 대부분은 접촉 부위에 있어서의 열전도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피건조물으로서 예를 든 수지 재료는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열원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재료 온도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걱정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드럼(12)에 제공된 교반 기능에 의해 균일한 열교환이 가능해지고, 재료 온도의 불균일의 발생이 억제됨과 아울러 단시간에 균일한 건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건조중은 도시되지 않은 재료 온도 검출 센서와 상기 히터(20)를 연동시킴으로써 제 1 드럼(12) 내의 재료가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제 1 드럼(12)에서 소정 시간 건조된 재료는 제 2 드럼(70)으로 전량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장치(10)의 운전 개시 직후의 2배치 이외는 제 1 드럼(12)에서 건조된 재료는 제 2 드럼(70)의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가 공을 검출할 때까지 제 1 드럼(12) 내에서 대기하고, 공검출하면 제 2 드럼(70)으로 전량 배출되는 것으로 한다. 제 1 드럼(12)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은 감압 해제 유닛(30)의 밸브체(30A)가 개방되고, 제 1 드럼(12)의 감압이 해제된 상태로 행한다. 또한, 제 1 배치(W1)의 수송시는 제 2 드럼(70)은 대기압 상태이기 때문에 감압 해제 유닛(74)의 밸브체(74A)는 폐쇄 상태 그대로이다. 제 2 배치(W2) 이후의 수송에 있어서는 감압 해제 유닛(30)의 밸브체(30A)와 동시에 감압 해제 유닛(74)의 밸브체(74A)를 한번 개방하고, 양 드럼의 감압을 해제한 뒤 감압 해제 유닛(74)의 밸브체(74A)만 즉시 폐쇄하고, 수송을 개시한다. 이것은 감압 해제 유닛(74)이 개방된 채이면 밸브체(74A)로부터 들어온 에어가 흡인되어서 재료의 수송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수송 경로(56)의 컨트롤 밸브(58)를 개방함과 아울러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B)가 개방되면 수송 블로워(54)의 운전에 의해, 도 3에 화살표(FA 및 F3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 에어의 흡인이 행해지고, 동도에 화살표(F3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드럼(12)으로부터 제 2 드럼(70)으로 재료[제 1 배치(W1)]가 흡인 수송된다.
제 1 드럼(12)으로부터 제 1 배치(W1)의 전량 배출이 종료하고, 수송 블로워(54)가 정지하면 수송 경로(56)의 컨트롤 밸브(58)와,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B)가 폐쇄되고 제 2 드럼(70)은 밀봉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밸브(58)는 제 1 드럼(12) 내의 재료를 전량 수송한 후에 폐쇄함으로써 개폐시는 재료가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물려 들어감 등의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수송 블로워(54)가 정지하는 직전에 재료의 입자가 수송되어서 수송 경로(56)중에 입자가 정지할 것이 있었다고 해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트롤 밸브(58)를 수직부(56A)에 제공하기 있기 때문에 재료를 낙하시켜서 무렬 들어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진공 전자 밸브(38B)를 개방하고, 도 6에 화살표(F6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드럼(70) 내를 감압한다. 또한, 제 2 드럼(70)의 외주는 히터(72)에 의해 미리 가열되어 있고, 드럼 내의 재료의 온도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감압함으로써 산화나 흡습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 2 드럼(70)의 외주에는 도시되지 않은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히터(72)와 연동하여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제 1 드럼(12)으로부터 제 2 드럼(70)으로의 제 1 배치(W1)의 수송 후의 상태는 도 7(C)에 나타낸 대로이며, 제 2 드럼(70)에서는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의 공의 검출이 사라지고,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가 공을 검출하고 있다. 또한, 제 1 드럼(12)의 재료 검출 센서(28)은 공을 검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술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새로운 미건조 재료가 제 1 드럼(12)에 흡인 수송되어 제 2 배치(W2)의 감압 교반 건조가 행하여진다[도 7(D)]. 본 실시예에서는 감압 건조 장치(10)의 운전 개시시는 제 2 드럼(70)에 2배치 분을 저류하고 나서 성형기 호퍼(102)로의 재료 공급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되어 있기 때문에 감압 건조가 완료된 제 2 배치(W2)는 전술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제 2 드럼(70)에 흡인 수송된다[도 7(E)].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로부터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까지의 용량은 제 1 드럼(12)의 1배치 분의 전체 배출량보다도 약간 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배치(W2)의 전량을 수송하면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를 초과해서 재료가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82)가 재료를 검출한 후도 수송 블로워(54)를 소정 시간 운전함으로써 제 2 배치(W2)의 전량 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다시 재료 검출 센서(28)로 공이 검출된 제 1 드럼(12)에는 새로운 미건조 재료가 흡인 수송되어, 제 3 배치(W3)의 감압 교반 건조가 행하여진다[도 8(A)]. 감압 교반 건조가 완료되면 제 2 드럼(70)의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가 공을 검출할 때까지 제 3 배치(W3)는 제 1 드럼(12) 내에서 대기한다.
