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989A -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989A
KR20110091989A KR1020100011379A KR20100011379A KR20110091989A KR 20110091989 A KR20110091989 A KR 20110091989A KR 1020100011379 A KR1020100011379 A KR 1020100011379A KR 20100011379 A KR20100011379 A KR 20100011379A KR 20110091989 A KR20110091989 A KR 2011009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etection
space
smok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962B1 (ko
Inventor
김은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Priority to KR102010001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9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공간의 천정 등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들에 인증 번호를 부여하여 화재가 발생된 지역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수신하는 흡입 라인 및 상기 흡입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된 공기를 통하여 상기 공간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감지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기 감지기에는 인증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SENSING A FIRE AND INCLUDING A SMOKE SENSOR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본 발명은 특정 공간의 천정 등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들에 인증 번호를 부여하여 화재가 발생된 지역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기 전에 연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완벽한 화재 방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화재 감지 전에 연기를 먼저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연기 감지기들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연기 감지기는 하나의 룸, 화물칸 등만을 관리하기 때문에 건물 전체를 관리하기에 비효율적이었다. 특히, 초고층 빌딩인 경우에는 연기 감지기들을 설치 및 관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하나의 연기 감지기가 여러 룸들을 관리하더라도 어느 룸에서 연기가 감지되었는 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가 감지된 공간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건물 전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수용하는 흡입 라인; 및 상기 흡입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된 공기를 통하여 상기 공간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감지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기 감지기에는 인증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공간에 설치된 흡입 라인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화재 감지 장치는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전달된 공기를 통하여 상기 공간의 청정도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청정도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라인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며 상기 흡입 라인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는 상기 흡입 라인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연기 감지기의 인증 번호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감지 결과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와 상기 인증 번호를 화재 감지 장치 또는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은 청정도 모드에 따라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특정 공간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의 청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분석한 결과 상기 공간 내에 연기가 존재한다고 감지하면 상기 청정도 모드를 화재 모드로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재 모드에 따라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정 공간에 설치된 흡입 라인들 및 상기 흡입 라인들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들을 가지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연기 감지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흡입 라인을 통하여 흡수된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기 감지기는 상기 검출 결과를 그의 인증 번호와 함께 기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소화 방법은 특정 공간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및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공간 내로 소화 가스를 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화 가스가 상기 공간으로 투입됨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공기의 구성 비율이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포함된 연기 감지기들은 건물 등의 천정에 설치된 흡입 라인을 따라서 건물 곳곳에 배열되며, 그 결과 사람들의 시야에 잘 보이지 않으면서도 건물 곳곳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배열 구조는 초고층 건물과 같이 넓은 영역의 화재 감시를 하고자 하는 경우 더 유리하다.
또한, 상기 연기 감지기들이 각기 구별되는 인증 번호를 가지고 있어서 감지 결과 전송시 어느 연기 감지기에서 전송된 감지 결과인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중앙 서버 또는 화재 감지 장치는 연기 감지시 또는 화재 감지시 감지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연기가 감지되기 전에는 특정 공간의 청정도를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반도체 제조 공장 등과 같이 청정도 검출 및 화재 감지 모두 중요한 장소에 상당히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청정도와 화재 감지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하므로, 전체 비용 또한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의 화재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의 화재 감지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의 화재 감지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흡입 라인(102), 하나 이상의 홀 부재(110), 화재 감지 장치(104) 및 중앙 서버(106)를 포함한다.
흡입 라인들(102)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100)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간(100)의 천장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간(100)은 건물의 일 룸일 수도 있고 복수의 룸들일 수도 있으며, 공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라인(102)은 파이프이며, 공간(100) 내의 공기가 흡입 라인(102)으로 흡입되도록 흡입 라인(102)의 곳곳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부재들(110)이 흡입 라인(102)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고, 공간(100) 내의 공기가 흡입 라인(102)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홀 부재들(110)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흡입 라인들(102)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장치(104)로 수용된다. 여기서, 화재 감지 장치(104)가 흡입 펌프 등을 이용하여 흡입 라인들(102) 내의 공기를 흡입하므로, 공간(100) 내의 공기가 흡입 라인들(102)을 통하여 화재 감지 장치(104)로 전달된다.
