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193A -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 - Google Patents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193A
KR20110065193A KR1020090122070A KR20090122070A KR20110065193A KR 20110065193 A KR20110065193 A KR 20110065193A KR 1020090122070 A KR1020090122070 A KR 1020090122070A KR 20090122070 A KR20090122070 A KR 20090122070A KR 20110065193 A KR20110065193 A KR 20110065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sion
guide
opening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301B1 (ko
Inventor
송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알
Priority to KR102009012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은,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에 위치한 벨로즈를 보호하는 안내관에 있어서, 안내관은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확관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면에 밀착 접촉되어 용접되는 용접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된 연결관의 일단이 안치되고, 외측으로 벌려지는 벌림 동작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연결관의 일단이 확관되는 확관부재; 및 상기 확관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는 다수 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외측으로 벌려지는 벌림부재를 이용하여 2단계의 안내관 확관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므로 확관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용접면부를 파이프부재에 밀착 용접하므로 진동에 잘 견디고, 유체 저항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안내관, 확관부, 용접면부, 벌림부재, 가이드부재, 탄성부, 누름부재

Description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GUIDE PIPE FOR EXPANSION JOINT AND DIAMETER EXTANSION DEVICE}
본 발명은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을 벌림부재로 2단으로 확관하여 파이프부재에 밀착 용접하므로 진동에 잘 견디고, 유체 저항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로우즈형 신축관은 우주항공산업, 반도체 제조, 원자력설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고진공, 신축성, 복원성, 진동흡수가 요구되는 정밀기기 등에 진동 충격에 대한 완충, 흡수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관부재의 일종이다.
벨로즈형 신축관(이하, 신축관이라 함)은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유체에 이물질이나 고형물이 포함되어져 이송될 때 베로즈(BELLOWS)를 보호하기 위하여 파이프부재 내부에 안내관(SLEEVE)을 설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축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신축관의 구성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파이프부재(1)를 구비한다.
파이프부재(1) 사이에는 파이프부재(1)가 팽창되는 경우 신장되거나 수축되게 하는 벨로즈(2)가 구비된다.
벨로즈(2) 내부에는 파이프부재(1)를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이물질이나 고형물에 의하여 벨로즈(2)가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관(4)이 설치된다.
안내관(4)의 끝단부에는 외측으로 1단으로 확관된 확관부(6)가 형성되고, 이 확관부(6)의 끝단 모서리가 파이프부재(1)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종래의 안내관의 확관부는 1단으로 확관되어 끝단부 모서리가 파이프부재의 내주면에 약하게 고정되고, 고형물 또는 이물질의 이송시 부하 또는 진동에 의해 조기 파손되므로 벨로즈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신축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을 2단으로 확관하여 파이프부재에 밀착 용접하므로 진동에 잘 견디 고, 유체 저항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하는 신축관용 안내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외측으로 벌려지는 벌림부재를 이용하여 2단계의 안내관 확관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므로 확관 작업성이 뛰어난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은,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에 위치한 벨로즈를 보호하는 안내관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면에 밀착 접촉되어 용접되는 용접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관부는 2단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용접면부의 외경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경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연결관의 일단이 안치되어 외측으로 벌려지는 벌림 동작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연결관의 일단이 확관되는 확관부재; 및 상기 확관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부재는 상기 동력부재의 축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다수 부분으로 외측으로 벌려지고, 상기 프 레임부재 상에 설치된 벌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림부재의 저면에는 원추형상의 상기 이동부재가 끼워지면서 상기 벌림부재가 외측으로 벌려지는 원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벌림부재의 상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연결관을 끼우도록 다단의 확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부재에는 상기 벌림부재의 벌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 상에 설치되고, 벌림부재를 상부에 안치하는 가이드판체; 상기 벌림부재 상에 설치되어 벌림부재를 가이드판체 사이에서 이동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벌림부재와 상기 가이드판체에 사이에 구비되고, 벌림부재를 가이드하는 엘엠(LM)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부재에는 상기 벌림부재에 탄성력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벌림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안내축; 및 상기 안내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벌림부재를 탄성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림부재의 외부 상측에는 직경이 크면서 서로 다른 다수의 확관턱을 갖는 보조벌림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관부재에 안치된 연결관을 상측에서 눌러주는 누름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상하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 재의 상측에 고정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되고, 축에 고정된 승강판으로 상기 안내관을 눌러주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에는 상기 동력부재의 안정적인 승강을 보조하도록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고, 상기 판부재에서 안내되는 안내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은 신축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관을 2단으로 확관하여 파이프부재에 밀착 용접하므로 진동에 잘 견디고, 유체 저항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는 다수 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외측으로 벌려지는 벌림부재를 이용하여 2단계의 안내관 확관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므로 확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및 이의 확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에서 확관부재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A"부 확대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의 확관부재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의 확관부재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결관이 설치된 신축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10)은 파이프부재(1)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에 위치한 벨로즈(2)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안내관(10)은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확관부(12)가 형성되고, 확관부(12)의 끝단부에는 파이프부재(1)의 내면에 밀착 접촉되어 용접되는 용접면부(14)가 형성된다.
