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573B1 -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573B1
KR101102573B1 KR1020100025858A KR20100025858A KR101102573B1 KR 101102573 B1 KR101102573 B1 KR 101102573B1 KR 1020100025858 A KR1020100025858 A KR 1020100025858A KR 20100025858 A KR20100025858 A KR 20100025858A KR 101102573 B1 KR101102573 B1 KR 10110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suction
laser bea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672A (ko
Inventor
김은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Priority to KR102010002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5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감지부의 내부에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연기감지부 내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한 후에 수광부에서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밀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와; 흡입부에 연결되어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받고 레이저 빔을 공기에 조사하고 공기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연기감지부(15)와; 연기감지부(15)에서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감지량에 해당되는 경우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인식부(23)와; 연기감지부(15)로부터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6)를 포함하며, 흡입부(11)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관(12)과, 흡입구에 위치하며 흡입관으로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팬(13)과, 흡입관의 일측에서 위치하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4)를 포함하고, 연기감지부(15)는 연기감지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흡입부(11)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연기감지부(15)의 내부로 제공받는 유입구(16)와, 연기감지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연기감지부(1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7)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일방향으로 조사하는 발광부(18)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19)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서 지그재그로 위치하며 발광부(18)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부(19)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PHOTOELECTRIC FIRE DETECTOR USING REFLECTOR AND CONTROL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연기감지부의 내부에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연기감지부 내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한 후에 수광부에서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밀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를 손쉽게 확인하여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수리 및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건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레이저 빔의 수광량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한다. 즉, 화재로 인하여 공기 내에 연기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사된 레이저 빔이 산란되어 수광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화재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최근까지 개발된 화재감지기중 가장 빠르고 능동적인 설비로서 가장 이상적인 화재감지기이다.
그러나, 종래의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레이저 빔과 같은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기를 감지하는 공간을 모두 커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는 수광부와 한쌍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하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작동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연기감지부의 내부에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연기감지부 내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한 후에 수광부에서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밀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를 손쉽게 확인하여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수리 및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와; 흡입부에 연결되어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받고 레이저 빔을 공기에 조사하고 공기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연기감지부(15)와; 연기감지부(15)에서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감지량에 해당되는 경우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인식부(23)와; 연기감지부(15)로부터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6)를 포함하며,
흡입부(11)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관(12)과, 흡입구에 위치하며 흡입관으로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팬(13)과, 흡입관의 일측에서 위치하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4)를 포함하고,
연기감지부(15)는 연기감지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흡입부(11)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연기감지부(15)의 내부로 제공받는 유입구(16)와, 연기감지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연기감지부(1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7)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일방향으로 조사하는 발광부(18)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19)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서 지그재그로 위치하며 발광부(18)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부(19)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기감지부(15) 내에서 수광부(19)를 향하도록 직접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테스트 발광부(18)를 구비하며 수광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감도확인부(21)와, 감도확인부의 테스트 발광부(18)를 작동시키는 ON신호 또는 작동을 중지시키는 OFF신호의 테스트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부(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광부(19)의 감지량을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테스트부(25)의 작동신호를 제공받는 통신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기감지부(15)는 발광부가 수광부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연기감지부의 내부에 레이저 빔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연기감지부 내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한 후에 수광부에서 감지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밀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은 원격으로 연결된 제어센터 및 휴대용 제어기로서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를 손쉽게 확인하여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수리 및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연기감지부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센터 또는 휴대용 제어기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10)는 흡입부(11), 연기감지부(15), 감도확인부(21), 화재인식부(23), 테스트부(25), 표시부(26), 통신부(27)를 표시한다.
흡입부(11)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흡입력에 의해서 강제로 흡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설치공간의 공기를 고르게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관(12)과, 흡입구에 위치하며 흡입관으로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팬(13)을 구비한다. 이때, 흡입관의 일측에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기감지부(15)는 흡입부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제공받는 유입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타단에 형성된다.
또한, 연기감지부(15)는 내측에 레이저 빔을 일방향으로 조사하는 발광부(18)와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19) 및 발광부(18)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반사하여 수광부(19)로 제공하는 반사판(20)을 구비한다. 이때, 발광부는 설치되는 환경에 적합하도록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20)은 연기감지부의 양측면, 상부면, 하부면에 지그재그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최종 반사판은 반사되는 레이저 빔이 수광부(19)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발광부(18)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은 연기감지부 내로 유입된 공기 중에 연기입자가 포함된 경우에는 연기 입자에 의해 산란되기 때문에 수광부(19)에서 감지된 빔의 량을 측정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반사판(20)에 의하여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이 내부를 고르게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연기입자가 한쪽에 몰려 있더라도 정확하게 연기입자의 량을 파악할 수 있다.
