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141A - Pvc 막으로의 마스킹 스트립 - Google Patents

Pvc 막으로의 마스킹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141A
KR20110102141A KR1020107027851A KR20107027851A KR20110102141A KR 20110102141 A KR20110102141 A KR 20110102141A KR 1020107027851 A KR1020107027851 A KR 1020107027851A KR 20107027851 A KR20107027851 A KR 20107027851A KR 20110102141 A KR20110102141 A KR 2011010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hr
masking tape
pvc
plastic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뮈지그
데니스 제이트저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1010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1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B05B12/24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made at least partly of flexible material, e.g. sheets of paper or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carri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83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of diene monomer [e.g., SBR, SI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면에 웹-유사 PVC 서포트 재료 및 이에 적용된 접착제 코팅을 포함하는 마스킹 접착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 재료가 아래의 구성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58 내지 90, 바람직하게 65 내지 80의 K 값을 갖는 PVC 폴리머, b) 20 내지 55 phr의 가소제, 바람직하게 폴리머 가소제, 및 c) 0.2 내지 8 phr, 바람직하게 1 내지 5 phr의 포스파이트가 없는 PVC 안정화제.

Description

PVC 막으로의 마스킹 스트립{Masking strip with PVC film}
본 발명은 가소화된 PVC 캐리어 막을 기재로 하는 신장률가능한, 자체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추가 작업 예컨대 샌드블라스팅 또는 피니싱 이전에 표면의 일시적인 마스킹(커버링), 및 예컨대 직선 또는 곡선, 문자 또는 로고 패턴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로도 언급되는 자체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는 테이프에 부과되는 특정 요구조건에 맞는 몇 가지 주요 특성을 갖는다. 풀리거나 스트레이트 섹션에 적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힘의 범위에서 높은 탄성률(1% 신장률에서의 힘에 의해 추정된)과 관련된 곡면에 결합시의 용이한 탄력성(즉, 너무 높지 않은 최대 힘 또는 인장 강도), 결합된 상태에서 적거나 없는 재수축(shrinkback) 경향성, 및 낮은 두께가 곡면에 선명하게 윤곽이 드러나며 평평한 도장막을 제조할 수 있고 곡면에 명확한 결합을 허용하기 위한 주요 필요조건이다. 좁은 곡면 주위에의 접착성 결합 및 구면에 적용하는 예에서 외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연장된 영역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캐리어 막은 단기간 내에 이들 스트레스들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는 캐리어 막이 높은 이완 성향을 가짐을 미리 추정하게 한다.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빠르고 용이한 프로세싱을 위한, 적용시 용이한 수 인열성(hand tearability)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다. 마스킹 테이프는, 특히 결합되는 보호될 기판이나, 적용될 페인트 막에 악영향(데미지)을 주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마스킹 테이프의 기능은 기판을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마스킹 테이프의 제거 후, 기판이 마스킹 테이프(즉, 접착성의 또는 막의)의 임의의 변색, 기계적 변형 또는 잔여물을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이러한 적용을 위해, 페이퍼, 및 매우 이따금씩 막으로 제조된 캐리어를 갖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가 사용되었다. 페이퍼 마스킹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보호될 기판이나 적용될 페인트 막에 아무런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작은 결합 반경을 위한, 충분한 탄력성이 없어 적합하지 않다. 만약 고도로 크레이프된 페이퍼가 사용되는 경우, 실제 다소 작은 반경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심한 크레이핑은 도장막에 오염을 일으킨다. 더욱 큰 플라스틱 부품 예컨대 자동차 범퍼에 대해서는, 보호된 부품이 페인팅 오븐을 통해 고도의 열적 팽창을 하는 경우, 충분히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페이퍼 마스킹 테이프가 적합하지 않다.
폴리에스테르, 가소화되지 않은 PVC,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배향된(신장된) 막이 사용되는 경우, 페이퍼와 마찬가지로 탄력성이 충분하지 않다.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코폴리머의 비배향성 신장가능한 막은 수 인열성(hand tearable)이 없다. 더욱이, 신장 후, 곡면에 결합하는 예에서, 이들은, 특히 상대적으로 높은 적용 온도에서 재수축을 보이지 않는다. 가소화된 PVC 캐리어 막은, 대조적으로, 가열 과정에서 수축-생산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동할 수 있고 기판에 데미지를 줄 수 있는 많은 수의 원료를 함유한다. 자동차의 발전된 기술 개선에서 피니싱은 마스킹 테이프에 기인하는 데미지에 대해 증가된 민감도를 갖는다. 이는 하이 글로스 피니쉬에 대한 특정예이다.
예를 들어, 가소화된 PVC 막을 기재로 하는 접착성 테이프는 GB 2,171,712 A1에 기재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가소화된 PVC 접착성 테이프는 약 36 내지 52 phr의 모노머 가소제(일반적으로 프탈레이트-기재)와 함께 PVC 호모폴리머를 포함하고, 절연 테이프로서 사용된다. phr(백분율(parts per hundred) 수지)은 100 중량부의 PVC 폴리머 당 첨가제의 중량부를 의미하며, 이는 전체 명세서에 적용된다. 이들 가소화된 PVC 접착성 테이프는 전형적으로 높은 파괴시(at break) 인성(toughness), 인장 강도, 및 신장률을 가지며, 따라서 기구 예컨대 가위 또는 칼이 없이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를 찢는 것은 어려운데, 사용자는 페이퍼 마스킹 테이프의 것과 유사한 적용시 용이한 수 인열성을 요구한다. 특히 중요한 단점은, 이동할 수 있는 가소제 예컨대 디옥틸 프탈레이트 또는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에 기인하는 감압 접착성의 연화의 결과로서, 특히 접착성 테이프가 제거 이전에 페인팅 오븐에서 가열되는 경우, 접착제의 잔류이다. 신장률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힘은 풀린 제품의 상당한 스트레칭을 이끌며, 따라서 증가된 재수축을 유도한다.
만약, 모노머 가소제 대신에, 저-이동성(low-migration) 폴리머 가소제가 30 phr 이하의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 마스킹 테이프는 수 인열성이 되지만, 너무 부서지기 쉬워서 막의 제조 및 마스킹 테이프의 제거 동안에 매우 자주 찢어진다.
