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404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404A
KR20110103404A KR1020117015109A KR20117015109A KR20110103404A KR 20110103404 A KR20110103404 A KR 20110103404A KR 1020117015109 A KR1020117015109 A KR 1020117015109A KR 20117015109 A KR20117015109 A KR 20117015109A KR 20110103404 A KR20110103404 A KR 2011010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enerator
filter
housing
cylindrica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사사모토
신야 우에다
고이치 에나미
사토시 아오야기
다츠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가스 발생기 (1A) 는, 장척 원통 형상의 하우징 (10) 과,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을 축 방향으로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로 구획하는 칸막이판 (40) 과, 점화기 (30) 를 구비한다. 필터 (60) 는,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 (61) 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칸막이판 (40) 은,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면을 덮는 고리 형상 판부 (41) 와, 고리 형상 판부 (4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필터 (60) 의 중공부 (61) 내를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고, 필터 (60) 의 상기 단면에 가까운 내주면을 덮는 통 형상부 (42) 와, 통 형상부 (42) 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 (43) 을 포함한다. 통 형상부 (42) 는, 고리 형상 판부 (41)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그 단면적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제조가 용이한 가스 발생기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 {GAS GENERATOR}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승무원 보호 장치로서의 에어백 장치에 장착되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장척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등의 승무원 보호의 관점에서, 승무원 보호 장치인 에어백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 등 충돌시에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차량 등에 장비되는 것으로, 차량 등 충돌시에 순간에 에어백을 팽창 및 전개시킴으로써, 전개된 에어백으로 승무원의 몸을 받아내는 것이다. 가스 발생기는, 이 에어백 장치에 장착되어, 차량 등 충돌시에 순간에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을 팽창 및 전개시키는 기기이다.
가스 발생기에는, 차량 등에 대한 설치 위치나 출력 등의 사양에 기초하여, 다양한 구성의 것이 존재하고 있다. 그 하나로, 「실린더형」 으로 불리는 구조의 가스 발생기가 존재한다.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는, 그 외형이 장척 원기둥 형상으로, 사이드 에어백 장치나 조수석용의 에어백 장치 등에 바람직하게 장착된다. 또한, 장척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 가스 발생기로는, 이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이외에도, 소위 T 자형 가스 발생기로 불리는 것 등이 존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점화기 및 전화약 (傳火藥) 등이 배치되고, 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가스 발생제가 수용되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이 형성되고, 축 방향의 타단부에 필터가 수용되는 필터실 및 가스 분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점화기가 작동함으로써 발생된 화염이 전화약의 연소를 통하여 가스 발생제에 전달되고, 이로써 가스 발생제가 연소하여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가 발생된다. 발생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는, 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가스 발생제 수용실로부터 필터실에 유입되고, 필터를 통과하여 가스 분출구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로 분출된다. 가스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연소 가스는, 그 후 에어백의 팽창 및 전개에 이용된다.
상기 구성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구체적인 구조가 개시된 문헌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3812호 (특허문헌 1) 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78766호 (특허문헌 2) 등이 있다. 이들 공보에는, 양단이 폐색된 장척 원통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칸막이판을 배치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가스 발생제가 배치되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과 필터가 배치되는 필터실로 구획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 당해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를 갖는 필터가 이용되고, 필터실을 규정하는 부분의 하우징의 둘레벽에 연소 가스를 분출하기 위한 가스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38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78766호
여기서, 가스 발생제 수용실과 필터실을 구획하는 칸막이판에는, 가스 발생기가 작동한 경우에 가스 발생제 수용실에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의 추력에 견디고, 이로써 가스 발생제 수용실의 내압을 높게 유지하기 위한 압력 격벽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된다. 칸막이판이 압력 격벽으로서 기능한다는 것은,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가 직접 필터에 분사되어 필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도 연결된다.
상기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상기 서술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3812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78766호에 개시된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둘레벽의 소정 위치를 내측을 향하여 코킹함으로써 하우징에 내삽된 칸막이판을 축 방향으로 고정시키고, 이로써 상기 서술한 기능이 칸막이판에 의해 발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칸막이판의 장착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는, 칸막이판의 장착을 위해서 하우징에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별도로 필요해지거나, 하우징에 의해서만 지지된 칸막이판에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칸막이판을 두껍게 형성하거나 하는 것이 필요해져, 가스 발생기의 단척화나 소경화, 경량화를 도모하는 데에 방해가 되었다. 또, 상기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작업도 비교적 번잡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원인도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제조가 용이한 가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과, 칸막이 부재와, 점화기 (점화 수단)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가스 발생제 수용실 및 필터가 수용된 필터실을 내부에 포함하는 장척 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내삽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축 방향으로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과 상기 필터실로 구획하고 있다. 상기 점화기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작동함으로써 상기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기 위한 화염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실을 규정하는 부분에 가스를 분출하기 위한 가스 분출구를 갖고 있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측의 단면 (端面) 에 도달하는 중공부를 갖는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필터의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측의 단면을 덮는 고리 형상 판부와, 상기 고리 형상 판부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필터의 상기 중공부 내를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고, 상기 필터의 상기 단면에 가까운 내주면을 덮는 통 형상부와, 상기 통 형상부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과 상기 필터실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 상기 연통 구멍은, 상기 고리 형상 판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그 개구 면적이 변화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통 형상부가 상기 고리 형상 판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이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서서히 축경 또는 확경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칸막이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끼워 맞춰져 있거나, 혹은 헐겁게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가 내부에 공극이 포함되도록 금속 선재를 원통 형상으로 권회하고, 필요에 따라 소결 처리한 것이나, 혹은 내부에 공극이 포함되도록 금속 선재를 원통 형상으로 눌러 고정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필터를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을 따라 당해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투영한 경우에, 상기 필터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칸막이 부재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발생제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 내에 위치하는 제 1 밀폐 용기에 봉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는, 또한, 상기 점화기가 작동함으로써 발생되는 화염을 상기 가스 발생제에 전달하기 위한 전화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에, 상기 전화약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제 2 밀폐 용기에 봉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면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중,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발생제가 상기 필터가 배치된 위치보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면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발생제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중,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상기 가스 발생제가 배치된 위치보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제조가 용이한 가스 발생기로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등에 바람직하게 장착되는 소위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실시한다.
(실시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 는 정면도, 도 1(B) 는 우측면도이다. 또,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II-II 선을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먼저, 이들 도 1(A), 도 1(B)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외관 구조 및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는, 장척의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고, 외각 부재로서의 하우징 (10) 을 갖고 있다. 하우징 (10) 은, 원통 형상 부재 (11), 폐색 부재 (14) 및 홀더 (20) 를 포함하고 있다. 원통 형상 부재 (11) 는, 축 방향의 양단에 개구를 갖는 장척의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폐색 부재 (14) 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반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의 일방의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폐색 부재 (14) 는, 그 둘레면에 후술하는 코킹 고정을 위한 홈 (14a) 을 갖고 있다. 이 코킹 고정을 위한 홈 (14a) 은, 폐색 부재 (14) 의 둘레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 (20) 는,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과 동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부 (22) 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의 타방의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홀더 (20) 는, 그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후술하는 코킹 고정을 위한 홈 (21) 을 갖고 있다. 이 코킹 고정을 위한 홈 (21) 은, 홀더 (20) 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원통 형상 부재 (11), 폐색 부재 (14) 및 홀더 (20) 는, 모두 스테인리스강이나 철강,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코킹 고정에 의해 각각이 연결 및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일방의 개구단에 폐색 부재 (14) 의 일부가 내삽된 상태에서, 폐색 부재 (14) 의 둘레면에 형성된 홈 (14a) 에 대응하는 부분의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벽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시켜 당해 홈 (14a) 에 걸어 맞춰지게 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에 대한 폐색 부재 (14) 의 코킹 고정이 실시되고, 원통 형상 부재 (11) 의 타방의 개구단에 홀더 (20) 의 일부가 내삽된 상태에서, 홀더 (20) 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21) 에 대응하는 부분의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벽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축경시켜 당해 홈 (21) 에 걸어 맞춰지게 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에 대한 홀더 (20) 의 코킹 고정이 실시된다.
