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621B1 -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621B1
KR101242621B1 KR1020110020468A KR20110020468A KR101242621B1 KR 101242621 B1 KR101242621 B1 KR 101242621B1 KR 1020110020468 A KR1020110020468 A KR 1020110020468A KR 20110020468 A KR20110020468 A KR 20110020468A KR 101242621 B1 KR101242621 B1 KR 10124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power
user
toilet seat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361A (ko
Inventor
황한욱
정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1002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6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변좌와, 상기 변좌에 설치되어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는 히팅부재 및 조작부가 구비되는 비데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을 감지하는 입실감지센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입실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을 때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변좌가 대기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히팅부재에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
비데의 사용이 감지될 때 상기 히팅부재로 메인전력(AC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변좌를 메인온도로 신속히 가열하며, 비데의 사용이 중지될 때 상기 메인전력(AC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입실이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수신부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Description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Electric power control device of bidet and method}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AC전력 공급을 차단시켜 대기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요인을 줄일 수 있는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세정 변좌를 일컫는 것으로 호텔, 여관 등의 숙박업소는 물론 일반 가정 내 배변 설비인 좌변기에 설치되어 용변 후 적정 수압의 세정 수로 항문 및 그 주변을 세정함으로써,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뒷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일종의 위생 설비이다.
이와 같은 비데는, 세정 수를 공급받아 일정 온도로 가열/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세정 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을 전후로 동작시키는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노즐 청소 버튼이 조작부나 리모컨에 있어 사용 전후의 자가 세척기능과는 별도로 노즐을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자가 청소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비데는 사용하지 않을 때 변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데 불필요한 전력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대기시 소비전력을 줄이는 노력으로 대기시 1W 이하로 제품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종래의 비데는 여전히 대기시에 일정한 소비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어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데의 대시기부터 AC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만 AC전력을 소비하는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AC전력 공급을 차단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이 확인되는 시점에 별도의 충전배터리를 이용해 예열 과정을 진행한 후에,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AC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요인을 줄일 수 있는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변좌와, 상기 변좌에 설치되어 목표온도까지 가열하는 히팅부재 및 조작부가 구비되는 비데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을 감지하는 입실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입실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을 때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변좌가 대기온도로 가열되도록 상기 히팅부재에 대기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와, 비데의 사용이 감지될 때 상기 히팅부재로 메인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변좌를 메인온도로 신속히 가열하며, 비데의 사용이 중지될 때 상기 메인전력을 차단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입실이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수신부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배터리는, 상기 히팅부재의 메인전력이 공급될 때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좌에는,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착좌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 또는 상기 착좌센서의 착좌 감지신호를 인가받을 때 상기 히팅부재에 메인전력을 공급하며, 사용자의 착좌 이탈이 감지될 때 상기 메인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는,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리모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충전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충전배터리의 대기전력은, 상기 대기온도가 상기 메인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메인전력보다 낮은 전력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비데의 대기상태가 기설정되며,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중지될 때 상기 대기상태로 되돌려둘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은, 수신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입실감지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 여부를 감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이 감지될 때 변좌에 설치된 히팅부재로 충전배터리가 대기전력을 공급시켜 상기 변좌를 제어부에 기설정된 대기온도로 유지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감지될 때 상기 히팅부재로 메인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변좌를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메인온도에 신속히 도달하도록 급속 가열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중지될 때 상기 메인전력을 차단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는, 비데의 본체에 설치되는 조작부의 조작신호 또는 비데의 변좌에 설치되는 착좌센서의 착좌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히팅부재로 메인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대기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로 입실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수신부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는,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중지될 때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메인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이 확인되는 시점에 별도의 충전배터리를 이용해 예열 과정을 진행한 후에,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AC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데가 