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299B1 -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99B1
KR101301299B1 KR1020110070209A KR20110070209A KR101301299B1 KR 101301299 B1 KR101301299 B1 KR 101301299B1 KR 1020110070209 A KR1020110070209 A KR 1020110070209A KR 20110070209 A KR20110070209 A KR 20110070209A KR 101301299 B1 KR101301299 B1 KR 10130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nsing signal
water supply
supply valve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251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타
Priority to KR102011007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2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이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센싱하여 주방의 싱크대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에서 물이 나오는 시간을 짧게 하거나 또는 장시간 나오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은,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수전과 연결된 급수밸브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세팅된 시간 동안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급수밸브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감지센서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급수밸브를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세팅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어를 한 후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Control method to open and close water supply valve for the tap and foot sensor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이 정해진 위치에 오면 이를 센싱하여 주방의 싱크대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에서 물이 나오는 시간을 짧게 하거나 또는 장시간 나오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는 급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 시설은 냉수와 온수가 각각 공급되어 혼합되며 물의 배출 양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 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센서 스위치 그리고 급수밸브에서 나오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수도꼭지를 포함한다.
종래의 센서 스위치는 사용자가 센서 스위치 근처에 손을 대면 이를 감지하여 급수밸브를 오픈하거나 또는 클로우즈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급수시설은 사용상에 편리함이 있으나,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센서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설거지 등과 같이 손을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센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데 여전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76493호에는 사용자가 발로 터치하여 스위치를 개폐하는 씽크대의 족답개폐식 급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누르거나 조작하여 급수장치를 개폐하는 기술로 여전히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12689호에는 수도전의 자동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부 특2003-0012689호에 개시된 기술 역시 발판 스위치를 발로 눌러 작동하는 기술로 사용자가 발판 스위치를 조작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급수장치는 급수밸브를 오픈시키거나 또는 클로우즈시키는 동작만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초 이내로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장시간 동안 물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급수밸브를 원하는 작동 상태로 사용자가 반복적인 스위치 작동 동작을 행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초 또는 수분 동안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급수밸브를 작동시키며, 이러한 급수 밸브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것은 물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수전과 연결된 급수밸브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후에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세팅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어를 한 후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조명을 점등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조명을 점등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조명 및 제2 조명을 소등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팅된 시간은 1-10초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시간을 로딩하는 타이머 설정값 로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짝을 이루는 복수의 세트로 이루어져 정해진 위치에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의 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조명,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어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한 풋스위치 센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풋스위치 센서 장치는 주방 등에서 사용되는 싱크대 정면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어부가 감지센서의 1차 센싱신호 및 2차 센싱신호를 입력받은 후에 급수밸브를 오픈시키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밸브가 오픈된 후에 수초의 세팅된 시간이 경과하면 급수밸브가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되고, 세팅된 시간 내에 3차 센싱신호를 받으면 지속적으로 급수밸브가 오픈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되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물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에 의해 장시간 동안 물을 사용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밸브의 작동하는 동작이 사용자의 발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풋센서 스위치 장치의 적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풋센서 스위치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풋센서 스위치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풋센서 스위치 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풋센서 스위치 장치의 작동 방법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풋센서 스위치 장치가 적용되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며 싱크대(1)에 설치된 수도꼭지 어셈블리(3), 수도꼭지 어셈블리(3)에 냉수, 온수, 또는 냉온수가 혼합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밸브(5), 급수 밸브(5)를 제어하는 풋센서 스위치 장치(7)를 도시하고 있다.
수도꼭지 어셈블리(3)는 물을 배출시키는 샤워기 헤드(9), 냉수와 온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도꼭지 어셈블리(3)가 샤워기 헤드(9)를 포함한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레버(11)와 물이 배출되는 부분이 동일한 몸체에 설치된 통상적인 수도꼭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 수도꼭지 어셈블리(3)를 수도꼭지라고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급수 밸브(5)는 발의 위치를 센싱하는 풋센서 스위치 장치(7)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풋센서 스위치 장치(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주방 등의 싱크대(1)의 정면 하부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풋센서 스위치 장치(7)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구성도로, 입력요소로 감지센서(13), 타이머(15), 제어요소로 제어부(17), 그리고 제어대상요소로 제1 조명(19), 제2 조명(21), 급수밸브(5)를 도시하고 있다.