제 2 드럼(70)에 저류된 건조 재료는 성형기 호퍼(102)에 소정량 배출(공급) 된다. 상기 제 2 드럼(70)으로부터 성형기 호퍼(102)로의 재료의 공급은 제 2 드럼(70)에 2배치분 저류되고 나서 상기 성형기 호퍼(102)의 재료 검출 센서(104)가 공을 검출할 때마다 행하여진다. 재료의 배출시는 우선 감압 해제 유닛(74)의 밸브체(74A)가 개방되고, 제 2 드럼(70)만 감압이 해제된다. 그 다음에, 수송 경로(84)의 컨트롤 밸브(86)가 개방됨과 아울러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50)의 밸브체(50C)가 개방되고, 수송 블로워(54)의 운전에 의해, 도 4에 화살표(FA 및 F4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송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동도에 화살표(F4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재료가 흡인 수송된다. 이 때의 재료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치(W1)로부터 우선해서 수송된다.
또한, 재료의 수송시는 상기 3차 에어 스위칭 밸브(92)를 폐쇄함과 아울러 감압 해제 유닛(74)의 밸브체(74A)를 개방하고, 제 2 드럼(70) 내에 설치된 흡인 파이프(88)의 2차 에어 인입구(96)로부터, 도 4에 화살표(F4c)로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에어를 인입함으로써 재료를 흡인 배출한다. 그리고, 소정량 배출한 시점에서 3차 에어 스위칭 밸브(92)를 개방하고, 도 5에 화살표(F5a)로 나타낸 바와 같이, 3차 에어를 인입함으로써 재료 흡인력이 저하해서 재료 배출이 정지함과 아울러 수송 경로(84)가 공수송되어, 3차 에어 인입구(94) 이후[즉, 성형기 호퍼(102)측]의 수송 경로(84) 내의 재료가 모두 성형기 호퍼(102)에 수송된다[화살표(F5b)]. 수송 블로워(54)는 소정 시간만 공수송하면 정지하고, 그 후 3차 스위칭 밸브(92)가 폐쇄되고, 수송 경로(84)의 컨트롤 밸브(86)가 폐쇄됨과 아울러 감압 해제 유닛(50)의 밸브체(50B)와 감압 해제 유닛(74)의 밸브체(74A)가 폐쇄되고, 제 2 드럼(70)은 밀폐 상태가 된다. 그 후, 감압 발생 장치(36)에 의해 감압되고, 건조 재료[제 1 배치(W1) 및 제 2 배치(W2)]의 산화나 흡습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밸브(86)를 상기 3차 에어 인입구(94)의 하류측에 제공함으로써 개폐시는 재료가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물려 들어감 등의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밸브(86)를 수송 경로(84)의 수직부(84A)에 제공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상기 컨트롤 밸브(58)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 2 드럼(70) 내의 재료는,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기 호퍼(102)의 재료 검출 센서(104)가 공을 검출할 때마다 상술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성형기 호퍼(102)로의 수송이 반복되기 때문에 잔량이 차제에 감소한다. 그리고,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드럼(70)의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80)가 공을 검출하면 제 1 드럼(12)에서 대기하고 있었던 건조 재료[제 3 배치(W3)]가 전술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제 2 드럼(70)에 전량 수송된다. 공으로 된 제 1 드럼(12)에는 상기 도 8(A)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미건조 재료가 투입된다. 이후는 상기 도 8(A)∼도 8(E)까지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재료(W)의 연속 건조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실시예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감압 건조가능한 제 1 드럼(12) 및 제 2 드럼(70)을 제공하고, 외부로의 재료(W)의 공급을 상기 제 2 드럼(70)으로부터 행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제 1 드럼(12)에 있어서는 건조중에 감압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대기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연속적인 감압 건조가 가능해진다.