이들 코킹 고정은, 모두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벽을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균등하게 축경시키는 팔방 코킹으로 불리는 코킹 고정이다. 이 팔방 코킹을 실시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벽에는 코킹부 (13a, 13b) 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팔방 코킹을 이용하면, 코킹 고정시키는 2 개의 부재 사이에 특별히 시일 부재를 개재 장착시키지 않고도 기밀성을 상당 정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원통 형상 부재 (11) 를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폐색 부재 (14) 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원통 형상 부재 (11) 의 개구단을 폐색하도록 홀더 (20) 를 원통 형상 부재 (11) 에 코킹 고정시킴으로써, 이들 원통 형상 부재 (11) 와 홀더 (20) 에 의해 하우징 (10) 이 구성되게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부재 (11), 폐색 부재 (14) 및 홀더 (20) 에 의해 규정되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내부 공간에는, 점화실 (15),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및 필터실 (17) 이 형성되어 있다. 점화실 (15),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및 필터실 (17) 은, 하우징 (10) 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 후술하는 컵 형상 부재 (25) 나 칸막이판 (40) 에 의해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이 구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는, 점화실 (15) 이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필터실 (17) 이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이 필터실 (17) 보다 하우징 (10) 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점화실 (15) 은, 홀더 (20) 및 컵 형상 부재 (25) 에 의해 주로 규정되고, 하우징 (10) 의 홀더 (20) 에 가까운 부분 (도면 중 우측 부분) 에 형성되어 있다. 홀더 (20) 의 관통부 (22) 내에는, 점화기 (스퀴브) (30) 가 배치되어 있고, 홀더 (20) 와 점화기 (30) 사이에는, 수지 성형부 (24) 가 위치하고 있다. 컵 형상 부재 (25) 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 공간이 점화기 (30) 의 점화부 (31) 에 면하도록 홀더 (20) 에 접촉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수지 성형부 (24) 는, 점화기 (30) 를 홀더 (20) 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위로, 홀더 (20) 의 표면과 점화기 (30) 의 표면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수지 성형부 (24) 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원재료로는, 에폭시 수지 등으로 대표되는 열경화성 수지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예를 들어 나일론 6 이나 나일론 66 등), 폴리프로필렌술파이드 수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수지 등으로 대표되는 열가소성 수지 등이 이용 가능하다.
점화기 (30) 는, 후술하는 가스 발생제 (52) 를 연소시키기 위해서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점화부 (31) 와 단자 핀 (32) 을 포함하고 있다. 점화부 (31) 는, 그 내부에 작동시에 있어서 착화되는 점화약과, 이 점화약을 연소시키기 위한 저항체를 포함하고 있다. 단자 핀 (32) 은, 점화약을 착화시키기 위해서 점화부 (31) 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화기 (30) 는, 한 쌍의 단자 핀 (32) 이 삽입 통과되고 이것을 유지하는 기부 (基部) 와, 기부 상에 장착된 스퀴브 컵을 구비하고 있고, 스퀴브 컵 내에 삽입된 단자 핀 (32) 의 선단을 연결하도록 저항체 (브릿지 와이어) 가 장착되고, 이 저항체를 둘러싸도록 또는 이 저항체에 면하도록 스퀴브 컵 내에 점화약이 충전되어 있다. 저항체로는 일반적으로 니크롬선 등이 이용되고, 점화약으로는 일반적으로 ZPP (지르코늄·과염소산칼륨), ZWPP (지르코늄·텅스텐·과염소산칼륨), 납 트리시네이트 등이 이용된다. 스퀴브 컵은, 일반적으로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이다.
충돌을 검지했을 때에는, 단자 핀 (32) 을 개재하여 저항체에 소정량의 전류가 흐른다. 저항체에 소정량의 전류가 흐름으로써, 저항체에 있어서 줄열이 발생되고, 이 열을 수용하여 점화약이 연소를 개시한다. 연소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화염은, 점화약을 수납하고 있는 스퀴브 컵을 파열시킨다. 저항체에 전류가 흐르고 나서 점화기 (30) 가 작동할 때까지의 시간은, 저항체에 니크롬선을 이용한 경우에는 3 밀리초 이하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화실 (15) 중의 컵 형상 부재 (25), 홀더 (20) 및 점화기 (30) 등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 (즉 컵 형상 부재 (25) 의 내부 공간) 에는, 제 2 밀폐 용기 (70) 가 수용되어 있다. 제 2 밀폐 용기 (70) 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컵부 (71) 와, 당해 컵부 (71) 의 개구를 폐색하는 캡부 (72) 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 컵부 (71) 와 캡부 (72) 가 조합되어 접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73) 이 당해 제 2 밀폐 용기 (70) 의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봉지되어 있다. 컵부 (71) 및 캡부 (72) 로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성형된 구리나 알루미늄, 구리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박판 (박) 이 이용된다. 또, 컵부 (71) 와 캡부 (72) 의 접합에는, 납땜이나 접착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 2 밀폐 용기 (70) 의 수용 공간 (73) 에는, 복수의 입자 형상의 전화약 (27) 이 충전되어 있다. 전화약 (27) 은, 점화기 (30) 가 작동함으로써 발생된 화염에 의해 점화되고, 연소함으로써 열 입자를 발생시킨다. 전화약 (27) 으로는, 후술하는 가스 발생제 (52) 를 확실하게 연소 개시시킬 수 있는 것인 것이 필요하고, 일반적으로는, B / KNO3 등으로 대표되는 금속 가루 / 산화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등이 사용된다. 전화약 (27) 은, 입자 형상인 것이나, 바인더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 등이 이용된다. 바인더에 의해 성형된 전화약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과립 형상, 원기둥 형상, 시트 형상, 구 형상, 단공 원통 형상, 다공 원통 형상, 타블렛 형상 등 여러 가지의 형상이 있다.
컵 형상 부재 (25) 의 저벽에는, 개구부 (25a) 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당해 개구부 (25a) 는, 점화실 (15) 과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을 연통하고 있다. 또, 컵 형상 부재 (25) 의 홀더 (20) 측의 개구단에는, 외측을 향하여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플랜지부는, 홀더 (20) 의 축 방향 단면과, 원통 형상 부재 (11) 에 형성된 코킹부 (13c) 에 의해 협지되어 있고, 이로써 컵 형상 부재 (25) 가 하우징 (10)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컵 형상 부재 (25) 를 하우징 (10) 에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에는, 상기 서술한 팔방 코킹이 이용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은, 원통 형상 부재 (11), 후술하는 칸막이판 (40) 및 컵 형상 부재 (25) 에 의해 규정되고, 하우징 (10) 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는, 제 1 밀폐 용기 (80) 가 수용되어 있다. 제 1 밀폐 용기 (80) 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컵부 (81) 와, 당해 컵부 (81) 의 개구를 폐색하는 캡부 (82) 를 포함하고 있고, 이들 컵부 (81) 와 캡부 (82) 가 조합되어 접합됨으로써, 그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83) 이 당해 제 1 밀폐 용기 (80) 의 외부로부터 기밀하게 봉지되어 있다. 컵부 (81) 및 캡부 (82) 로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성형된 구리나 알루미늄, 구리 합금,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박판 (박) 이 이용된다. 또, 컵부 (81) 와 캡부 (82) 의 접합에는, 납땜이나 접착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 1 밀폐 용기 (80) 의 수용 공간 (83) 에는, 복수의 입자 형상의 가스 발생제 (52) 와 다공판 (18) 과 쿠션재 (51) 가 수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밀폐 용기 (80) 의 수용 공간 (83) 중의 필터실 (17) 측의 단부 부분에는, 다공판 (18) 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제 1 밀폐 용기 (80) 의 수용 공간 (83) 중의 점화실 (15) 측의 단부 부분에는, 쿠션재 (5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입자 형상의 가스 발생제 (52) 는, 이들 다공판 (18) 과 쿠션재 (51)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1 밀폐 용기 (80) 의 수용 공간 (83) 내에 충전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 (52) 는, 점화기 (30) 에 의해 점화된 전화약 (27) 이 연소함으로써 발생된 열 입자에 의해 착화되고, 연소함으로써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가스 발생제 (52) 는, 일반적으로 연료와 산화제와 첨가제를 포함하는 성형체로서 형성된다. 연료로는, 예를 들어 트리아졸 유도체, 테트라졸 유도체, 구아니딘 유도체,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유도체, 하이드라진 유도체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니트로구아니딘이나 질산구아니딘, 시아노구아니딘, 5-아미노테트라졸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산화제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천이 금속, 암모니아에서 선택된 양이온을 포함하는 질산염 등이 이용된다. 질산염으로는, 예를 들어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첨가제로는, 바인더나 슬래그 형성제, 연소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금속염, 스테아르산염 등의 유기 바인더나, 합성 하이드록시탈사이트, 산성 백토 등의 무기 바인더가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하다. 슬래그 형성제로는 질화규소, 실리카, 산성 백토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하다. 또, 연소 조정제로는, 금속 산화물, 페로 실리콘, 활성 숯, 그라파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하다.
