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050A - 디스케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케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050A
KR20110098050A KR1020100017471A KR20100017471A KR20110098050A KR 20110098050 A KR20110098050 A KR 20110098050A KR 1020100017471 A KR1020100017471 A KR 1020100017471A KR 20100017471 A KR20100017471 A KR 20100017471A KR 20110098050 A KR20110098050 A KR 20110098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eed roller
descaler
present
desc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실
황진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8050A/ko
Publication of KR2011009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2Clean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케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를 향해 제1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링부와, 소재에 잔존하는 제1유체가 이송롤러에 낙하되지 않도록 소재에 잔존하는 제1유체를 향해 제2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케일링 작업 시 제1유체가 이송롤러에 낙하되어 수증기로 상변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수증기에 의한 비접촉식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케일러 장치{DESCALER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케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케일링 작업 시 수증기에 의한 비접촉식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케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는 제철소의 열연공장 등에서 반제품인 슬라브(Slab) 등을 가스,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대략 1200∼1300℃의 적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슬라브 등의 소재를 판재 등의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열간압연 공정의 전 공정에 배치된다.
가열로 내에서 소재가 가열되는 동안에는 가열로 내부의 산소 농도를 조절함에 의해 소재의 표면에 산화스케일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소재가 가열로 외측으로 추출된 후 대기 중의 산소와의 결합에 의해 소재의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스케일은 조압연기의 전후에 위치한 디스케일러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디스케일링 작업 시 수증기에 의한 비접촉식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케일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는: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를 향해 제1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링부; 상기 소재에 잔존하는 제1유체가 상기 이송롤러에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소재에 잔존하는 제1유체를 향해 제2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유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제1유체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편에는 상기 유체분사부가 배치되고, 맞은편에는 상기 수거부가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분사부는 상기 소재의 이송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유체를 분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거부는 수거된 제1유체를 외부 저장원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에 의하면, 디스케일링 작업 시 제1유체가 이송롤러에 낙하되어 수증기로 상변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에 의하면, 디스케일링 작업 시 수증기에 의한 비접촉식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에 의하면, 디스케일링 작업 시 수증기에 의한 설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설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에 의하면, 디스케일링 작업 시 현장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는 디스케일링부(10), 유체분사부(20) 및 수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케일링부(10)는 이송롤러(R)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소재(1)에 고압의 제1유체를 분사하여 소재(1)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유체는 물로 예시된다.
디스케일링부(10)는 소재(1)의 이송경로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디스케일링부(10)가 이송롤러(R)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디스케일링부(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노즐(미도시)은 각각이 소재(1)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제1유체는 소재(1)의 전(全)표면에 동일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소재(1)의 전표면에서 스케일의 제거가 고르게 이루어진다.
유체분사부(20)는 고압의 제2유체를 소재(1)를 향해 분사하여 소재(1) 상에 잔존하는 제1유체가 이송롤러(R)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디스케일링부(10)에서 분사된 제1유체는 소재(1)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데, 스케일을 제거하면서 고온의 소재(1)와 접촉하는 제1유체는 일부는 수증기로 증발하고 나머지는 고온의 물이 되어 소재(1) 상에 잔존한다.
이렇게 소재(1) 상에 잔존하는 제1유체를 향해 제2유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면 제1유체는 제2유체에 의해 제2유체 분사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분사부(20)가 이송롤러(R)의 우측편에 배치되므로, 유체분사부(20)에서 분사되는 제2유체에 의해 제1유체는 이송롤러(R)의 좌측편으로 향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때, 제1유체는 고압으로 분사되는 제2유체에 의해 이동되므로, 이송롤러(R)에 낙하되지 않고 이송롤러(R)의 좌측단부를 건너뛰어 이송롤러(R)의 외측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고온의 물 상태인 제1유체는 유체분사부(20)에 의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이송롤러(R)나 하부프레임(미도시)에 낙하되지 않므로, 제1유체가 이송롤러(R) 또는 하부프레임과 접촉되어 수증기로 상변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유체는 공기로 예시되며, 이러한 제2유체는 외부의 공기 공급원과 연통되는 공급관(21)을 통해 유체분사부(20)에 공급된다.
유체분사부(20)는 소재(1)의 이송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유체를 분사한다. 즉, 유체분사부(20)는 이송롤러(R)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제2유체를 분사하므로, 제2유체에 의해 이동되는 제1유체의 도약요구거리(제1유체가 이송롤러(R) 등에 낙하되지 않기 위해 도약해야 하는 거리)는 평행하지 않게 분사될 때보다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유체의 도약요구거리 감소에 의해 유체분사부(20)의 분사압력 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장치 운영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수거부(30)는 제2유체에 의해 안내되는 제1유체를 수거한다. 수거부(30)는 이송롤러(R)의 좌측편에 배치되어 유체분사부(20)에서 분사되는 제2유체에 의해 이송롤러(R)의 좌측편으로 이동되는 제1유체를 수거한다.
제1유체는 유체분사부(20)에 의해 도약요구거리 이상을 도약하여 이송롤러(R)의 좌측단부를 건너뛰어 이송롤러(R)의 외측으로 낙하되며, 수거부(30)는 이송롤러(R)의 좌측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낙하되는 제1유체를 수거한다.
수거부(30)는 내부가 빈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체분사부(20)를 향해 개방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개방홀부를 통해 제1유체는 수거부(30) 내로 유입된다.
수거부(30)는 하단부에 배출관(31)이 구비되어 수거된 제1유체를 외부 저장원(미도시)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제1유체는 수거 즉시 배출관(31)을 통해 외부 저장원으로 배출되므로 제1유체의 수거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수거부(30)의 개방홀부 측으로 넘치지 않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 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케일링부(10)는 소재(1)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이송롤러(R)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1)를 향해 고압의 제1유체를 분사한다. 제1유체에 의해 소재(1) 표면의 스케일은 제거되며, 분사된 제1유체 중 일부는 고온의 소재(1)에 의해 가열되어 수증기로 상변환되고, 나머지는 고온의 물이 되어 소재(1) 상에 잔존하게 된다.
유체분사부(20)는 디스케일링부(1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면서 작동된다. 유체분사부(20)는 소재(1) 상에 잔존하는 제1유체를 향해 제2유체를 분사한다. 제2유체가 고압으로 분사되므로 제1유체는 제2유체에 의해 이송롤러(R)를 건너뛰어 이송롤러(R)의 외측으로 낙하된다. 제1유체의 낙하가 예상되는 지점에는 수거부(30)가 배치되어 제1유체를 수거하여 제1유체에 의한 주변 설비의 오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디스케일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케일러 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의 유체분사부 및/또는 수거부의 기술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소재 10 : 디스케일링부
20 : 유체분사부 30 : 수거부