최신 기술은 40 phr를 초과하는 양의, 통상적인 PVC 폴리머 및 폴리머 가소제 및 바륨-카드뮴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PVC 막을 갖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이다. 이들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는 가소제-유도성 잔여물에 관한 경향성을 가지지 않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노머 가소제를 갖는 막보다도 찢기가 더욱 어렵다. 또한, 이들의 재수축 경향 때문에, 이들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는 고도의 곡면 및 좁은 반경을 갖는 곡면에서의 결합에 적용하기에 만족스럽지 않다. 결과적으로 페인트 베이킹 작업의 상승된 온도에서, 디프레션 및 비드로 인한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분할, 및 곡면에서 신장된 에지로 인한 이의 리프팅이 관찰된다. 이는 도장막에서 페인트가 저류로 흐르거나 오염되고, 접착성 테이프의 말단에서(접착성 테이프가 수축에 기인하는 위축을 갖는 곳에서) 접착제 잔여물이 잘리는 결과를 낳는다.
폴리머 가소제 및 모노머 가소제의 조합은 고온성 절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PVC 절연 테이프로 알려져 있다. 5 phr 또는 초과의 모노머 가소제의 양에서, 접착제 잔여물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류의 가소제 조합으로서, 폴리머 가소제에 의해 초래되는 문제점과 만나게 된다.
아래에서 언급되는 것은 상술한 기계적 특성이 강화된 폴리머 가소제 및 바륨-아연 안정화제를 갖는 마스킹 테이프를 기재하는 두 특허공보이다. 다른 표준 구매 가능한 바륨-아연 안정화제처럼, 각 경우에 사용되는 안정화제, Baerostab UBZ 639는 상당한 양의 포스파이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이며, 이는 CMR 원료로서 EU에서 앞으로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 알려진 바와 같이, 포스파이트는 보호된 기판에서 잔상을 초래하며, 따라서 회피되어야 한다. 잔상이라는 것은, 이전에 결합이 존재하는 표면을, 광원에 대해 좁은 각도에서 관찰하였을 때, 이상하진 않지만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잔여물이 관찰되는 것을 의미한다. 잔상은 특히 어두운 피니쉬 기판에서 명백하다.
EP 1 626 074 A1은 매우 낮은 K 값을 갖는 PVC의 사용을 통해 우수한 수 인열력을 갖는 마스킹 테이프를 기재한다. 저분자량을 갖는 이러한 종류의 PVC는 기술적 이행이 캘린더로부터 분리되는 막의 인열의 빈번한 예에서 실패할 만큼 막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한다.
더 나은 수 인열력을 달성하기 위한, EP 1 362 881 A1의 필수적 아이디어는 PVC와 양립가능한 폴리머의 첨가 또는 가교이다. 소정의 적당한 막 및 접착성의 포뮬레이션에서, 통상적인 합성 수지 탑 코트(두-코트 피니싱의 예에서) 상의 더욱 큰 잔여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최근의 원-코트 피니쉬는 잔상을 일으킨다. 이는 두 특허 공보에서 사용된 Baerostab UBZ 639 안정화제의 포스파이트 성분에 의해 초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낮은 임계 피니쉬(critical finish) 또는 보다 적은 베이킹 온도에서는, 포스파이트-함유 안정화제의 경우에도 잔상이 없을 수 있거나, 적어도 잔상을 용매로 적신 천으로 닦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될 페인트 막 상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가 페인팅 오븐에서 열적 부하 처리된 후 실온에서 제거되는 경우, 접착제 잔여물 및 잔상을 초래하지 않는 PVC-기재 캐리어 재료를 갖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캐리어 재료가 낮은 재수축 경향 및 용이한 수 인열성을 갖는 준비된 소성변형능과 관련된 낮은 초기 탄력성(풀림(unwind)) 및 적용의 힘 하에서)을 보여주도록 의도된다.
이 목적은 주요 클레임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독립항은 본 발명의 대상의 유리한 개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용도에 관한 가능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면에 웹 형태인 PVC 캐리어 재료(막) 및 이에 적용된 감압 접착제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재료가 아래의 구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가 제공된다:
a) 58 내지 90, 바람직하게 65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 70 내지 80의 K 값을 갖는 PVC 폴리머,
b) 20 내지 55 phr의 가소제, 바람직하게 폴리머 가소제, 및
c) 0.2 내지 8 phr, 바람직하게 1 내지 5 phr의 포스파이트가 없는 PVC 안정화제.
당업자에 대해 놀랍고 예측할 수 없는, 이러한 종류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로 언급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통상적인 PVC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납 화합물 예컨대, 예를 들어, 삼염기 리드 설페이트, 또는 카드뮴 화합물, 예컨대 카드뮴 스테아레이트 또는 카드뮴 옥토에이트를 포함한다. 이들은 몇몇 경우에 포스파이트 예컨대 납 포스파이트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들은 높아진 환경적 요구에 더 이상 맞지 않는다.
디부틸주석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접착성 패키징 테이프에 대한 가소화되지 않은 PVC 막의 제조에 사용되지만, 가소화된 PVC 막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은 포스파이트가 첨가되지 않는다. 단점으로서, 이들은 최종 제품에서 불쾌한 냄새를 낸다. 일명 CMR 원료처럼, 주석 안정화제의 용도는 REACh(EU 화학 조례)의 일부로서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현재 및 과거에, 디부틸주석 안정화제가 사용되고 사용되었지만 앞으로는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
폴리우레탄 클리어 코트(컬러 코트 상의 탑 코트)의 예에서, 주석 안정화제를 갖는 마스킹 테이프는 피니싱 결함을 유발한다.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를 둘러싼 영역에서, 적용된 폴리우레탄 페인트는 오렌지 껍질과 유사한 표면 텍스쳐를 얻는다. 주변 영역에서 안정화제는 증발되고, 폴리우레탄 페인트를 경화하는데 가교 촉매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것은 포스파이트를 함유하지 않을 뿐 아니라 바람직하게 납, 카드뮴 또는 주석을 포함하지 않거나, 납 및 카드뮴을 포함하지 않을 뿐 아니라, 바람직하게 주석을 포함하지 않는 안정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칼슘 및 아연 기재의 안정화제이다. 유기계의 포스파이트가 없는 안정화제가 원칙적으로 적합하지만, 지금까지 이들과 함께 실험된 가소화된 PVC가 적고, 이들의 환경 평가가 여전히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공안정화제(costabilizer)로서 에폭시화된 지방산 유도체 예컨대 에폭시화된 콩기름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모노머 가소제의 경우와 동일한 이동성 경향 때문에, 그 양을 제한하거나, 이들을 피해야만 한다.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5 phr 미만, 바람직하게 1 phr 미만의 함량의 모노머 가소제를 가지며, 이는 응집 파괴에 기인하는 접착제 잔여물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모노머 가소제의 예들은 DOP, DINP, DIDP, 및 TOTM이다.