감지센서(13)는 사용자의 발이 정해진 위치에 오면 온 상태로 인식하여 물체가 있음을 센싱할 수 있다. 감지센서(13)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짝을 이루는 복수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센서(13a)와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적외선 센서(13a)는 사용자가 풋센서 스위치장치(7)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면 이를 센싱할 수 있으며, 열감지 센서(13b)는 사용자가 풋스위치 장치(7)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면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사용자로 인식하는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13)로 적외선 센서(13a)와 열감지 센서(13b)가 함께 설치되어 감지센서(13)의 센싱 정도를 높일 수 있어 감지센서(13)의 작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조명(19) 및 상기 제2 조명(21)은 발광다이오드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풋센서 스위치 장치(7)로 급수밸브(5)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4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풋센서 스위치 장치(7)를 제작할 때 제작자는 타이머(15)의 시간을 세틴한다. 타이머(15)에 세팅하는 시간은 물을 순간적으로 사용하는데 적당한 시간 예를 들면 1-10초의 범위이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초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15)의 시간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물을 순간적으로 사용하는데 최적의 시간을 정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7)는 타이머에 세팅된 시간을 로딩한다(S1). 이때 감지센서(13)는 사용자의 발이 정해진 위치에 오는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을 사용하기 위해 정해진 위치에 발을 이동시키면 감지센서(13)가 사용자의 발을 물체로 인식하여 센싱한다.
감지센서(13)가 센싱한 1차 센싱신호를 제어부(17)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7)는 감지센서(13)로부터 1차 센싱신호(오픈준비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
제어부(17)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제1 조명을 점등하고(S5), 급수밸브(5)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한다(S7). 즉, 제어부(17)는 감지센서(13)로부터 전송받은 1차 센싱신호에 의해서는 급수밸브(5)를 오픈상태로 제어하지 않고 앞으로 오픈할 수 있도록 준비(대기) 상태로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7)가 1차 센싱신호에 의해 급수밸브(5)를 바로 오픈 상태로 제어하지 않는 것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감지센서(13)의 근처를 지날 수 있는데 이때 감지된 센싱신호에 의해 급수밸브(5)가 오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감지센서(13)에 의해 센싱되는 2차 센싱신호(오픈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9).
제어부(17)는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9)에서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조명(21)을 점등하고(S11), 급수밸브(5)를 오픈 상태로 제어한다(S13).
그러면 수도꼭지에서 물이 나와 사용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급수밸브(5)를 오픈시킬 수 있다.
급수밸브(5)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S13) 후에 상술한 타이머에 세팅된 시간 값을 로딩하여 세팅된 시간 동안 감지센서(13)에 의해 센싱되는 3차 센싱신호(순간 또는 장시간 선택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15).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5)에서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급수밸브(5)의 오픈 상태를 유지(S17)한다. 이때 제3 조명(도시생략)을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3 조명을 점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는 급수밸브(5)를 오픈된 상태로 유지하여 수도꼭지에서 물이 계속 나오게 유지(S17)한 후 감지센서(13)에서 4차 센싱신호(클로우즈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19).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9)에서 4차 센싱신호가 제어부(17)로 입력되면 제어부(17)는 급수밸브(5)를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한다(S23).
그러면 수도꼭지에서 지속적으로 나오던 물은 급수밸브(5)가 클로우즈 되면서 물이 나오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요한 시간 만큼 물을 충분히 사용한 후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급수밸브(5)를 클로우즈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5)에서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세팅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어를 한 후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한다(S23).
이러한 상태는 수도꼭지에서 물이 세팅된 시간인 1-10초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초 동안만 순간적으로 나오게 된다. 즉, 사용자는 물을 잠깐 사용하고자 할 때는 풋센서 스위치 장치의 감지센서(13)에서 인식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발을 위치시키지 않아도 세팅된 시간 동안만 물이 수도꼭지에서 나오므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사용이 편리하며 물을 필요한 만큼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으로 대치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에서는 조명을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조명 및 제2 조명을 통칭하기로 한다.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3) 이전에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 점등 단계(S2)를 포함한다, 그리고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3)에서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조명을 소등(S4)한 후 수전과 연결된 급수밸브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S7)를 포함한다.
