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357A -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357A
KR20110098357A KR1020100017934A KR20100017934A KR20110098357A KR 20110098357 A KR20110098357 A KR 20110098357A KR 1020100017934 A KR1020100017934 A KR 1020100017934A KR 20100017934 A KR20100017934 A KR 20100017934A KR 20110098357 A KR20110098357 A KR 20110098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pe
support body
fixing devi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099B1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0001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0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1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in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파이프용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파이프용 고정장치는: 외측으로 벌어져서 파이프의 내측을 가압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파지부를 작동시키는 내측이동부와, 내측이동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제1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 및 지지몸체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LOCKING DEVICE FOR PIP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차 없이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으로 암부재의 일측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파이프는 별도의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지그장치는 단순한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어 파이프의 이동을 구속한다.
지그에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된 파이프는 암부재에 접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핀 형상의 지그장치가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그장치와 파이프의 사이에는 공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차의 발생으로 파이프의 고정위치가 변하므로 용접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그장치와 파이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차로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는: 외측으로 벌어져서 파이프의 내측을 가압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파지부를 작동시키는 내측이동부와, 내측이동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제1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 및 지지몸체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파지부는, 내측이동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이동부의 외측에 경사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돌기부 및 이동부재의 내측에 경사돌기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경사진 형상의 안내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돌기부는, 내측이동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의 이동경사면이 구비되며, 안내홈부는,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파지부의 중앙 방향으로 경사져서 이동경사면과 접하는 안내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돌기부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안내홈부와 연통되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부는 4개의 이동부재가 모여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구동부는, 내측이동부와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몸체부의 상측은 파지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지지몸체부의 내측에는 제1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몸체부는 파지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몸체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는, 지지몸체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 및 레일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는 내측홈부를 구비하는 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의 제어방법은: 파지부 상측에 파이프를 공급하는 파이프공급단계와, 제2구동부가 동작되어 지지몸체부를 상승시켜 파이프의 내측에 파지부를 삽입시키는 지지몸체부상승단계와, 제1구동부가 동작되어 파지부의 이동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내측이동부를 이동시키는 내측이동부이동단계 및 파지부가 외측으로 벌어져서 파이프의 내측을 가압하는 파이프내측가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내측이동부이동단계에서, 내측이동부의 경사돌기부는 이동부재의 안내홈부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부재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이동부이동단계에서, 내측이동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는 이동부재에 구비되는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파지부가 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 이동부재가 방사형으로 벌어지면서 공차 발생 없이 파이프를 고정시키므로, 파이프의 위치 가변으로 발생하는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내측으로 모이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이동부와 제1구동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와 내측이동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암부재와 파이프의 용접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내측으로 모이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이동부와 제1구동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와 내측이동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1)는, 외측으로 벌어져서 파이프(5)의 내측을 가압하는 파지부(10)와, 파지부(1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파지부(10)를 작동시키는 내측이동부(20)와, 내측이동부(2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30)와, 제1구동부(30)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40) 및 지지몸체부(4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50)를 포함한다.
파지부(10)는 파이프(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파이프(5)를 파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0)는, 내측이동부(20)로 연결되어 내측으로 모이거나 외측으로 벌어지는 복수의 이동부재(12)를 포함한다.
파지부(10)를 구성하는 이동부재(12)는 파지 및 작동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4개로 구성된다. 파지부(10)는 이동부재(12)가 모여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파이프(5)의 내측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대된다.
파이프(5)로 삽입되는 이동부재(12)의 상측(이하 도 6기준)에는 경사진 형상의 경사안내면(13)이 구비되어 파지부(10)의 삽입을 안내한다.
이동부재(12)의 내측에는 내측이동부(20)가 이동되는 안내홈부(14)가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이동부(20)의 상하 이동으로 이동부재(12)는 파지부(10)의 중심부로 모이거나 외측으로 벌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이동부(20)는 상부 단면적은 넓고 하부 단면적은 좁은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측이동부(20)의 외측에 경사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돌기부(22)는 이동부재(12)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돌출 형성된다.
경사돌기부(22)의 일단에는, 내측이동부(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동경사면(24)이 구비된다.
경사돌기부(22)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6)는 안내홈부(14)와 연통된 걸림홈부(18)에 걸려서, 이동부재(12)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동부재(12)의 내측에는 내측이동부(20)의 경사돌기부(22)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경사진 형상의 안내홈부(14)가 상하 방향로 형성된다.
안내홈부(14)는, 이동부재(12)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파지부(10)의 중앙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경사면(16)이 구비되며, 이러한 안내경사면(16)은 내측이동부(20)의 이동경사면(24)과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걸림돌기(26)를 구비한 경사돌기부(22)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안내홈부(14)와 연통되며 걸림돌기(26)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걸림홈부(18)를 포함하는 홈부의 형상도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측이동부(20)의 상측 이동으로 이동부재(12)가 모아지며, 내측이동부(20)의 하측 이동으로 이동부재(12)가 벌어지도록, 내측이동부(20)의 이동경사면(24)과 이동부재(12)의 안내경사면(16)은 역삼각형 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한다.
