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92B1 - 열연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열연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592B1
KR102479592B1 KR1020200061114A KR20200061114A KR102479592B1 KR 102479592 B1 KR102479592 B1 KR 102479592B1 KR 1020200061114 A KR1020200061114 A KR 1020200061114A KR 20200061114 A KR20200061114 A KR 20200061114A KR 102479592 B1 KR102479592 B1 KR 10247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flow path
bracket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170A (ko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20006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Abstract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탑재되는 감지부, 측정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연기를 감지하며, 상기 측정부는 온도, 습도,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측정부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연기가 감지되거나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설정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연 감지 장치{Devices for detecting heat and smoke}
본 발명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열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의 고층화, 복합화 및 대형화에 따른 높은 화재 위험성으로 화재안전, 특히 화재로 인한 피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때 건축물의 화재 안정성은 거주자가 위험상태에 도달하는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과 화재 발생 이후 거주자가 안전한 곳으로 피난하는데 소요되는 요구피난시간(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의 비교를 통해 평가된다.
상기 요구피난시간(RSET)은 화재 발생 이후 화재감지기의 작동시간, 피난 지연시간 및 피난행동시간의 합을 통해 계산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화재 발생 이후 피난을 방지하기 위해선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의 역할이 핵심적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연기 감지기는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암실로 유도하여 발광부의 발광빛이 암실 내부로 들어오는 연기에 의해 산란되어 수광부로 수광되도록 하므로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장치이다.
현재 국내에 적용되는 연기감지기는 크게는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로 분류되며, 세부적으로는 광전식 감지기와 이온화식 감지기로 분류된다. 이온화식 감지기는 연기가 유입되면 이온이 연기에 흡착되어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의 차이를 이용하여 감지기가 동작하게 된다. 다만, 이온화식 감지기의 경우 그 사용에 있어 아메리슘에 의한 방사선 페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현재 국내 대부분의 업체는 광전식 연기감지기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적외선 LED를 이용한 산란광 감지방식으로 작동하는 감지기로 화재 발생 시, 암실 내부에 연기가 유입되면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이 산란현상을 일으키고 수광소자는 이를 감지하고 신호를 증폭시킨 뒤, 화재발생 신호를 외부에 송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3539호(명칭: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광전식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조립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 감지의 효율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83539호
본 발명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탑재되는 감지부, 측정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온도, 습도,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측정부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연기가 감지되거나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설정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화재 발생을 의미하는 연기를 감지하거나 설정값 이상의 열(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평소 온도, 습도, 공기질을 감지하거나 측정하고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기기로, 연기 측정기, 설정 온도 알람 발생기, 온도 측정기, 습도 측정기, 공기질 측정기의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화재를 의미하는 연기의 감지 결과 또는 설정값을 만족하는 온도의 측정 결과를 제1 채널을 통해서도 출력하고, 제2 채널을 통해서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에 따른 감지 장치의 일부 훼손이 발생하더라도, 화재의 발생 사실이 외부로 출력되거나 전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를 아래에서 사선으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를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감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감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노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노즐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노즐의 절단도이다.
도 15는 노즐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를 아래에서 사선으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를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감지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감지 장치는 하우징부(190), 감지부(310), 측정부(34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90)는 천장 밑면에 설치되며, 각종 기둥 형상, 통 형상과 같은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310), 측정부(3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40)는 하우징부(190)에 탑재될 수 있다.
