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287A -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 Google Patents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287A
KR20110091287A KR1020100011051A KR20100011051A KR20110091287A KR 20110091287 A KR20110091287 A KR 20110091287A KR 1020100011051 A KR1020100011051 A KR 1020100011051A KR 20100011051 A KR20100011051 A KR 20100011051A KR 20110091287 A KR20110091287 A KR 2011009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power
sensor
illuminan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550B1 (ko
Inventor
이영국
Original Assignee
이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국 filed Critical 이영국
Priority to KR102010001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5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변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된 비데몸체; 상기 비데몸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조도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부를 차단시키는 비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외부의 환경에 따라 적절한 전원공급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지능적으로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Bidet with intellectual power-saving func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비데의 절전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환경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사용자가 용변 후 세척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위를 세척하는 기능과, 건조 버튼을 누르면 세척부위에 묻어있는 잔존 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기능, 사용하지 않을 때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기모드 기능을 구비한다. 도1은 종래의 비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비데를 기능적으로 조작하는 비데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데(bidet)는 좌변기(A)에 설치되고, 비데몸체(20)의 일 측에 형성된 비데제어부(20)의 조작으로 가열된 온수를 노즐(40)을 통해 분사시켜 항문세정 및 국부세정 또는 마사지 세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세정 후에는 비데제어부(20)의 조작으로 온풍을 발생시켜 자동으로 건조를 수행한다.
비데제어부(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22), 전원공급부(24), 가열부(36), 비데제어부(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데제어부(38)는 사용자입력부(22)를 통해 입력된 기능을 수행하고 사전에 미리 저장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비데제어부(38)는 노즐(40)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가열부(36)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정한다. 그리고 비데제어부(38)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비데제어부(38)는 사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입력부(22)를 통해 어떠한 입력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공급부(24)로부터 비데몸체(20) 및 가열부(36)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비데제어부(20)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비데몸체(20) 및 가열부(36) 등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비데의 비데제어부(20)는, 비데제어부(38)가 위에서 언급한 전원 절약모드로 동작하더라도, 비데의 사용이 없는 경우, 전력소모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보다 구체적인 수단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데가 이용되지 않는 환경을 좀더 면밀하게 분석하여 각 환경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절전이 가능한 비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좌변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좌변기에 설치된 비데몸체; 상기 비데몸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조도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부를 차단시키는 비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조도 및 기준 소등시간의 값들 각각이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값에 의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 조도 및 기준 소등시간의 값의 설정은 상기 감지된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값을 사전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대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비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전에 일정 기간 동안 조사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들을 통계화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조도 및 기준 소등시간의 값의 설정은 상기 감지된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값을 사전에 저장된 상관 관계식에 대입하여 산출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관 관계식은 비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전에 일정 기간 동안 조사되어 통계화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전에 정해진 수학적 이론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화시켜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모듈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상기 전원제어모듈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모듈이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것을 전부 제한하는 절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제어모듈이 상기 절전회로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비데는, 상기 비데몸체의 시트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착좌시 상기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착좌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데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부를 차단시키는 절전모드동작모듈과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큰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일부를 차단시키는 대기모드동작모듈과 상기 대기모드동작모듈이 동작하는 중에 상기 착좌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모든 전원을 연결시키는 사용모드동작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는 센서부, 착좌센서부를 이용하여 외부의 환경 및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전원공급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지능적으로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비데가 좌변기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2는 종래 비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가 좌변기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제어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가 좌변기에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몸체(110), 센서부(120), 착좌센서부(130), 전원공급부(140), 가열부(160), 사용자입력부(150), 비데제어부(17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100)는 외부의 조명의 밝기, 온도, 습도 등의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120)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좌센서부(130)를 이용하여 외부의 환경 및 사용여부에 따라 비데(100)에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도록 동작한다.
비데몸체(110)는 좌변기(A)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사용자 착좌시의 압력을 지탱하는 시트(112)를 구비한다. 착좌센서부(130)는 시트(112)의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착좌시 시트(112)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비데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여기서, 착좌센서부(130)는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진 경우 비데제어부(170)에 착좌를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센서부(1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센서(122), 온도센서(124), 습도센서(126)로 이루어진다. 포토센서(122)는 비데몸체(110)가 설치된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비데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이러한 포토센서(122)는 비데몸체(110)의 주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감지된 빛의 세기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비데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온도센서(124)는 비데 주변의 온도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비데제어부(170)로 전달하며, 습도센서(126)는 비데 주변의 습도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비데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토센서(122), 온도센서(124), 습도센서(126)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50)와 동일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온오프 스위치 형태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제어부(170)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비데제어부(170)의 동작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수동조작이 가능하다.
전원공급부(14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모듈(142)과 전원공급모듈(144)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제어모듈(142)은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절전회로와 외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공급모듈(144)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변환회로와 비데(1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40)의 구성은 관용의 기술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40)는 비데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절전모드, 대기모드, 사용모드로 동작한다.