입자 형상으로 성형된 가스 발생제 (52) 의 성형체의 형상에는, 과립 형상, 펠릿 형상, 원기둥 형상, 디스크 형상 등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있다. 또, 유공 형상 (예를 들어 단공 원통 형상이나 다공 원통 형상 등) 의 성형체도 이용된다. 이들 형상은,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가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가스 발생제 (52) 의 연소시에 있어서 가스의 생성 속도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을 선택하는 등, 사양에 따른 최적인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스 발생제 (52) 의 형상 외에도 가스 발생제 (52) 의 선 연소 속도, 압력 지수 등을 고려하여 성형체의 사이즈나 충전량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체로는, 예를 들어 직경 2.0 ㎜ ∼ 3.5 ㎜ 정도, 두께 1.0 ㎜ ∼ 1.6 ㎜ 정도의 펠릿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쿠션재 (51) 는,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가스 발생제 (52) 가 진동 등에 의해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쇄 방지 부재에 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스 파이버의 성형체나 발포 실리콘 등이 이용된다. 이 쿠션재 (51) 는, 작동시에 있어서 전화약 (27) 의 연소에 의해 개구 또는 분단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실된다.
다공판 (18) 은, 복수의 관통 구멍 (18a) 이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가 홀더 (20)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다공판 (18) 에 형성된 관통 구멍 (18a) 은, 모두 가스 발생제 (52) 의 외형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18) 은, 필터실 (17) 에 가스 발생제 (52) 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입 방지 부재에 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철강,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 부재가 사용된다. 또, 다공판 (18) 은, 작동시에 있어서 다공판 (18) 을 통과하는 연소 가스의 흐름을 정류하는 작용도 갖고 있다. 관통 구멍 (18a) 의 직경으로는, 예를 들어 1.5 ㎜ ∼ 2.5 ㎜ 정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는, 제 1 밀폐 용기 (80) 및 제 2 밀폐 용기 (70) 에 가스 발생제 (52) 및 전화약 (27) 을 각각 봉입한 구성이기 때문에, 미리 이들 약제를 밀폐 용기에 봉입해 둠으로써,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조립 작업이 용이화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하우징 (10) 에 기밀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불필요해져, 부품 점수의 삭감과 구성의 간소화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 (52) 에 부가하여, 다공판 (18) 및 쿠션재 (51) 를 제 1 밀폐 용기 (80) 에 미리 봉입한 구성이기 때문에,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조립 작업이 더욱 용이화되는 효과도 얻어진다.
칸막이판 (40) 은,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을 축 방향으로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로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부재에 상당하고,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 1 밀폐 용기 (80) 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판 (40) 은, 하우징 (10) 의 축과 직교하는 주면 (主面) 을 갖는 고리 형상 판부 (41) 와, 당해 고리 형상 판부 (4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서술한 제 1 밀폐 용기 (80)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부 (42) 와, 당해 통 형상부 (42) 에 의해 규정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 (43)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칸막이판 (40) 의 상세한 구성이나 장착 구조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필터실 (17) 은, 원통 형상 부재 (11), 폐색 부재 (14) 및 칸막이판 (40) 에 의해 규정되고, 하우징 (10) 의 폐색 부재 (14) 에 가까운 부분 (도면 중 좌측 부분) 에 형성되어 있다. 필터실 (17) 에는, 필터 (60) 가 수용되어 있다. 필터 (60) 는, 하우징 (10) 의 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축 방향 단면에 도달하는 중공부 (61) 를 갖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축 방향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면이 칸막이판 (40) 에 맞닿아 있고, 타방의 단면이 폐색 부재 (14) 에 맞닿아 있다. 또, 필터 (60) 의 외주면은,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은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필터 (60) 를 이용하면, 작동시에 있어서 필터실 (17) 을 유동하는 연소 가스의 유동 저항이 낮게 억제되어, 효율적인 연소 가스의 유동이 실현 가능해진다.
필터 (60) 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철강 등의 금속 선재 혹은 금속 선재를 엮어 넣은 망재를 권회한 것이나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눌러 고정시킨 것 등이 이용된다. 망재로는, 구체적으로는 메리야스 뜨기의 철망이나 평직의 철망, 크림프 짜임의 금속 선재의 집합체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금속 선재를 원통 형상으로 권회하거나 눌러 고정시키거나 하여 이루어지는 필터 (60) 는, 그 내부에 공극이 포함되게 되어, 상기 서술한 연소 가스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필터 (60) 로서 금속 선재를 원통 형상으로 권회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 선재를 권회한 후에 소결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60) 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이 필터 (60) 안을 통과할 때에, 당해 연소 가스가 갖는 고온의 열을 탈취함으로써 이것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로서 기능함과 함께, 연소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잔류물 (슬래그) 등을 제거하는 제거부로서도 기능한다.
필터실 (17) 을 규정하는 부분의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벽에는, 가스 분출구 (1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분출구 (12) 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외부에 방출하기 위한 구멍으로,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외경이 20.0 ㎜ 이고 또한 내경이 16.6 ㎜ 인 경우에는, 원통 형상 부재 (11) 에 직경 2.5 ㎜ ∼ 3.5 ㎜ 정도의 구멍이 합계 8 개 형성됨으로써, 가스 분출구 (12) 가 구성된다.
폐색 부재 (14) 는, 필터실 (17) 을 규정하는 부분의 주면의 중앙부에 당해 필터실 (17)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볼록부 (14b) 를 갖고 있다. 볼록부 (14b) 는, 예를 들어 냉간 단조에 의해 폐색 부재 (14) 를 성형할 때에 형성되는 부위로, 필터 (60) 의 중공부 (61) 에 삽입됨으로써 필터 (60) 를 위치 결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 폐색 부재 (14) 의 필터실 (17) 을 규정하는 부분의 주면에는, 상기 볼록부 (14b) 에 부가하여, 오목부 (14c)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14c) 는, 예를 들어 냉간 단조에 의해 폐색 부재 (14) 를 성형할 때에 형성되는 부위로, 필터 (60) 의 중공부 (61) 를 통과하여 분사된 연소 가스에 포함되는 슬래그를 포집하기 위한 부위이다. 분사된 연소 가스에 포함되는 슬래그는, 오목부 (14c) 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당해 오목부 (14c) 내에 포집되고, 오목부 (14c) 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홀더 (20) 가 배치된 측의 단부에는, 암형 (雌型) 커넥터 (도시 생략) 가 장착된다. 이 암형 커넥터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충돌 검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하니스의 수형 (雄型) 커넥터가 접속되는 부위이다. 암형 커넥터에는, 필요에 따라 쇼팅 클립 (도시 생략) 이 장착된다. 이 쇼팅 클립은,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반송시 등에 있어서 정전 방전 등에 의해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착되는 것으로, 에어백 장치에 대한 조립 단계에 있어서 하니스의 수형 커넥터가 암형 커넥터에 삽입됨으로써 그 단자 핀 (32) 에 대한 접촉이 해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작동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가 장착된 에어백 장치가 탑재된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차량에 별도로 형성된 충돌 검지부에 의해 충돌이 검지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점화기 (30) 가 작동한다. 점화기 (30) 가 작동하면, 점화약의 연소에 의해 점화부 (31)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로써 점화부 (31) 가 파열되어, 화염이 점화부 (31) 의 외부로 유출된다.