감지부(310)는 하우징부(190)에 대면된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측정부(340)는 온도, 습도,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부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340),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부(340),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 측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340)는 'RHT' 디지털 온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센서는 온도 및 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감지부(310)의 감지 결과, 측정부(340)의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8-세그먼트 등의 디스플레이(151), 단일의 발광 다이오드(LED)(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53)는 하우징부(190)의 밑면에 설치되고, 감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색깔로 구분해서 표시할 수 있다. 감지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 중이면, 발광 다이오드(153)는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감지부(310)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거나, 측정부(34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설정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기가 감지되는 상황, 측정 온도가 설정값을 만족하는 상황은 실내에 발생된 화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각종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표시하는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알람 메시지를 원격의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자신의 관할 하에 존재하는 각종 전자 기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I/O 및 통신 절연을 통해 산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오작동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온도, 습도를 측정하고 화재로 인한 연기가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측정부(340)의 측정 결과에 해당하는 온도 또는 습도를 하우징부(190)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51)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부(190)의 외주면에는 커넥팅 수단(350)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수단(350)은 외부 전원에 연결된 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제1 커넥터(351), 외부 장치에 통신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단자가 연결되는 제2 커넥터(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352)는 RS485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 커넥터(352)를 통해 복수의 열연 감지 장치(최대 16대)를 하나의 채널에 동시 연결하고, 상위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제2 커넥터(352)를 이용해, 상위 PLC는 실시간으로 각 감지 장치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위 PLC는 각 감지 장치에 대해 온도 경고값 또는 온도 알람값 등의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5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연기 감지 출력 신호에 대해서는 이중화를 통해 화재 경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동작중(Running), 연기 감지1, 연기 감지2, 온도 경고, 온도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하우징부(190)에는 복수의 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부(190)의 외주면에는 리셋 버튼(193), 각종 설정 버튼(194)이 마련될 수 있다. 리셋 버튼(193)을 이용하면, 별도의 외부 결선없이 자체 리셋이 가능하다. 리셋 버튼(193) 알람 신호 또는 경고 신호로 인해 발생된 알람음 발생 등과 같은 각종 이벤트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설정 버튼(194)은 모드 버튼, 업 버튼, 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버튼(194)에 의해 내부 설정값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온도, 습도, 온도의 설정값 만족, 연기 감지, 공기질 측정과 같은 복수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다.
하우징부(190)에는 천장의 밑면에 체결되는 브라켓(307), 브라켓(307)에 착탈되는 몸체(309)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라켓(307)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309)는 원기둥 형상, 다각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309)부는 브라켓(307)을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7)에 대면되는 몸체(309)의 일면에는 브라켓(307)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08), 수용 공간(308)의 바닥면으로부터 브라켓(307)을 향해 돌출된 착탈 돌기(306)가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307)에는 착탈 돌기(306)가 삽입되는 착탈 구멍(304), 착탈 구멍(304)에 연속되게 형성된 캠 구조의 캠부(305)가 마련될 수 있다.
캠부(305)는 브라켓(307)에 대한 몸체(309)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천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착탈 돌기(306)를 밀어올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7)은 방향성을 갖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라켓(307)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307)은 원판 형상의 외주면 일측이 안쪽으로 함몰된, 다시 말해 일측이 찌그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향성을 갖는 비대칭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는 브라켓(307)의 정면이 어느 쪽인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비대칭 형상으로 인해 인지 가능한 브라켓(307)의 정면 하단에는 제1 정렬 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309)의 정면에는 디스플레이(151)가 설치되며, 몸체(309)의 정면 상단에는 제2 정렬 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착탈 돌기(306)와 착탈 구멍(304)은 제1 정렬 홈(311)과 제2 정렬 홈(312)이 서로 정렬되고 수용 공간(308)에 브라켓(307)이 삽입될 때,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렬 홈(311)에 제2 정렬 홈(312)이 정렬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308)에 맞춰 몸체(309)가 브라켓(307)에 끼워지면, 착탈 돌기(306)는 착탈 구멍(304)을 통과할 수 있다.
브라켓(307)에 대한 몸체(309)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착탈 돌기(306)는 캠부(305)를 따라 움직이면서 천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몸체(309)는 브라켓(307)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서 정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캠부(305)는 착탈 구멍(30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착탈 구멍(304)의 밑단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천장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착탈 구멍(304)으로부터 캠부(305)가 연장된 방향이 반대라면, 브라켓(307)에 몸체(309)를 결합시키는 정방향 회전은 시계 방향의 회전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브라켓(307)에 형성된 체결 구멍(303)을 이용해 천장에 브라켓(307)을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307)에는 복수의 체결 구멍(303)이 서로 다른 위치 마련될 수 있다.
천장에 나사 결합된 브라켓(307)은 비대칭 형상으로 인해 거시적으로 정면이 어디인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정면에 제1 정렬 홈(311)이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정렬 홈(311) 역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몸체(309)의 정면은 디스플레이(151)의 배치 부위에 해당되므로, 몸체(309)의 정면 역시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지될 수 있다. 이때, 몸체(309)의 정면에 형성된 제2 정렬 홈(312) 역시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정렬 홈(311)에 제2 정렬 홈(312)을 정렬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해 착탈 구멍(304)에 착탈 돌기(306)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307)의 중심 o 또는 몸체(309)의 중심 o를 기준으로 몸체(309)를 정방향으로 설정 각도 α만큼 회전시키면 착탈 구멍(304)을 통과한 착탈 돌기(306)는 캠부(30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천장을 향해 나아가고 조여질 수 있다. 브라켓(307)에 대한 착탈 돌기(306)의 조임은 곧 브라켓(307)에 대한 몸체(309)의 조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해당 조임에 의해 몸체(309)는 브라켓(307)에 밀착되고 결합될 수 있다.