비데제어부(17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전모드동작모듈(172), 대기모드동작모듈(174), 사용모드동작모듈(176)를 구비한다. 이러한 모듈들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비데제어부(170)는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된 조도, 온도, 습도 등의 감지신호를 분석한다. 그리고 비데제어부(170)는 이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비데(100)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부를 차단시키는 절전모드동작모듈(172), 공급되는 전원의 일부를 차단시키는 대기모드동작모듈(174), 비데(100)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부를 연결시키는 사용모드동작모듈(176)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비데제어부(170)는 이 선택된 동작모듈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전원공급부(140)의 전원제어모듈(142)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각 동작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절전모드동작모듈(172)은 포토센서(122), 온도센서(124), 습도센서(126)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들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비데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 놓여있는 경우, 전원공급부(140) 자체의 절전회로를 동작시킴으로써 전원공급부(140)로부터 비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비데제어부(170)는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빛의 세기를 사전에 정해지는 기준 조도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기준 조도값 이하인 상태가 사전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를 경과하여 유지되는지 판단하고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데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40)가 절전회로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 조도값은 온도센서(124) 및 습도센서(126)로부터 감지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정한다. 이 룩업 테이블은 비데가 설치된 빌딩에 대하여 사전에 조사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계학적 분석에 의해 소등 상태의 판단 기준으로 거의 정확한 조도값이 정해진다. 그리고, 기준 소등시간도 감지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미리 만들어진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기준 조도값 및 기준 소등시간의 설정기준이 되는 룩업 테이블은 비데(100)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일정 기간 수행되어 얻어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데이터들을 통계화하여 만들 수 있다. 또한, 기준 조도값 및 기준 소등시간값은 온도센서(124) 및 습도센서(126)로부터 감지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상관 관계식에 대입하여 산출하는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관 관계식을 추출하기 위해서도 위의 룩업 테이블을 만드는 것과 동일하게 비데(100)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일정 기간 수행되어 얻어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데이터들을 이용한다. 상관 관계식은 이렇게 얻어진 데이터들을 통계화하여 온도 및 습도에 대응하는 기준 조도값 및 기준 소등시간값 사이에 존재하는 규칙을 발견하여 수식화 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식화는 종래의 미적분에 기초한 수학적 이론 뿐만 아니라 퍼지 및 카오스와 같은 이론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수학적 이론들은 이미 제어알고리즘으로 상용화된 기술로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비데(100)는 비데(100)가 설치된 장소가 소등된 채 장시간 사용되지 않은 경우, 비데(100)에 공급되는 전원 자체를 전원공급부(140) 단계에서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센서부(12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와 비데제어부(170)에 미리 저장된 룩업 테이블를 이용하여 비데(100)가 장시간 비사용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 비데(100)에 소요되는 전력을 자동적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데(100)는 기준 조도값을 설정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과 기준 소등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이 비데(100)가 설치된 건물, 환경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되기 때문에 비데(100)의 설치 환경 및 사용 실태에 따른 지능적 절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4에 도시된 비데제어부(170)의 대기모드동작모듈(174)에 대해 설명한다. 대기모드동작모듈(174)은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들과 착좌센서부(13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비데(100)에 일정 대기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140)가 전술한 비데제어부(170)의 절전모드동작모듈(172)에 의해 절전모드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 비데제어부(170)의 대기모드동작모듈(174)은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빛의 세기가 기준 조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한다. 그리고, 비데제어부(170)는 감지된 빛의 세기가 기준 조도값을 초과한 경우 전원공급부(140)가 비데(100)의 일부 구성에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140)의 전원제어모듈(142)은 전원공급모듈(144)의 출력단자 일부를 차단하고 비데(100)의 일부 구성에만 전원을 공급시킨다.
이하에서는 도4에 도시된 비데제어부(170)의 사용모드동작모듈(176)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모드동작모듈(176)은 센서부(120)로부터 착좌센서부(13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비데(100)의 전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140)가 전술한 비데제어부(170)의 대기모드동작모듈(174)에 의해 대기모드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 비데제어부(170)의 사용모드동작모듈(176)은 착좌센서부(130)에 의해 비데몸체(110)의 시트(112)에 사용자가 착좌하는 지 판단한다. 그리고, 비데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착좌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원공급부(140)가 비데(100)의 전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140)의 전원제어모듈(142)은 전원공급모듈(144)의 출력단자 전부를 연결하여 비데(100)의 전 구성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도 5을 참조하여 전술한 비데제어부(170)의 절전모드동작모듈(172)과 대기모드동작모듈(174)과 사용모드동작모듈(176)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데제어부(170)가 절전모드동작모듈(172)에 의해 절전모드로 동작한 상태(S510)에서,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빛의 세기가 기준 조도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기준 조도값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데제어부(170)는 대기모드동작모듈(174)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부(140)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530). 반면, S520단계 판단결과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데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140)를 절전모드로 동작시킨다(S510).