점화부 (31) 의 파열 후에 있어서, 점화실 (15) 내의 온도와 압력은 상승하고, 제 2 밀폐 용기 (70) 가 용융 또는 파열된다. 이로써, 제 2 밀폐 용기 (70) 내에 수용된 전화약 (27) 은, 점화기 (30) 가 작동함으로써 발생된 화염에 의해 점화되고 연소하여, 다량의 열 입자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다량의 열 입자는, 컵 형상 부재 (25) 에 형성된 개구부 (25a) 를 경유하여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 도달한다.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 도달한 열 입자는, 제 1 밀폐 용기 (80) 의 캡부 (82) 를 용융 또는 파열시키고, 쿠션재 (51) 를 개구 또는 분단시켜, 가스 발생제 (52) 에 도달한다. 이로써, 가스 발생제 (52) 가 착화되고 연소하여, 다량의 연소 가스가 발생된다. 발생된 연소 가스는, 다공판 (18) 에 형성된 관통 구멍 (18a) 을 통과하고, 그 끝에 위치하는 제 1 밀폐 용기 (80) 의 컵부 (81) 를 파열시켜, 칸막이판 (40) 에 형성된 연통 구멍 (43) 을 경유하여 필터실 (17) 로 유입된다.
필터실 (17) 로 유입된 연소 가스는, 필터 (60) 의 중공부 (61) 내를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고, 그 후 유동 방향을 바꿔 필터 (60) 에 진입하고, 당해 필터 (60) 를 경유함으로써 소정의 온도로까지 냉각되어, 가스 분출구 (12) 로부터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외부로 분출된다. 가스 분출구 (12) 로부터 분출된 연소 가스는, 에어백의 내부로 유도되어 에어백을 팽창 및 전개시킨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칸막이판이 형성된 위치의 근방을 확대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로, 도 3(A) 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작동 개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 는 작동 개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이들 도 3(A) 및 도 3(B) 를 참조하여, 칸막이판 (40) 의 구성, 장착 구조 및 당해 칸막이판 (40) 이 압력 격벽으로서 기능하는 이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A)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칸막이판 (40) 의 구성 및 장착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칸막이판 (40) 은, 고리 형상 판부 (41) 와, 통 형상부 (42) 와, 연통 구멍 (43) 을 갖고 있다. 고리 형상 판부 (41) 는,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면을 덮고 있고, 통 형상부 (42) 는, 고리 형상 판부 (4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필터 (60) 의 중공부 (61) 내를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고, 필터 (60) 의 상기 단면에 가까운 내주면을 덮고 있다. 연통 구멍 (43) 은, 통 형상부 (42) 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 형상부 (42) 는, 고리 형상 판부 (41)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로부터 멀어지고, 통 형상부 (42) 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연통 구멍 (43) 의 개구 면적이 감소하도록 서서히 축경하는 원추판 형상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판 (40) 은, 원통 형상 부재 (11) 에 대해 끼워 맞춤 또는 헐겁게 끼워져 있고, 원통 형상 부재 (11) 에는, 당해 칸막이판 (40) 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 가공은 실시되지 않았다. 여기서, 끼워 맞춤이란, 소위 압입 고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단이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장착된 상태를 가리킨다. 또, 헐겁게 끼움이란,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단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이 전체 둘레에 걸쳐 반드시 접촉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다소의 간극 (클리어런스) 을 두고 내삽된 상태를 가리킨다.
칸막이판 (40) 은,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필터 (60) 와 상기 서술한 가스 발생제 (52) 를 수용하는 제 1 밀폐 용기 (80) 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부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 (40) 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철강,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 판 형상 부재를 프레스 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칸막이판 (40) 의 구성 및 장착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도, 칸막이판 (40) 이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을 유지하고 또한 필터 (60) 의 파손을 방지하는 압력 격벽으로서 기능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 중에 있어서는,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G 로 나타내고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가 작동한 작동 개시 직후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의 추력 (즉,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압력, 도면 중 화살표 A 로 나타내는 힘) 을 받고,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가,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을 따라 필터 (60) 측을 향하는 힘을 받는다. 이로써,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는, 필터 (60) 측을 향하여 이동을 개시하고, 칸막이판 (40) 과 원통 형상 부재 (11) 에 의해 둘러싸인 필터 (60) 의 부분 (즉,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부 근방 부분, 도면 중에 나타내는 영역 R1 에 포함되는 부분) 이, 당해 고리 형상 판부 (41) 가 이동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을 따라 압축되게 된다.
여기서, 필터 (60) 의 내부에는, 금속 선재 또는 금속 선재를 엮어 넣은 망재를 권회하거나 혹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눌러 고정시키거나 함으로써 형성된 공극이 존재하지만,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이동에 수반하여 당해 공극의 용적은 감소하고, 금속 선재는 당해 영역 R1 에 있어서 더욱 조밀하게 충전된 상태가 됨과 함께,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넓어지려고 하여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압입하려고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에는, 상기 서술한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대략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한 힘 (도면 중 화살표 B1 로 나타내는 힘) 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압입하려고 하는 힘은 당해 힘에 밀려, 그 반력 (도면 중 화살표 C1 로 나타내는 힘) 이 원통 형상 부재 (11) 와 필터 (60) 의 접촉 부분 (도면 중에 있어서 나타내는 영역 D1) 에 가해지게 된다. 이로써, 당해 원통 형상 부재 (11) 와 필터 (60) 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당해 마찰력이 칸막이판 (40) 이 더욱 필터 (60) 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브레이크력이 된다.
여기서, 상기 반력 (도면 중 화살표 C1 로 나타내는 힘) 은,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 및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작용하는 힘이 되기 때문에,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넓은 범위에 칸막이판 (40) 의 이동을 방지하는 높은 브레이크력으로서 작용하게 되고, 당해 브레이크력에 기초하여 칸막이판 (40) 의 이동량은 얼마 안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후의 칸막이판 (40) 과 이것에 수반하여 눌러 고정된 부분의 필터 (60) 에 의해 실질적으로 압력 격벽으로서의 기능이 확보되게 되어,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이 높게 유지됨과 함께 필터 (60) 의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원통 형상 부재 (11) 에 코킹 가공을 실시하여 칸막이판 (40) 을 고정하지 않고도 칸막이판 (40) 이 압력 격벽으로서 충분히 기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는,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가,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부 근방만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B) 중에 나타내는 영역 R2 에 위치하는 부분의 필터 (60) 의 내부에는, 충분한 공극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상기 서술한 칸막이판 (40) 의 이동 및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당해 부분에 있어서 순조롭게 연소 가스가 유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필터 (60) 가 갖는 연소 가스의 냉각 기능 및 슬래그 포집 기능이 손상되지도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는, 칸막이판 (40) 과 필터 (60) 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을 따라 당해 축과 직교하는 면에 투영한 경우에, 필터 (60) 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가 칸막이판 (40) 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으로부터 칸막이판 (40) 및 필터 (60) 를 평면에서 본 경우에, 필터 (60) 가 칸막이판 (40) 에 의해 완전하게 덮어 가려지도록 칸막이판 (40) 및 필터 (60)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칸막이판 (40) 의 연통 구멍 (43) 을 통과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는, 필터 (60) 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직접 필터 (60) 에 분사되는 비율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스 발생제 (52) 가 제 1 밀폐 용기 (80) 에 봉입되고, 당해 제 1 밀폐 용기 (80) 가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에 닿아 멈춰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면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의 접촉 부분 (칸막이판 (40) 을 원통 형상 부재 (11) 에 헐겁게 끼운 경우에는, 당해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면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 이 제 1 밀폐 용기 (80) 에 의해 덮어지게 되기 때문에, 작동시에 있어서도 연소 가스가 당해 부분으로부터 누출되어 필터 (60) 를 경유하지 않고 가스 분출구 (12) 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안정적인 가스 출력이 얻어지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에 있어서는, 작동시에 있어서 칸막이판 (40) 이 상기 서술한 영역 R1 에 위치하는 부분의 필터 (60) 에 의해 유지되게 되기 때문에, 당해 칸막이판 (40) 만에 의해서 연소 가스의 추력에 견딜 수 있도록 칸막이판 (40) 을 설계할 필요가 없고, 그 두께를 종래에 비해 작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사양을 고려한 경우에는, 칸막이판 (40) 으로서 철강재를 이용한 경우에 그 두께를 대체로 0.7 ㎜ 이상으로 하면 충분하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칸막이판 (40) 의 장착을 위해서 하우징 (10) 에 코킹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 칸막이판 (40) 을 박형화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전체로서 본 경우에,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종래에 비해 단척화나 소경화,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칸막이판 (40) 을 하우징 (10) 에 코킹 가공하는 작업도 불필요해져, 제조 비용을 삭감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제조가 용이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칸막이판이 형성된 위치의 근방을 확대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로, 도 4(A) 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작동 개시 직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 는 작동 개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B) 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와 칸막이판 (40) 의 구조 및 장착 구조에 있어서만 상이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당해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4(A) 및 도 4(B) 중에 있어서는,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G 로 나타내고 있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B) 의 칸막이판 (40) 은, 고리 형상 판부 (41) 와, 통 형상부 (42) 와, 연통 구멍 (43) 을 갖고 있다. 고리 형상 판부 (41) 는,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면을 덮고 있고, 통 형상부 (42) 는, 고리 형상 판부 (4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필터 (60) 의 중공부 (61) 내를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고, 필터 (60) 의 상기 단면에 가까운 내주면을 덮고 있다. 연통 구멍 (43) 은, 통 형상부 (42) 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 형상부 (42) 는, 고리 형상 판부 (41)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로부터 멀어지고, 통 형상부 (42) 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연통 구멍 (43) 의 개구 면적이 증가하도록 서서히 확경하는 원추판 형상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판 (40) 은, 원통 형상 부재 (11) 에 대해 끼워 맞춤 또는 헐겁게 끼워져 있고, 원통 형상 부재 (11) 에는, 당해 칸막이판 (40) 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 가공은 실시되지 않았다. 여기서, 끼워 맞춤이란, 소위 압입 고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단이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장착된 상태를 가리킨다. 또, 헐겁게 끼움이란,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단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이 전체 둘레에 걸쳐 반드시 접촉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다소의 간극 (클리어런스) 을 두고 내삽된 상태를 가리킨다.