제1구동부(30)는 내측이동부(20)를 상하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동력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30)는, 내측이동부(20)와 연결되는 실린더부재(32)와, 실린더부재(32)와 내측이동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8)를 포함한다.
실린더부재(32)는 실린더몸체(34)와, 실린더몸체(34)에 연결되는 로드부재(36)를 포함한다. 로드부재(36)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8)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재(38)의 상하측에는 나사홈부가 형성된다.
연결부재(38)의 하측에는 로드부재(36)가 체결되며, 연결부재(38)의 상측에는 내측이동부(20)의 내측공(28)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39)가 체결된다.
파지부(10)의 하부에는 지지몸체부(40)가 구비되어 파지부(10)를 지지하며, 지지몸체부(40)의 내측에는 제1구동부(30)가 구비된다.
지지몸체부(40)는 박스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몸체부(40)의 상하 이동으로 파지부(10)와 제1구동부(30) 및 내측이동부(20)도 상하 이동된다.
지지몸체부(40)는 파지부(1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부(42)를 구비한다.
파지부(10)가 외측으로 벌어질 때, 파지부(10)의 하부를 구속하는 지지턱부(42)는 파지부(10)의 하부를 둘러싸는 경계턱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몸체부(40)의 하부에는 제2구동부(50)가 구비되어 지지몸체부(40)를 상하 이동시킨다.
제2구동부(50)는 실린더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몸체부(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60)는, 지지몸체부(40)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62) 및 레일부재(62)가 삽입되어 걸리는 내측홈부를 구비하는 홀더부재(64)를 포함한다.
지지몸체부(40)가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레일지지부재(66)가 설치되며, 레일지지부재(66)에 레일부재(62)가 고정 설치된다.
레일부재(62)를 따라 이동되는 홀더부재(64)는 지지몸체부(40)의 측벽에 고정되므로, 지지몸체부(40)는 레일부재(62)를 따라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1)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1)의 제어방법은, 파지부(10)의 상측에 파이프(5)를 공급하는 파이프공급단계를 갖는다.(S10)
작업자 또는 로봇암의 작동으로 파이프(5)는 파지부(1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파이프공급단계 이후에 제2구동부(50)가 동작되어 지지몸체부(40)를 상승시켜 파이프(5)의 내측에 파지부(10)를 삽입시키는 지지몸체부상승단계를 갖는다.(S20)
제2구동부(50)가 동작되어 지지몸체부(40)를 상승시키면, 지지몸체부(40)는 레일부재(6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동부재(12)는 파지부(10)의 중앙으로 모여진 상태에서 파지부(10)는 파이프(5)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지지몸체부상승단계 이후에, 제1구동부(30)가 동작되어 파지부(10)의 이동부재(12)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내측이동부(20)를 이동시키는 내측이동부이동단계를 갖는다.(S30)
제1구동부(30)가 동작되어 내측이동부(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내측이동부(20)의 경사돌기부(22)는 이동부재(12)의 안내홈부(14)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부재(1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때, 내측이동부(20)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26)는 이동부재(12)에 구비되는 걸림홈부(18)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므로, 이동부재(12)가 내측이동부(20)를 중심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내측이동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이동부이동단계 이후에 파지부(10)가 외측으로 벌어져서 파이프(5)의 내측을 가압하는 파이프내측가압단계를 갖는다.(S40)
내측이동부(20)가 이동부재(12)의 하측으로 이동되면, 내측이동부(20)의 상부가 이동부재(12)의 하부를 외측으로 밀어서, 이동부재(12)가 사방으로 벌어져서 파이프(5)의 내측을 가압하므로, 파지부(10)의 외측에 파이프(5)가 고정된다.