다음, 비데제어부(170)는 착좌센서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착좌여부를 판단한다(S540), 판단 결과, 착좌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비데제어부(170)는 사용모드동작모듈(176)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부(140)가 사용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550). 즉, 비데제어부(170)는 가열부(160) 등의 비데의 모든 구성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00)는 센서부(120), 착좌센서부(130)를 이용하여 외부의 환경 및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전원공급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외부환경에 대응하여 지능적으로 전원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110: 비데몸체 120: 센서부
130: 착좌센서부 140: 전원공급부
150: 사용자입력부 160: 가열부
170: 비데제어부 172: 절전모드동작모듈
174: 대기모드동작모듈 176: 사용모드동작모듈

Claims (9)

  1. 좌변기에 설치된 비데몸체;
    상기 비데몸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조도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부를 차단시키는 비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조도 및 기준 소등시간의 값들 각각이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값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도 및 기준 소등시간의 값의 설정은 상기 감지된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값을 사전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대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비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비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전에 일정 기간 동안 조사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들을 통계화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도 및 기준 소등시간의 값의 설정은 상기 감지된 외부의 온도 및 습도의 값을 사전에 저장된 상관 관계식에 대입하여 산출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비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관계식은 비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전에 일정 기간 동안 조사되어 통계화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전에 정해진 수학적 이론을 사용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화시켜 외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모듈이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상기 전원제어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모듈이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는 것을 전부 제한하는 절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제어모듈이 상기 절전회로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는, 상기 비데몸체의 시트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착좌시 상기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착좌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데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작은 상태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 소등시간을 경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부를 차단시키는 절전모드동작모듈과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의 조도가 사전 정해진 기준 조도에 비해 큰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일부를 차단시키는 대기모드동작모듈과 상기 대기모드동작모듈이 동작하는 중에 상기 착좌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외부에 모든 전원을 연결시키는 사용모드동작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KR1020100011051A 2010-02-05 2010-02-05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KR10118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51A KR101181550B1 (ko) 2010-02-05 2010-02-05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51A KR101181550B1 (ko) 2010-02-05 2010-02-05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87A true KR20110091287A (ko) 2011-08-11
KR101181550B1 KR101181550B1 (ko) 2012-09-10

Family

ID=4492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051A KR101181550B1 (ko) 2010-02-05 2010-02-05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19A1 (ko) * 2014-06-19 2015-12-23 코웨이 주식회사 내부 건조 기능을 갖는 비데 및 비데 내부 건조 방법
JP2017066651A (ja) * 2015-09-29 2017-04-06 Toto株式会社 水回り機器、リモコン装置、及びトイ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133A (ja) 1998-10-12 2000-04-25 Toto Ltd 便器装置
JP2001128896A (ja) * 1999-11-01 2001-05-15 Inax Corp 便器設備
JP2007162333A (ja) * 2005-12-14 2007-06-28 Aisin Seiki Co Ltd 便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819A1 (ko) * 2014-06-19 2015-12-23 코웨이 주식회사 내부 건조 기능을 갖는 비데 및 비데 내부 건조 방법
JP2017066651A (ja) * 2015-09-29 2017-04-06 Toto株式会社 水回り機器、リモコン装置、及びトイ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550B1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2438B (zh) 油烟机及其控制方法
KR200424506Y1 (ko) 온수세정기의 변좌커버를 이용한 절전장치
KR101181550B1 (ko) 지능형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KR20170020401A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KR101301299B1 (ko)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JP2011117150A (ja) トイレシステム
KR20160126508A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532591B1 (ko) 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61565B1 (ko) 대기전력차단 조명제어시스템
KR101508534B1 (ko) 화장실 조명 장치 및 방법
JP2002177165A (ja) 手乾燥装置
JP3842242B2 (ja) ビデの節電制御方法
JP7331409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トイレシステム
KR101736480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KR102335409B1 (ko)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10285838A (ja) 衛生洗浄装置システム
JP2003268844A (ja) トイレ電装品の制御方法
KR101266809B1 (ko) 절전 기능을 개선한 위생용품의 시스템
JP4300568B2 (ja) 温水洗浄便座システム
KR101242621B1 (ko)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JP3803498B2 (ja) 衛生洗浄装置の負荷制御装置
KR101288518B1 (ko) 주위 환경에 대응하는 용수 온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위생용품의 시스템
JP3038530B2 (ja) 温水洗浄便座の温度制御方法
KR200281272Y1 (ko) 광센서와 지연 타이머를 이용한 화장실 배기장치
KR20210128657A (ko) 욕실의 환기팬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