칸막이판 (40) 은,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필터 (60) 와 상기 서술한 가스 발생제 (52) 를 수용하는 제 1 밀폐 용기 (80) 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부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 (40) 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이나 철강,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 판 형상 부재를 프레스 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칸막이판 (40) 의 구성 및 장착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칸막이판 (40) 이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을 유지하고 또한 필터 (60) 의 파손을 방지하는 압력 격벽으로서 기능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그 이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B) 가 작동한 작동 개시 직후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의 추력 (즉,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압력, 도면 중 화살표 A 로 나타내는 힘) 을 받고,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가,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을 따라 필터 (60) 측을 향한 힘을 받는다. 이로써,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는, 필터 (60) 측을 향하여 이동을 개시하고, 칸막이판 (40) 과 원통 형상 부재 (11) 에 의해 둘러싸인 필터 (60) 의 부분 (즉,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부 근방 부분, 도면 중에 나타내는 영역 R1 에 포함되는 부분) 이, 당해 고리 형상 판부 (41) 가 이동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을 따라 압축되게 된다.
여기서, 필터 (60) 의 내부에는, 금속 선재 또는 금속 선재를 엮어 넣은 망재를 권회하거나 혹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눌러 고정시키거나 함으로써 형성된 공극이 존재하지만,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이동에 수반하여 당해 공극의 용적은 감소하고, 금속 선재는 당해 영역 R1 에 있어서 더욱 조밀하게 충전된 상태가 됨과 함께,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넓어지려고 하여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압입하려고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에는, 상기 서술한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대략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한 힘 (도면 중 화살표 B2 로 나타내는 힘) 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여 압입하려고 하는 힘은 당해 힘에 밀려, 그 반력 (도면 중 화살표 C2 로 나타내는 힘) 이 원통 형상 부재 (11) 와 필터 (60) 의 접촉 부분 (도면 중에 있어서 나타내는 영역 D2) 에 가해지게 된다. 이로써, 당해 원통 형상 부재 (11) 와 필터 (60) 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당해 마찰력이 칸막이판 (40) 이 더욱 필터 (60) 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브레이크력이 된다.
여기서, 상기 반력 (도면 중 화살표 C2 로 나타내는 힘) 은,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직경 방향 및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작용하는 힘이 되기 때문에,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넓은 범위에 칸막이판 (40) 의 이동을 방지하는 높은 브레이크력으로서 작용하게 되고, 당해 브레이크력에 기초하여 칸막이판 (40) 의 이동량은 얼마 안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후의 칸막이판 (40) 과 이것에 수반하여 눌러 고정된 부분의 필터 (60) 에 의해 실질적으로 압력 격벽으로서의 기능이 확보되게 되어,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이 높게 유지됨과 함께 필터 (60) 의 파손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원통 형상 부재 (11) 에 코킹 가공을 실시하여 칸막이판 (40) 을 고정하지 않고도 칸막이판 (40) 이 압력 격벽으로서 충분히 기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B) 에 있어서는, 칸막이판 (40) 의 통 형상부 (42) 가,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부 근방만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B) 중에 나타내는 영역 R2 에 위치하는 부분의 필터 (60) 의 내부에는, 충분한 공극이 형성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상기 서술한 칸막이판 (40) 의 이동 및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당해 부분에 있어서 순조롭게 연소 가스가 유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필터 (60) 가 갖는 연소 가스의 냉각 기능 및 슬래그 포집 기능이 손상되지도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B) 에 있어서는, 칸막이판 (40) 과 필터 (60) 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축 방향을 따라 당해 축과 직교하는 면에 투영한 경우에, 필터 (60) 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가 칸막이판 (40) 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으로부터 칸막이판 (40) 및 필터 (60) 를 평면에서 본 경우에, 필터 (60) 가 칸막이판 (40) 에 의해 완전하게 덮어 가려지도록 칸막이판 (40) 및 필터 (60)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칸막이판 (40) 의 연통 구멍 (43) 을 통과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는, 필터 (60) 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게 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가 직접 필터 (60) 에 분사되는 비율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B) 에 있어서는, 작동시에 있어서 칸막이판 (40) 이 상기 서술한 영역 R1 에 위치하는 부분의 필터 (60) 에 의해 유지되게 되기 때문에, 당해 칸막이판 (40) 만에 의해서 연소 가스의 추력에 견딜 수 있도록 칸막이판 (40) 을 설계할 필요가 없고, 그 두께를 종래에 비해 작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사양을 고려한 경우에는, 칸막이판 (40) 으로서 철강재를 이용한 경우에 그 두께를 대체로 0.7 ㎜ 이상으로 하면 충분하다.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B) 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하우징 (10) 에 필터 (60) 를 장착하기에 앞서 필터 (60) 에 칸막이판 (40) 을 미리 장착하여 고정해 두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하우징 (10) 에 대해 직접 장착할 필요가 있는 조립 부품의 부품 점수를 삭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당해 장착 작업의 용이화와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3)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이 도 5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는, 장척의 대략 원기둥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외각 부재로서의 하우징 (10) 을 갖고 있다. 하우징 (10) 은, 원통 형상 부재 (11), 폐색 부재 (14) 및 홀더 (20) 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원통 형상 부재 (11), 폐색 부재 (14) 및 홀더 (20) 에 의해 규정되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의 내부 공간에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및 필터실 (17)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공간에는, 주로 점화기 (30), 전화약 (27), 가스 발생제 (52) 및 필터 (60) 가 수용 배치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및 필터실 (17) 은, 하우징 (10) 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 칸막이판 (40) 에 의해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이 구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는,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을 따라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점화기 (30), 가스 발생제 (52), 필터 (60) 의 순서로 이들 부품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는,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을 따라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점화기 (30), 필터 (60), 가스 발생제 (52) 의 순서로 이들 부품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에 있어서는, 점화기 (30) 가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이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필터실 (17) 이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보다 하우징 (10) 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홀더 (20) 의 중공부 (22) 내에는, 점화기 (스퀴브) (30) 가 배치되어 있다. 홀더 (20) 와 점화기 (30) 사이에는, 수지 성형부 (24) 가 위치하고 있고, 당해 수지 성형부 (24) 를 개재한 점화기 (30) 의 홀더 (20) 에 대한 장착 구조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그것과 동일하다.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 중, 홀더 (20) 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필터실 (17)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필터실 (17) 에는, 필터 (60) 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실 (17) 은, 원통 형상 부재 (11), 홀더 (20) 및 칸막이판 (40) 에 의해 주로 규정되고, 하우징 (10) 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필터 (60) 는, 하우징 (10) 의 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 (61) 를 갖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일방의 축 방향 단부가 홀더 (20) 에 압착되어 맞닿음과 함께, 당해 축 방향 단부에 있어서 그 중공부 (61) 에 의해 점화기 (30) 의 점화부 (31) 를 수용하고 있다. 필터 (60) 가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벽에는, 가스 분출구 (12) 가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예를 들어, 직경 2.5 ㎜ ∼ 3.5 ㎜ 의 구멍이 6 개 ∼ 15 개 정도)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판 (40) 은,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을 축 방향으로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로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부재에 상당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의 경계 부분에 상기 서술한 필터 (60) 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판 (40) 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10) 의 축과 직교하는 주면을 갖는 고리 형상 판부 (41) 와, 당해 고리 형상 판부 (4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서술한 제 1 밀폐 용기 (80)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부 (42) 와, 당해 통 형상부 (42) 에 의해 규정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 (43) 을 포함하고 있다.
