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19B1 -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19B1
KR102077519B1 KR1020190030101A KR20190030101A KR102077519B1 KR 102077519 B1 KR102077519 B1 KR 102077519B1 KR 1020190030101 A KR1020190030101 A KR 1020190030101A KR 20190030101 A KR20190030101 A KR 20190030101A KR 102077519 B1 KR102077519 B1 KR 10207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smoke
filter
smok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용
장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주식회사 명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주식회사 명성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9003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영역의 공기를 흡입해, 일정 영역의 화재 상태 여부를 파악하는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설정영역의 천장에 천장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타공홀을 통해 설정영역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관부;
일단이 배관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듈, 공기 가운데 먼지를 여과하는 먼지필터모듈, 여과된 공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모듈, 연기감지센서모듈과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연기감지기부; 및
연기감지기부와 이격되어, 제어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모듈과 데이터 통신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System Of Air Suction Smoke Detection}
본 발명은 일정 영역의 공기를 흡입해, 일정 영역의 화재 상태 여부를 파악 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해 화재에 의한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는 사람이 일일이 감시 및 관리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다. 일례로, 물류 보관창고, 가연성 및 인화성 물질을 보관하는 창고 등 대형의 물류 보관창고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관창고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는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화재 발생 시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화재 시 발생하는 열이나 불꽃이 센서에 도달할 때, 감지하는 수동적 감지방식이다. 이에, 화재 발생 초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는 시간 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어 화재를 신속히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현재에는 화재 발생 초기에서부터 감지까지 짧은 시간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화재를 균일하게 감지할 수 있는 연기감지장치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즉, 수동적 감지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치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재연기감지 장치는 넓은 영역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일정 영역을 감지한다. 각 화재연기감지장치는 감지하는 연기 량에 따라 필터교체 주기가 제 각각이다.
따라서, 화재연기감지장치는 많은 센서 및 필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541호 (공고일: 2006.05.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넓은 영역의 연기를 일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면서도, 용이하게 내부 장치를 관리 가능한 구조를 갖춘 연기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설정영역의 천장에 상기 천장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타공홀을 통해 상기 설정영역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듈, 상기 공기 가운데 먼지를 여과하는 먼지필터모듈, 여과된 공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모듈, 상기 연기감지센서모듈과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연기감지기부; 상기 연기감지기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어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모듈과 데이터 통신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는, 상기 연기감지기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공통관, 그리고 상기 공통관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설정영역에 설치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모니터링부 또는 상기 연기감지기부에서 전송되는 밸브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밸브제어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는 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특정 분기관의 밸브모듈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들의 밸브모듈은 모두 폐쇄되되, 상기 개방되는 특정 분기관의 밸브모듈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선정되고,
상기 흡입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팬(FAN)을 포함하고, 개방된 밸브모듈과 연기감지기부 간 이격거리에 비례하는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먼지필터모듈은,
상기 흡입모듈과 상기 연기감지센서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그리고
상기 필터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모듈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필터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로 구성되는 차압센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압센서기와 연결되어 상기 차압센서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터의 교체주기를 알 수 있다. 즉, 상기 차압센서기는 상기 필터에 먼지가 끼었을 때, 상기 필터의 일측과 타측 간 압력 차이를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필터교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연기감지기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연기감지기부의 흡입모듈로 흡입되는 상기 공기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어모듈에서 화재감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소리로 출력하는 버저모듈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넓은 영역의 연기를 일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흡입된 연기를 하나의 필터 및 하나의 센서로 감지하며 연기감지 시스템 상에 설치된 필터 및 센서가 쉽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화재발생장소를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의 초기 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기감지기부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기감지기부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기감지기부의 작동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단지 충실 및 완전하게 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1)은 설정영역의 천장(A)에 배관부(10)가 설치되고, 배관부(10)와 연결된 연기감지기부(20)가 구동되며 배관부(10)를 통해 설정영역에 퍼져 있는 연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연기를 감지한다. 그리고 흡입된 연기의 상태를 분석한다.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1)은 하나의 연기감지기부(20)에 복수 개의 배관부(10)가 연결되어, 하나의 연기감지기부(20)에 설치된 하나의 필터 및 하나의 센서가 간편하게 유지보수 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1)은 화재가 발생된 설정영역을 신속하게 파악하며 화재의 초기 진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1)은 크게 배관부(10), 연기감지기부(20) 및 모니터링부(3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관부(10)는 설정영역에 존재하는 연기가 연기감지기부(20)로 이동시키는 관로가 된다. 배관부(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그 외주연에는 복수 개의 타공홀(101)이 형성된다. 배관부(10)는 설정영역의 천장(A)에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파이프 지지대(B)에 연결된다. 배관부(10)는 파이프 지지대(B)와 연결되며 천장(A)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배관부(10)는 일단 또는 타단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듈(230)이 설치된 연기감기지부(20)와 연결된다. 배관부(10)는 흡입모듈(230)의 작동을 통해, 설정영역에 있는 연기를 타공홀(101)로 부터 흡입할 수 있다.
