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200A -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 Google Patents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200A
KR20220139200A KR1020210071757A KR20210071757A KR20220139200A KR 20220139200 A KR20220139200 A KR 20220139200A KR 1020210071757 A KR1020210071757 A KR 1020210071757A KR 20210071757 A KR20210071757 A KR 20210071757A KR 20220139200 A KR20220139200 A KR 2022013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ipe
seating
seat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665B1 (ko
Inventor
최모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원테크
최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원테크, 최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원테크
Publication of KR2022013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와, 작업대에 장착되며, 제1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부와, 제1 안착부의 외측 전방에 구비되며, 제2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부와,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 및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할 수 있어 배관 간의 용접 부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WORK JIG FOR ATTACHING PIPES}
본 발명은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재 간을 얼라인 핏업(fit up)하여 배관재 간의 피용접 단부를 취부 용접(tack welding)할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의 배관을 길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배관을 용접으로 이어붙이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데, 이와 같이 두개의 배관을 용접하는 경우에, 두개의 배관 간의 단차 및 간격을 맞추는 정렬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배관의 용접 작업은 용접부에 대한 핏업(fit-up)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핏업 공정은 용접부를 형성하게 될 배관의 피용접 단부를 서로 일치시켜 가접하여 배관의 피용접 단부를 서로 고정시키는 공정으로서 지그(jig)를 필요로 한다.
즉, 핏업 공정은 두개의 배관의 피용접 단부에 의해 설정되는 갭을 조절하고, 피용접 단부의 단차를 제거하여 피용접 단부를 일치시켜야 한다.
한편, 두개의 배관 간의 단차 및 간격을 맞추는 정렬 작업을 위해 용접 방식으로 접합되는 두개의 배관 사이에 구비되어 용접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접합 위치가 고정되도록 잡아주면서, 두개의 배관의 얼라인먼트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배관 용접용 지그가 종래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배관 용접용 지그는, 지그 자체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배관의 무게 또한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 두개의 배관을 정렬시키는 작업을 하기가 어렵고, 마무리 용접 작업을 다시 해야함으로써 한번에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3290호(2021년 02월 04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배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여 배관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배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여 배관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배관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하여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일치시킬 수 있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로서,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며, 제1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외측 전방에 구비되며, 제2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 및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안착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안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제1 안착블럭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고정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어 제1 안착블럭에 안착된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안착블럭의 전단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된 제2 안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안착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의 하측에 결합되어 이동블럭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레일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1 레일블럭을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레일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승강블럭 및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에 결합되어 승강블럭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레일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 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레일블럭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승강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블럭이 상기 제2 레일블럭을 따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을 자중(自重)으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중공의 연장봉을 구비한 회전대, 상기 회전대의 연장봉 내측에 일단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시 삽입봉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제2 몸체를 구비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와, 수직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배관을 가압하는 가압블럭을 구비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의 수직대는,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는, 상기 수직봉의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수직봉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이 상기 이동홀을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봉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봉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연장봉에 형성된 제1 체결홀과 상기 삽입봉에 형성된 제2 체결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봉에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삽입봉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삽입봉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할 수 있어 배관 간의 용접 부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배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할 수 있어 배관 간의 용접 부위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하여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는, 작업대(100), 제1 안착부(200), 제2 안착부(300), 좌우 위치 조정 수단(400) 및 상하 위치 조정 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대(100)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상형의 상판(110)과, 상판(110)의 하측에서 상판(110)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120)로 구성된다.