제1 정렬 홈(311)과 제2 정렬 홈(312)은 각각 서로 대면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렬 홈(311)과 제2 정렬 홈(312)을 대신하여, 브라켓(307)과 몸체(309)에 인쇄된 표식이 이용되는 비교 실시예가 가능하다. 표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라지므로, 일정 시간 이후에는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브라켓(307)의 외주면과 몸체(309)의 외주면 각각에 형성된 돌기가 각 정렬 홈의 기능을 대신하는 비교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부(190)의 하측에서 사선으로 하우징부(190)를 바라보는 사용자가 해당 돌기들을 시각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제1 정렬 홈(311) 및 제2 정렬 홈(312)은 시간의 경과에도 상관없이 원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며, 시각상으로 쉽게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의 밑면 가운데에는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돌출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30)는 몸체(309)의 밑면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0)의 밑면 가운데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340),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부(340)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330)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흡입구(118)에 의해 둘러싸인 돌출부(330)의 내부에는 연기를 감지하는 감지부(310)가 설치될 수 있다.
평면상으로 온도 측정부(340) 또는 습도 측정부(340)는 감지부(310)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측정부(340) 또는 습도 측정부(340)는 유선 라인을 통해 표시부(150) 또는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해당 유선 라인은 감지부(310)에 간섭되지 않도록, 감지부(310)로부터 도피되는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측정부(340) 또는 습도 측정부(340)에 연결된 유선 라인은 돌출부(330)의 밑부분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후 흡입구(118)를 형성하는 잔기둥을 따라 연장되어 몸체(309)에 도달할 수 있다. 몸체(309)에 도달한 유선 라인은 표시부(150) 또는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의 외주면에는 정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151), 리셋 버튼(193), 제1 구멍 h1, 설정 버튼(194), 제2 구멍 h2, 커넥터가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는 천장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천장에 설치된 하우징부(190)에 마련된 입력부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
현장에서, 각 입력부를 구분해서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입력부 각각을 정확하게 누르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부(190)의 외주면에는 디스플레이(151)를 기준으로 식별과 조작이 용이하게 리셋 버튼(193), 설정 버튼(194), 커넥터가 배열될 수 있다.
리셋 버튼(193)은 신속하게 눌려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리셋 버튼(193)은 하우징부(190)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51)의 바로 옆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1)를 확인하는 위치에서 리셋 버튼(193)까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리셋 버튼(193)을 누를 때 주변의 다른 설정 버튼(194)을 누르지 않도록, 본 발명은 리셋 버튼(193)과 설정버튼 사이에 제1 구멍 h1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셋 버튼(193)을 누르려는 사용자는 리셋 버튼(193)에 대한 조작 조준이 빗나가더라도 설정 버튼(194)을 잘못 누름으로써 발생되는 각종 오류를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커넥터와 설정 버튼(194)의 사이에 제2 구멍 h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에 각종 단자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설정 버튼(194)이 잘못 눌려지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주변 버튼을 신경쓰지 않고 커넥터의 연결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소통되는 장공에 해당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서 슬릿은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 h1은 제1 길이 구간 내에 배열된 복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멍 h2는 제2 길이 구간 내에 배열된 복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멍 h1과 제2 구멍 h2는 서로 다른 각도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리셋 버튼(193) 및 설정 버튼(194)에 매칭되는 명칭 또는 식별 문구(198)는 하우징부(190)의 밑면에 표기될 수 있다. 해당 식별 문구(198)는 장기간 보존을 위해 하우징부(190)의 밑면에 양각 처리되는 것이 좋다.