(2) 상기 제 1 드럼(12)에 교반 스크루(26)를 제공했기 때문에 건조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건조 품질의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감압 건조에 의해 재료(W)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황변 대책으로서 효과가 있다.
(4) 감압에 의한 비점 저하에 의해 대기압하에 있어서의 건조 장치보다도 건조 온도를 저온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5) 수송 경로의 수직부(42A,56A,84A)에 컨트롤 밸브(44,58,86)를 제공함과 아울러 제 2 드럼(70)의 배출로[수송 경로(84)]의 컨트롤 밸브(86)의 상류측[제 2 드럼(70)의 배출구측]에 3차 에어 인입구(94) 및 3차 에어 스위칭 밸브(92)를 제공한 것으로 했다. 이 때문에, 배경기술에 있어서의 개폐 셔터가 불필요해지는 재료(W)에 혼입된 분쇄 재료 등의 물려 들어감에 의한 개폐 동작 불량의 해소에 의한 확실한 밀봉의 확보, 컨트롤 밸브의 개폐부에 걸리는 부하의 해소에 의한 개폐부의 내구성의 향상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것도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로 제시한 각 부의 형상, 치수, 재질은 일예이며, 필요에 따라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드럼(70)의 가열 수단으로서 러버 히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드럼 벽면(70A)을 가열가능하는 것이면 제 1 드럼(12)과 마찬가지의 가열 수법으로서도 좋고, 다른 공지의 각종의 가열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3) 마찬가지로, 제 1 드럼(12)의 가열 방법도 적당히 변경가능하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채용한 열풍식으로 하면 제어가 용이하므로 사정이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드럼(12)에만 교반 수단을 제공했지만, 제 2 드럼(70)만, 또는 제 1 드럼(12) 및 제 2 드럼(70)의 쌍방에 제공하도록 해도 좋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드럼(70)의 용량을 제 1 드럼(12)의 거의 2배로 했지만, 이것도 일예이며, 제 1 드럼(12) 내의 재료의 일괄 투입이 가능하면 제 2 드럼(70)의 용량은 필요에 따라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흡인 파이프(88)에 2차 에어 인입구(96)를 제공하는 것으로 했지만, 수송 경로(84)가 제 2 드럼(70) 내부에 달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을 때는 수송 경로(84)에 2차 에어 인입구(96)를 제공하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송 경로(84)에 3차 에어 인입구(94)를 제공하는 것으로 했지만, 흡인 파이프(88)가 컨트롤 밸브(86)의 직근(直近)까지 제공되어 있을 때는 흡인 파이프(88)에 3차 에어 인입구(94)를 제공해도 좋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송 경로(42,56,84)의 수직부(42A,56A,84A)에 컨트롤 밸브(44,58,86)를 제공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도 일예이다. 예를 들면, 컨트롤 밸브(58,86)에 대해서는 수송 경로(56,84)의 수직부(56A,84A) 이외의 부분에 제공해도 재료(W)의 수송후에 폐쇄하기 때문에 물려 들어감이 생기지 않고, 종래의 개폐 셔터의 생략이 가능하다.