연기감지기부(20)는 공기를 유입한 후, 연기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여과시켜 배출한다. 연기감지기부(20)는 일단에 흡입구(221)가 형성되고, 타단에 배기구(222)가 형성된 하우징(210), 그리고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된 흡입모듈(230), 먼지필터모듈(250), 연기감지센서모듈(241), 제어모듈(290) 및 배기모듈(28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아울러 연기감지기부(20)는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모듈(242) 그리고 음성경보 장치가 설치된 PCB판(260)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기감지기부(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연기감지기부(20)는 모니터링부(3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모니터링부(30)는 연기감지기부(20)와 이격되어 제어모듈(29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모니터링부(30)에는 수학적 알고리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모니터링부(30)는 수신한 데이터를 9단계로 구분하여 먼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부(30)는 버저모듈(310)과 디스플레이모듈(320)을 포함하여 제어모듈(29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부(30)는 데이터를 연산하고, 송수신하는 컴퓨터로 형성되어 제어모듈(290)에서 화재감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청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연기감지기부의 구성요소 및 작동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연기감지기부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연기감지기부의 작동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연기감지기부의 작동순서도이다.
흡입모듈(230)은 공기를 흡입하는 장치이다. 흡입모듈(230)은 일단이 배관부(10)의 타단과 연결되어 배관부(10)의 타공홀(101)로부터 설정영역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모듈(230)은 적어도 하나의 팬(FA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모듈(230)은 모니터링부(3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다양한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먼지필터모듈(250)은 흡입모듈(23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 한다. 이러한 먼지필터모듈(250)은 필터(2510)와 차압센서기(2520)로 구성된다. 필터(2510)는 흡입모듈(230)과 연기감지센서모듈(241) 사이에 위치하여, 흡입모듈(230)로부터 연기감지센서모듈(241)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한다.
차압센서기(2520)는 제1압력센서(2521)와 제2압력센서(2522)를 이용하여 공기가 필터(2510)를 통과하기 전 그리고 통과한 후 압력을 측정한다. 이때, 제1압력센서(2521)는 필터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여 흡입모듈(2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2압력센서(2522)는 필터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여, 차압센서기(2520)는 필터(2510) 통과 전 압력과 통과 후 압력을 측정한다.
차압센서기(2520)는 차압이 높아지면 제어모듈(290)에 필터교체 신호를 내보낸다. 일례로, 차압센서기(2520)는 필터에 먼지가 많이 끼면 필터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 간 큰 차압을 형성시켜 필터교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필터교체 신호를 제어모듈(290)에 전송할 수 있다. 연기감지센서모듈(241)은 필터(2510)를 통과한 먼지에 광선을 조사하여 먼지에 의한 산란 유무로 먼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산란 유무 정도에 따라 먼지 량을 감지한다. 이러한 연기감지센서모듈(241)은 광선을 출력하는 레이저 챔버 그리고 먼지에서 산란된 빛을 수신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포토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290)은 연기감지센서모듈(241), 미세먼지센서모듈(242) 그리고 차압센서기(2520)와 전송되는 데이터를 연산한다. 일례로, 제어모듈(290)은 연기감지센서모듈(24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로부터 먼지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미세먼지센서모듈(24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로부터 미세 먼지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제어모듈(290)은 차압센서기(252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연산하여 필터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 간 압력 차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배기모듈(280)은 연기감지기부(20)의 타단에 형성되는 배기구(222)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가 된다. 배기모듈(280)은 배기구(222)와 연통되어 공기를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는 연통되지 않고 배기구(222)를 향해 공기를 분출시키며 공기를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연기감기지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작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단계로, 연기감기지부(20)의 상태를 점검한다. 이때, 연기감기지부(20)에 이상이 있으면 PCB판(260)에 설치된 Fault LED가 턴-온 된다. 반면, 연기감기지부(20)에 이상이 없으면, 차압센서기(2520)가 정상작동 하는 2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차압센서기(2520)에 이상이 있으면 PCB판(260)에 설치된 Filter LED가 턴-온 된다.