제1 안착부(200)는, 작업대(100)에 장착되어 제1 배관(P1)이 수평하게 안착되게 하는 것으로, 고정플레이트(210)와 제1 안착블럭(220)으로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210)는,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판(110)의 상면 일측 테두리에 수평한 상태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210)의 상면에는, 고정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11)이 길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고정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안착된 제1 안착블럭(220)이 가이드홈(211)을 따라 고정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어 제1 안착블럭(220)에 안착된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후술하는 제2 안착부(300)에 안착된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 배관(P1)이 수평하게 안착된 제1 안착블럭(220)을 제2 배관(P2)이 수평하게 안착된 제2 안착부(300)를 향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을 조정하여 갭을 일치시킴으로써,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안착블럭(220)은, 고정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1 안착블럭(220)의 하면에는, 고정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가이드홈(211)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221)가 제1 안착블럭(2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안착블럭(220)의 상면에는 제1 배관(P1)이 안착되는 안착홈(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홈(222)은 종단면이 반구형, 타원 반구형 또는 'V'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1 배관(P1)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블럭(220)의 상면에 제1 배관(P1)의 하부를 감싸는 안착홈(222)이 형성됨으로써 제1 배관(P1)이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제2 안착부(300)는, 제2 배관(P2)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으로, 제1 안착부(200)의 외측 전방, 즉 제1 안착블럭(220)의 전단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안착블럭(320)의 상면에는 제2 배관(P2)이 안착되는 안착홈(3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홈(322)은 종단면이 반구형, 타원 반구형 또는 'V'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2 배관(P2)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의 상면에 제2 배관(P2)의 하부를 감싸는 안착홈(322)이 형성됨으로써 제2 배관(P2)이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좌우 위치 조정 수단(400)은, 제1 안착블럭(220)에 안착된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안착블럭(320)에 안착된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블럭(32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부연하면, 좌우 위치 조정 수단(400)은, 이동블럭(410)과 제1 레일블럭(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블럭(410)은, 작업대(100)의 상판(110)과 평행한 상태로 작업대(100)의 외측에 마련되며, 이동블럭(410)의 상면에 제2 안착블럭(320)이 고정 설치된다.
제1 레일블럭(420)은, 이동블럭(410)의 하측에 결합되는데, 이동블럭(41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동블럭(410)의 하면 중앙에는, 제1 레일블럭(420)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블럭(410)에 형성된 레일홈(411)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4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레일블럭(420)의 상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이동블럭(410)에 형성된 걸림단턱(411a)이 걸리는 걸림돌부(421)가 형성되어 제1 레일블럭(420)에서의 이동블럭(4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레일블럭(420)의 일측 단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422)과, 지지편(422)에 형성된 관통홀을 수평으로 통과하여 관통홀에 나선결합되는 고정볼트(4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편(422)에 나선결합된 고정볼트(423)의 끝단부는 이동블럭(4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423)와 이동블럭(410) 간은 베어링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블럭(410)의 외측면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이 베어링의 내륜에 고정볼트(423)의 끝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볼트(423)가 일방향 회전되면, 이동블럭(410)이 제1 레일블럭(420)을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고정볼트(423)가 역방향 회전되면, 이동블럭(410)이 제1 레일블럭(420)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블럭(4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제2 배관(P2)이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안착블럭(32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가 보정/제거되어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하 위치 조정 수단(500)은,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30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부연하면, 상하 위치 조정 수단(500)은, 승강블럭(510)과 제2 레일블럭(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블럭(510)은, 제1 레일블럭(420)에 직교한 상태로 제1 레일블럭(420)의 하측에 마련되며, 승강블럭(510)의 상면에 제1 레일블럭(420)이 고정 설치된다.
