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542A - 훈연기 - Google Patents

훈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542A
KR20110100542A KR1020100019593A KR20100019593A KR20110100542A KR 20110100542 A KR20110100542 A KR 20110100542A KR 1020100019593 A KR1020100019593 A KR 1020100019593A KR 20100019593 A KR20100019593 A KR 20100019593A KR 20110100542 A KR20110100542 A KR 2011010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combustion chamber
smoker
housing
in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272B1 (ko
Inventor
장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짚터푸드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짚터푸드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짚터푸드빌
Priority to KR102010001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27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훈연을 통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연기의 공급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훈연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훈연기는, 본체하우징(10) 내부에는 하부의 연소실(S1)과 상부의 훈연실(S3)을 구획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20)이 구비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20)의 저면 및 측벽에는 각각 하부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 하우징(20) 내부에는 고기가 안착되어지는 다수의 철망(40)이 높이를 달리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레일(23)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S1)에 구비되는 화로(70)는 전면 하부에 공기유입공(72)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는 보호철망(71)이 개폐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본체하우징(10) 전면에는 연소실(S1)의 개폐를 위한 하부도어(60) 및 훈연실(S3)의 개폐를 위한 상부도어(50)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본체하우징(10) 상부에는 훈연실(S3)로 안내된 연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연도(30)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연도(30)에는 연기의 배출량 조절을 위한 조절판(35)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훈연기{A SMOKE ROASTER}
본 발명은 훈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훈연 방식으로 고기를 가열하는 훈연기의 조리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구이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훈연기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식방식과 나무를 태워서 훈연하는 방식 등이 알려져 있는데, 훈연식 재료의 나무는 오랜 시간에 걸쳐 흙에서 빨아들인 각종 미네랄을 갖고 있는 데, 그 나무를 태워도 미네랄 성분은 숯 속에 재로 남으며, 미네랄은 미량이기는 하지만 인체에서 노화 방지 등 중요한 구실을 담당하는 등 인체에 유익하여 훈연식 훈제기를 선호하고 있다.
또한, 훈연용 나무 중에서 참나무는 닭고기나 돼지고기등 어떤 육류에도 참나무의 독특한 향을 심어주고, 맛나는 향이 배어지므로 느끼하지 않고 식욕을 돋구며, 또한 화력이 좋아서 고온을 유지하여 골고루 맛이 들때까지 익혀주며, 또한 참나무가 연소하면서 원적외선이 나오므로 인체에 어떤 해로움도 없으며, 또한 참나무의 껍질이 있는 상태로 태우면 화력이 오래가서 연료비가 절약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결국, 참나무를 태워 훈연함에 따라서, 고기 특유의 냄새와 불필요한 지방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그 맛과 향이 독특하며 각 부위별 특성있는 여러 가지 맛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훈연기는 일정공간내의 훈연실의 아래쪽에 참나무를 태워서 훈연실에 장착된 피가공물에 참나무의 훈연이 전달되도록 하고 있으며, 위와 같이 훈연실의 아래에서 참나무를 연소하기 때문에 화력이 다소 높으면 바로 훈연실의 피가공물에 전달되어 공기가 타는 경우도 있고, 또한 피가공물의 겉부분은 타고 안쪽은 익지 않는 등으로 인하여 고기의 고유 맛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훈연기의 성능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가 고르게 훈연실로 전달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보다 고른 가열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훈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훈연기는, 본체하우징 내부에는 하부의 연소실과 상부의 훈연실을 구획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이 구비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저면 및 측벽에는 각각 하부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 하우징 내부에는 다수의 철망이 높이를 달리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에 구비되는 화로는 전면 하부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는 보호철망이 개폐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본체하우징 전면에는 연소실의 개폐를 위한 하부도어 및 훈연실의 개폐를 위한 상부도어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본체하우징 상부에는 훈연실로 안내된 연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연도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연도에는 연기의 배출량 조절을 위한 조절판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훈연기는, 훈연을 통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연기의 공급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훈연 조리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훈제가공물의 상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내부 청소가 용이한 구조를 이룸으로 보다 청결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기의 외부 배출량 조절이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훈연기의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훈연기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화로 단면 구조도.
도 4는 도 2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훈연기의 정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훈연기의 연도 조절판 구동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훈연기의 공기 유입량 조절부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 훈연기의 사용상태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 훈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사각형상을 이루는 본체하우징(10) 내부에는 하부에 화로(70)가 구비되어질 수 있도록 연소실(S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부 하우징(20)에 의해 구획되어진 훈연실(S3)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내부 하우징(20)은 본체하우징(10)과 일정 이격공간(S2)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과 바닥면에 훈연실(S3)로 부터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21,22)이 타공 형성되어져 있으며, 측벽 내측에는 다수의 안내레일(23)이 층을 달리하여 구비됨으로서 고기가 안착되어질 다수의 철망(40)이 각각 슬라이딩 착탈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하부 연소실(S1)에 구비되어질 화로(7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에 상부에 이동중 내부에 담겨진 숯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철망(71)이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져 있으며, 전면 하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공(72)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10) 상부에는 내부의 연기 배출을 위한 배출연도(3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배출연도(30)에는 연기 배출량 조절을 위한 조절판(35)이 회동로드(31)에 의해 회동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었다. 회동로드(31) 선단에는 손잡이(32)가 구성되며, 회동로드(31)의 후단에는 탄성스프링(34)이 구성되고, 탄성스프링(34)의 지지를 위한 지지너트(33)가 회동로드(31)의 후단부에 결합됨으로 조절판(35)이 자중에 의해 저절로 회동되지 않고 설정된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체하우징(10) 전면에는 연소실(S1)의 개폐를 위한 하부도어(60) 및 훈연실(S3)의 개폐를 위한 상부도어(50)가 각각 구성되어져 있는데, 그중 하부도어(60)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공(6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공(66) 입구측에는 도 8에서와 같이 공기의 유입량 조절을 위해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조절판(61)이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공기 유입공(66) 입구에는 다수의 통공(65)이 형성된 격막(64)이 일체로 고정 구비됨으로서, 조절판(61)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통공(62,65)간 위치 조절을 통해 공기 유입량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미설명 부호 51은 손잡이이고, 67은 하부도어(60)의 개폐 조작을 위한 잠금장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훈연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각 철망(40)에 조리 대상인 고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화로(70)에 나무, 볏집 또는 숯을 넣고 불을 붙인 상태에서 보호철망(71)을 닫고 화로(70)를 연소실(S1)에 밀어넣게 되면 화로(7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연기가 본체 하우징(10) 내부에서 퍼지면서 훈연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연소실(S1)에서 발생된 연기는 상승하여 내부 하우징(20)에 형성된 유입공(21,22)을 통해 바닥면은 물론 측벽을 통해 이동되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이동된 고온의 연기 및 내부 열기에 의해 보호철망(71)에 놓여져 있는 고기의 고른 훈연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훈연 조리가 이루어지는 일정 시간동안 상부의 배출연도(30)는 조절판(35)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이룸으로 연기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되어지면서 연기의 조절을 위해 작업자는 손잡이(32)를 돌려줌으로서 조절판(35)의 적절한 회동각도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때, 조절이 이루어진 조절판(35)은 후단부에서 회동로드(31)가 탄성스프링(34)에 의해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되어짐으로, 자중에 의해 저절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안정된 조절각도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작업자는 하부도어(60)에 구비된 조절판(61)의 회동 조절을 통해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서 최적의 조리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훈연기를 이용하여 고기의 훈연 조리를 실시하게 되면, 최적의 훈제 바베큐 가공물이 조리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훈연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하우징 20 : 내부 하우징
21,22 : 유입공 23 : 안내레일
30 : 배출연도 31 : 회동로드
32 : 손잡이 33 : 지지너트
34 : 탄성스프링 35 : 조절판
40 : 철망 50 : 상부도어
51 : 손잡이 60 : 하부도어
61 : 조절판 62,65 : 통공
63 : 힌지핀 64 : 격막
66 : 공기 유입공 67 : 잠금장치
70 : 화로 71 : 보호철망
72 : 공기유입공 S1 : 연소실
S2 : 이격공간 S3 : 훈연실