확관부(12)는 2단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확관부(12)는 아래에서 기술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인 확관부재(30)의 벌림부재(38)에 안치되어 확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이외도 다양한 방법으로 안내관(10)의 끝단부를 외측으로 1번 다시 내측으로 1번 모두 2번 절곡하여 안내관(10)의 중심 기준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용 접면부(14)를 형성하도록 한다.
용접면부(14)의 외경은 파이프부재(1)의 내경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끝단부가 파이프부재(1)의 내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부재(1)에 설치되는 확관부(12)의 용접면부(14)는 파이프부재(1)의 내경 면과 거의 근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파이프부재(10)를 거쳐 안내관(10)으로 유체의 이물질과 고형물이 이동하여 안내관(1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용접면부(14)가 파이프부재(10)의 내경 면에 밀착 접촉되어 진동이 방지되므로 안내관(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의 구성은 프레임부재(20), 프레임부재(20)에 설치된 연결관(10)의 일단이 안치되고, 외측으로 벌려지는 벌림 동작에 의해 팽창되어 연결관(10)의 일단이 확관되는 확관부재(30) 및 확관부재(3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부재(20)에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바닥에 지지되는 4개의 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확관부재(30)는 동력부재(32)의 축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36) 및 이동부재(36)의 이동에 의해 다수 부분으로 외측으로 벌려지고, 프레임부재(20) 상에 설치된 벌림부재(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력부재(3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부재(32)는 전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에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부재(34)에 의해 프레임부재(20)에 고정된다.
지지부재(34)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지지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34)는 모두 2개 또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재(36)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벌림부재(38)는 6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짝수 개로 형성되고,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벌림부재(38)의 저면에는 원추형상의 이동부재(36)가 끼워지면서 벌림부재(38)가 외측으로 벌려지는 원추홈부(40)가 형성된다.
벌림부재(38)의 상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연결관(20)을 끼우도록 다단의 확관턱(42)을 구비한다.
확관턱(42)은 2단 이상으로만 형성되면 된다.
확관부재(30)에는 벌림부재(38)의 벌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44)가 더 포함된다.
가이드부재(44)는 프레임부재(20) 상에 설치되고, 벌림부재(38)를 상부에 안치하는 가이드판체(48), 벌림부재(38) 상에 환형으로 설치되어 벌림부재(38)를 가이드판체(48) 사이에서 이동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46) 및 벌림부재(38)와 가이드판체(48)에 사이에 구비되고, 벌림부재(38)를 가이드하는 엘엠가이드(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엘엠가이드(47)는 가이드판체(48)에 형성되는 가이드홈(49)과. 가이드홈(4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벌림부재(38)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홈(49)이 벌림부재(38)의 저면에 형성되고, 가이드돌기(39)가 가이드판체(48)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확관부재(30)에는 벌림부재(38)에 탄성력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50)가 더 포함된다.
탄성부(50)는 벌림부재(38)와 프레임부재(2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안내축(54) 및 안내축(54)의 외측에 설치되고, 벌림부재(38)를 탄성 복귀시키는 스프링(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내축(54)의 일단은 벌림부재(38)의 측면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끼움공에 끼워진다.
그리고, 안내축(54)의 타단은 프레임부재(20)의 일단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공에 끼워진다.