또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9)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조명을 점등(S20)한 후 급수밸브를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S23)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풋스위치 센서 장치가 세팅되어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풋 스위치 센서 장치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조명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풋스위치 센서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조명을 소등하여 사용중인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급수 밸브를 직접 작동시키지 않을 때는 조명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실내에서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싱크대,
3. 수도꼭지 어셈블리,
5. 급수밸브,
7. 풋센서 스위치 장치,
9. 샤워기 헤드,
11. 조절레버,
13. 감지센서, 13a. 적외선 감지센서, 13b. 열 감지센서,
15. 타이머,
17. 제어부,
19. 제1 조명,
21. 제2 조명

Claims (11)

  1.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수전과 연결된 급수밸브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후에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를 오픈 상태로 세팅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제어를 한 후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조명을 점등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2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조명을 점등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조명 및 제2 조명을 소등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3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세팅된 시간은 1-10초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 시간을 로딩하는 타이머 설정값 로딩 단계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짝을 이루는 복수의 세트로 이루어져 정해진 위치에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을 센싱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 점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1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조명을 소등한 후 수전과 연결된 급수밸브를 오픈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4차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명을 점등한 후 상기 급수밸브를 클로우즈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 밸브 제어방법.
  9. 사용자의 발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후 제1항 내지 제8항에 기재된 제어방법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복수의 조명,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어 수도꼭지에 연결되는 급수밸브를 포함한 풋스위치 센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풋스위치 센서 장치는
    싱크대 정면 하부에 설치되는 풋스위치 센서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감지센서와 열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풋 스위치 센서 장치.
KR1020110070209A 2011-07-15 2011-07-15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KR10130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09A KR101301299B1 (ko) 2011-07-15 2011-07-15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09A KR101301299B1 (ko) 2011-07-15 2011-07-15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51A KR20130009251A (ko) 2013-01-23
KR101301299B1 true KR101301299B1 (ko) 2013-08-28

Family

ID=4783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209A KR101301299B1 (ko) 2011-07-15 2011-07-15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6185A (zh) * 2016-02-01 2016-05-04 重庆大学 基于水动力的自供电红外线感应水龙头系统
US11603987B2 (en) 2020-08-31 2023-03-14 Kraus Usa Plumbing Llc Lighting system for fixtures and applian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794U (ko)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케이앤비 풋 터치 스위치와 핸드 터치 스위치를 동시에 갖는 전자밸브 개폐 싱크대 수전구
KR20190094606A (ko) 2018-02-05 2019-08-14 이두현 수도 밸브 자동 개폐장치
CN113112690A (zh) * 2021-03-22 2021-07-13 康大创新(广东)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饮水机的控水装置、自助饮水机及其供水方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489B1 (ko) 2007-01-18 2008-06-16 한재석 수전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52090A (ko) * 2007-11-20 2009-05-25 문현승 자동수전 및 이를 이용한 토수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489B1 (ko) 2007-01-18 2008-06-16 한재석 수전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52090A (ko) * 2007-11-20 2009-05-25 문현승 자동수전 및 이를 이용한 토수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6185A (zh) * 2016-02-01 2016-05-04 重庆大学 基于水动力的自供电红外线感应水龙头系统
US11603987B2 (en) 2020-08-31 2023-03-14 Kraus Usa Plumbing Llc Lighting system for fixtures and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51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299B1 (ko)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US20170292253A1 (en) Touch-free water-control system
TWI468609B (zh) Non-touch automatic faucet
US20130048090A1 (en) Human body sensitive touch-controlled water outle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174565A (ja) トイレ装置
KR20120133519A (ko) 비데의 변좌 온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160032571A1 (en) Piezoelectric Touch-Controlled Faucet
US9279239B2 (en) Manual and automatic integrated faucet
JP5077819B2 (ja) 自動水栓
KR20090052090A (ko) 자동수전 및 이를 이용한 토수제어방법
US8863774B2 (en) Water flow controller for faucet
KR100532591B1 (ko) 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7659B1 (ko) 자동 온도 조절 급수장치 및 급수 제어방법
US11168897B2 (en) Water preconditioner system
KR100780385B1 (ko) 전자식 샤워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413722B2 (ja) 洗面化粧台及び洗面空間システム
KR101736480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비데
KR20180001794U (ko) 풋 터치 스위치와 핸드 터치 스위치를 동시에 갖는 전자밸브 개폐 싱크대 수전구
JP2012136828A (ja) 水栓
KR101953668B1 (ko) 보일러 온수의 사용자 연동형 가동장치
JP5857187B2 (ja) 便座装置
JP5077818B2 (ja) 自動水栓
JP7462881B2 (ja) 水まわりユニット
KR200454436Y1 (ko) 싱크대용 수도밸브 자동개폐장치
KR20140143937A (ko) 자동 물 절약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