반면, 차압센서기(2520)에 이상이 없으면 연기감지센서모듈(241)이 정상작동 하는 3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연기감지센서모듈(241)에 이상이 있으면 PCB판(260)에 설치된 Fault LED가 턴-온 된다.
연기감지센서모듈(241)에 이상이 없으면 제어모듈(290)이 정상작동 하는 4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제어모듈(290)이 연기감지센서모듈(241)에서 연기를 감지 하는 상태로 진행되면, 1단계로 회귀하여 다시 순차적으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연기를 감지한 상태로 진행되면 연기감기센서모듈(241) 및 레이저챔버(270)를 통한 연기 감지에 따라 Alarm LED가 턴-온 되거나, Pre Alarm(Silence) LED가 턴-온 되는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연기감지기부(20)는 전술한 구성요소 및 전술한 일련의 단계로 작동하며, 설정영역에 화재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였을 때 연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연기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화한다. 그리고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연기감지기부(20)는 설정영역에 화재가 발생 하지 않았을 때, 즉, 평상 시 때에는 미세 먼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미세 먼지의 정보를 데이터화 한 후,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영역에 화재(D)에 의해 연기(C)가 발생하였을 때, 연기감지기부(20)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설정영역에 있는 연기를 배관부(10)의 타공홀(101)을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연기감지기부(20)는 흡입된 연기를 여과하며 연기의 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0)는 연기감지기부(20)에서 추출된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기의 상태를 정확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시청각 정보로 출력하여 주변의 사람들에게 제공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이 사용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2)은 하나의 배관부(10-1)와 하나의 연기감지기부(20-1)가 제1설정영역(S1)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배관부(10-2)와 다른 하나의 연기감지기부(20-2)가 제2설정영역(S2)에 위치하고, 또 다른 하나의 배관부(10-3)와 또 다른 하나의 연기감지기부(20-3)가 제3설정영역(S3)에 설치하며 하나의 모니터링부(30)에 연결된 구조이다. 즉, 변형된 본 발명의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2)은 복수 개의 배관부(10-1, 10-2, 10-32)와 복수 개의 연기감지기부(20-1, 20-2, 20-32)가 하나의 모니터링부(30)에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2)은 하나의 배관부와 하나의 연기감지기부가 서로 다른 설정영역에 설치되어, 각 설정영역의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2)은 제1설정영역(S1) 내지 제32설정영역(S32) 각각에 서로 다른 배관부와 서로 다른 연기감지기부가 설치되어, 각 설정영역의 연기를 감지하여 연기가 감지된 설정영역에서 Pre-alarm이 되는 음성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30)를 통해 화재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2)은 하나의 모니터링부(30)로 여러 설정영역의 연기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제3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제2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2)과 비교하여, 배관부(10)의 구조 및 배관부(10)와 연결되는 연기감지기부(20)에 대해 차이가 있을 뿐, 이를 제외하곤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 질 수 있도록, 차이가 있는 배관부(10)와 연기감지기부(20)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의 배관부(130)는 연기감지기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흡입관(131)과 흡입관(131)과 연통되는 공통관(132) 그리고 공통관(132)과 연통되어, 서로 다른 설정영역에 설치되는 분기관(1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기관(133)에는 밸브모듈(1331)이 설치되어, 분기관(133)으로 유동하는 연기 흐름은 단속될 수 있다.