변좌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들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는, 변기(10)에 설치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설치되는 변좌(22)와, 상기 변좌(22)에 설치되어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는 히팅부재(24) 및 조작부(23)가 구비되는 비데(20)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을 감지하는 입실감지센서(100)와, 상기 본체(21)에 설치되며, 상기 입실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을 때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수신부(200)와, 상기 수신부(200)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변좌(22)가 대기온도로 가열되도록 히팅부재(24)에 대기전력(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300)와, 비데(20)의 사용이 감지될 때 상기 히팅부재(24)로 메인전력(AC 전원)을 공급하여 변좌(22)를 메인온도(목표 온도)로 신속히 가열하여 난방을 하며, 비데(20)의 사용이 중지될 때 메인전력(AC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입실이 감지되지 않을 때 수신부(200)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로 메인전력(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00)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비데(20)의 변좌(22)에는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좌센서(2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체(21)에 설치되는 적외선센서나 변좌(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입실감지센서(100)는, 사용자가 화장실로 입실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비데(20)의 본체(21)에 설치된 수신부(20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주기적으로 감지신호를 본체(21)에 설치된 수신부(200)로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입실감지센서(100)는, 화장실 도어의 외측 및 내측 또는 변기나 비데(20)의 본체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실감지센서(100)는 적외선센서나 광센서 또는 도어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동작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배터리(300)는, 사용자가 화장실로 입실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하기 이전(대기상태)에 변좌(22)를 예열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리튬 전지 등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배터리(300)는 히팅부재(24)에 메인전력(AC 전원)이 공급될 때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비데(20)를 사용할 때 소비되는 전력을 이용해 충전배터리(30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작부(23)는, 비데(20)의 온수세정, 건조, 탈취 등의 기능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 버튼과 정보 표시부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부(23)를 조작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로 조작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조작신호 인가시 제어부(400)는 변좌(22)를 순간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전원부(500)로부터 히팅부재(24)로 메인전력(AC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비데(20)의 변좌(22)는 대기온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급속 가열되면서 목표하는 메인온도로 올라가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변좌(22)에서 이탈할 때 착좌센서(25)가 사용자의 이탈을 감지하여 착좌 이탈신호를 제어부(400)로 인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전원부(500)로부터 전달되는 메인전력(AC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변좌(22)에 설치된 착좌센서(25)를 이용해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착좌센서(25)가 사용자의 변좌(22) 착좌를 감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변좌(22) 이탈을 모두 감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조작부(23)에는 사용자가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리모컨(23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리모컨(23a)의 기능 조작 버튼을 누를 때 조작신호가 수신부(200)를 통해 제어부(400)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00)는, 인체감지센서(100)로부터 사용자의 입실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오프(OFF) 상태로 대기하게 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100)로부터 입실 감지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200)는 충전배터리(300)의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부(200)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신호가 제어부(400)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충전배터리(300)를 사용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충전배터리(300)는 히팅부재(24)로 대기전력(보조 전원)을 인가하여 변좌(22)가 일정한 대기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충전배터리(300)의 대기전력(보조 전원)은 대기온도가 메인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메인전력(AC 전원)보다 낮은 전력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충전배터리(300)의 대기전력(보조 전원)은 변좌(22)를 예열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저전력을 이용해 메인온도보다 낮게 유지되는 것이다.
제어부(400)는, 조작부(23)의 조작신호 또는 상기 착좌센서(25)의 착좌 감지신호를 인가받을 때 히팅부재(24)로 메인전력(AC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변좌(22) 이탈이 이탈이 감지될 때 메인전력(AC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비데(20)를 사용할 때에만 메인전력(AC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비데(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메인전력(AC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에는 비데(20)의 대기상태가 기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기설정되는 대기상태는 사용자의 변좌(22) 이탈이 감지되는 경우에, 비데를 초기의 대기상태로 되돌려주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하다가 변좌(22)에서 이탈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노즐의 세정수 분사 동작, 건조 동작, 탈취동작 등이 중지됨과 동시에 초기 대기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비데(20)의 대기전력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먼저, 제1단계(S100)는 수신부(200)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입실감지센서(100)를 이용해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 여부를 감시하기 위함으로, 사용자가 화장실의 도어를 열고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사용자가 도어를 여는 동작을 감지하여 수신부(200)로 입실 감지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제2단계(S200)는 제1단계(S100)에서 입실감지센서(100)가 사용자의 입실을 감지하여 수신부(200)로 입실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변좌(22)를 대기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이 감지되는 경우, 충전배터리(300)가 변좌(22)에 설치된 히팅부재(24)로 대기전력(보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변좌(22)의 