제어부(140)는 연기가 감지되면, 제1 채널을 통해 연기의 감지 사실을 출력하는 동시에 제1 채널과 별개로 형성된 제2 채널을 통해서도 연기의 감지 사실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기의 감지 사실을 나타내는 동일한 데이터 복수개가 서로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로 확실하게 전파되거나 내외부에 배치된 각종 알람 수단(경고등, 알람벨)에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채널이 화재에 의해 오동작하더라도 나머지 채널을 통해 연기의 감지 사실이 안전하게 각종 타겟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34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40)는 화재 발생뿐만 아니라 화재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40)는 온도 측정부(340)를 통해 획득된 온도가 제1 설정값을 만족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온도 측정부(340)를 통해 측정한 온도가 제1 설정값보다 높은 제2 설정값을 만족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설정값은 아직 화재가 발생되지는 않았지만 화재의 발생이 예상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설정값은 60도~80도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제2 설정값은 화재가 발생된 상태로 추정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설정값은 90도~110도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경고 신호와 알람 신호는 서로 구분되는 신호로 표시 문구, 소리 볼륨에서 구별되게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에는 공급구(117), 배출구(119), 흡입구(118)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부(190)의 외주면에는 공급구,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멍 h1과 제2 구멍 h2 중 어느 하나가 공급구(117)에 해당되고, 나머지 하나가 배출구(119)에 해당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의 밑면에는 흡입구(118)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급구(117)를 통해 유입되고 하우징부(190)의 가운데를 거쳐 배출구(11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흡입구(118)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감지부(310)는 공기와 함께 흡입구(118)로 유입된 연기를 감지할 수 있다.
공급구(117)로부터 배출구(119)를 향해 움직이는 공기가 경유하는 하우징부(190)의 가운데에는 제어부(140)가 실장된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기판은 하우징부(190)의 가운데를 지나가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310)를 향해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제공하는 수단에 의해 유발되는 하우징부(190) 내부의 공기 흐름를 이용해 기판이 자연스럽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기가 강제가 흡입되어 감지부(310)에 제공되므로, 연기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 공기의 흡입을 요구하는 수단으로 공기 측정부(130)가 존재할 수 있다.
공기 측정부(13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의 흡입이 필요한 관점에서 감지부(310)와 공기 측정부(130)의 일부 기능이 중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측정부(130)는 연기의 감지를 위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감지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자연스럽게 전파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방식의 경우, 감지부(310)와 공기 측정부(130)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에 포함된 연기, 미세먼지 등의 파티클을 감지, 측정하기 위해 포집부가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는 공기를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연기의 감지 결과, 측정부(340)의 측정 결과를 중앙 관제실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이상 상황 발생시 알람 신호를 중앙 관제실 또는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설정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 연기 등의 파티클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설정 공간에 대해 직접 파티클이 모니터링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발광기, 수광기 등을 포함한 감지부(310) 또는 공기 측정부(130) 자체를 설정 공간의 대기에 노출시키면서 설치하는데에 많은 무리가 따른다. 지면에 대한 공기 측정부(130)의 지지, 공기 측정부(130)의 보호, 공기 측정부(130)의 오염 방지, 노이즈에 대한 공기 측정부(130)의 노출 방지 등이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공기 측정부(13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우징부(19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포집부는 하우징부(190)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하우징부(190) 내부에 배치된 감지부(310) 또는 공기 측정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포집부에 의해 감지부(310) 또는 공기 측정부(130)는 정상적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파티클의 감지가 가능해지고, 해당 감지 결과는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현재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현재 시각을 이용해 감지 결과를 시간에 매칭시켜 저장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포집부는 설정 장소(설정 공간)를 채우고 있는 공기의 일부를 끌어당겨 모을 수 있다. 일 예로, 포집부는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는 회전 날개 구조의 포집 팬(111), 임펠러, 포집 팬(111) 또는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 팬(111) 또는 임펠러는 하우징부(190) 주변의 공기를 하우징부(190) 내부의 유로 또는 저장 공간으로 포집할 수 있다.
포집부는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켜, 외부의 공기를 공기 측정부(130)에 대면되는 위치까지 포집하거나 운송할 수 있다.
공기 측정부(130) 또는 감지부(310)는 포집부에 의해 포집된 공기에 포함된 파티클을 감지할 수 있다. 공기 측정부(130)는 특정 위치에 형성된 검사 공간 S를 대상으로 파티클의 감지가 가능하게 설계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측정부(130)는 공기 중에 포함된 파티클을 감지하기 위해 레이저 조사기, 포토 다이오드, 광전 변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기에서 생성된 레이저는 레이저 조사기에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 공기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사기는 하우징부(190) 내에 형성된 공기의 유로를 통과하는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유로 내에서 파티클에 반사된 레이저에 의해 전기적인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포토 다이오드는 파티클에 반시된 레이저가 투영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가 투영된 포토 다이오드에서는 전기 신호가 생성되고, 해당 전기 신호는 곧 파티클의 존재를 나타내는 감지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감지 신호의 전압 레벨 등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밀도 등의 규격과 다를 수 있다. 광전 변환기는 포토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밀도 스케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 장치에는 밀도 스케일로 변환된 감지 신호를 실제의 밀도 단위로 캘리브레이션하는 제어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파티클의 감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150)는 파티클의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파티클 밀도, 티피컬 파티클 크기(typical particle size)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파티클의 감지 결과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감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에는 공기가 소통되는 유로를 주로 나타내었다.