막 부위에서 원하는 부드러움을 얻기 위해 PVC와 블렌드될 수 있는 소프트 폴리머, 예컨대, 예를 들어, 염소화된 폴리에틸렌(예를 들어, Tyrin from Dow) 니트릴-부타디엔 고무(높은 AN 함량을 갖는 NBR), 폴리우레탄(예를 들어, Baymod PU, Lanxess), 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Paraloid KM334, Rohm & Haas), EVA(Levapren/Levamelt, Lanxess),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카본 모노옥사이드 터폴리머(Elvaloy, DuPont) 또는 ABS(예를 들어, Baymod A 90, Lanxess)를 사용할 수 있다.
낮은 이동 경향을 갖는 이른바 폴리머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텍스트에서, 용어 폴리머 가소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디카복실산 및 하나 이상의 다이올로부터 형성된 액체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예들은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또는 프탈산 및 부탄-l,4-다이올 또는 헥산-l,6-다이올의 응축물이다. 본 발명에서, 아디프산 및 부탄다이올 기재의 가소제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여기서 예들은 Palamoll 652(BASF), Globinex W 2050(DIC), 및 Uraplast RA 19(DSM)를 포함한다.
폴리머 가소제의 양은 바람직하게 15 내지 35 phr, 더욱 바람직하게 15 내지 33 phr 이다. 만약 다른 가소제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상기 양은 바람직하게 25 내지 35 phr, 더욱 바람직하게 20 내지 30 phr 이다.
바륨-아연 안정화제 및 칼슘-아연 안정화제는 전형적으로 포스파이트를 포함한다. 이들은 이미 데미지를 입은 PVC의 추가적인 분해를 막기 위해 폴리엔에 첨가되기 위해 항산화제로서, 산 스캐빈저로서의 다중 기능을 갖는다. 포스파이트가 없는 안정화제가 사용되는 경우, 높은 열적 부하에서, 포스파이트가, 다른 기능과 함께, 항산화제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에, 산화 안정성은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포스파이트가 없는 항산화제도 사용된다. 이들은 포뮬러에 첨가될 수 있거나, 아니면 최종 안정화제 제품의 일부이다.
예들 (IUPAC 이름 대신, CAS 넘버가 인용되었다):
페놀성 관능기:
CAS 6683-19-8, 2082-79-3, 1709-70-2, 36443-68-2, 1709-70-2, 34137-09-2, 27676-62-6, 40601-76-1, 31851-03-3, 991-84-4
황-함유 관능기:
CAS 693-36-7, 123-28-4, 16545-54-3, 2500-88-1, 16545-34-3, 29598-76-3
페놀성 및 황-함유 관능기:
CAS 41484-35-9, 90-66-4, 110553-27-0, 96-96-5, 41484
티오에테르도 마찬가지로 잔상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황이 없는 페놀성 항산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맥에서, CAS 6683-19-8(예를 들어, Irganox 1010) 및 2082-79-3(예를 들어, Irganox 1076)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막에 대해 적합한 PVC 기재 재료는 에멀젼 PVC, 벌크 PVC, 및 보다 구체적으로 높은 다공성을 갖는 서스펜젼 PVC를 포함한다. PVC 폴리머는, 기본적으로, 호모폴리머. 코모노머를 갖는 PVC 폴리머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가 제외되지 않음을 의미하지만, 높은 단가로 인해 실용적인 흥미는 적다. 적합한 K 값을 갖는 표준 서스펜젼 PVC 폴리머는, 예를 들어, Solvin 264PV, Solvin 271GA(Solvin GmbH) 또는 Vinnolit S 3160 또는 Vinnolit S 4080(Vinnolit GmbH)이다. 다른 K 값의 조합을 통해 최상의 K 값을 갖는 성분이 완전히 겔화되지 않고, 수 인열력을 촉진하는 충전제의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PVC의 일부가 가교된 형태인 경우, 예컨대 소광제 Vinnolit K 221은, 예를 들어, 가소화할 수 없지만, 대신에 단지 충전제로서 작용하며 따라서 첨가제의 phr을 기준으로 PVC의 양을 계산하는 경우 카운트하지 않는다.
PVC는 호모폴리머로서뿐 아니라, 일부 또는 전부가, 그라프트 폴리머로서, 예컨대, 예를 들어, Vinnolit VK 801(비닐 클로라이드로 그라프트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또는 Vinnolit K 707 E (비닐 클로라이드로 그라프트된 에틸렌-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존재할 수 있다. 청구항의 의미 내에서, 이러한 종류의 그라프트 폴리머가 사용되는 곳에서, 그라프트 베이스의 양은 가소제에 할당되어야 하며, 비닐 클로라이드의 양은 PVC에 할당되어야 한다. Vinnolit VK 801의 예에서, 따라서, 50 중량%가 가소제에 할당되고, 50 중량%가 PVC에 할당된다. 높은 인성(toughness)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그라프트 폴리머는 마스킹 적용에 대한 단독의 가소제로서 이상적이지 않지만, 이들은 예를 들어 높은 인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 예컨대 접착성 안티스톤칩 테이프에 대한 적용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대상은 바람직하게 25 내지 40 phr, 바람직하게 30 내지 40 phr의 소프트 구성 요소(폴리머 가소제, 모노머 가소제, 소프트, PVC-섞일 수 있는 폴리머, 및 그라프트 폴리머에서 소프트 부분)의 총량을 갖는다.
추가의 프로세싱 보조물은 윤활제(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스테아레이트, PE 왁스 및 산화된 PE 왁스), 및 분산제(예를 들어, Paraloid K 120 ND, Rohm & Haas)이다. 윤활제는 종종 안정화제 제품에도 존재한다. 선택 단계에서, 윤활제는 임의의 잔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PVC 막에 관례적인 추가의 폴리머 또는 첨가제, 예컨대 충전제, 염료, 난연제 또는 소광제는, 본 발명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캐리어 막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충전제의 예들은 칼슘 카보네이트(초크, 라임스톤, 마블, 침전된 초크), 카오린, 및 실리카이다. 이들의 기능은 프로세싱 특성을 세팅하고 막의 기계적 데이터를 세팅하며, 보다 유리한 가격을 얻는 것이다. 가교된 PVC의 소광제의 한 예 예를 들어 Vinnolit K221은, 동시에 수 인열력을 개선한다.
무기 또는 유기 염료 예컨대, 예를 들어, 카본 블랙, 티타늄 디옥사이드, 니켈 티타네이트 또는 산화크롬을 통해 뚜렷한 색상을 세팅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테이프는, 캐리어 재료가,
- 3 N/cm 이상, 바람직하게 5.5 N/cm 이상의 1% 스트레인에서 인장 강도,
- 130 ㎛ 미만, 바람직하게 100 ㎛ 미만의 두께,
- 12 내지 30 N/cm의 인장 강도, 및/또는
- 파괴시 신장률(an elongation at break)이 200% 내지 350%의 범위인 경우, 최적의 특성을 갖는다.