제2 레일블럭(520)은, 작업대(100)의 지지 다리(120) 외측면에 수직한 상태로 장착되며, 승강블럭(510)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블럭(510)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승강블럭(510)의 외측면 중앙에는, 제2 레일블럭(520)의 외측 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5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블럭(510)에 형성된 레일홈(511)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5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레일블럭(520)의 외측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승강블럭(510)에 형성된 걸림단턱(511a)이 걸리는 걸림돌부(521)가 형성되어 제2 레일블럭(520)에서의 승강블럭(5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레일블럭(520)의 하측 단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522)과, 지지편(522)에 형성된 관통홀을 수직으로 통과하여 관통홀에 나선결합돠는 고정볼트(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편(522)에 나선결합된 고정볼트(523)의 끝단부는 승강블럭(5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볼트(523)와 승강블럭(510) 간은 베어링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블럭(510)의 외측면에 베어링이 장착되고, 이 베어링의 내륜에 고정볼트(523)의 끝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볼트(523)가 일방향 회전되면, 승강블럭(510)이 제2 레일블럭(520)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고, 반대로 고정볼트(523)가 역방향 회전되면, 승강블럭(510)이 제2 레일블럭(520)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하강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블럭(51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제2 배관(P2)이 안착되는 제2 안착블럭(320) 또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승강되어 제2 안착블럭(32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 배관(P1)의 피용접 단부와 제2 배관(P2)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가 보정/제거되어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 간의 용접 부위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설치되어 용접 작업시 제1 배관(P1)이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제1 안착블럭(220)에 안착된 제1 배관(P1)을 자중(自重)으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 수단(600)은, 수직봉(610), 회전대(620), 연결대(630) 및 가압부재(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봉(610)은,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수직하게 장착된다.
회전대(620)는, 수직봉(610)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봉(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1 몸체(621)와, 제1 몸체(621)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중공의 연장봉(622)으로 구성된다.
연결대(630)는, 회전대(620)의 연장봉(622) 내측에 일단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봉(631)과, 삽입봉(63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제2 몸체(6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장봉(622)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622a)이 형성되고, 삽입봉(631)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622a)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631a)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봉(622)에 형성된 제1 체결홀(622a)과 삽입봉(631)에 형성된 제2 체결홀(631a)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봉(622)에 삽입봉(631)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연장봉(622)의 내측에 삽입된 삽입봉(631)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삽입봉(631)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가압부재(640)는, 연결대(630)의 제2 몸체(632)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대(641)와, 수직대(64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직대(641)의 지름 보다 더 넓은 헤드부(642)와, 수직대(64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배관(P1)을 가압하는 가압블럭(643)으로 구성된다. 이때, 헤드부(642)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고, 체결공구가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다각의 렌치부가 헤드부(64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640)의 수직대(641)는, 연결대(630)의 제2 몸체(63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블럭(643)의 하면에는, 제1 배관(P1)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가압홈(643a)이 형성된다.
한편, 작업대(100)의 상판(110)에는, 가압수단(600)의 수직봉(610)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수직봉(610)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홀(1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봉(610)이 이동홀(111)을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직봉(610)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수직봉(610)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안착되는 지지판(6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작업대 110: 상판
111: 이동홀 120: 지지 다리
200: 제1 안착부 210: 고정플레이트
211: 가이드홈 220: 제1 안착블럭
221: 가이드돌부 222, 322: 안착홈
300: 제2 안착부 320: 제2 안착블럭
400: 좌우 위치 조정 수단 410: 이동블럭
411, 511: 레일홈 411a, 511a: 걸림단턱
420: 제1 레일블럭 421, 521: 걸림돌부
422, 522: 지지편 423, 523: 고정볼트
500: 상하 위치 조정 수단 510: 승강블럭
520: 제2 레일블럭 600: 가압수단
610: 수직봉 611: 지지판
620: 회전대 621: 제1 몸체
622: 연장봉 622a: 제1 체결홀
630: 연결대 631: 삽입봉
631a: 제2 체결홀 632: 제2 몸체
640: 가압부재 641: 수직대
642: 헤드부 643: 가압블럭
643a: 가압홈 P1: 제1 배관
P2: 제2 배관

Claims (15)

  1.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며, 제1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외측 전방에 구비되며, 제2 배관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제2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좌우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제2 안착부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 위치 조정 수단; 및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상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안착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상하 위치 조정 수단;