특히, 흡입 라인(102)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기 감지기는 흡입 라인(102)으로 흡수되는 공기를 분석하여 공간(100)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연기 감지기로는 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저항이 변화되는 저항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고감도를 고려하여 레이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연기 감지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상기 연기 감지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200), 수광부(202), 산란광부(204) 및 제어부(2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기 감지기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부재(110) 상측에 배열될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부재(110)의 내측에 배열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연기 감지기 중 일부, 예를 들어 발광부(200), 수광부(202) 및 산란광부(204)는 홀 부재(110)의 내측에 배열되고 제어부(206)는 홀 부재(110)의 상측에 배열될 수도 있다.
발광부(200)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출력시키며,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광부(202)는 발광부(200)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발광부(200) 및 수광부(20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부재(110)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여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가 홀 부재(110)를 통하여 흡입 라인(102)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충돌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레이저가 상기 공기에 충돌하여 산란하게 된다. 이렇게 산란된 광은 산란광부(204)에 의해 검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200) 및 수광부(20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부재(110) 내측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와 충돌하는 물질이 연기가 아닌 일반적인 공기인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가 상기 공기에 충돌하더라도 산란광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나, 연기인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가 상기 연기에 충돌하면 상당한 양의 산란광이 발생된다. 즉, 산란광부(206)에 의해 감지되는 산란광의 양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흡입 라인(102)으로 흡수되는 물질이 연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6)는 산란광부(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산란광부(204)에 의해 검출된 산란광을 분석하여 공간(100)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제어부(206)는 연기 발생 정도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기 감지부는 별도의 주소 또는 ID 등과 같은 식별 번호를 가진다. 이하, 상기 주소 또는 상기 식별 번호를 인증 번호로 통칭하겠다.
이러한 인증 번호는 제어부(206)에 의해 관리되며, 제어부(2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인증 번호를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화재 감지 장치(104) 또는 중앙 서버(106)로 전송한다.
이하,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화재 감지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겠다.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라인들(102)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라인들(102)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장치(104)로 수용된다. 이 경우,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라인들(102)을 차례로 개폐시키며, 흡입 펌프 등과 같은 흡입부를 이용하여 개방된 흡입 라인(102) 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라인들(102b 및 102c)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흡입 라인(102a)을 개방시킨 후 흡입 펌프 등을 이용하여 흡입 라인(102a)의 공기를 흡수한다. 결과적으로, 흡입 라인(102a)이 배열된 공간의 공기가 흡입 라인(102a)을 통하여 화재 감지 장치(104)로 전달된다. 이어서,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라인들(102a 및 102c)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흡입 라인(102b)을 개방시킨 후 상기 흡입 펌프를 이용하여 흡입 라인(102b)의 공기를 흡수한다. 즉, 화재 감지 장치(104)는 다른 흡입 라인들을 폐쇄시킨 후 하나의 흡입 라인만을 개방시키는 동작을 각 흡입 라인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라인들(102)의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라인들(102)을 통하여 전달된 공기를 분석하여 연기 감지 여부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106)는 상기 연기 감지기들 및/또는 화재 감지 장치(104)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연기 감지기들은 감지 결과를 그의 인증 번호와 함께 중앙 서버(106)로 전송하며, 화재 감지 장치(104)는 화재 판단 결과를 중앙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앙 서버(106)는 연기 발생 여부 및 화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화 시스템을 즉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100)의 천정, 바닥, 벽면 중 적어도 하나에 파이프 라인들이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라인들을 통하여 소화 가스가 분출되도록 하여 공간(100) 내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되기 전의 공간(100) 내의 공기가 21%의 산소, 70%의 질소 및 9%의 기타 성분들로 이루어진다면, 소화 가스를 분출함에 의해 공간(100) 내의 공기가 12%의 산소, 79%의 질소 및 9%의 기타 성분들로 대체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소화 시스템은 질소를 분출하면서 공간(100) 내에 존재하는 산소를 공간(100)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는, 공간(100)의 천정 등에 흡입 라인들(102)을 설치하고, 흡입 라인들(102)의 곳곳에 홀들 및 연기 감지기들을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는 흡입 라인(102)으로 흡수되는 공기를 통하여 연기 발생 여부(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연결된 중앙 서버(106)로 판단 결과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연기 감지기가 그의 인증 번호도 함께 중앙 서버(106)로 전송하므로, 관리자는 건물 곳곳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판단 결과들을 통하여 건물 전체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리자가 어느 연기 감지기가 연기를 감지하였는 지를 즉시 알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 지역을 즉각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어서 화재 발생을 방지하거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기 감지기들은 화재 발생을 1차적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라인들(102)을 수용하고 흡입 펌프를 이용하여 공간(100) 내의 공기가 흡입 라인들(102)로 흡수되도록 제어한다. 