감도확인부(21)는 연기감지부(15) 내에서 수광부(19)를 향하도록 직접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테스트 발광부(18)를 구비하며 수광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감도확인부(21)의 작동에 의해 테스트 발광부(18)의 조사량과 수광부에서 측정된 감지된 감지량을 비교 분석하여 수광부의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테스트 발광부(18)는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강약을 조절하여 수광부의 불량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화재인식부(23)는 수광부(19)에서 감지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화재정보DB(24)에 저장된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감지량과 비교하여 화재감지량에 해당되는 경우 화재로 인식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킨다. 이때, 화재정보DB(24)에 저장된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감지량에 대한 정보는 설치장소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테스트부(25)는 감도확인부의 테스트 발광부(18)를 작동시키는 ON신호 또는 작동을 중지시키는 OFF신호의 테스트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테스트는 ON신호를 발생시킬 때에 발광부의 작동을 OFF시킨다. 또한, 테스트 발광부가 레이저 빔의 강약이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 이에 대한 조작신호를 발생시킨다.
표시부(26)는 수광부(19)에서 감지된 연기입자의 감지상태인 감지량을 표시하고, 테스트 발광부(18)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통신부(27)는 수광부(19)의 감지량을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테스트부(25)의 작동신호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연기감지부(15)는 다수의 발광부(18), 하나의 수광부(19) 및 다수의 반사판(2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발광부, 다수의 수광부 및 다수의 반사판이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챔버내에서 2개의 발광부와 하나의 수광부를 설치하고, 2개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지그재그로 반사시키면서 최후로 반사되는 빔이 수광부를 향하도록 다수의 반사판이 설치되면 레이저 빔을 반사판에 의해 챔버 내에 고르게 통과할 수 있으며 레이저 빔이 연기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량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어 화재여부의 정밀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은 제어센터(30) 또는 휴대용 제어기(30')를 포함한다. 제어센터(30) 또는 휴대용 제어기(30')는 세팅정보 확인부(31), 화재감지량 변경부(33), 테스트신호 발생부(34)를 구비한다.
세팅정보 확인부(31)는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인식부(23)에 설정된 화재감지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세팅정보DB(32)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때, 다수의 화재감지기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각 화재감지기에 대한 설치정보도 함께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제어센터에서 다수의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관리하는 경우에 각각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설정된 세팅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화재감지량 변경부(33)는 화재감지기의 화재정보DB(24)에 저장된 화재감지량을 변경하는 변경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창고와 같이 먼지 등이 많은 곳과 전산실과 같이 먼지가 거의 없는 지역을 구분하여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후에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테스트신호 발생부(34)는 화재감지기의 테스트부(25)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테스트신호 발생부(34)의 제어신호는 테스트부로 제공되어 테스트 발광부(1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화재감지기 11 : 흡입부
12 : 흡입관 13 : 흡입팬
14 : 필터 15 : 연기감지부
18 : 발광부 18 : 테스트 발광부
19 : 수광부 20 : 반사판
21 : 감도확인부 23 : 화재인식부
25 : 테스트부 26 : 표시부
27 : 통신부 30 : 제어센터
30' : 휴대용 제어기 31 : 세팅정보 확인부
33 : 화재감지량 변경부 34 : 테스트신호 발생부

Claims (6)

  1.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와; 흡입부에 연결되어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받고 레이저 빔을 공기에 조사하고 공기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연기감지부(15)와; 연기감지부(15)에서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감지량에 해당되는 경우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인식부(23)와; 연기감지부(15)로부터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6)를 포함하며,
    흡입부(11)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관(12)과, 흡입구에 위치하며 흡입관으로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팬(13)과, 흡입관의 일측에서 위치하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4)를 포함하고,
    연기감지부(15)는 연기감지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흡입부(11)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연기감지부(15)의 내부로 제공받는 유입구(16)와, 연기감지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연기감지부(1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7)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일방향으로 조사하는 발광부(18)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19)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서 지그재그로 위치하며 발광부(18)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부(19)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기감지부(15) 내에서 수광부(19)를 향하도록 직접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테스트 발광부(18)를 구비하며 수광부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감도확인부(21)와, 감도확인부의 테스트 발광부(18)를 작동시키는 ON신호 또는 작동을 중지시키는 OFF신호의 테스트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부(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19) 또는 테스트 발광부(18)는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광부(19)의 감지량을 외부로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테스트부(25)의 작동신호를 제공받는 통신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기감지부(15)는 발광부가 수광부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6. 화재감지기(10)와 통신하는 제어센터(30) 또는 휴대용 제어기(40)를 구비하되,