    을 포함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안착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제1 안착블럭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고정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어 제1 안착블럭에 안착된 상기 제1 배관의 피용접 단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배관의 피용접 단부 간의 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안착블럭의 전단과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배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된 제2 안착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안착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의 하측에 결합되어 이동블럭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레일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상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블럭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이동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1 레일블럭을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레일블럭이 상면에 고정 설치된 승강블럭; 및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에 결합되어 승강블럭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레일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럭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 단부가 수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개구부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블럭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레일블럭의 외측면 양측 테두리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걸림단턱이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일블럭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승강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블럭이 상기 제2 레일블럭을 따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제1 배관을 자중(自重)으로 하향 가압하는 가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을 감싸는 형태로 수직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연장된 중공의 연장봉을 구비한 회전대;
    상기 회전대의 연장봉 내측에 일단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시 삽입봉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제2 몸체를 구비한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와, 수직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배관을 가압하는 가압블럭을 구비한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수직대는, 상기 연결대의 제2 몸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배관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는 가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는, 상기 수직봉의 하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수직봉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이 상기 이동홀을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봉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의 상판에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의 외측면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연장봉에 형성된 제1 체결홀과 상기 삽입봉에 형성된 제2 체결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봉에 삽입봉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삽입봉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삽입봉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KR1020210071757A 2021-04-07 2021-06-02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KR102525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978 2021-04-07
KR20210044978 2021-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200A true KR20220139200A (ko) 2022-10-14
KR102525665B1 KR102525665B1 (ko) 2023-04-26

Family

ID=8359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57A KR102525665B1 (ko) 2021-04-07 2021-06-02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6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305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아암 용접용 지그
KR20030058889A (ko) * 2002-01-02 2003-07-07 정중근 배관의 자동 용접장치
KR100826610B1 (ko) * 2007-07-27 2008-04-30 (주)범한정수 용접 자동 롤러
KR20110098357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화신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2690U (ko) * 2012-10-30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용접기 토치거치대
KR101470451B1 (ko) * 2014-03-07 2014-12-08 (주)녹원 파이프 용접 장치
WO2017078232A1 (ko) * 2015-11-05 2017-05-11 (주)성광 파이프 용접용 고정장치
KR102213290B1 (ko) 2020-10-25 2021-02-04 홍중철 배관 용접용 지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305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아암 용접용 지그
KR20030058889A (ko) * 2002-01-02 2003-07-07 정중근 배관의 자동 용접장치
KR100826610B1 (ko) * 2007-07-27 2008-04-30 (주)범한정수 용접 자동 롤러
KR20110098357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화신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2690U (ko) * 2012-10-30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용접기 토치거치대
KR101470451B1 (ko) * 2014-03-07 2014-12-08 (주)녹원 파이프 용접 장치
WO2017078232A1 (ko) * 2015-11-05 2017-05-11 (주)성광 파이프 용접용 고정장치
KR102213290B1 (ko) 2020-10-25 2021-02-04 홍중철 배관 용접용 지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665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9330A1 (en) Self-adjusting pocket hole jig
CN201058397Y (zh) 焊接或木材加工工作台
KR101542952B1 (ko) 형강 가공 드릴용 고정 지그
JP4384640B2 (ja) H型鉄骨の下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方法。
CN101466506A (zh) 机架
CN107335963B (zh) 输变电钢管杆横担纵缝焊接变位工装
CN113560762B (zh) 一种不锈钢供水管道无缝对接方法
US9393656B1 (en) Riser for use with a gripping device
US20050218275A1 (en) Stand
CN111421286B (zh) 一种钢管杆横担焊接工装
CN109175846A (zh) 一种焊接工作台
KR20220139200A (ko) 배관재 취부용 작업 지그
KR20140145405A (ko) 수평기가 구비된 파이프 정렬 보조장치
CN109352238A (zh) 快速调节式工字钢焊接工装
CN106984930B (zh) 一种弯头管段对口胎具
CN206153817U (zh) 一种用于机器人焊接矩形阀门的夹具
KR200447311Y1 (ko)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KR100609019B1 (ko)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KR20120133939A (ko) 포터블 보링 머신
TWI625189B (zh) Electrode quick calibration fixture for spot welder
KR102520063B1 (ko) 형강 가공 드릴용 고정 지그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KR101343723B1 (ko) 용접시험편 물림용 지그
JP2003117905A (ja) 木材の穴加工機
KR101804261B1 (ko) 공구 작업용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