고리 형상 판부 (41) 는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면을 덮고 있고, 통 형상부 (42) 는 고리 형상 판부 (4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필터 (60) 의 중공부 (61) 내를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고, 필터 (60) 의 상기 단면에 가까운 내주면을 덮고 있다. 연통 구멍 (43) 은 통 형상부 (42) 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 형상부 (42) 는, 고리 형상 판부 (41)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로부터 멀어지고, 통 형상부 (42) 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연통 구멍 (43) 의 개구 면적이 감소하도록 서서히 축경하는 원추판 형상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판 (40) 은, 원통 형상 부재 (11) 에 대해 끼워 맞춤 또는 헐겁게 끼워져 있고, 원통 형상 부재 (11) 에는, 당해 칸막이판 (40) 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킹 가공은 실시되지 않았다. 여기서, 끼워 맞춤이란, 소위 압입 고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단이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장착된 상태를 가리킨다. 또, 헐겁게 끼움이란, 칸막이판 (40) 의 고리 형상 판부 (41) 의 외주단과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주면이 전체 둘레에 걸쳐 반드시 접촉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다소의 간극 (클리어런스) 을 두고 내삽된 상태를 가리킨다.
칸막이판 (40) 은, 필터 (60) 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필터 (60) 와 전화약 (27) 을 수용하는 제 2 밀폐 용기 (70) 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원통 형상 부재 (11) 의 내부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 중, 홀더 (20) 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필터 (60) 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은, 원통 형상 부재 (11), 폐색 부재 (14) 및 칸막이판 (40) 에 의해 주로 규정되고, 하우징 (10) 의 폐색 부재 (14) 에 가까운 부분 (도면 중 좌측 부분) 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는, 필터 (60) 가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복수의 입자 형상의 전화약 (27) 이 봉입된 제 2 밀폐 용기 (70), 복수의 입자 형상의 가스 발생제 (52) 가 봉입된 제 1 밀폐 용기 (80) 및 쿠션재 (53) 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제 2 밀폐 용기 (70), 제 1 밀폐 용기 (80) 및 쿠션재 (53) 는, 모두 원통 형상 부재 (11) 에 내삽되어 있다.
제 1 밀폐 용기 (80) 의 수용 공간 (83) 에는, 상기 서술한 복수의 입자 형상의 가스 발생제 (52) 에 부가하여 쿠션재 (51) 가 수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밀폐 용기 (80) 의 수용 공간 (83) 중, 폐색 부재 (14) 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 부분에 쿠션재 (51)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제 1 밀폐 용기 (80) 가 남는 수용 공간 (83) 을 충전하도록 복수의 입자 형상의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중, 제 1 밀폐 용기 (80) 의 외부에서 또한 제 1 밀폐 용기 (80) 와 폐색 부재 (14) 사이에 배치된 쿠션재 (53) 는, 상기 서술한 각종의 내부 구성 부품을 하우징 (10) 내부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고, 동시에 상기 서술한 내부 구성 부품의 축 방향 길이의 편차를 흡수하기 위한 부재이기도 하다. 쿠션재 (53) 는,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타단부를 구성하는 폐색 부재 (14) 와, 제 1 밀폐 용기 (80) 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쿠션재 (53) 로는, 예를 들어 세라믹스 파이버의 성형체나 발포 실리콘 등이 이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의 작동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가 장착된 에어백 장치가 탑재된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차량에 별도로 형성된 충돌 검지 수단에 의해 충돌이 검지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점화기 (30) 가 작동한다. 점화기 (30) 가 작동하면, 점화약의 연소에 의해 점화부 (31)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로써 점화부 (31) 가 파열되어, 화염이 점화부 (31) 의 외부로 유출된다.
점화부 (31) 로부터 외부로 뿜어져 나온 화염은, 필터 (60) 의 중공부 (61) 를 경유하고, 제 2 밀폐 용기 (70) 에 도달하여 이것을 용융 또는 파열시킨다. 이로써, 제 2 밀폐 용기 (70) 내에 수용된 전화약 (27) 은, 점화기 (30) 가 작동함으로써 발생된 화염에 의해 점화되고 연소하여, 다량의 열 입자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다량의 열 입자는, 제 1 밀폐 용기 (80) 에 도달하여 이것을 용융 또는 파열시킨다. 이로써, 가스 발생제 (52) 가 착화되고 연소하여, 다량의 연소 가스가 발생된다. 발생된 연소 가스는, 필터 (60) 의 중공부 (61) 내를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을 따라 유동하고, 그 후 유동 방향을 바꿔 필터 (60) 에 진입하고, 당해 필터 (60) 를 경유함으로써 소정의 온도로까지 냉각되어, 가스 분출구 (12) 로부터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의 외부로 분출된다. 가스 분출구 (12) 로부터 분출된 연소 가스는, 에어백의 내부로 유도되어 에어백을 팽창 및 전개시킨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로 한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로 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와 같이 함으로써, 작동시에 있어서 칸막이판 (40) 이 압력 격벽으로서 충분히 기능하게 되고,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이 높게 유지되어 가스 발생제 (52) 의 연소가 촉진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로 한 경우에는,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된 영역 중의 점화기 (30) 측의 단부로부터 가스 발생제 (52) 의 연소를 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동 초기에 있어서 연소 가스가 생성되는 위치와 필터 (60)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성된 연소 가스의 유동이 미연소의 가스 발생제 등에 의해 저해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생성된 연소 가스를 즉시 필터 (60) 가 수용된 영역에 유입시키고, 그 후 필터 (60) 를 경유시켜 가스 분출구 (12) 로부터 하우징 (10) 의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와 같이, 필터실 (17) 을 점화기 (30) 와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사이에 배치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도,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필터실 (17) 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칸막이 부재로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와 같은 칸막이판 (40) 을 채용할 수 있다. 당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와 같은 칸막이판 (40) 을 채용한 경우에는, 하우징 (10) 에 필터 (60) 를 장착하기에 앞서 필터 (60) 에 칸막이판 (40) 을 미리 장착하여 고정해 두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하우징 (10) 에 대해 직접 장착할 필요가 있는 조립 부품의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당해 장착 작업의 용이화와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이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D, 1E)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D) 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에 수용 배치되는 제 1 밀폐 용기 (80) 및 제 2 밀폐 용기 (70) 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된 제 1 밀폐 용기 (80) 와 전화약 (27) 이 수용된 제 2 밀폐 용기 (70) 를 개별로 구성하고, 이것을 하우징 (10) 의 내부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D) 에 있어서는, 전화약 (27) 이 수용된 제 2 밀폐 용기 (70) 를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된 제 1 밀폐 용기 (80) 의 내부에 봉입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밀폐 용기 (80) 의 캡부 (82) 는, 제 2 밀폐 용기 (70) 의 컵부를 겸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로 한 경우에 얻어지는 효과에 부가하여 더욱 조립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E) 는, 상기 서술한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D) 와 분쇄 방지 부재로서의 쿠션재 (51) 가 배치된 위치에 있어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D) 에 있어서는, 쿠션재 (51) 가 제 1 밀폐 용기 (80) 의 폐색 부재 (14) 측의 단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E) 에 있어서는, 이것을 제 1 밀폐 용기 (80) 의 필터 (60) 측의 단부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쿠션재 (51) 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작동 초기에 있어서 생성되는 연소 가스의 유동이 쿠션재 (51) 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D) 로 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이 도 8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F) 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F) 는,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다공판 (18) 을 갖고 있다. 다공판 (18) 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그 바닥판부 (18b) 에 복수의 관통 구멍 (18a) 을 갖고 있다. 다공판 (18) 은,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된 제 1 밀폐 용기 (80) 와 전화약 (27) 이 수용된 제 2 밀폐 용기 (70) 사이에 바닥판부 (18b) 가 위치하도록 원통 형상 부재 (11) 에 내삽되어 있고, 그 둘레벽부 (18c) 의 선단이 칸막이판 (40) 에 닿아 멈춰지게 되어 있다.