하우징부(190) 내부에 배치된 공기 측정부(130)는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된 검사 공간 S에 존재하는 공기에 대해 파티클 감지가 가능하다.
하우징부(190)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하우징부(190) 내부의 검사 공간 S로 운반하기 위해 포집 팬(11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포집 팬(111)으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검사 공간 S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의 흡입을 위해 사용되는 포집 팬(111), 임펠러의 날개 구조에 따르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집 팬(111), 임펠러의 흡입력은 정현파 형상 또는 펄스 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포집 팬(111) 등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는 해당 흡입력에 비례적으로 변할 수 있다.
속도가 시시각각 변하는 공기에 포함된 파티클의 감지값은 정밀도, 정확도면에서 취약하기 쉽다.
공기의 속도를 최소화하거나 공기의 속도 변화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에는 흡입구(118), 배출구(119) 외에 공급구(117)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90)에는 공급구(117)와 배출구(119)를 연결하는 제1 유로 ①, 제1 유로 ①에 배치된 포집 팬(111)이 마련될 수 있다. 포집 팬(111)은 공급구(117)를 통해 외부의 공기(air)를 흡입해서 배출구(119)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하우징부(190)에는 제1 유로 ①의 가운데와 흡입구(118)를 연결하는 제2 유로 ②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 ①의 가운데는 공급구(117)에 연결된 제1 유로 ①의 단부보다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로 ①은 가운데의 단면적 또는 직경 L2가 말단의 단면적 또는 직경 L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급구(117)를 통해 제1 유로 ①의 단부로 입력된 공기는 제1 유로 ①의 가운데를 지나면서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포집 팬(111)에 의해 공급구(117)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119)를 향해 흐르고, 제1 유로 ①의 가운데를 지나면서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제1 유로 ①의 가운데는 압력이 낮아지고, 제2 유로 ②의 공기가 제1 유로 ①로 흡입될 수 있다. 제1 유로 ①로 흡입된 양만큼 외부의 공기가 흡입구(118)를 통해 제2 유로 ②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측정부(130)는 제2 유로 ②에 존재하는 공기에 포함된 파티클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 팬(111)의 불일정한 흡입력이 제2 유로 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흡입구(118)를 통해 제2 유로 ②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는 공기가 흐르는 관(199) 또는 연속되게 연장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감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노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노즐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노즐의 절단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P-P'의 절단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노즐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감지 장치에는 흡입구(118), 배출구(119), 공급구(117), 제3 유로 ③, 제4 유로 ④가 형성된 하우징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유로 또는 제4 유로는 공기가 흐르는 관 또는 연속되게 연장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로 ③은 흡입구(118)와 배출구(119)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유로 ④는 제3 유로 ③의 가운데와 공급구(117)를 연결할 수 있다.
포집부는 제4 유로 ④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포집 팬(111), 포집 팬(111)에 의해 흐르는 공기를 제3 유로 ③ 내부로 출력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14)은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마우스(mouth)(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에 의해 흡입부로부터 공기가 끌어당겨져 소통되는 개구부에 해당하는 제3 유로 ③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14)은 제3 유로 ③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폐곡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노즐(14)은 제4 유로 ④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공기를 마우스로 운반하기 위한 환 형의 내부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로는 제4 유로 ④로부터 유입된 공기 흐름을 개구부의 양쪽으로 각각 흐르는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14)은 마우스에 인접하게 형성된 내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는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노즐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우스에 대면되는 노즐의 내주면은 코안다 면(su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코안다 면으로 인해, 마우스로부터 공기가 방출되면 흡입구(11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3 유로 ③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측정부(130)(130)는 제3 유로 ③ 중에서, 흡입구(118)로부터 마우스까지의 구간에서 파티클을 감지할 수 있다.
노즐(14)은, 환형의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annular inner casing section)(202)에 연결되며 그 주위로 연장하는 환형의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annular outer casing section)(200)을 포함한다. 이들 섹션은 다수의 결합된 부품으로 각각 형성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 및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이 단일의 성형품(single moulded part)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은 노즐(14)의 중앙의 개구부(38)를 형성하고, 코안다 면(42), 디퓨저 면(44), 안내 면(46) 및 테이퍼 면(48)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외주면(external peripheral surface)(203)을 포함한다. 시각적으로 좀더 두드러진 테이퍼 면(tapered surface)(48)이, 안내 면(46)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개구부(38)의 중심축(X)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선단 면(tip surface)(50)에서 종단한다. 테이퍼 면(48)과 개구부(38)의 중심축(X)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대략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 및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은 함께, 즉 서로 협력하여 노즐(14)의 환형의 내부 통로(annular interior passage)(204)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부 통로(204)는 개구부(38)를 중심으로 해서 그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내부 통로(204)는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의 내면(206)과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의 내면(20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의 베이스는 애퍼처(210)를 포함한다.