즉, 화재 감지 장치(104)는 흡입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화재 감지 장치(104)는 상기 흡입 수단으로뿐만 아니라 흡입 라인들(102)을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를 분석하여 연기 발생 여부(화재 발생 여부)도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화재 감지 장치(104)는 화재 발생을 2차적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연기 감지기들 및 화재 감지 장치(104)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2중으로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공간(100)의 화재를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초고층 건물과 같이 많은 룸들이 있는 경우에도 연기 감지기들을 곳곳에 설치하기만 하면 중앙에서 전체적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상기 관리자가 화재 감지 시스템을 관리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서버(106)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 발생 장소를 디스플레이시켜주므로, 상기 관리자는 화재가 발생된 장소를 정확히 알 수 있어서 상당히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화재 감지 장치(104)는 연기가 감지되기 전까지는 흡입 라인들(102)을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를 분석하여 공간(100)의 청정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감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연기 감지기들만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기 감지기들 인근에, 바람직하게는 흡입 라인(102)의 내측면 중 홀 부재(110)와 대향하는 면에 별도의 흡입 펌프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기 감지기는 흡입 라인들(102)의 홀들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레이저 방식 등으로 분석하여 연기 발생 여부(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한 후 감지 결과를 그의 인증 번호와 함께 중앙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비용, 설치 과정 및 청정도 검사를 고려할 때 화재 감지 장치(104)가 별도로 존재하고 화재 감지 장치(104) 내의 흡입 펌프 등을 이용하여 공간(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의 화재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서버(106)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하여 연기 감지기들의 제어부들(206)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들(206)은 중계 장치를 거쳐서 중앙 서버(106)로 감지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 서버(106)는 상기 수신된 감지 결과들을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방서(300a) 등과 같은 방재 기관, 관리자의 휴대폰(300b) 등으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고 경보기(300c)를 제어하여 화재 발생 사이렌을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서버(106)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건물 곳곳의 상태 및 화재 발생 여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06)는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소화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장치(104)는 발광부(400), 수광부(402), 산란광부(404), 화재 판단부(406), 집광부(408) 및 흡입부(410)를 포함한다.
발광부(400)는 적외선, 레이저 등과 같은 광을 출력시킨다.
발광부(400)로부터 출력된 광은 집광부(408)에 의해 집광되어 수광부(402)로 입사된다. 여기서, 상기 집광된 광은 흡입 라인(102)을 통하여 흡수되는 공기(420)에 충돌히며, 그 결과 산란광이 발생한다.
산란광부(404)는 산란된 광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화재 판단부(406)로 전송한다.
화재 판단부(406)는 산란광부(404)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산란광부(404)로부터 전송된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공간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 또는 화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흡입부(410)는 공간(100)의 공기가 흡입 라인들(102)을 통하여 화재 감지 장치(104)로 전달되도록 흡입 라인들(102)의 공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흡입 펌프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입 라인(102)을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500 및 502)를 통과하여 청정된 상태로 화재 감지 장치(104)로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재 감지 장치(104)는 연기 발생 여부(화재 발생 여부)를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청정한 공기가 많이 흡입되면 화재 감지 장치(104) 내에 체류하는 먼지 등이 날아갈 수 있어서 화재 감지 장치(104)를 항상 고감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에 설치된 흡입 라인에는 발광부(600), 수광부(602), 산랑광부(604) 및 제어부(606)로 구성되는 연기 감지기 및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펌프(610)가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화재 감지 장치(104)의 흡입 펌프가 흡입 라인(102)을 통하여 공간(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구현하면 상기 흡입 펌프의 부담이 상당히 크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라인 내에 릴레이 펌프들(610)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흡입 펌프를 보조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흡입 펌프의 용량이 작아지더라도 릴레이 펌프들(610)의 보조에 의해 공간(100) 내의 공기가 흡입 라인을 통하여 화재 감지 장치(104)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릴레이 펌프들(61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불꽃이 상기 흡입 라인을 따라서 번지게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이 연기를 감지하더라도 소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불꽃이 급격히 일어난 경우에는 불꽃이 상기 흡입 라인을 통하여 다른 공간으로 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라인을 따라 퍼지는 불꽃을 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라인에 불꽃 감지기(700) 및 적어도 하나의 소화 장비(702)를 설치하여 불꽃이 다른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불꽃 감지기(700)는 불꽃이 상기 흡입 라인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불꽃의 광량을 통하여 상기 불꽃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중앙 서버(106)로 전송한다.