다공판 (18) 에 형성된 관통 구멍 (18a) 은, 모두 가스 발생제 (52) 의 외형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18) 은, 필터실 (17) 에 가스 발생제 (52) 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입 방지 부재에 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이나 철강,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 부재가 사용된다. 또, 다공판 (18) 은, 작동시에 있어서 다공판 (18) 을 통과하는 연소 가스의 흐름을 정류하는 작용도 갖고 있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F) 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C) 로 한 경우의 효과에 부가하여, 작동시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 (52) 가 다공판 (18) 에 의해 흐름이 막혀 필터실 (17)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된 부분의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의 내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가스 발생제 (52) 의 연소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다공판 (18) 의 바닥판부 (18b) 를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된 제 1 밀폐 용기 (80) 와 전화약 (27) 이 수용된 제 2 밀폐 용기 (7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점화기 (30) 에 의한 전화약 (27) 의 착화가 당해 다공판 (18) 에 의해 저해되지도 않기 때문에, 착화 성능이 저하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고성능이고 또한 가스 출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한 검증 시험의 내용 및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그 상세를 나타내는 검증 시험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및 2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A, 1B) 를 각각 실시예 1 및 2 로 하여 실제로 시험 제작하고, 이것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에 대해서도 실제로 시험 제작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비교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칸막이판의 고리 형상 판부와 통 형상부가 이루는 각 중 그 작은 쪽의 각 (내각) 을 90°로 하고, 실시예 1 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당해 내각을 94°로 하고, 실시예 2 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당해 내각을 86°로 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 관련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내각 이외의 조건이 모두 동일해지도록 하였다. 여기서, 칸막이판의 재질로는, 철강재 (SS400) 를 사용하여, 그 두께를 0.8 ㎜ 로 하고, 고리 형상 판부의 외경을 Φ 16.4 ㎜ 로 하였다. 또한, 통 형상부의 축 방향 길이는 4 ㎜ 이고, 통 형상부의 최소 내경은 모두 Φ 8 ㎜ 이다. 또, 이 칸막이판이 장착되는 필터로는, 구리 도금이 실시된 철선 (SWRM4) 을 메리야스 뜨기한 것을 프레스에 의해 눌러 고정시켜 밀도를 4.0 g / ㏄ 로 한 것을 사용하고, 축 방향 길이는 31 ㎜ 이고, 칸막이판이 내삽되는 부분 이외의 중공부의 내경은 Φ 8 ㎜ 이다. 또, 필터의 칸막이판의 통 형상부가 내삽되는 부분의 형상은, 칸막이판의 통 형상부의 형상과 거의 합치하는 형상으로 하고, 칸막이판의 필터에 대한 장착은, 필터의 중공부에 칸막이판의 통 형상부에 내삽된 만큼 헐겁게 끼움으로써 실시하였다. 또한, 가스 발생기의 치수는, 외경 20.0 ㎜, 내경 16.6 ㎜, 전체 길이 122.0 ㎜ 로 하였다.
이상의 조건에서 실제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를 작동시켜, 칸막이판이 압력 격벽으로서 기능하고 있는지, 즉 필터에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지의 확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2 에 있어서는, 칸막이판의 이동량 (즉, 작동 전과 작동 후에 있어서의 칸막이판의 필터측을 향한 이동량) 은, 모두 근소하게 1 ㎜ 이하인 것이 확인되었고, 당해 칸막이판과 원통 형상 부재 사이에 둘러싸인 부분의 필터가 압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에 있어서는, 칸막이판의 이동량이 4.5 ㎜ 이상이 되고, 필터의 축 방향의 전체에 걸쳐 큰 변형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및 2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와 같이, 칸막이판의 형상으로는, 고리 형상 판부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는 통 형상부가 당해 고리 형상 판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통 구멍의 개구 면적이 변화되도록 (즉, 단면적이 축 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직관 형상이 되지 않도록) 축경 또는 확경하고 있는 것이, 칸막이판이 압력 격벽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필수 조건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와 같이 칸막이판의 통 형상부의 형상을 직관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칸막이판의 통 형상부에 가해지는 힘이 원통 형상 부재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발생하고, 그 결과, 원통 형상 부재와 필터의 접촉 부분에 가해지는 칸막이판에 대한 브레이크력도 국소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당해 브레이크력이 부족하여 칸막이판의 이동이 정지하지 않고 필터가 크게 파손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및 2 에 있어서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칸막이판을 코킹 고정시키지 않고도 칸막이판이 압력 격벽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비로소 실현되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내지 4 에 있어서는, 칸막이판의 통 형상부의 형상을 원추판 형상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실시하였지만, 당해 통 형상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단면의 형상이 만곡 형상으로 된 통 형상부로 해도 된다. 어쨌든, 통 형상부의 형상으로는,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통 형상부에 가해지는 힘이 원통 형상 부재의 직경 방향 및 축 방향 모두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되고, 당해 통 형상부의 내주면이 하우징의 축 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및 2 에 있어서는, 축 방향의 양단에까지 도달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필터를 사용한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를 예시하여 설명을 실시하였지만, 필터의 형상으로는, 적어도 가스 발생제 수용실측의 단면에까지 도달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것이면 그 사용이 가능하고, 폐색 부재측의 단면에까지 중공부가 도달하지 않는 형상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내지 4 에 있어서는, 전화약 및 가스 발생제가 밀폐 용기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를 예시하여 설명을 실시하였지만, 이들 전화약 및 가스 발생제는, 반드시 밀폐 용기에 수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컵 형상 부재나 원통 형상 부재에 직접 충전되어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단, 그 경우에는, 이들 전화약이나 가스 발생제가 흡습되지 않도록, 하우징 자체에 별도로 기밀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내지 4 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의 연소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전화약이 장전되어 이루어지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를 예시하여 설명을 실시하였지만, 당해 전화약은 반드시 필수 구성은 아니고, 연소 개시를 위한 가스 발생제의 감도를 향상시키거나 함으로써 전화약의 장전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전화약을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장전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당해 전화약을 점화기에 일체화시켜 장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내지 4 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장착되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실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장착되는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나,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와 마찬가지로 장척 형상의 가스 출력부를 갖는 소위 T 자형의 가스 발생기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내지 4 에 있어서 나타낸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의 특징적인 구성은, 장치 구성상, 허용되는 범위에서 당연히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번에 개시한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획정되고, 또 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1A ∼ 1F : 실린더형 가스 발생기
10 : 하우징
11 : 원통 형상 부재
12 : 가스 분출구
13a ∼ 13c : 코킹부
14 : 폐색 부재
14a : 홈
14b : 볼록부
14c : 오목부
15 : 점화실
16 : 가스 발생제 수용실
17 : 필터실
18 : 다공판
18a : 관통 구멍
18b : 바닥판부
18c : 둘레벽부
20 : 홀더
21 : 홈
22 : 관통부
24 : 수지 성형부
25 : 컵 형상 부재
25a : 개구부
27 : 전화약
30 : 점화기
31 : 점화부
32 : 단자 핀
40 : 칸막이판
41 : 고리 형상 판부
42 : 통 형상부
43 : 연통 구멍
51 : 쿠션재
52 : 가스 발생제
60 : 필터
61 : 중공부
70 : 제 2 밀폐 용기
71 : 컵부
72 : 캡부
73 : 수용 공간
80 : 제 1 밀폐 용기
81 : 컵부
82 : 캡부
83 : 수용 공간

Claims (11)

  1. 가스 발생제 (52) 가 수용된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및 필터 (60) 가 수용된 필터실 (17) 을 내부에 포함하는 장척 통 형상의 하우징 (10) 과,
    상기 하우징 (10) 에 내삽되고, 상기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을 축 방향으로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상기 필터실 (17) 로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 (40) 와,
    상기 하우징 (10) 에 장착되고, 작동함으로써 상기 가스 발생제 (52) 를 연소시키기 위한 화염을 발생시키는 점화기 (30)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10) 은, 상기 필터실 (17) 을 규정하는 부분에 가스를 분출하기 위한 가스 분출구 (12) 를 갖고,