공기가 흐르는 덕트(36)는 애퍼처(210) 내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plate)(300)의 형태로 된 상부 부재를 포함한다. 임의 선택적으로, 플레이트(300)는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과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 플레이트(300)는 원형의 애퍼처(302)를 포함하며, 이 원형의 애퍼처를 통해 일차 공기 흐름이 덕트(36)로부터 내부 통로(204)로 향한다. 커넥터(3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덕트(36)의 개방 상단부(170)를 통해 삽입되는 공기 관의 형태로 된 하부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 공기 관은 커넥터(37)의 상부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원형의 애퍼처(3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 덕트(36)의 안쪽 면과 공기 관의 바깥 면 사이에 기밀 밀봉을 형성해서 덕트(36)로부터 공기 관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의 밀봉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노즐(14)은 축(X)이 실질적으로 수평인 비경사 위치(untilted position)부터 완전 경사 위치(fully tilted position)까지 ±10°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14)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에 의해, 축(X)은 실질적으로 연직인 면을 따라 이동한다.
노즐(14)의 마우스(40)는 노즐(14)의 후방에 배치된다. 마우스(40)는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의 내면(206)과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의 내주면(203)의 각각의 중첩된 부분 또는 대면하는 부분(212, 214)에 의해 형성된다.
본 예에서, 마우스(40)는 실질적으로 환형이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14)을 통해 직경 방향으로 통과하는 선분을 따라 절취한 경우,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본 예에서,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의 내면(206)과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의 내주면(203)의 중첩된 부분(212, 214)은, 마우스(40)가 일차 공기 흐름을 코안다 면(42)의 위로 향하게 하도록 배치된 출구(outlet)(216)를 향해 테이퍼링된 형상으로 된다. 출구(216)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5mm 범위의 비교적 일정한 폭을 갖는 환형의 슬롯(annular slot)의 형태이다. 본 예에서, 출구(216)는 0.5mm 내지 1.5mm 범위의 폭을 갖는다.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의 내면(206)과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의 내주면(203)의 중첩된 부분(212, 214)을 강제로 분리시키고 출구(216)의 폭을 원하는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마우스(40)의 주위로 스페이서(spacer)를 간격을 두고 배치해도 된다. 이들 스페이서는 외측 하우징부(190) 섹션(200)의 내면(206) 또는 내측 하우징부(190) 섹션(202)의 내주면(203)과 일체로 해도 된다.
포집 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는 공급구를 통해 흡입되고, 덕트를 따라 흐르게 된다. 덕트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커넥터(37)를 통해 노즐(14)의 내부 통로(204)로 들어간다. 노즐(14) 내에서, 일차 공기 흐름은 노즐(14)의 중앙의 개구부(38)의 주위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는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할된다. 공기 흐름이 내부 통로(204)를 통과하면, 공기는 노즐(14)의 마우스(40)로 유입된다. 마우스(40)에 유입되는 공기 흐름은 노즐(14)의 개구부(38)의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균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마우스(40) 내에서, 공기 흐름의 흐름 방향은 실질적으로 정반대로 바뀌게 된다. 공기 흐름은 마우스(40)의 테이퍼 부분에 의해 협착(constrict)되고, 출구(216)를 통해 방출된다.
마우스(40)로부터 방출된 일차 공기 흐름은 노즐(14)의 코안다 면(42)의 위로 향하고, 외부 환경, 특히 마우스(40)의 출구(216)의 주위 영역 및 노즐(14)의 후방 부근으로부터의 공기를 동반(entrain)하는 것에 의해, 이차 공기 흐름(secondary air flow)을 생성한다. 이러한 이차 공기 흐름은 노즐(14)의 중앙의 개구부(38)를 통과하고, 여기서 일차 공기 흐름과 합해져서, 노즐(14)로부터 전방으로 분사되는 통합된 공기 흐름 또는 기류를 생성한다. 이차 공기 흐름의 소스는 흡입구 주변의 공기일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집 팬이 마련되지 않은 다른 통로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노즐(14)의 마우스(40)에 따른 일차 공기 흐름의 균일한 분포는 공기 흐름이 디퓨저 면(44)의 위를 균일하게 통과하는 것을 보장한다. 디퓨저 면(44)은 제어되는 확장 영역을 통해 공기 흐름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 흐름의 평균 속도를 감소시킨다. 개구부(38)의 중심축(X)에 대한 디퓨저 면(44)의 비교적 얕은 각도에 의해, 공기 흐름의 확장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공기 흐름의 확장이 완만해지므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속도 역시 완만해질 수 있다. 완만해진 공기의 흐름 속도는 감시 대상에 해당하는 설정 공간의 공기 흐름 속도를 추종할 수 있다.