막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운스트림 내부 믹서 및 스토리지 롤 메커니즘을 갖는 압출기 또는 드라이 블렌더에서 프로세스될 수 있다.
짧은 혼합 시간이 수 인열력 및 절단력(cutability)을 촉진하고, 내부 믹서 및 스토리지 롤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과량 또는 조절되지 않은 혼합 시간은, 예를 들어, 수 인열력을 약하게 하거나 수 인열력을 일정하지 않게 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스킹 테이프에 대한 막의 제조를 위해, 연속적인 공정, 특히 유성 롤러 압출기 및 트윈-스크류 압출기(예를 들어, Buss 핀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이는 재생 가능한 겔화 정도가 세팅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융해물은 임의적으로 여과기에서 여과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막이 압출의 예에서보다 보다 낮은 수축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마스킹 테이프에 대한 캐리어 재료의 제조에 대한 기본적인 적합성의 프로세스는 캘린더링(calendering)의 것이다. 결과적으로, 3% 미만의 종 방향에서의 수축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온도 프로파일 및 속도 프로파일에 관해, 캘린더 분리 및 와인딩 사이의 어닐링 섹션을 최적화하는 것이 현명하다. 본 발명의 막의 캘린더링을 위해, 뒤집어진-L 캘린더가 특히 적합하다. 풀리는 힘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또는 감각적 인상을 위해 막을 엠보싱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PVC 막은 접착성(감압 접착성, 자체 접착성)의 코팅을 갖는 한 면을 제공한다.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및 아크릴레이트 접착제가,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에 대한 접착성의 코팅으로서 적합하다. 적용은 용액, 분산 또는 용융물로부터의 코팅에 의해, 또는 경화될 프레폴리머로서 일어날 수 있다. 가교는 이후 적용에서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잔여물 없는 제거능에 유리하며, 화학적으로(예를 들어, 가교제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킬페놀 수지) 또는 방사선(예를 들어, UV 광 또는 전자빔으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단 강도도 마찬가지로 개선되며, 이에 의해 좁은 롤의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페인트 건조 작업에서 전단-오프의 결과로 인해 접착제 잔여물을 피한다. 가교는 마스킹 테이프의 제조 동안 또는 적용(예를 들어, 코팅 오븐에서 화학적 또는 열적 포스트 경화에 의해)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가교는 160℃에서 열적으로 노출된 후 자동차의 페인트의 잔여물이 없는 제거를 허용하도록 충분히 높아야 한다. 충분한 점착뿐 아니라 풀림의 용이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용 후 재분리에 더하여, 철에 대한 결합 강도는 1.6 내지 4.8 N/cm, 바람직하게 2 내지 3 N/cm의 범위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킹 테이프는 변형, 가열, 페인트(용매) 처리 또는 샌드블라스팅의 결과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 마스킹 테이프의 분리(필링) 또는 전단이라는 결과가 되지 않도록, 잘-접착된 감압 접착성을 갖춘다.
요망되는 경우, 용이한(강화된) 풀림성(unwindability)의 목적을 위해, 캐리어 재료의 뒷면, 즉 접착제 코팅면의 반대면에 적용될 광택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반대면 코팅은 캐리어 막의 반대면에 대한 프라이머 및 페인트의 우수한 접착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막으로의 접착제의 접착 및 이에 따른 적용 후 잔여물이 없는 제거능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캐리어 막 및 접착제 사이의 프라이머 막의 용도가 있다.
본 발명의 자체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스트립의 형태이지만, 템플레이트 모양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다이컷 또는 프리컷). 이는 반대면 라이너(예를 들어, 방출막 또는 실리콘 페이퍼) 및/또는 적용 테이프(예를 들어, 막이 안정화 및 기판으로의 템플레이트 이동을 위해, 페이싱 면에 약하게 접착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는 또한 증가된 인장 강도 및 극단적으로 낮은 탄력성(1% 스트레인에서 높은 힘)을 요구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품들은, 예를 들어, 페인팅 공정 동안 차량의 윈도우 플랜지를 마스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적용 이전에, 마스킹 테이프가 추가의 접착성 테이프와 함께 라미네이트되거나, 본 발명의 PVC 막이 접착제로 코팅되기 전에 추가의 막으로 라미네이트된다. 라미네이션을 위한 이러한 종류의 구성 성분은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 또는 함침된 페이퍼로 구성된다. 마스킹 테이프가 중단(disruption)없이 자동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면, 이 적용을 위해, 수 인열력은 덜 중요하다.
이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일반적인 표현 "접착성 테이프"는 모든 시트형 구조 예컨대 이차원적으로 연장된 막 또는 막 섹션, 연장된 길이 및 제한된 넓이, 테이프 섹션, 등, 및, 최종적으로, 다이컷 또는 라벨을 갖는 테이프를 포함한다.
이후의 코팅 단계에서, 막은 과량의 인장력에 의해 신장되지 않아야 한다. 잘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마스킹 테이프는 텔레스코핑 (저장상의 변형)을 막기 위한 측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2 내지 8 mm 넓이를 갖는 롤에 대해, 점보 롤을 제조하고 오븐에서 열처리에 의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현명하다. 슬리팅(Slitting)은 PVC 접착성 테이프, 예컨대 나이프, 전단기, 크러쉬, 스코어 또는 레이저(razor) 슬리팅에 관례적인 방법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막의 설계가 뛰어난 수 인열력을 주기 때문에, 적합한 슬리팅 기술에 의한 개선된 인열 습성은, 가능하다 할지라도,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마스킹 테이프는 페인팅 및 샌드블라스팅, 특히 차량 및 차량의 부품을 페인팅하는 동안 마스킹을 위해 적합하다. 160℃의 열적 부하 이후라 해도, 막 및 접착제의 소정의 적절한 포뮬레이션인, 본 발명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는 잔여물 및 인열 없이 페인트 표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킹 테이프는 피니싱 작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예컨대,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이의 부품, 예컨대 범퍼, 모터 사이클 탱크, 등으로 의도된다. 이는 선명하게 윤곽이 드러나는 도장막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캐리어 막의 낮은 재수축 경향(완화)에 근거하여 특히 고도의 곡면에의 적용 및 매우 좁은 곡면 부근에 결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마스킹 테이프는 높은 열적 부하 후에도, 마스크시, 잔여물, 심지어 잔상이 전혀 없는 임계 피니쉬 표면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시험 방법
측정은 달리 기재하지 않는 한 23 ± 1℃ 및 상대 습도 50 ± 5%의 시험 조건하에서 수행되었다. 모든 인장 시험은 종 방향에서 자른 시험 견본 상에서 하였다.