중앙 서버(106)는 상기 흡입 라인으로 불꽃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불꽃이 다른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 장비들(702)을 차례로 구동시켜 소화 장비들(702)이 소화 약제를 분사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 장비들(702)은 중앙 서버(106)에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관리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상기 흡입 라인으로 소화 약제를 분사시켜 불꽃이 상기 흡입 라인을 통하여 다른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공간(800)의 천정에는 주소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들이 설치되고, 바닥 등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라인(804)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가스 라인들(804)은 천정 또는 벽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스 라인들(804)의 곳곳에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가스 라인들(804)을 통하여 이동하는 소화 가스가 상기 홀들을 통하여 공간(80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화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화 가스를 가스 라인들(804)을 통하여 공간(800) 내부로 분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라인들(804)은 소화 가스 또는 소화 가스가 액화된 액화 물질로 채워진 가스 탱크들에 각기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화재가 발생되어서 상기 가스 탱크들의 소화 가스가 전부 소진된 경우 상기 가스 탱크들만을 교환하여 주면 소화 시스템을 다시 구축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바닥 등으로부터 소화 가스를 분사시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의 화재 감지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연기 감지기들과 교신하는 장치로서 화재 감지 장치 및 중앙 서버가 존재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연기 감지기들과 교신하는 장치를 중앙 서버로 가정하겠다.
도 9를 참조하면, 중앙 서버(106)는 특정 공간(건물) 내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들에 인증 번호들, 예를 들어 주소들을 부여하고 등록한다(S900).
이어서,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된다(S902).
계속하여, 상기 흡입 라인들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는 상기 흡입된 공기를 통하여 연기를 감지하고, 그의 인증 번호 및 감지 결과를 중앙 서버(106)로 전송한다(S904).
이어서, 중앙 서버(106)는 상기 전송된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공간에 화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06).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S902가 다시 수행된다.
반면에,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중앙 서버(106)는 소화 시스템을 구동시켜 공간 내의 화재를 진압한다(S908).
요컨대,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방법은 연기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기 감지부는 해당 흡입 라인으로 흡수된 공기를 분석하여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기 감지부는 그의 인증번호와 상기 판단 결과를 중앙 서버(106)로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의 화재 감지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재 감지 시스템의 모드를 청정도 모드로 설정한다(S1000).
이어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의 화재 감지 장치(104)는 특정 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흡입하고, 상기 청정도 모드에 따라 상기 흡입된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의 청정도를 검출한다(S1002).
계속하여,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연기가 감지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4). 여기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연기 감지기들을 이용하여 연기가 감지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화재 감지 장치(104)를 이용하여 연기가 감지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연기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청정도 모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공간의 청정도를 검사한다(S1006).
반면에, 연기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청정도 모드를 화재 모드로 전환시킨다(S1008).
이어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청정도 검사 과정을 중지하고 흡입 라인으로 흡수된 공기를 계속적으로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10),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화 시스템을 구동시킨다(S1012). 물론,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화재 모드를 상기 청정도 모드로 다시 전환할 것이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연기가 감지되기 전까지는 청정도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공간의 청정도를 검사하고, 연기가 감지된 경우에는 화재 모드로 전환하여 화재에 대비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시스템에서는 청정도 및 화재에 모두 민감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다른 어떤 시스템보다도 상기 반도체 제조 공장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청정도 및 화재를 감지하므로, 상기 반도체 제조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를 도 1의 화재 감지 장치(104)로 가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재 감지 장치(104)는 제어부(1100), 흡입부(410), 개폐부(1102), 감지부(1104), 화재/청정도 판단부(1106), 인증 관리부(1108), 디스플레이부(1110), 저장부(1112), 송수신부(1114) 및 모드부(1116)를 포함한다.