디퓨저 면(44)을 넘어서 전방으로 분사된 공기 흐름은 계속 발산하는 경향을 갖는다. 개구부(38)의 중심축(X)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안내 면(46)의 존재가, 공기 흐름을 더 모아준다. 결과적으로, 공기 흐름은 노즐(14)로부터 효과적으로 멀리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4...노즐 36...덕트
37...커넥터 38...개구부
40...마우스 42...코안다 면
44...디퓨저 면 46...안내 면
48...테이퍼면 50...선단 면
117...공급구 118...흡입구
119...배출구 130...공기 측정부
140...제어부 150...표시부
151...디스플레이 153...발광 다이오드
160...인터페이스부 190...하우징부
193...리셋 버튼 194...설정 버튼
198...식별 문구 199...관
200...외측 하우징부 섹션 202...내측 하우징부 섹션
203...내주면 204...내부 통로
206...외측 하우징부 섹션의 내면
208...내측 하우징부 섹션의 내면
210...애퍼처 216...출구
300...플레이트 302...원형의 애퍼처
303...체결 구멍 304...착탈 구멍
305...캠부 306...착탈 돌기
307...브라켓 308...수용 공간
309...몸체 310...감지부
311...제1 정렬 홈 312...제2 정렬 홈
330...돌출부 340...측정부
350...커넥팅 수단 351...제1 커넥터
352...제2 커넥터

Claims (10)

  1. 천장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탑재되는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화재 발생을 의미하는 연기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연기가 감지되면 설정 이벤트를 실행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천장에 체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착탈되는 몸체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에 대면되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브라켓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해 돌출된 착탈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착탈 돌기가 삽입되는 착탈 구멍, 상기 착탈 구멍에 연속되게 형성된 캠부가 마련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몸체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천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착탈 돌기를 밀어올리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캠부는 상기 착탈 구멍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착탈 구멍의 말단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상기 천장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갖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방향성을 갖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대칭 형상으로 인해 인지 가능한 상기 브라켓의 정면 하단에는 제1 정렬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정면에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정면 상단에는 제2 정렬 홈이 형성되며,
    상기 착탈 돌기와 상기 착탈 구멍은 상기 제1 정렬 홈과 상기 제2 정렬 홈이 서로 정렬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브라켓이 삽입될 때,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 홈에 상기 제2 정렬 홈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에 맞춰 상기 몸체가 상기 브라켓에 끼워지면, 상기 착탈 돌기는 상기 착탈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몸체의 정방향에 회전에 의해 상기 착탈 돌기는 상기 캠부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천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감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밑면 가운데에는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밑면 가운데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흡입구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며,
    평면상으로 상기 온도 측정부 또는 상기 습도 측정부는 상기 감지부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에는 정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리셋 버튼, 제1 구멍, 설정 버튼, 제2 구멍, 커넥팅 수단이 순서대로 배열되고,
    상기 리셋 버튼 및 상기 설정 버튼에 매칭되는 명칭 또는 식별 문구는 상기 하우징부의 밑면에 표기되는 감지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천장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탑재되는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화재 발생을 의미하는 연기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연기가 감지되면 설정 이벤트를 실행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공급구, 배출구,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공급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출력하는 포집 팬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제1 유로의 가운데와 상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제2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유로의 가운데는 상기 공급구에 연결된 상기 제1 유로의 단부보다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도록 형성되고,
    포집 팬에 의해 상기 공급구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흐르고, 상기 제1 유로의 가운데를 지나면서 속도가 빨라지며,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상기 제2 유로의 공기가 상기 제1 유로로 흡입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제2 유로로 입력되고,
    상기 제2 유로에 존재하는 공기에 포함되고 화재 발생을 의미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공기 측정부가 마련된 감지 장치.