스프링(56)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벌림부재(38)의 외부 상측에는 직경이 큰 다수의 확관턱(62)을 갖는 보조벌림부재(60)가 더 포함된다.
보조벌림부재(60)는 벌림부재(38)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나사 또는 볼트등의 체결부재로 벌림부재(38) 상에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관부재(30)에 안치된 연결관(10)을 상측에서 눌러주는 누름부재(70)가 더 포함된다.
누름부재(70)는 프레임부재(20)에 상하로 연결되는 연결부재(72), 연결부재(72)의 상측에 고정되는 판부재(74) 및 판부재(74)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되고, 축에 고정된 승강판(80)으로 안내관(10)을 눌러주는 동력부재(78)를 포함한다.
연결부재(72)는 원형 또는 다각형 봉으로서, 프레임부재(20)와 판부재(74)의 각 모서리부분에 1개씩 모두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형성되는 갯수와 위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누름부재(70)에는 동력부재(78)의 안정적인 승강을 보조하도록 승강판(80)에 고정되고, 판부재(74)에서 안내되는 안내축부재(82)가 더 구비된다.
동력부재(3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축부재(82)의 부드러운 이동을 도와주기 위해 안내축부재(82)와 판부재(74) 사이에는 판부재(74)에 고정된 슬라이딩 베어링이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확관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안내관(10)을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안내관(10)의 일단을 일치하는 벌림부재(38)의 확관턱(42)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부에 있는 승강 부재(76)의 동력부재(78)의 축을 하측으로 작동하여 승강판(8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연결관(10)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한 다.
연이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동력부재(32)을 작동하여 축에 고정된 확관부재(30)의 원추형상의 이동부재(36)을 상승시키면, 이에 맞는 원추홈부(40)에 진입되면서, 다수의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벌림부재(38)를 외측으로 벌려주게 된다.
그리고, 벌림부재(38)가 가이드판(48) 사이에 형성되는 엘엠가이드(47)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벌림부재(38)의 확관턱(42)에 끼워져 있는 연결관(10)을 벌려주어 2단으로 절곡되고, 용접면부(14)를 갖는 확관부(12)를 형성한다.
즉, 확관턱(42)의 상하 단턱의 길이가 안내관(10)의 용접면부(14)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벌림부재(38)가 벌려진 후, 동력부재(32)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프레임부재(20)와 벌림부재(38)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50)의 스프링(56)에 의해 벌림부재(38)가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안내관(10)을 회전시켜 설치 위치를 변경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작업을 재차 진행하므로 안내관(10)의 확관부(12) 및 용접면부(14)가 가 완전한 원형 상태로 가공되게 한다.
한편, 안내관(10)의 직경이 큰 경우, 보조벌림부재(60)의 확관턱(62)에 안치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축관의 안내관(10)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확관장치를 사용하여 그 이외에도 다양한 관부재를 확관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축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에서 확관부재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A"부 확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의 확관부재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의 확관부재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결관이 설치된 신축관의 구성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내관 12 : 확관부
14 : 용접면부 20 : 프레임부재
30 : 확관부재 32 : 동력부재
36 : 이동부재 38 : 벌림부재
44 : 가이드부재 46 : 고정부재
48 : 가이드판체 50 : 탄성부
60 : 보조벌림부재 70 : 누름부재
72 : 연결부재 74 : 판부재
76 : 승강부재 80 : 승강판

Claims (11)

  1. 파이프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에 위치한 벨로즈를 보호하는 안내관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일단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면에 밀착 접촉되어 용접되는 용접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2단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용접면부의 외경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경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3.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연결관의 일단이 안치되어 외측으로 벌려지는 벌림 동작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연결관의 일단이 확관되는 확관부재; 및
    상기 확관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재는
    상기 동력부재의 축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다수 부분으로 외측으로 벌려지고, 상기 프레임부재 상에 설치된 벌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재의 저면에는 원추형상의 상기 이동부재가 끼워지면서 상기 벌림부재가 외측으로 벌려지는 원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벌림부재의 상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연결관을 끼우도록 다단의 확관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재에는 상기 벌림부재의 벌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 상에 설치되고, 벌림부재를 상부에 안치하는 가이드판체;