Claims (5)

  1. 본체하우징(10) 내부에는 하부의 연소실(S1)과 상부의 훈연실(S3)을 구획하기 위한 내부 하우징(20)이 구비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20)의 저면 및 측벽에는 각각 하부 연소실에서 발생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 하우징(20) 내부에는 고기가 안착되어지는 다수의 철망(40)이 높이를 달리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레일(23)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S1)에 구비되는 화로(70)는 전면 하부에 공기유입공(72)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는 보호철망(71)이 개폐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본체하우징(10) 전면에는 연소실(S1)의 개폐를 위한 하부도어(60) 및 훈연실(S3)의 개폐를 위한 상부도어(50)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본체하우징(10) 상부에는 훈연실(S3)로 안내된 연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연도(30)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연도(30)에는 연기의 배출량 조절을 위한 조절판(35)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도어(60)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공(6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공(66)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량 조절을 위해 다수의 통공(62)이 형성된 조절판(61)이 힌지핀(6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공(66) 입구에는 다수의 통공(65)이 형성된 격막(64)이 일체로 고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35)은 각도 조절을 위한 회동로드(31)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회동로드(31)의 선단에는 손잡이(32)가 구성되며, 상기 회동로드(31)의 후단에는 탄성스프링(34)이 구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34)의 지지를 위한 지지너트(33)가 회동로드(31)의 후단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20)은 본체하우징(10) 내측벽과 사이를 통해 연소실(S1)로 부터 연기가 상승 안내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격공간(S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기.
KR1020100019593A 2010-03-04 2010-03-04 훈연기 KR10117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93A KR101179272B1 (ko) 2010-03-04 2010-03-04 훈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93A KR101179272B1 (ko) 2010-03-04 2010-03-04 훈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542A true KR20110100542A (ko) 2011-09-14
KR101179272B1 KR101179272B1 (ko) 2012-09-03

Family

ID=4495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593A KR101179272B1 (ko) 2010-03-04 2010-03-04 훈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798B1 (ko) 2023-03-29 2023-10-20 허철 컨벡션 오븐에 설치되는 훈연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258Y1 (ko) * 2001-08-20 2001-11-22 김주팔 장작 숯불 오리 훈제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272B1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683B1 (ko) 연도를 이용한 구이기
US20170164783A1 (en) Multiple fuel cooking unit
US2012027626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smoking on a grill
KR101312988B1 (ko) 훈제조리기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US20220110480A1 (en) Multi-use cooking apparatus
KR101229178B1 (ko) 훈제기
KR20170128979A (ko) 회전형 구이장치
KR101179272B1 (ko) 훈연기
KR101010425B1 (ko) 훈연고기구이기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KR102516300B1 (ko) 훈연구이기를 이용한 구이방법
CN104633715A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KR200405679Y1 (ko)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KR20230064198A (ko) 훈연 방식으로 고기를 가열하는 고기훈연기
KR20230030278A (ko) 고기훈연기
KR101425771B1 (ko) 가마형 참나무 바비큐 장치
KR200432372Y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100875556B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1098057B1 (ko) 훈제식 숯불구이기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CN204438207U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KR20070042226A (ko)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