    상기 필터 (60) 는, 상기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면에 도달하는 중공부 (61) 를 갖는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칸막이 부재 (40) 는, 상기 필터 (17) 의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측의 단면을 덮는 고리 형상 판부 (41) 와, 상기 고리 형상 판부 (41) 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필터 (60) 의 상기 중공부 (61) 내를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고, 상기 필터 (60) 의 상기 단면에 가까운 내주면을 덮는 통 형상부 (42) 와, 상기 통 형상부 (42) 의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과 상기 필터실 (17) 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 (43) 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 구멍 (43) 은, 상기 고리 형상 판부 (41)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그 개구 면적이 변화하고 있는, 가스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부 (42) 는, 상기 고리 형상 판부 (41)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연통 구멍 (43) 의 개구 면적이 감소하도록 서서히 축경하고 있는, 가스 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부 (42) 는, 상기 고리 형상 판부 (41)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연통 구멍 (43) 의 개구 면적이 증가하도록 서서히 확경하고 있는, 가스 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40) 가 상기 하우징 (10) 에 끼워 맞춰져 있는, 가스 발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40) 가 상기 하우징 (10) 에 헐겁게 끼워져 있는, 가스 발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60) 는, 내부에 공극이 포함되도록 금속 선재를 원통 형상으로 눌러 고정시킨 것인, 가스 발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40) 와 상기 필터 (60) 를 상기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을 따라 당해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투영한 경우에, 상기 필터 (60) 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칸막이 부재 (40) 의 투영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가스 발생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제 (52) 는, 상기 하우징 (10) 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스 발생제 수용실 (16) 내에 위치하는 제 1 밀폐 용기 (80) 에 봉입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 (30) 가 작동함으로써 발생되는 화염을 상기 가스 발생제 (52) 에 전달하기 위한 전화약 (27)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화약 (27) 은, 상기 하우징 (10) 의 내부에 삽입된 제 2 밀폐 용기 (70) 에 봉입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 (30) 는, 상기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에 면하도록 상기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60) 는, 상기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 중, 상기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발생제 (52) 는, 상기 필터 (60) 가 배치된 위치보다 상기 하우징 (10) 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 (30) 는, 상기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에 면하도록 상기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발생제 (52) 는, 상기 하우징 (10) 의 내부 공간 중, 상기 하우징 (10) 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60) 는, 상기 가스 발생제 (52) 가 배치된 위치보다 상기 하우징 (10) 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KR1020117015109A 2009-01-06 2009-12-25 가스 발생기 KR20110103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1045 2009-01-06
JP2009001045 2009-01-06
JPJP-P-2009-001044 2009-01-06
JP2009001044 2009-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404A true KR20110103404A (ko) 2011-09-20

Family

ID=4231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109A KR20110103404A (ko) 2009-01-06 2009-12-25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65678A1 (ko)
EP (1) EP2383154B1 (ko)
JP (1) JP5455932B2 (ko)
KR (1) KR20110103404A (ko)
CN (1) CN102271973B (ko)
WO (1) WO2010079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18B1 (ko) * 2013-03-20 2013-09-09 (주)청암휴엔텍 수질 분석 장치용 무촉매 열연소 산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1382B2 (ja) * 2009-04-15 2014-07-16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CN104154823A (zh) * 2013-05-15 2014-11-19 湖北航鹏化学动力科技有限责任公司 气体发生器
CN104154824B (zh) * 2013-05-15 2018-03-13 湖北航鹏化学动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弹用气体发生器
JP6312545B2 (ja) * 2014-07-24 2018-04-18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6521834B2 (ja) 2015-10-27 2019-05-29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6851176B2 (ja) * 2016-10-28 2021-03-31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2018103867A (ja) * 2016-12-27 2018-07-05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ガス発生器用栓体およびガス発生器用栓体の製造方法
JP6934372B2 (ja) 2017-09-05 2021-09-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2022102514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2022153124A (ja) * 2021-03-29 2022-10-1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CN114523932B (zh) * 2022-03-15 2023-04-28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整体式点火结构和压缩气体式燃气发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792U (ja) * 1996-06-04 1997-02-07 日本化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H1178766A (ja) 1997-09-04 1999-03-23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6189924B1 (en) * 1997-11-21 2001-02-20 Autoliv Asp, Inc. Plural stage inflator
DE29809062U1 (de) * 1998-05-19 1998-10-08 Trw Airbag Sys Gmbh & Co Kg Mehrstufengasgenerator mit thermischer Entkoppelung der Treibsätze
JP3772570B2 (ja) * 1999-02-12 2006-05-10 タカタ株式会社 ガス発生器、その容器及び容器の製造方法
TW527294B (en) * 1999-11-29 2003-04-11 Daicel Chem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devices for the same
JP2001151069A (ja) * 1999-11-29 2001-06-0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1151071A (ja) * 1999-11-29 2001-06-0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2337655A (ja) * 2001-05-15 2002-11-27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ク用ガス発生器
JP2002362298A (ja) * 2001-06-04 2002-12-18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及びそれに用いるフィルター材
US7404574B2 (en) * 2003-12-22 2008-07-2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bag
JP2005313676A (ja) * 2004-04-27 2005-11-10 Daicel Chem Ind Ltd 破裂部材
JP4257740B2 (ja) 2004-04-30 2009-04-2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4643283B2 (ja) * 2005-01-28 2011-03-0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WO2010126057A1 (ja) * 2009-04-30 2010-11-0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18B1 (ko) * 2013-03-20 2013-09-09 (주)청암휴엔텍 수질 분석 장치용 무촉매 열연소 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79710A1 (ja) 2012-06-21
CN102271973B (zh) 2014-06-25
CN102271973A (zh) 2011-12-07
WO2010079710A1 (ja) 2010-07-15
EP2383154A4 (en) 2012-07-18
JP5455932B2 (ja) 2014-03-26
EP2383154A1 (en) 2011-11-02
EP2383154B1 (en) 2015-06-24
US20110265678A1 (en)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404A (ko) 가스 발생기
KR20120023623A (ko) 가스 발생기
WO2010126057A1 (ja) ガス発生器
JP6521834B2 (ja) ガス発生器
JP4817191B2 (ja) ガス発生器
JP4953838B2 (ja) ガス発生器
JP2010260387A (ja) ガス発生器
JP5475148B2 (ja) ガス発生器
JP2009286218A (ja) ガス発生器
JP2008296763A (ja) ガス発生器
JP6324099B2 (ja) ガス発生器
JP5247134B2 (ja) ガス発生器
JP5247125B2 (ja) ガス発生器
JP2010143270A (ja) ガス発生器
WO2013080796A1 (ja) ガス発生器
JP5545703B2 (ja) ガス発生器
JP4912942B2 (ja) ガス発生器
JP6584830B2 (ja) ガス発生器
JP5273708B2 (ja) ガス発生器
JP5025306B2 (ja) ガス発生器
JP2011143777A (ja) ガス発生器
JP2020082775A (ja) ガス発生器
JP7219194B2 (ja) ガス発生器
JP2010159051A (ja) ガス発生器
JP2020059484A (ja) 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