특히, 밸브모듈(1331)은 모니터링부(30) 또는 연기감지기부(20)에서 전송되는 밸브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밸브제어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며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30) 또는 연기감지기부(20)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밸브모듈(1331)에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밸브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먼저 제1밸브모듈(1331-1)을 개방하고, 제2밸브모듈(1331-2), 제3밸브모듈(1331-3) 및 제4밸브모듈(1331-4)을 패쇄시킬 수 있다. 이후, 제2밸브모듈(1331-2)을 개방하고, 제1밸브모듈(1331-1), 제3밸브모듈(1331-3) 및 제4밸브모듈(1331-4)을 패쇄 시킬 수 있다. 일정시간 이후, 제3밸브모듈(1331-3)을 개방하고, 제1밸브모듈(1331-1), 제2밸브모듈(1331-2) 및 제4밸브모듈(1331-4)을 패쇄 시킬 수 있다. 이후, 제4밸브모듈(1331-4)을 개방하고, 제1밸브모듈(1331-1), 제2밸브모듈(1331-2) 및 제3밸브모듈(1331-3)을 패쇄 시킬 수 있다. 이후, 다시 처음부터 제1밸브모듈(1331-1)을 개방하고, 제2밸브모듈(1331-2), 제3밸브모듈(1331-3) 및 제4밸브모듈(1331-4)을 패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밸브모듈을 개패하며 여러 설정영역의 화재전조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따른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밸브제어신호에 대응해, 흡입모듈(230)을 서로 다른 구동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일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연기감지기부(20)와 가까이 있는 제2설정영역(S2)에 설치된 제2밸브모듈(1331-2)이 개방되었을 때, 제2설정영역(S2)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모듈(230)을 구동시킨다. 이때, 흡입모듈(230)은 상대적으로 저속 구동될 수 있다.
반면,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연기감지기부(20)와 멀리 떨어져 있는 제1설정영역(S1), 제4설정영역(S4) 등에 설치된 제1밸브모듈(1331-1), 제4밸브모듈(1331-4)이 개방되었을 때, 멀리 떨어진 설정영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모듈(230)을 구동시킨다. 이때,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흡입모듈(230)을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다시 말해,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연기감지기부(20)와 밸브모듈(1331) 간 이격 거리(L1, L2)에 대응해, 흡입모듈(230)을 구동시킨다. 이를 통해,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3)은 최적의 전력량으로 흡입모듈(230)을 구동시키며 설정영역의 연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2, 3: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10: 배관부 101: 타공홀
20: 연기감지기부 210: 하우징
221: 흡입구 222: 배기구
230: 흡입모듈 2301: 팬
241: 연기감지센서모듈
250: 먼지필터모듈 2520: 차압센서기
2510: 필터 2521 제1압력센서
2522: 제2압력센서 260: PCB판
270: 레이저챔버
280: 배기모듈 290: 제어모듈
30: 모니터링부 310: 버저모듈
320: 디스플레이모듈
A: 천장 B: 파이프 지지대

Claims (8)

  1. 복수 개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설정영역의 천장에 상기 천장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타공홀을 통해 상기 설정영역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듈, 상기 공기 가운데 먼지를 여과하는 먼지필터모듈, 여과된 공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모듈, 상기 연기감지센서모듈과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연기감지기부;
    상기 연기감지기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어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모듈과 데이터 통신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는, 상기 연기감지기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는 공통관, 그리고 상기 공통관과 연결되어 서로 다른 설정영역에 설치되는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기관은 상기 모니터링부 또는 상기 연기감지기부에서 전송되는 밸브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밸브제어신호에 대응해 작동하는 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특정 분기관의 밸브모듈은 개방되고, 나머지 분기관들의 밸브모듈은 모두 폐쇄되되, 상기 개방되는 특정 분기관의 밸브모듈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선정되고,
    상기 흡입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팬(FAN)을 포함하고, 개방된 밸브모듈과 연기감지기부 간 이격거리에 비례하는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필터모듈은,
    상기 흡입모듈과 상기 연기감지센서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그리고
    상기 필터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모듈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압력센서와 상기 필터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압력센서로 구성되는 차압센서기를 포함하는,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센서기는 상기 필터에 먼지가 끼었을 때, 상기 필터의 일측과 타측 간 압력 차이를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필터교체신호를 전송하는,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어모듈에서 화재감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소리로 출력하는 버저모듈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30101A 2019-03-15 2019-03-15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KR10207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01A KR102077519B1 (ko) 2019-03-15 2019-03-15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101A KR102077519B1 (ko) 2019-03-15 2019-03-15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519B1 true KR102077519B1 (ko) 2020-02-14