(8) 본 발명의 건조 장치의 적용 대상은 수지 재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의 각종의 피건조물에 대하여 적용가능하다. 또한, 그 형태에 대해서도 펠릿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종 형상의 피건조물에 대하여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압 하에 있어서 피건조물인 재료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감압 건조를 행하는 제 1 드럼과, 상기 제 1 드럼 내의 전체 재료가 일괄 투입가능하며 투입된 건조 재료를 감압 하에서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는 제 2 드럼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가열가능한 가열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가능한 감압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 해제가능한 감압 해제 수단과, 상기 제 1 드럼으로의 재료의 공급, 상기 제 1 드럼으로부터 배출한 재료의 상기 제 2 드럼으로의 공급,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를 각각 행하는 복수의 수송 경로와,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수송 경로를 개별적으로 밀봉 및 개방가능한 복수의 컨트롤 밸브와,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재료의 수송을 행하는 수송 수단을 구비한다. 그래서, 외부로의 건조 재료의 공급을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을 행하는 수송 경로로 행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제 1 드럼은 건조 도중에 감압을 해제하지 않고 연속적인 감압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드럼 중 적어도 제 1 드럼에 교반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단시간에 건조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건조 재료의 공급을 가능하게 했으므로 피건조물의 건조 효율이 높은 자동 건조 장치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감압 하에 있어서 건조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산화에 의한 황변의 방지가 기대되는 피건조물의 건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트롤 밸브를 상기 수송 경로가 거의 수직 방향에 제공된 부분에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 재료를 배출하는 수송 경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드럼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2차 에어 인입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2 드럼 내의 재료를 흡인하는 흡인 파이프와, 상기 흡인 파이프 또는 상기 재료의 배출을 행하는 수송 경로중이며, 상기 2차 에어 인입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3차 에어 인입부와, 상기 3차 에어 인입부에 접속되어 있고, 3차 에어를 차단 및 개방하는 개폐 밸브ㄹ를 제공한다. 그래서, 제 2 드럼 내의 재료를 외부에 공급할 때는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에 의한 2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상기 흡인 파이프로부터 재료를 흡인하고, 소정량을 배출한 시점에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고, 3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재료의 흡인력을 저하시켜서 재료의 배출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송 경로를 공수송시켜서 재료의 잔류를 방지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건조 드럼 재료 투입구나 배출구에 설치되는 개폐 셔터를 폐지할 수 있고, 개폐부에 대한 재료의 물려 들어감도 방지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감압 건조 장치의 용도에 호적하다.
10: 건조 장치 12: 제 1 드럼
12A: 벽면 14:재킷
15: 외주 공간 16A: 열풍 공급로
16B: 열풍 회수로 18: 송풍 플로워
20: 히터 22: 교반 모터
24: 회전축 26: 교반 스크류
27: 흡인 파이프 27A: 구멍
28: 재료 검출 센서 30: 감압 해제 유닛
30A: 밸브체 32,34:배관
36: 감압 발생 장치 38A,38B: 진공 전자 밸브
40: 원재료부 42: 수송 경로
42A: 수직부 44: 컨트롤 밸브
46: 수송 에어 흡인로 50: 수송 에어 스위칭 유닛
50A,50B,50C: 밸브체 52: 배관
54: 수송 블로워 56: 수송 경로
56A,56B: 수직부 58: 컨트롤 밸브
60: 수송 에어 흡인로 70: 제 2 드럼
70A: 벽면 72: 히터
74: 감압 해제 유닛 74A: 밸브체
76,78: 배관 80: 제 1 배치 상한 레벨계
82: 제 2 배치 상한 레벨계 84: 수송 경로
84A: 수직부 86: 컨트롤 밸브
88: 흡인 파이프 92: 3차 에어 스위칭 밸브
94: 3차 에어 인입구 96: 2차 에어 흡인구
100: 성형기 102: 성형기 호퍼
104: 재료 검출 센서 106: 수송 에어 흡인로
200: 감압 건조 장치 202: 건조 드럼
204A~204C: 히터 206A~206D: 벽면
208: 투입구 210,214: 개폐 셔터
212: 배출구 216: 감압 발생 장치
218: 원재료부 220: 성형기
222:성형기 호퍼 224,226: 재료 검출 센서
W: 재료 W1: 제 1 배치
W2: 제 2 배치 W3: 제 3 배치

Claims (5)

  1. 감압 하에 있어서 피건조물인 재료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감압 건조를 행하는 제 1 드럼,
    상기 제 1 드럼 내의 전체 재료가 일괄 투입가능하며 투입된 건조 재료를 감압 하에서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는 제 2 드럼,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가열가능한 가열 수단,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가능한 감압 수단,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을 개별적으로 감압 해제가능한 감압 해제 수단,