흡입부(410)는 흡입 라인들(102)의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흡입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부(1102)는 흡입 라인들(10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흡입 라인들(102)을 순차적으로 개폐시킨다. 결과적으로, 화재 감지 장치(104)는 하나의 흡입 라인(102)을 통하여 전달된 공기만을 분석하여 해당 흡입 라인(102)에 해당하는 공간의 청정도 및/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1104)는 레이저 방식 등을 이용하여 연기가 발생하였는 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화재/청정도 판단부(1106)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통하여 공간(100)의 청정도 및/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화재/청정도 판단부(1106)는 연기가 감지되기 전까지는 공간(100)의 청정도를 검출하고, 연기가 감지된 이후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 관리부(1108)는 연기 감지기들의 인증 번호들(주소, ID 등)을 등록 및 관리하며, 상기 연기 감지기로부터 인증 번호가 전송되면 상기 인증 번호와 기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연기 감지기를 인증한다.
디스플레이부(1110)는 관리자가 청정도 및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청정도 및 화재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ELD) 등 다양한 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112)는 연기 감지 결과, 구동 프로그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수신부(1114)는 화재 감지 장치(104)와 연기 감지기들 또는 중앙 서버(106)와의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모드부(1116)는 모드를 관리하며, 예를 들어 청정도 모드를 화재 모드로 전환하거나 화재 모드를 청정도 모드로 전환시킨다.
제어부(1100)는 화재 감지 장치(104)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중앙 서버(106)는 제어부(1200), 송수신부(1202), 화재부(1204), 청정도부(1206), 모드부(1208), 인증 관리부(1210), 방재부(1212), 디스플레이부(1214) 및 저장부(1216)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202)는 중앙 서버(106)와 연기 감지기들 또는 화재 감지 장치(104)와의 연결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화재부(1204)는 상기 연기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감지 결과들 및/또는 화재 감지 장치(104)로부터 전송된 분석 결과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청정도부(1206)는 공간(100)의 청정도를 관리한다.
모드부(1208)는 모드를 관리하며, 예를 들어 청정도 모드를 화재 모드로 전환하거나 화재 모드를 청정도 모드로 전환시킨다.
인증 관리부(1210)는 연기 감지기들의 인증 번호들(주소, ID 등)을 등록 및 관리하며, 상기 연기 감지기로부터 인증 번호가 전송되면 상기 인증 번호와 기저장된 인증 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연기 감지기를 인증한다.
방재부(1212)는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화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화재가 발생된 사실을 방재 기관 및 관리자 등에 알린다.
디스플레이부(1214)는 상기 관리자가 청정도 및 화재 발생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청정도 정보 및 화재 발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1216)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200)는 중앙 서버(106)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공간 102 : 흡입 라인
104 : 화재 감지 장치 106 : 중앙 서버
200 : 발광부 202 : 수광부
204 : 산란광부 206 : 제어부
406 : 화재 판단부 500 : 제 1 필터
502 : 제 2 필터 610 : 릴레이 펌프
700 : 불꽃 감지기 702 : 소화 장비
802 : 흡입 라인 804 : 가스 라인
810 : 소화 약제

Claims (21)

  1. 특정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수신하는 흡입 라인; 및
    상기 흡입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된 공기를 통하여 상기 공간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감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연기 감지기에는 인증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연기 감지기들과 교신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기 감지기들에는 각기 고유의 인증 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연기 감지기들은 감지 결과를 그의 인증 번호와 함께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상기 연기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감지 결과들을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연기 감지기들과 교신하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기 감지기들에는 각기 고유의 인증 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연기 감지기들은 감지 결과를 그의 인증 번호와 함께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연기 감지기들로부터 전송된 감지 결과들을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 내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통과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공기에 충돌하여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상기 흡입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개폐시키고, 개방된 흡입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의 청정도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 장치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 라인을 통하여 전달된 공기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통과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공기에 충돌하여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화재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적어도 하나의 흡입 라인 내에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 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릴레이 펌프는 상기 흡입 라인으로 흡수된 공기가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흡수된 공기를 분석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감지 장치; 및
    상기 화재 감지 장치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간 내로 소화 가스를 분출하는 소화 시스템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화 시스템은 상기 공간의 바닥, 벽면 또는 천정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소화 가스를 분출시키며, 상기 소화 가스가 상기 공간으로 투입됨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공기의 구성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9. 특정 공간에 설치된 흡입 라인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화재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전달된 공기를 통하여 상기 공간의 청정도 또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청정도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재 감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인증 관리부; 및
    모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연기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연기 감지기의 인증 번호를 관리하며, 상기 모드부는 상기 화재 감지 장치를 청정도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화재 감지 장치가 상기 공간 내의 청정도를 검사하도록 제어하고,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장치가 상기 공간의 화재 상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화재 감지 장치를 화재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재 감지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장치는,
    인증 관리부; 및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가지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연기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연기 감지기의 인증 번호를 관리하며, 상기 공간 내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통과하며, 상기 화재/청정부 판단부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공기에 충돌하여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재 감지 장치.