Family

ID=6951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101A KR102077519B1 (ko) 2019-03-15 2019-03-15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51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974B1 (ko) * 2021-02-01 2021-08-23 전준열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KR20210127299A (ko) * 2020-04-14 2021-10-22 장석원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실내용 공기 청정기
CN113706812A (zh) * 2021-08-16 2021-11-26 杭州基础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电气火灾提前预警的监控装置
EP3945510A1 (en) * 2020-07-30 2022-02-02 Carrier Corporation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ensing
KR102488342B1 (ko) * 2022-07-05 2023-01-13 주식회사 엑사파이어 공기 흡입형 화재감지기
KR20230028867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성화플러스 올인원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587821B1 (ko) * 2022-10-05 2023-10-12 (주)태산전자 결로 또는 결빙 방지 수단이 구비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KR102624131B1 (ko) * 2022-11-09 2024-01-12 (주)태산전자 연기입자분석 기능이 부가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41Y1 (ko) 2006-03-21 2006-05-30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가스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경보기
KR101166962B1 (ko) * 2010-02-08 2012-07-19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541Y1 (ko) 2006-03-21 2006-05-30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가스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경보기
KR101166962B1 (ko) * 2010-02-08 2012-07-19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인증 번호를 가지는 연기 감지기를 사용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299A (ko) * 2020-04-14 2021-10-22 장석원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실내용 공기 청정기
KR102341308B1 (ko) * 2020-04-14 2021-12-21 장석원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실내용 공기 청정기
EP3945510A1 (en) * 2020-07-30 2022-02-02 Carrier Corporation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ensing
US11580836B2 (en) 2020-07-30 2023-02-14 Carrier Corporation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ensing
KR102292974B1 (ko) * 2021-02-01 2021-08-23 전준열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CN113706812A (zh) * 2021-08-16 2021-11-26 杭州基础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电气火灾提前预警的监控装置
KR20230028867A (ko) * 2021-08-23 2023-03-03 주식회사 성화플러스 올인원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519142B1 (ko) * 2021-08-23 2023-04-05 주식회사 성화플러스 올인원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488342B1 (ko) * 2022-07-05 2023-01-13 주식회사 엑사파이어 공기 흡입형 화재감지기
KR102587821B1 (ko) * 2022-10-05 2023-10-12 (주)태산전자 결로 또는 결빙 방지 수단이 구비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KR102624131B1 (ko) * 2022-11-09 2024-01-12 (주)태산전자 연기입자분석 기능이 부가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19B1 (ko)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TWI681179B (zh) 粒子偵測之可定址性技術及其相關方法
JP6472574B2 (ja) Led照明モジュールを用いた非常感知及び対処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2881922B1 (en) Redundant input pipe networks in aspirated smoke detectors
TWI665437B (zh) 用於決定煙霧進入一煙霧偵測系統中的至少一進入點的方法及裝置,及煙霧偵測器
EP3134886B1 (en) Self-testing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moke source
RU234270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пожара и определения его места
US9679468B2 (en) Device and apparatus for self-testing smoke detector baffle system
CN102054322B (zh) 火灾传感器和火灾检测方法
TWI684754B (zh) 吸入性取樣系統之改良技術
EP2840560B1 (en) Multi-channel aspirated smoke detector
CN102314745A (zh) 感烟火灾探测报警器
US8629780B2 (en) Method of detecting and localizing a fire based on a time difference and air speeds of monitored air in pipe conduits
US20210348987A1 (en) Detection of a clogged filter in an aspirating detection system
KR101333939B1 (ko)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공기필터링 장치
EP2260479B1 (en) Testing of aspirating systems
EP3907484A1 (en) Detection of leakage in an aspirating fire detection system
EP4328884A1 (en) Smoke detector device with secondary detection chamber and filter
KR101102573B1 (ko)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US11789000B2 (en) Aspirat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7982821A (zh) 主动吸气式消防系统、主动吸气式消防方法及台架试验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