PVC의 K 값은 DIN 53726/ISO 1628-2에 의해 측정하였다.
막의 두께는 DIN 53370에 의해 측정하였다. 마스킹 테이프가 시험되는 경우, 감압 접착층은 측정 이전에 제거되었다.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인장 스트레치 행동은 300 mm/min의 시험 속도로, DIN EN ISO 527-3/2/300에 의해 타입 2 시험 견본(15 cm 넓이 및 150 cm 길이 시험 스트립, 클램프-인 길이 100 mm) 상에서 측정하였다.
1% 신장률에서 인장력(F1% 값)은 10 mm/min의 시험 속도로, DIN EN ISO 527-3/2/10에 의해 15 mm 넓이 및 150 mm 길이 시험 스트립(클램프-인 길이 100 mm) 상에서 측정하였다.
수 인열력의 평가:
(++) 매우 용이함,
(+) 용이함,
(-) 어려움,
(--) 매우 어려움.
종 방향에서 수축은 DIN 53377(80℃에서 30분, 10 cm × 10 cm, 프리-행잉)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합 강도는 15 mm 넓이의 시험 스트립 상에서 AFERA 4001에 의해 180°의 필(peel) 각도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표준화된 철 플레이트를 시험 기판으로 사용하였다.
잔여물 또는 잔상의 시각적 평가를 위해,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실시예 1 내지 8에서, 15 mm 넓이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를 합성 수지 시험 페인트(KH 보디워크 탑 코트 VWL 041, 아이보리 블랙, BASF 코팅)로 페인트된 금속 패널에 부착하고, 160℃에서 30분간 저장하였다. 이후 25℃로 냉각 후,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를 180°의 각도 및 1000 mm/min의 속도에서 페인트 표면으로부터 잡아당겼다. 이후에 아래의 기준에 따라 광원에 대한 플랫 각도에서 페인트 표면상의 잔여물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 잔여물 및 잔상 없음;
(+) 잔상이 희미하게 보임;
(-) 잔상 또는 접착제 잔여물;
(--) 상당한 접착제 잔여물, 또는 접착제의 이동.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실시예 5 내지 8에서, 15 mm 넓이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를 원-코트 보디워크 페인트(1-K-konventionell-uni FD07-9103, Audi, 160℃에서 경화, 30분)로 페인트된 금속 패널에 부착한 다음 160℃에서 60분간 저장하였다. 이후 25℃로 냉각 후,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를 180°의 각도 및 1000 mm/min의 속도에서 페인트 표면으로부터 잡아당겼다. 이후에 상술한 기준에 따라 광원에 대한 플랫 각도에서 페인트 표면상의 잔여물을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은 아래의 몇몇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나, 어느 경우에도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킹 테이프의 우수한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비교 실시예가 주어진다.
아래의 섹션들이 취급된다:
- PVC 막에 대해 사용되는 원료의 편집표
- 실시예의 기재
- 실시예의 결과의 편집표
- 비교실시예의 기재
- 비교실시예의 결과의 편집표
PVC 막에 사용되는 원료의 편집(측정 조건 및 단위는 시험 방법을 참고하라)
원료 제조원 기재 기술적 데이터
Solvin 265 PC Solvin PVC 호모폴리머 K value 65
Solvin 258 RF Solvin PVC 호모폴리머 K value 58
Solvin 271 GA Solvin PVC 호모폴리머 K value 71
Vinnol S 4080 Vinnolit PVC 호모폴리머 K value 80
Vinnolit S 3160 Vinnolit PVC 호모폴리머 K value 60
Vinnolit VK 801 Vinnolit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에 그라프트된 비닐 클로라이드 50 중량% VC
50 중량% EVA
Palamoll 652 BASF 폴리머
가소제
폴리아디페이트
Palatinol N BASF 모노머
가소제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Palatinol AH BASF 모노머
가소제
디옥틸
프탈레이트
Globinex W 2050 DIC 폴리머
가소제
폴리아디페이트
Omyalene G 200 Omya 충전제 초크
Omya EHX1 Omya 충전제 초크
Bukit Batu Murah Toko
Malaysia
충전제 초크
Vinnolit K 221 Vinnolit 소광제 가교 PVC
파우더
Kronos 2160 Kronos 티타늄 디옥사이드 금홍석
Baerostab
UBZ 731 X
Baerlocher PVC 안정화제 포스파이트가 없는
Ba-Zn 타입
Baerostab 639 Baerlocher PVC 안정화제 포스파이트가 있는
Ba-Zn 타입
Baeropan
MC 8890-KA/2
Baerlocher PVC 안정화제 포스파이트가 없는
Ca-Zn 타입
Baerostab CT
9073
Baerlocher PVC 안정화제 포스파이트가 있는
Ca-Zn 타입
Baerostab LSA Baerlocher PVC 공안정화제 ESO
Mark 17 MOK S Akcros PVC 안정화제 포스파이트가 없는
디옥틸틴 타입
Mark 17 M Akcros PVC 안정화제 포스파이트가 없는
Sn 타입
DHT 4A Kyowa PVC 공안정화제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
Iragnox 1010 Ciba 항산화제 CAS 6683-19-8
Micranyl B3RS-NQ Ciba 염료 노란색
Baerocid L-1A Baerlocher 공정
보조제
윤활제
(스테아르산)
Hostanox PAR 24 Clariant 항산화제 및
공안정화제
트리스(2,4-디-tert-부틸)포스파이트
Paroloid K 120
ND
Rohm & Haas 공정
보조제
폴리아크릴레이트
Elvaloy 741 Dupont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터폴리머 Tcr = 66℃
Levapren 600 HV Lanxess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60 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무정형,
δ8.84 cal1 /2/cm3 /2
실시예 1
캐리어 막을,
50 phr Vinnolit S 3160,
50 phr Vinnolit S 4080,
27 phr Palamoll 652,
9.4 phr Omya EHX1,
4 phr Baeropan MC 8890-KA/2,
1.5 phr Paraloid K 120 ND,
1.8 phr Micranyl B3RS-NQ 및
3 phr Kronos 2160
의 건조 블렌드로, 고속 혼합기에서 일차로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60℃로 냉각한 다음 10 phr의 Elvaloy 741을 첨가하였다. 이후 이 건조 블렌드를 180℃에서 유성 롤러 압출기에서 가소화하고 뒤집어진-L 캘린더를 사용하여 모양을 잡아 1500 mm의 넓이 및 0.085 mm의 두께를 갖는 막을 얻었다.