  8. 천장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탑재되는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화재 발생을 의미하는 연기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연기가 감지되면 설정 이벤트를 실행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흡입구, 배출구, 공급구, 제3 유로, 제4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제4 유로는 상기 제3 유로의 가운데와 상기 공급구를 연결하고,
    상기 제4 유로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포집 팬, 상기 포집 팬에 의해 흐르는 공기를 상기 제3 유로 내부로 출력하는 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노즐은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흡입구로부터 공기가 끌어당겨져 소통되는 개구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3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은 상기 제3 유로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폐곡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노즐은 상기 제4 유로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공기를 상기 마우스로 운반하기 위한 환 형의 내부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제4 유로로부터 유입된 공기 흐름을 상기 개구부의 양쪽으로 각각 흐르는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기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마우스에 인접하게 형성된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는 상기 노즐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노즐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하며,
    상기 노즐의 내주면은 코안다 면(surface)을 형성하고,
    상기 코안다 면으로 인해, 상기 마우스로부터 공기가 방출되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3 유로로 유입되며,
    상기 제3 유로 중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마우스까지의 구간에서, 화재 발생을 의미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공기 측정부가 마련된 감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에는 공급구,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밑면에는 흡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구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가운데를 거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흡입구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연기를 감지하며,
    상기 공급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해 움직이는 공기가 경유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가운데에는 상기 제어부가 실장된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부의 가운데를 지나가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감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상기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 측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 측정부는 연기의 감지를 위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감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감지 장치.
KR1020200061114A 2020-05-21 2020-05-21 열연 감지 장치 KR10247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14A KR102479592B1 (ko) 2020-05-21 2020-05-21 열연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114A KR102479592B1 (ko) 2020-05-21 2020-05-21 열연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170A KR20210144170A (ko) 2021-11-30
KR102479592B1 true KR102479592B1 (ko) 2022-12-19

Family

ID=7872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114A KR102479592B1 (ko) 2020-05-21 2020-05-21 열연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5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64B1 (ko) * 2015-11-18 2016-08-12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화재감지기
KR101852785B1 (ko) *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042006B1 (ko) * 2018-06-29 2019-11-07 최광일 다채널 온도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539B1 (ko) 2008-03-07 2010-09-27 지멘스신화주식회사 광전식 화재감지기
KR101102573B1 (ko) * 2010-03-23 2012-01-04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반사판을 구비한 광전식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 제어시스템
KR101567426B1 (ko) * 2014-01-15 2015-11-11 (주) 세스 연기 감지장치
KR20180104976A (ko) * 2017-03-1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용 후드
KR102349598B1 (ko) * 2017-10-19 2022-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대역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22894A (ko) * 2018-08-24 2020-03-04 한국전력공사 대상기기의 파손 감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64B1 (ko) * 2015-11-18 2016-08-12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화재감지기
KR101852785B1 (ko) * 2017-09-20 2018-06-07 ㈜아임시스템 실내 유해물질 및 안전사고 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042006B1 (ko) * 2018-06-29 2019-11-07 최광일 다채널 온도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170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313B2 (en)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JP4679019B2 (ja) 散乱光検出器
EP0698262B1 (en)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ing apparatus
WO2016116024A1 (zh) 带或不带采气管的点型主动感烟探测器及空气采样系统
AU200123142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TWI27082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lising a fire
US8743366B2 (en) Light emission portion, photoelectric smoke sensor, and suction-type smoke sensing system
US5420440A (en) Optical obscruation smoke monitor having a shunt flow path located between two access ports
CN105678948A (zh) 开放类型的散射光烟雾检测器、特别地具有侧视器led
JP6455470B2 (ja) 粒子センサ、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3031016A1 (ja) 吸引式煙感知システム
KR102479592B1 (ko) 열연 감지 장치
KR20100013083A (ko) 화재 감지기의 분진 제거장치
JP2013037426A (ja) 感知器
JP4981404B2 (ja) 粒子カウンタ式煙感知装置
KR102144973B1 (ko)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EP3945510A1 (en) Smoke detector with integrated sensing
US20230028619A1 (en) Chamberless wide area duct smoke detector
KR20200053821A (ko) 유니버셜 흡입형 센서 하우징
JP2020085662A (ja) 白濁排気ガス用の光散乱式ダスト濃度計
TWM426095U (en) Detecting apparatus for reducing contamination of air sampling detector
KR20230080231A (ko) 환기팬에 구비되는 연기 감지기
AU2006201261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JP2016017925A (ja) 粉塵漏洩監視システム
AU2008202548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e Detectors Particularly Ducted Smoke Det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