  12. 흡입 라인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며 상기 흡입 라인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 라인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연기 감지기의 인증 번호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감지 결과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와 상기 인증 번호를 화재 감지 장치 또는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기 감지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 및
    산란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 라인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로 통과하고, 상기 산란광부는 상기 레이저가 상기 흡입된 공기에 충돌하여 산란되는 정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란광부에 의해 감지된 광의 산란 정도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및 그의 인증 번호를 상기 화재 감지 장치 또는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기 감지기.
  14. 청정도 모드에 따라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특정 공간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의 청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분석한 결과 상기 공간 내에 연기가 존재한다고 감지하면 상기 청정도 모드를 화재 모드로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재 모드에 따라 상기 흡입 라인들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방법은,
    상기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간으로 소화 가스를 투입하여 상기 공간 내의 공기의 구성 요소들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광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흡입된 공기에 충돌하여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란된 광을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
  17. 특정 공간에 설치된 흡입 라인들 및 상기 흡입 라인들에 설치된 연기 감지기들을 가지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흡입 라인을 통하여 흡수된 상기 공간 내의 공기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 내에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기 감지기는 상기 검출 결과를 그의 인증 번호와 함께 기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광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광이 상기 흡입된 공기에 충돌하여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란된 광을 통하여 상기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감지 방법.
  19. 특정 공간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및
    화재가 감지된 경우 상기 공간 내로 소화 가스를 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화 가스가 상기 공간으로 투입됨에 의해 상기 공간 내의 공기의 구성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소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흡입 라인 내의 연기 감지기를 통하여 상기 공간 내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연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기 감지기는 레이저 방식을 통하여 상기 연기가 발생되었는 지를 감지하고, 고유의 인증 번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소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가스가 상기 공간에 투입됨에 따라 상기 공기 중 질소의 양은 증가되고 산소의 양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 화재 소화 방법.


KR1020100011379A 2010-02-08 2010-02-08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16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79A KR101166962B1 (ko) 2010-02-08 2010-02-08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79A KR101166962B1 (ko) 2010-02-08 2010-02-08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89A true KR20110091989A (ko) 2011-08-17
KR101166962B1 KR101166962B1 (ko) 2012-07-19

Family

ID=4492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379A KR101166962B1 (ko) 2010-02-08 2010-02-08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606A (ko) 2018-11-21 2020-06-01 주식회사 싸인랩 산업 현장 복합화재 감지 시스템
KR102348339B1 (ko) 2019-02-28 2022-01-07 양성환 화재감지기 관리시스템
KR102077519B1 (ko) * 2019-03-15 2020-02-14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KR102138478B1 (ko) * 2019-11-20 2020-07-27 김용석 연기감지 화재 방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8535B2 (ja) 1997-06-30 2004-11-10 ホーチキ株式会社 煙感知装置
KR200349278Y1 (ko) 2004-02-06 2004-05-04 박윤관 화재 감시 장치
JP5276764B2 (ja) 2005-03-24 2013-08-28 株式会社大林組 火災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962B1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JP4268189B2 (ja) 火災を検出して特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04008B1 (ko)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JP2018060578A (ja)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TW201530112A (zh) 粒子偵測之可定址性技術
EP3859706B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AU5404699A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KR101166962B1 (ko)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BRPI0923661A2 (pt) asperor com válvula integrada e sistema de extinção de incêncio utilizando o mesmo
KR101783002B1 (ko) 건축물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275994B1 (ko) 비화재보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
US11756400B2 (en) Self-testing hazard sensing device
KR20200082064A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JP6774225B2 (ja) 異常監視システム
CN109812172B (zh) 防火门控制装置与系统
KR101651844B1 (ko) 화재 경보 설비
KR10204908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KR20220076374A (ko)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JP2010046316A (ja) 消火システム
JP2021152937A (ja) 防災システム
KR20190121579A (ko)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8327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