    상기 벌림부재 상에 설치되어 벌림부재를 가이드판체 사이에서 이동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벌림부재와 상기 가이드판체에 사이에 구비되고, 벌림부재를 가이드하는 엘엠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재에는 상기 벌림부재에 탄성력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벌림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안내축; 및
    상기 안내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벌림부재를 탄성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재의 외부 상측에는 직경이 크면서 서로 다른 다수의 확관턱을 갖는 보조벌림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재에 안치된 연결관을 상측에서 눌러주는 누름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상하로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에 고정되는 판부재; 및
    상기 판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되고, 축에 고정된 승강판으로 상기 안내관을 눌러주는 동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에는 상기 동력부재의 안정적인 승강을 보조하도록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고, 상기 판부재에서 안내되는 안내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KR1020090122070A 2009-12-09 2009-12-09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KR10117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70A KR101173301B1 (ko) 2009-12-09 2009-12-09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070A KR101173301B1 (ko) 2009-12-09 2009-12-09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93A true KR20110065193A (ko) 2011-06-15
KR101173301B1 KR101173301B1 (ko) 2012-08-13

Family

ID=4439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070A KR101173301B1 (ko) 2009-12-09 2009-12-09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3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93B1 (ko) * 2013-03-26 2014-09-22 주식회사 오비피이엔지 파이프 피팅용 지그
CN105149427A (zh) * 2015-09-25 2015-12-16 北京灵隆科技有限公司 喇叭网的加工成型装置及方法
KR101930754B1 (ko) * 2018-05-02 2019-03-11 알텍 주식회사 자동차 소음기용 체결용 파이프의 확관 및 축관 동시성형 제조방법
KR20190068845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용 확관장치
CN110681767A (zh) * 2019-10-15 2020-01-14 苏州工业园区麦特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内环液压扩张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084B1 (ko) * 2021-12-28 2024-01-09 주식회사 고산테크 튜브 확관 및 슬리브 삽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21B1 (ko) * 2006-11-27 2007-12-14 오세복 벨로우즈의 확관 및 압착 프레싱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93B1 (ko) * 2013-03-26 2014-09-22 주식회사 오비피이엔지 파이프 피팅용 지그
CN105149427A (zh) * 2015-09-25 2015-12-16 北京灵隆科技有限公司 喇叭网的加工成型装置及方法
CN105149427B (zh) * 2015-09-25 2019-10-18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喇叭网的加工成型装置及方法
KR20190068845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용 확관장치
KR101930754B1 (ko) * 2018-05-02 2019-03-11 알텍 주식회사 자동차 소음기용 체결용 파이프의 확관 및 축관 동시성형 제조방법
CN110681767A (zh) * 2019-10-15 2020-01-14 苏州工业园区麦特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内环液压扩张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301B1 (ko) 201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301B1 (ko) 신축관용 안내관 확관장치
KR101562902B1 (ko) 신축 이음관 조립체
CN201423577Y (zh) 涨套夹具
CN101569974B (zh) 一种快速调整其锁紧装置的法兰定位器
CN104626055B (zh) 气门杆油封的拆卸装置
KR101543367B1 (ko) 삽입 고정식 파이프 연결장치
CN210566738U (zh) 一种金属波纹管
CN205587885U (zh) 一种阶段性简易夹紧夹具
CN209943687U (zh) 一种室内管线的固定装置
JP6526447B2 (ja) 弁体撤去装置
CN204202827U (zh) 铜冷却壁用波纹管膨胀节的气密性检验装置
JP6383062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350680A (zh) 可调节定位的法兰弯管焊接夹具
KR20220130965A (ko) 파이프 고정장치
CN104089124A (zh) 一种分集水器以及快速连接结构
CN205201146U (zh) 薄壁筒件外圆加工用夹具
CN209288125U (zh) 一种空调铜管扩张机的夹持装置
CN204201358U (zh) 一种真空绝热管用波纹管补偿器
CN203680304U (zh) 一种夹钳
CN208074276U (zh) 一种石油管道支撑座的固定装置
KR101431960B1 (ko) 피팅 파이프 직경 포밍용 지그
CN211053073U (zh) 一种带防卡箍漏装的排水管总成安装工作台
CN211136143U (zh) 一种管道内部焊接装置
CN211646594U (zh) 一种下水器
MX353262B (es) Dispositivo tapona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