암부재(7)가 이동되어 고정된 파이프(5)에 접한 상태에서, 암부재(7)와 파이프(5)의 경계부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파이프(5)의 용접이 완료되면, 제1구동부(30)의 동작으로 내측이동부(20)가 상승되어 파지부(10)가 내측으로 모아지며, 제2구동부(50)의 동작으로 지지몸체부(40)를 포함한 파지부(10)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고정장치(1) 및 그 제어방법은, 파지부(10)가 파이프(5)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에 이동부재(12)가 방사형으로 벌어지면서 공차 발생 없이 파이프(5)를 고정시키므로, 파이프(5)의 위치 가변으로 발생하는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암부재와 파이프의 용접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파이프를 고정하는 다른 생산라인에도 본 발명의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파이프용 고정장치
5: 파이프 10: 파지부
12: 이동부재 13: 경사안내면
14: 안내홈부 16: 안내경사면
18: 걸림홈부 20: 내측이동부
22: 경사돌기부 24: 이동경사면
26: 걸림돌기 30: 제1구동부
32: 실린더부재 34: 실린더몸체
36: 로드부재 38: 연결부재
39: 체결부재 40: 지지몸체부
42: 지지턱부 50: 제2구동부
60: 가이드부 62: 레일부재
64: 홀더부재 66: 레일지지부재

Claims (14)

  1. 외측으로 벌어져서 파이프의 내측을 가압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파지부를 작동시키는 내측이동부;
    상기 내측이동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내측이동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이동부의 외측에 경사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사돌기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 상기 경사돌기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경사진 형상의 안내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는, 상기 내측이동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의 이동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상기 파지부의 중앙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이동경사면과 접하는 안내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부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안내홈부와 연통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4개의 이동부재가 모여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내측이동부와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측은 상기 파지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는 상기 파지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는 내측홈부를 구비하는 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
  12. 파지부 상측에 파이프를 공급하는 파이프공급단계;
    제2구동부가 동작되어 지지몸체부를 상승시켜 상기 파이프의 내측에 상기 파지부를 삽입시키는 지지몸체부상승단계;
    제1구동부가 동작되어 상기 파지부의 이동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내측이동부를 이동시키는 내측이동부이동단계; 및
    상기 파지부가 외측으로 벌어져서 상기 파이프의 내측을 가압하는 파이프내측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이동부이동단계에서, 상기 내측이동부의 경사돌기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안내홈부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부재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이동부이동단계에서, 상기 내측이동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부재에 구비되는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고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17934A 2010-02-26 2010-02-26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3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934A KR101136099B1 (ko) 2010-02-26 2010-02-26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934A KR101136099B1 (ko) 2010-02-26 2010-02-26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357A true KR20110098357A (ko) 2011-09-01
KR101136099B1 KR101136099B1 (ko) 2012-04-17

Family

ID=4495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934A KR101136099B1 (ko) 2010-02-26 2010-02-26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0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29B1 (ko) * 2011-05-16 2013-02-22 대동중공업주식회사 연주기 세그멘트 가이드롤러 용접 지그장치
KR101678853B1 (ko) * 2015-05-29 2016-11-23 주식회사화신 차량부품용 검사장치
KR20190068845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용 확관장치
CN110449951A (zh) * 2019-08-29 2019-11-15 赵越 一种管道出水口加工设备
KR20220139200A (ko) *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엔원테크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90Y1 (ko) 2003-05-22 2003-12-12 이기섭 파이프 자동 절단 시스템
KR200451559Y1 (ko) * 2008-07-25 2010-1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파이프 내경 지지용 지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29B1 (ko) * 2011-05-16 2013-02-22 대동중공업주식회사 연주기 세그멘트 가이드롤러 용접 지그장치
KR101678853B1 (ko) * 2015-05-29 2016-11-23 주식회사화신 차량부품용 검사장치
KR20190068845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용 확관장치
CN110449951A (zh) * 2019-08-29 2019-11-15 赵越 一种管道出水口加工设备
KR20220139200A (ko) *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엔원테크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099B1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099B1 (ko)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0609B1 (ko) 엔진용 피스톤 어셈블리 장착장치
CN104722629B (zh) 一种全自动高速冲孔机
KR101134611B1 (ko)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US20110031670A1 (en) Clamp device
KR20190010485A (ko)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부품 부착 시스템
CN205254444U (zh) 一种管状件焊接夹具
CN106002682B (zh) 一种五金件通用夹具
CN106666936B (zh) 一种双象鼻头半自动组装机
JP4294789B2 (ja) ピストンピンクリップ嵌入装置
KR20110065193A (ko)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
JP4859134B2 (ja) クランプ装置
CN104369010B (zh) 夹持装置
JP3173038U (ja) ピン打ち装置
KR101014509B1 (ko) 차체 조립지그의 클램프장치
CN217412224U (zh) 用于级进模的脱料结构及级进模
JP5013541B2 (ja) ボルト案内用治具
KR100945522B1 (ko) 오링볼트 제조를 위한 오링 핸들러 및 오링볼트 조립장치
KR20180000363A (ko) 고무튜브 삽입장치
CN208304228U (zh) 一种篮子边框对接焊接的焊枪头的活动机构及焊接平台
CN207344191U (zh) 加工圆钢柱的夹具
KR20090106141A (ko) 파이프를 고정하는 클램프 및 이를 장착한 파이프 수압시험기
CN215968362U (zh) 胶合定位夹具
KR101294038B1 (ko) 다차종 대응 시스템용 클램핑유닛 교환장치
JP7469047B2 (ja) クリップ自動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