온도를 제어부(400)에 기설정된 대기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3단계(S300)는 제어부(400)로부터 사용자의 비데(20) 사용이 감지될 때 상기 히팅부재(24)로 메인전력(AC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변좌(22)를 상기 제어부(400)에 기설정된 메인온도에 신속히 도달하도록 급속 가열하여 난방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S300)는 비데(20)의 본체(21)에 설치되는 조작부(23)의 조작신호 또는 비데(20)의 변좌(22)에 설치되는 착좌센서(25)의 착좌 감지신호를 제어부(400)에 인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사용자가 변좌(22)에 착좌하거나 조작부(23)를 조작하는 신호가 제어부(400)로 전달될 때 사용자가 비데(20)를 사용하는 것으로 감지하여 메인전력(AC 전원)을 히팅부재(24)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단계(S300)는 히팅부재(24)로 메인전력(AC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충전배터리(300)가 충전되며, 상기 충전배터리(300)는 충전이 이루어진 상태로 대기하다가 제2단계(S200)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 대기전력(보조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제4단계(S400)는 제어부(400)로부터 사용자의 비데(20) 사용이 중지될 때 상기 메인전력(AC 전원)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S400)는 대기전력(보조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신부(200)로 입실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 수신부(200)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단계(S400)는 사용자의 비데(20) 사용이 중지될 때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며, 상기 카운트가 완료되는 경우에 메인전력(AC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변좌(22)에서 이탈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 본체의 구성들로 전달되는 메인전력(AC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로 입실하는 경우에는 저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배터리만을 사용하여 변좌(22)를 메인온도로 가열하기 이전의 대기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이 확인되는 시점에 별도의 충전배터리(300)를 이용해 예열 과정을 진행한 후에,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AC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 효율을 극대화하고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변기 20: 비데
21: 본체 22: 변좌
23: 조작부 23a: 리모컨
24: 히팅부재 25: 착좌센서
100: 입실감지센서 200: 수신부
300: 충전배터리 400: 제어부
500: 전원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수신부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입실감지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 여부를 감시하는 제1단계; 상기 수신부로부터 사용자의 화장실 입실이 감지될 때 변좌에 설치된 히팅부재로 충전배터리가 대기전력을 공급시켜 상기 변좌를 제어부에 기설정된 대기온도로 유지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감지될 때 상기 히팅부재로 메인전력(AC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변좌를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메인온도에 신속히 도달하도록 급속 가열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중지될 때 상기 메인전력(AC 전원)을 차단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비데의 본체에 설치되는 조작부의 조작신호 또는 비데의 변좌에 설치되는 착좌센서의 착좌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히팅부재로 메인전력(AC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대기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로 입실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수신부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사용자의 비데 사용이 중지될 때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메인전력(AC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KR1020110020468A 2011-03-08 2011-03-08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KR10124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468A KR101242621B1 (ko) 2011-03-08 2011-03-08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468A KR101242621B1 (ko) 2011-03-08 2011-03-08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361A KR20120102361A (ko) 2012-09-18
KR101242621B1 true KR101242621B1 (ko) 2013-03-19

Family

ID=4711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468A KR101242621B1 (ko) 2011-03-08 2011-03-08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742B (zh) * 2016-12-26 2019-04-12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无尾智能坐便器及其冲洗水加热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33U (ja) * 1997-04-18 1997-10-31 東陶機器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JPH11244199A (ja) * 1998-03-03 1999-09-14 Inax Corp 便座暖房装置
JP2002102115A (ja) 2000-09-28 2002-04-09 Aisin Seiki Co Ltd 便座暖房装置
JP2004285732A (ja) 2003-03-24 2004-10-14 Toto Ltd 温水洗浄便座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33U (ja) * 1997-04-18 1997-10-31 東陶機器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JPH11244199A (ja) * 1998-03-03 1999-09-14 Inax Corp 便座暖房装置
JP2002102115A (ja) 2000-09-28 2002-04-09 Aisin Seiki Co Ltd 便座暖房装置
JP2004285732A (ja) 2003-03-24 2004-10-14 Toto Ltd 温水洗浄便座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361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1665B2 (ja) ビデの便座温度制御方法
KR101649836B1 (ko) 전력 제어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기
CN103207020B (zh) 卫生间用人体检测装置及具备该装置的卫生清洗便座装置
KR101242621B1 (ko) 비데의 대기전력 제어방법
JP2011117150A (ja) トイレシステム
US9411328B2 (en) Remote control device
KR20160104955A (ko) 자동 손 세척장치
JP7025686B2 (ja) リモコン及びトイレ装置
JP2020120162A (ja) 便座装置遠隔操作プログラム及び便座装置
JP5104384B2 (ja) リモコン及びトイレ設備
JP6394029B2 (ja) リモコン装置
JP2004308264A (ja) 衛生洗浄装置
KR101701126B1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1188190A (ja) リモコンユニット
JP2021069437A (ja) 洗面化粧台及び洗面空間システム
JP2023032788A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32787A (ja) 遠隔操作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トイレ装置
JP2006274710A (ja) 洗浄装置
JP2004344362A (ja) シャワールーム
CN203634076U (zh) 多功能智能控制座便器盖板
US20230257981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erilizing and cleaning inside toilet bowl under bidet seat
JP2017179831A (ja) 衛生洗浄装置
JP2016204902A (ja) 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
JP4097269B2 (ja) ミスト式浴室暖房装置及び温風暖房乾燥機並びに浴室暖房乾燥システム
JP2023131405A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トイレ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