    화재감지기(10)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1)와; 흡입부에 연결되어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내부로 공급받고 레이저 빔을 공기에 조사하고 공기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연기감지부(15)와; 연기감지부(15)에서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감지량에 해당되는 경우 화재로 인식하는 화재인식부(23)와; 연기감지부(15)로부터 수광된 레이저 빔의 감지량을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26)를 포함하며, 흡입부(11)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관(12)과, 흡입구에 위치하며 흡입관으로 원활하게 공기를 공급하는 흡입팬(13)과, 흡입관의 일측에서 위치하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14)를 포함하고, 연기감지부(15)는 연기감지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흡입부(11)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연기감지부(15)의 내부로 제공받는 유입구(16)와, 연기감지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연기감지부(1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7)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일방향으로 조사하는 발광부(18)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 위치하며 레이저 빔을 감지하는 수광부(19)와, 연기감지부(15)의 내측에서 지그재그로 위치하며 발광부(18)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부(19)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0)을 포함하며,
    제어센터(30) 또는 휴대용 제어기(40)는,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인식부(23)에 설정된 화재감지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세팅정보 확인부(31)와; 화재감지기에 저장된 화재감지량을 변경하는 변경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량 변경부(33)와; 화재감지기의 테스트부(25)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테스트신호 발생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KR1020100025858A 2010-03-23 2010-03-23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KR10110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858A KR101102573B1 (ko) 2010-03-23 2010-03-23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858A KR101102573B1 (ko) 2010-03-23 2010-03-23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672A KR20110106672A (ko) 2011-09-29
KR101102573B1 true KR101102573B1 (ko) 2012-01-04

Family

ID=4495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858A KR101102573B1 (ko) 2010-03-23 2010-03-23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5690A (zh) * 2017-09-13 2018-01-05 三石量子(苏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消防监控系统
CN109030295A (zh) * 2018-08-30 2018-12-18 安徽乐锦记食品有限公司 一种面包加工异常报警装置用烟雾抽取检测装置
KR102479592B1 (ko) * 2020-05-21 2022-12-19 김정민 열연 감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972A (ja) * 1994-08-01 1996-02-16 Nohmi Bosai Ltd 光電式煙火災感知器の感度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186231A (ja) * 2007-01-30 2008-08-14 Yazaki Corp 光電式火災警報器
JP2008242627A (ja) * 2007-03-26 2008-10-09 Aiphone Co Ltd 光電式煙感知器
JP2010020471A (ja) * 2008-07-09 2010-01-28 New Cosmos Electric Corp 光電式煙感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972A (ja) * 1994-08-01 1996-02-16 Nohmi Bosai Ltd 光電式煙火災感知器の感度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8186231A (ja) * 2007-01-30 2008-08-14 Yazaki Corp 光電式火災警報器
JP2008242627A (ja) * 2007-03-26 2008-10-09 Aiphone Co Ltd 光電式煙感知器
JP2010020471A (ja) * 2008-07-09 2010-01-28 New Cosmos Electric Corp 光電式煙感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672A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7843B1 (en) Smoke detector
KR102032863B1 (ko) 입자 검출기에 대한 향상
US9036150B2 (en) Scattered radiation fire detector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detection of a fire situation
US7564365B2 (en) Smoke detector and method of detecting smoke
KR102077519B1 (ko) 공기흡입식 연기감지 시스템
TWI27082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lising a fire
KR20210097202A (ko) 비행시간 어셈블리, 단말 기기 및 비행시간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JP2010520997A (ja) 粒子を検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8509563A (ja) 煙検知器の感度試験装置
CN102171733A (zh) 烟检测器
KR101102573B1 (ko)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MY161628A (en)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for radiation source and radia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898551A (zh) 测定散射光信号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散射光检测器
US11417187B2 (en) Scattered light detector and suction fire detection system having a scattered light detector
US8346500B2 (en) Self check-type flame detector
KR100676129B1 (ko) 화재감지기 점검장치
US7868774B2 (en) Oil leakage detector
JP4791308B2 (ja) 煙感知装置
JP3390378B2 (ja) エアーフィルタの目詰まり検出装置
JP2010096471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JP4981404B2 (ja) 粒子カウンタ式煙感知装置
JP2008082710A (ja) 煙感知装置
CN111796060A (zh) 一种甲醛气体检测系统
TWI668673B (zh) Smoke detector structure
KR100267833B1 (ko) 광학식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