얻은 캐리어 막을 톨루엔 중 1부(part)의 천연 고무 및 1부의 니트릴 고무의 용액으로 구성된 접착 프로모터 층으로, 0.6 g/m2의 코트 중량으로 코팅하고, 건조시켰다. 접착제 코팅을 콤마 바를 이용해 25 g/m2의 코트 중량으로 접착 프로모터 층에 직접 적용하였다. 접착제는 30 중량% 함량의 고체와 함께 벤진(benzine) 중 천연 고무 접착제의 용액으로 구성되었다.
이 접착제는,
50 부 천연 고무,
10 부 산화아연,
3 부 로신(rosin),
6 부 알킬페놀 수지,
17 부 테르펜-페놀성 수지,
12 부 폴리-β-피넨 수지, 및
2 부 미네랄 오일로 구성된다.
최종 코트는 70℃에서 터널에서 건조하였다. 시험은 표 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 막을 아래의 구성 요소들로부터 제조하였다:
50 phr Vinnolit S 3160,
50 phr Vinnolit S 4080,
28 phr Palamoll 652,
9.4 phr Omya EHX1,
4 phr Baeropan MC 8890-KA/2,
1.5 phr Paraloid K 120 ND,
1.8 phr Micranyl B3RS-NQ 및
3 phr Kronos 2160의 건조 블렌드.
혼합물을 60℃로 냉각한 다음 10 phr의 Elvaloy HP 441을 첨가하였다. 추가의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 막을 제조하였다:
80 phr Solvin 271 GA,
20 phr Solvin 265 PC,
29 phr Globinex W 2050,
18 phr Omyalene G 200,
1.8 phr Micranyl B3RS-NQ,
3 phr Kronos 2160,
3 phr Mark 17 M,
0.3 phr Irganox 1010,
0.15 phr Baerocid L-1A,
1.5 중량부 Paraloid K 120 ND
의 건조 블렌드를 15 phr Levapren 600 HV와 혼합하였다.
막에 부탄온 중 Desmolac(Lanxess로부터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20% 세기 용액(건조 코트 중량 0.6 g/m2)을 제공하였다. 콤마 바를 사용하여, 25 g/m2의 아크릴레이트 접착제가 적용되었다. 접착제는 40 중량% 함량의 아크릴레이트 폴리머를 가지며 톨루엔 중 0.3 중량% Desmodur L(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을 함유한다.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90 중량%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10 중량%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다.
170℃에서 60분간 열처리 후에도, 마스킹 테이프는 잔여물없이 제거될 수 있다. 만약 부분적으로 마스크된 금속 시험 패널이 무색 폴리우레탄 오토모티브 탑 코트로 재 페인트되고, 상기 물품이 오븐에서 시험되면, 제거 후, 페인트 표면은 마스킹 테이프의 근접 부위에서 물결 모양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유사한 공정이 이전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아니다.
실시예 4
캐리어 막은 아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70 phr Solvin 271 GA,
20 phr Solvin 258 RF,
20 phr Vinnolit VK 801,
26 phr Globinex W 2050,
10 phr Bukit Batu Murah,
1.8 phr Micranyl B3RS-NQ,
3 phr Kronos 2160,
0.2 phr Irganox 1010,
3 phr 칼슘 알루미늄 하이드록시푸마레이트 (Ca4A12(OH)12C4H2O4),
0.5 phr 징크 스테아레이트,
1 phr 칼슘 스테아레이트,
1.5 phr Paraloid K 120 ND.
막 제조 및 코팅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와인딩 전에, 접착제로 코팅된 면은 단일 측면 PE-코팅 및 120 g/m2의 기준 중량을 갖는 실리콘화된 페이퍼와 일련되어 있다. 마스킹 테이프는 커팅 플로터를 사용하여 템플레이트로 잘려졌다. 실리콘 페이퍼의 제거 이후, 이들 템플레이트들은 글래스 시트 및 20 cm의 직경을 갖는 마블 볼에 부착하였다. 견본을 마스킹 테이프에 제1 홀이 나타날 때까지 샌드블라스트하였다. 두 경우 모두 관찰된 기판으로부터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4의 특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두께 [㎛] 85 90 85 85
파괴시 힘 [N/cm] 24 25 26 31
파괴시 신장 [%] 280 250 235 325
1% 신장에서 힘
[N/cm]
6 6 5 6
수축 [%] 2.5 3.0 2.0 3.5
수 인열력
(hand tearability)
++ ++ ++ +
철에 대한 결합 강도
[N/cm]
2.4 2.3 2.2 2.3
시각적 평가 ++ ++ ++ ++
실시예 5
캐리어 막을,
50 phr Vinnolit S 3160,
50 phr Vinnolit S 4080,
27 phr Palamoll 652,
10 phr Omya EHX1,
4 phr Baeropan MC 8890-KA/2,
1.5 phr Paraloid K 120 ND,
1.8 phr Micranyl B3RS-NQ 및
3 phr Kronos 2160
의 건조 블렌드로, 고속 혼합기에서 일차로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60℃로 냉각한 다음 10 phr의 Elvaloy 741을 첨가하였다. 이후 이 건조 블렌드를 180℃에서 유성 롤러 압출기에서 가소화하고 뒤집어진-L 캘린더를 사용하여 모양을 잡아 1500 mm의 넓이 및 0.085 mm의 두께를 갖는 막을 얻었다.
얻은 캐리어 막을 톨루엔 중 1부(part)의 천연 고무 및 1부의 니트릴 고무의 용액으로 구성된 접착 프로모터 층으로, 0.6 g/m2의 코트 중량으로 코팅하고, 건조시켰다. 접착제 코팅을 콤마 바를 이용해 25 g/m2의 코트 중량으로 접착 프로모터 층에 직접 적용하였다. 접착제는 30 중량% 함량의 고체와 함께 벤진 중 천연 고무 접착제의 용액으로 구성되었다.
이 접착제는,
50 부 천연 고무,
10 부 산화아연,
3 부 로신,
6 부 알킬페놀 수지,
17 부 테르펜-페놀성 수지,
12 부 폴리-β-피넨 수지, 및
2 부 미네랄 오일로 구성된다.
최종 코트는 70℃에서 터널에서 건조하였다. 시험은 표 3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 막을 아래의 구성 요소들로부터 제조하였다:
100 phr Vinnolit S 3160,
4 phr Vinnolit K 221,
31 phr Palamoll 652,
15 phr Omya EHX1,
4 phr Baerostab UBZ 731 X,
1.5 phr Paroloid K 120 ND,
1.8 phr Micranyl B3RS-NQ 및
3 phr Kronos 2160.