    상기 제 1 드럼으로의 재료의 공급, 상기 제 1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재료의 상기 제 2 드럼으로의 공급,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을 각각 행하는 복수의 수송 경로,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수송 경로를 개별적으로 밀봉 및 개방가능한 복수의 컨트롤 밸브, 및
    상기 복수의 수송 경로에 있어서의 재료의 수송을 행하는 수송 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로의 건조 재료의 공급을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의 재료의 배출을 행하는 수송 경로로부터 행함으로써 상기 제 1 드럼에 있어서의 감압 건조중에 감압 상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럼 및 제 2 드럼 중 적어도 상기 제 1 드럼에 상기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를 상기 수송 경로가 거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 재료를 배출하는 수송 경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드럼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2차 에어 인입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2 드럼 내의 재료를 흡인하는 흡인 파이프,
    상기 흡인 파이프 또는 상기 재료를 배출하는 수송 경로에서 상기 2차 에어 인입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3차 에어 인입부, 및
    상기 3차 에어 인입부에 접속되어 있고, 3차 에어를 차단 및 개방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에 의한 2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상기 흡인 파이프로부터 재료를 흡인하고, 소정량을 배출한 시점에서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고, 3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재료의 흡인력을 저하시켜서 재료의 배출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송 경로를 공수송시켜서 재료의 잔류를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럼으로부터 재료를 배출하는 수송 경로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드럼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2차 에어 인입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 2 드럼 내의 재료를 흡인하는 흡인 파이프,
    상기 흡인 파이프 또는 상기 재료를 배출하는 수송 경로에서 상기 2차 에어 인입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공기를 인입하기 위한 3차 에어 인입부, 및
    상기 3차 에어 인입부에 접속되어 있고, 3차 에어를 차단 및 개방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폐 밸브의 폐쇄에 의한 2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상기 흡인 파이프로부터 재료를 흡인하고, 소정량을 배출한 시점에서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하고, 3차 에어의 인입에 의해 재료의 흡인력을 저하시켜서 재료의 배출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송 경로를 공수송시켜서 재료의 잔류를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KR1020110023259A 2010-03-17 2011-03-16 건조 장치 KR20110104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1719A JP2011194623A (ja) 2010-03-17 2010-03-17 乾燥装置
JPJP-P-2010-061719 2010-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901A true KR20110104901A (ko) 2011-09-23

Family

ID=4477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259A KR20110104901A (ko) 2010-03-17 2011-03-16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194623A (ko)
KR (1) KR20110104901A (ko)
CN (1) CN102218780A (ko)
TW (1) TW2012019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9673B (zh) * 2016-04-05 2018-09-28 东莞市卡帝德塑化科技有限公司 一种双桶循环烘干除异味装置
JP6975521B2 (ja) * 2017-10-23 2021-12-01 株式会社シュトルツ 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1990A (en) 2012-01-16
JP2011194623A (ja) 2011-10-06
CN102218780A (zh)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30961A1 (en) Drying Apparatus under Reduced Pressure for Plastic Molding Material
US9746239B2 (en) Device for drying wood
CN104322665A (zh) 粮食烘干机
JP5669376B2 (ja) 粉粒体の乾燥装置
CN104339471B (zh) 粉粒体处理装置
JP5737928B2 (ja) 乾燥粉粒体の製造方法
JP2012180999A (ja) 乾燥システムおよび乾燥方法
KR20110104901A (ko) 건조 장치
FI122117B (fi) Menetelmä orgaanisen kappalemaisen materiaalin kuivaamiseksi ja kuivuri
KR100938915B1 (ko) 슬러지 건조장치
JP2007083696A (ja) 合成樹脂粉粒体の除湿乾燥システム
CN204286006U (zh) 带式干燥机
KR101300163B1 (ko) 소결설비의 배기가스 순환장치 및 순환장치 제어방법
KR20170138190A (ko) 타워형 상온 고속 건조 장치 및 방법
CN112179067B (zh) 粉粒体处理容器及干燥装置
JP2006347051A (ja) 射出成形システム
JP2012240246A (ja) 粉粒体供給システム
KR100627463B1 (ko) 수직 소성로의 소성도 및 온도 제어장치
JP2010260185A (ja) 乾燥装置
JP4949005B2 (ja) 高温石炭の事前処理方法
JP2012232847A (ja) ホッパ
JP2014079954A (ja) 粉粒体貯留装置
KR101549488B1 (ko) 인라인형 숯 건조장치
KR100551142B1 (ko) 합성수지 재료의 건조 및 이송 장치
CN108640544B (zh) 一种多线程废料制作水泥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