Claims (5)

  1. 소재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재를 향해 제1유체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링부;
    상기 소재에 잔존하는 제1유체가 상기 이송롤러에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소재에 잔존하는 제1유체를 향해 제2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유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제1유체를 수거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일측편에는 상기 유체분사부가 배치되고, 맞은편에는 상기 수거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부는 상기 소재의 이송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유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수거된 제1유체를 외부 저장원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 장치.
KR1020100017471A 2010-02-26 2010-02-26 디스케일러 장치 KR20110098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471A KR20110098050A (ko) 2010-02-26 2010-02-26 디스케일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471A KR20110098050A (ko) 2010-02-26 2010-02-26 디스케일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050A true KR20110098050A (ko) 2011-09-01

Family

ID=4495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471A KR20110098050A (ko) 2010-02-26 2010-02-26 디스케일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80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36B1 (ko) * 2014-07-25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7052062A (zh) * 2017-04-19 2017-08-18 钢诺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锻轧钢球输送球道
KR102391063B1 (ko) * 2020-12-14 2022-04-28 주식회사 포스코 비산수 처리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20086355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유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436B1 (ko) * 2014-07-25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07052062A (zh) * 2017-04-19 2017-08-18 钢诺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锻轧钢球输送球道
CN107052062B (zh) * 2017-04-19 2019-03-15 钢诺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锻轧钢球输送球道
KR102391063B1 (ko) * 2020-12-14 2022-04-28 주식회사 포스코 비산수 처리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20086355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유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0196B (zh) 運送式基板處理裝置中的節水型清洗系統
KR20110098050A (ko) 디스케일러 장치
CN101633111A (zh) 钢带表面处理方法及其装置
KR20120139927A (ko) 파레트 살균 소독 장치
CN103909102A (zh) 一种金属板带射流清洗的工艺布置及控制方法
CN101214924A (zh) 三塔废酸再生系统及工艺
WO2008023563A1 (fr) installation de nettoyage de barre de mandrin
CN103691691A (zh) 输液制剂用中栓全自动水洗干燥机
US953430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ost-treating a metal strip
KR101162267B1 (ko) 컨베이어벨트 세척장치
KR20110047057A (ko) 이송벨트 세척장치
KR20150115608A (ko) 강판의 l-co2 스노우젯 세정시스템
CN202509137U (zh) 消除带钢酸槽停车斑的装置
CN104668217B (zh) 基板处理装置
KR101631034B1 (ko) 강판 표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제조방법
CN211803119U (zh) 一种轨道型钢的去氧化皮装置
KR100644729B1 (ko) 기판처리장치
JP4491370B2 (ja) 容器洗浄装置
JP2007317802A (ja) 基板の乾燥処理装置及び乾燥処理方法
CN107227575A (zh) 一种特殊改进结构的纺织面料清洗机
CN103658481B (zh) 一种去除热锻件表面氧化层的方法及其装置
KR101284680B1 (ko) 기판 스팀세정장치
KR101412843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방법
JP6047359B2 (ja) 基板洗浄装置
CN102274865A (zh) 冷拔无缝钢管内外表面高压水射流冷态的除鳞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