캐리어 막을 톨루엔 중 Desmolac(Bayer)의 용액으로 구성된 접착 프로모터 층으로, 0.6 g/m2의 코트 중량으로 코팅하고, 건조시켰다. 접착제 코팅은, 콤마 바를 사용하여, 25 g/m2의 코트 중량으로 접착 프로모터 코트에 직접 적용하였다. 접착제는 40 중량%의 고체 함량을 갖는 톨루엔 중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의 용액으로 구성된다. 이 접착제는 0.3 중량부의 이소시아네이트 및 90 중량부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10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로 구성된다. 최종 코트는 70℃에서 건조 터널에서 건조하였다. 170℃의 페인트 베이킹 온도에서도 페인트 표면에서 잔상 또는 다른 잔여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7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캐리어 막을 아래의 구성 요소들로부터 제조하였다:
100 phr Vinnolit S 3160,
29 phr Globinex W 2050,
17 phr Omyalene G 200,
1.8 phr Micranyl B3RS-NQ,
3 phr Kronos 2160,
3 phr Mark 17 MOK S,
0.3 phr Iragnox 1010,
0.15 phr Baerocid L-1A,
1.5 phr Paraloid K 120 ND.
코팅은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마스킹 테이프는 1-코트 시험 페인트로부터 잔상없이 제거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마스크된 금속 시험 패널이 전형적인 무색 폴리우레탄 오토모티브 탑 코트로 재 코팅되고, 상기 시험 물품이 오븐에서 두어지는 경우, 제거 후, 무색 탑 코트의 표면은 마스킹 테이프의 근접 부위에서 물결 모양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유사한 공정이 이전 실시예의 예에 적용되는 경우가 아니다.
실시예 8
캐리어 막은 아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90 phr Solvin 265 PC,
20 phr Vinnolit VK 801,
4 phr Vinnolit K 221,
26 phr Globinex W 2050,
12 phr Bukit Batu Murah,
1.8 phr Micranyl B3RS-NQ,
3 phr Kronos 2160,
0.2 phr Irganox 1010,
3 phr DHT 4,
0.5 phr 징크 스테아레이트,
1 phr 칼슘 스테아레이트,
1.5 phr Paraloid K 120 ND.
막 제조 및 코팅은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마스킹 테이프는 1-코트 시험 페인트로부터 잔상없이 제거될 수 있다.
와인딩 전에, 접착제상의 견본의 일부로 코팅된 면은 단일 측면 PE-코팅 및 120 g/m2의 기준 중량을 갖는 실리콘화된 페이퍼와 일련되어 있다. 마스킹 테이프는 커팅 플로터를 사용하여 템플레이트로 잘려졌다. 실리콘 페이퍼의 제거 이후, 이들 템플레이트들은 글래스 시트에 부착하였다. 마스킹 테이프가 제1 홀을 보여주기 이전에, 글래스 플레이트가 광택이 없어질 때까지 견본을 샌드블라스트하였다.
실시예 5 내지 8의 특성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두께 [㎛] 85 95 80 95
파괴시 힘 [N/cm] 24 19 24 18
파괴시 신장 [%] 280 220 255 225
1% 신장에서 힘
[N/cm]
6 6 6 6
수축 [%] 2.5 3.0 3.0 3.5
수 인열력
(hand tearability)
++ ++ ++ +
철에 대한 결합 강도
[N/cm]
2.4 2.1 2.2 2.6
시각적 평가 ++ ++ ++ ++
비교실시예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서,
100 phr Solvin 265 PC,
40 phr Palatinol AH,
10 phr Omya EHX1,
4 phr Baerostab CT 9073,
3 phr Baerostab LSA,
1.8 phr Micranyl B3RS-NQ 및
3 phr Kronos 2160
로 구성되는 캐리어 막을 제조하고 접착 프로모터 코트 및 접착제로 코팅하였다.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는 풀리는 동안에도 상당히 신장되었고, 상당한 수축 경향이 관찰되었다. 페인트로부터 접착성 테이프의 분리가 뒤따르고, 접착제의 다량의 이동이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서,
100 phr Solvin 258 RF,
20 phr Palamoll 652,
1.5 phr Palatinol N,
18 phr Omya EHX1
6 phr Baerostab UBZ 639,
4 phr Baerostab LSA,
1.5 phr Paraloid K 120 ND
1.8 phr Micranyl B3RS-NQ 및
3 phr Kronos 2160
로 구성되는 캐리어 막을 제조하고 접착 프로모터 코트 및 접착제로 코팅하였다. 페인트로부터 접착성 테이프의 분리가 뒤따르고, 잔상이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서,
50 phr Vinnolit S 3160,
50 phr Vinnolit S 4080,
27 phr Palamoll 652,
9.4 phr Omya EHX1
4 phr Baeropan MC 8890-KA/2,
2 phr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1.5 phr Paraloid K 120 ND,
1.8 phr Micranyl B3RS-NQ and
3 phr Kronos 2160
로 구성되는 캐리어 막을 제조하고 접착 프로모터 코트 및 접착제로 코팅하였다. 페인트로부터 접착성 테이프의 분리가 뒤따르고, 매우 심한 잔상이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4
2 phr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대신에 1 phr Hostanox PAR 24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견본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내지 4의 특성
비교실시예 1 비교실시예 2 비교실시예 3 비교실시예 4
두께 [㎛] 100 90 85 85
파괴시 힘 [N/cm] 36 18 24 ND
파괴시 신장 [%] 330 150 280 ND
1% 신장에서 힘
[N/cm]
1.3 4.0 6 ND
수축 [%] 5.0 2.0 2.5 ND
수 인열력
(hand tearability)
- + ++ ND
철에 대한 결합 강도
[N/cm]
1.0 2.5 2.4 ND
시각적 평가 - - - -
ND = 측정되지 않음
비교실시예 5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서, 캐리어 막을 제조하고 접착 프로모터 코트 및 접착제로 코팅하였다. 그러나, Baerostab UBZ 731 X 대신에 Baerostab UBZ 639가 사용되었다. 잔상이 시험 페인트 상에서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6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서, 캐리어 막을 제조하고 접착 프로모터 코트 및 접착제로 코팅하였다. 그러나, Baerostab UBZ 731 X 대신에 Baerostab CT 9073이 사용되었다. 잔상이 시험 페인트 상에서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7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에서, 캐리어 막을 제조하고 접착 프로모터 코트 및 접착제로 코팅하였다. 페인트로부터 접착성 테이프의 분리가 뒤따르고, 매우 심한 잔상이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8
1 phr Hostanox PAR 24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견본을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페인트로부터 접착성 테이프의 분리가 뒤따르고, 잔상이 관찰되었다.
비교실시예 5 내지 8의 특성
비교실시예 5 비교실시예 6 비교실시예 7 비교실시예 8
두께 [㎛] 95 90 90 85
파괴시 힘 [N/cm] 19 18 19 17
파괴시 신장 [%] 220 200 230 235
1% 신장에서 힘
[N/cm]
6 6 6 6
수축 [%] 3.0 2.5 2.5 3.0
수 인열력
(hand tearability)
++ ++ ++ ++
철에 대한 결합 강도
[N/cm]
2.1 2.2 1.8 2.0
시각적 평가 - - - -

Claims (12)

  1. 한 면에 웹 형태인 PVC 캐리어 재료 및 이에 적용된 감압 접착제 코팅을 포함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로서, 상기 캐리어 재료가 아래의 구성 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a) 58 내지 90, 바람직하게 65 내지 80의 K 값을 갖는 PVC 폴리머,
    b) 20 내지 55 phr의 가소제, 바람직하게 폴리머 가소제, 및
    c) 0.2 내지 8 phr, 바람직하게 1 내지 5 phr의 포스파이트가 없는 PVC 안정화제.
  2.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납 및 카드뮴이 없고 바람직하게 또한 주석이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칼슘 및 아연을 기재(based)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재료가 15 내지 35 phr, 바람직하게 25 내지 35 phr의 폴리머 가소제 함량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가소제가 프탈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또는 바람직하게 아디프산의 폴리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재료가 하나 이상의 페놀성, 바람직하게 황이 없는 항산화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 재료에서 가소화 구성 요소(폴리머 가소제, 모노머 가소제, 소프트, PVC-섞일 수 있는 폴리머, 및 그라프트 폴리머에서 소프트 구성요소)의 총량이 25 내지 40 phr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3 N/cm 이상, 바람직하게 5.5 N/cm 이상의 1% 신장률에서 인장력,
    b) 130 ㎛ 미만, 바람직하게 100 ㎛ 미만의 두께,
    c) 12 내지 30 N/cm의 인장 강도, 및/또는
    d) 200% 내지 350%의 범위의 파괴시 신장률(an elongation at break)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웹 형태에서 PVC 캐리어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캐리어 재료의 성분이 연속적으로 혼합되고 혼합물이 캘린더(calender) 상에서 막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접착제의 코팅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거나
    b) 결합 강도가 1.6 내지 4.8 N/cm, 바람직하게 2 내지 3 N/cm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코팅이 가교되거나 열적으로 가교될 수 있거나, 160℃ 이하의 적용에서, 특히 차량 피니쉬로부터, 잔여물 없이 제거될 수 있음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
  12. 차량 및 차량 부품의 피니싱에서의 마스킹을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성 마스킹 테이프의 용도.
KR1020107027851A 2008-12-18 2009-12-17 Pvc 막으로의 마스킹 스트립 KR20110102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62755.0 2008-12-18
DE102008062755 2008-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141A true KR20110102141A (ko) 2011-09-16

Family

ID=4212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851A KR20110102141A (ko) 2008-12-18 2009-12-17 Pvc 막으로의 마스킹 스트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200808A1 (ko)
EP (1) EP2367892A1 (ko)
JP (1) JP2012512923A (ko)
KR (1) KR20110102141A (ko)
CN (1) CN102149780A (ko)
DE (1) DE112009001160A5 (ko)
MX (1) MX2010013297A (ko)
WO (1) WO2010070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9420B (en) * 2011-03-25 2013-02-13 Renolit Cramlington Ltd Flexible laminate film
BR102013011036B1 (pt) * 2013-05-03 2021-09-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terial adesivo isolante resistente à alta temperatura; composição do substrato do dito material adesivo isolante resistente à alta temperatura
CN103342969A (zh) * 2013-07-09 2013-10-09 苏州百骐电子材料有限公司 Pcb板遮光胶带及其制备方法
CN106103619A (zh) * 2014-03-05 2016-11-09 诺瓦美特胶粘技术公司 经粘合剂涂覆的热敏聚合物基材、其制备方法及其用途
TWI707901B (zh) 2015-01-30 2020-10-21 德商巴斯夫歐洲公司 包含聚合二羧酸酯及對苯二甲酸二烷酯之塑化劑組成物
CN105694750A (zh) * 2016-02-03 2016-06-22 河北华夏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耐高温聚氯乙烯胶带的制作方法
BR112020009441A2 (pt) * 2017-11-14 2020-10-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composições, películas, laminados de pvc e métodos relacionados
DE102017221039B4 (de) * 2017-11-24 2020-09-03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aftklebemasse auf Basis von Acrylnitril-Butadien-Kautschuk
CN112143392B (zh) * 2020-09-15 2022-02-11 长缆电工科技股份有限公司 复合型电应力控制带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4158A (en) * 1996-03-11 1999-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eat activated translucent marking films
DE10151818A1 (de) * 2001-10-20 2003-05-22 Tesa Ag Selbstklebendes Abdeckklebeband für Fahrzeuge und Fahrzeugteile
DE10202038A1 (de) * 2002-01-18 2003-10-16 Tesa Ag Folienklebeband mit reduziertem Halogengehalt
DE10218686A1 (de) * 2002-04-26 2003-11-27 Tesa Ag Handeinreißbares und dehnbares Abdeckklebeband
DE102004039097A1 (de) * 2004-08-11 2006-02-23 Tesa Ag Handeinreißbares Abdeckklebeband für Fahrzeuge mit geringer Rückschrumpfneig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0013297A (es) 2010-12-21
DE112009001160A5 (de) 2013-09-19
US20110200808A1 (en) 2011-08-18
EP2367892A1 (de) 2011-09-28
JP2012512923A (ja) 2012-06-07
WO2010070026A1 (de) 2010-06-24
CN102149780A (zh)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2141A (ko) Pvc 막으로의 마스킹 스트립
EP2953792B1 (en) Graphic article
JP5866447B2 (ja) グラフィック物品
KR101784127B1 (ko) 그래픽 용품
CN108307638B (zh) 粘合带卷
JP5869672B2 (ja) グラフィック物品
KR101672104B1 (ko) 그래픽 용품
EP2108686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030077439A1 (en) Self-adhesive masking tape for vehicles and vehicle parts
EP3279283A1 (en) Adhesive tape
JP6714371B2 (ja) ショットピーニング工程用マスキングテープ
JP2010007082A (ja) 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作られた接着テープ
JP2010047758A (ja) 片面もしくは両面に接着剤が塗布されたキャリア材料を有する、ワイヤまたはケーブルの絶縁及び巻回のための接着テープ、並びにそれの使用
KR20200051736A (ko) 점착 테이프용 기재,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035075A1 (en) Hand-tearable adhesive masking tape for vehicles, with low shrinkback tendency
JP4540801B2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
JP7156951B2 (ja) 防湿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