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447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447A
KR20110089447A KR1020117014831A KR20117014831A KR20110089447A KR 20110089447 A KR20110089447 A KR 20110089447A KR 1020117014831 A KR1020117014831 A KR 1020117014831A KR 20117014831 A KR20117014831 A KR 20117014831A KR 20110089447 A KR20110089447 A KR 20110089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 housing
plug
locking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203B1 (ko
Inventor
다니엘 비쇼프
크리스티안 에버바인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89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플러깅되는 제 1 플러그 하우징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예비-록킹 위치로부터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콘택-고정 수단이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상기 콘택-고정 수단은 우발적인 분리로부터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의 콘택들을 보호하며,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 수단은 상기 제 2 플러그 하우징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은 개방 위치로부터 단부 위치로 상기 작동 수단의 이동의 결과로서 함께 플러깅되며, 상기 콘택-고정 수단은 방해 엘리먼트를 갖고, 상기 방해 엘리먼트는 상기 작동 수단 또는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 경로 내로 돌출하며 상기 콘택-고정 수단이 상기 단부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제 2 플러그 하우징의 동시-플러깅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본 발명은 서로 플러깅되는(plugged)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고정 수단으로서 공지된 형태의 콘택-고정(contact-securing) 수단이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고정 수단을 갖는 제 1 플러그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과 콘택-고정 수단을 갖는 제 1 플러그 하우징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러그 커넥터들이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들은 또한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작동(actuating) 수단이 제공되며, 작동 수단의 작동은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이 함께 플러깅되도록 한다.
미국특허번호 제4,959,023호는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예비-록킹(pre-locking) 위치로 제 1 플러그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콘택-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예비-록킹 위치에서, 콘택-고정 수단은 제 2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을 방해한다. 콘택-고정 수단은 단부 위치로 슬라이딩(sliding)될 수 있어서, 삽입 공간이 제거(clear)되어,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의 동시-플러깅(plugging-together)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플러그 커넥터 및 개선된 제 1 플러그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제 1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구체화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장점은 제 1 플러그 하우징의 콘택-고정 수단이 단부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작동 수단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의 동시-플러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 1 플러그 하우징의 콘택들이 우발적인 분리(accidental detachment)로부터 보호된다는 사실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 따라 달성되며, 여기서 콘택-고정 수단은 콘택-고정 수단이 단부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작동 수단 또는 제 2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는 방해 엘리먼트(obstructing element)를 갖는다. 방해 엘리먼트의 배열은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이 단부 위치에 있는 콘택-고정 수단 없이 작동 수단을 이용하여 함께 플러깅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예비-록킹 위치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 상에 콘택-고정 수단을 유지시키는 제 1 록킹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콘택-고정 수단이 예비-록킹 위치에서 예비-장착(pre-mounted)되어 제 1 플러그 하우징에 종속적으로(captively) 고정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단부 위치에서 플러그 하우징에 콘택-고정 수단을 록킹시키는 제 2 록킹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콘택-고정 수단이 단부 위치에 도달한 후에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후속적으로,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은 작동 수단을 이용하여 어려움 없이 함께 플러깅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방해 엘리먼트는 제 1 플러그 하우징의 가이드 엘리먼트(guide element)가 돌출되는 리세스(recess)를 갖는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은 제 2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동시-플러깅된 상태로 배열되는 영역의 함몰부(depression)를 갖는다. 또한, 방해 엘리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몰부 외부에서 예비-록킹 위치에 배열된다. 콘택-고정 수단의 단부 위치에서, 방해 엘리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몰부 내에 배열되어, 제 1 플러그 하우징이 방해 엘리먼트와의 상대적으로 적은 간격(clearance)으로 제 2 플러그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은 방해 엘리먼트의 적어도 부분적인 일부분을 측방향으로 가이드하는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웹(guide web)들을 갖는다. 따라서, 방해 엘리먼트 및 콘택-고정 수단의 안전한 가이드가 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콘택-고정 수단은 각을 이룬(angled) 슬라이딩 엘리먼트의 형태로 구현되고, 제 1 부분적인 부분은 콘택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 1 플러그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고정 플레이트(securing plate)를 갖는다. 제 2 부분적인 부분은 방해 엘리먼트로서 구현된다. 각을 이룬 슬라이딩 엘리먼트 형태의 콘택-고정 수단의 실시예는 제조하기에 경제적이고 간단하며, 더불어 안전한 처리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콘택-고정 수단은 제 1 플러그 하우징 상에 콘택-고정 수단을 유지시키기 위한 2개-암의(two-armed) 브라켓(bracket)을 갖는다. 브라켓들은 이 경우에 2개의 대향 측면들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을 둘러싸고 예비-록킹 위치 및 단부 록킹 위치에서 록킹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방해 엘리먼트는 양 측면들 상에서 각을 이루는 플레이트의 형태이며, 각을 이루는 부분적인 플레이트들은 제 1 플러그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둘러싼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하우징 상에서 방해 엘리먼트의 부가적인 가이드 및 고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2는 제 2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3은 예비-록킹 위치에서 콘택-고정 수단을 갖는 제 1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4는 콘택-고정 수단을 도시한다.
도 5는 콘택-고정 수단 없는 제 1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6은 플러그-인 측면 위에서 보이는 제 1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7은 커넥션 측면 위에서 보이는 제 1 플러그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8은 단부 위치에서 콘택-고정 수단을 갖는 콘택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의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 1 플러그 하우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인터록킹(interlocking) 플레이트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3)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제 1 전기선들(4)에 연결되는 전기 콘택들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 배열된다. 제 2 전기선들(5)에 연결되는 추가적인 전기 콘택들은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배열된다.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콘택들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추가적인 콘택들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하여,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수용 개구(6) 내에 전단부(front part)(7)와 플러깅된다. 전단부(7)는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홈(8, 9)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러그(guide lug)들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8, 9)은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 상에 배열되고 수용 개구(6)에 연결된다.
제 2 플러그 하우징(3)은 2개의 가이드 암들(14, 15)과 함께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엘리먼트의 형태의 작동 엘리먼트(10)를 갖는다. 가이드 암들(14, 15)은 하우징 프레임(13)의 측방향 슬롯들(29, 30) 내에 삽입된다. 2개의 가이드 암들(14, 15)은 수용 개구(6) 내에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2개의 가이드 암들(14, 15)은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 트랙(11, 12)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트랙(11, 12)은 작동 엘리먼트(10)의 도시된 예비-록킹 위치에서, 가이드 홈들(8, 9) 내로 개방되어 전단부(7)의 가이드 러그들을 수용한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트랙(11, 12)과 가이드 러그들은 작동 엘리먼트(10)를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측방향으로 삽입하는 동안, 가이드 트랙들(11, 12) 내의 가이드 러그들이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로 보다 깊게 당겨지도록(drawn) 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작동 엘리먼트(10)의 단부 위치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1)의 콘택들이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추가적인 콘택들과 접촉할 때까지,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로 보다 깊게 당겨진다. 작동 엘리먼트(10)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에 대한 삽입 방향에 수직이다.
제 1 플러그 하우징(2) 상에서, 좁은 측면 상에 콘택-고정 수단(16)이 제공되며, 콘택-고정 수단(16)을 통해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전기 콘택들이 제 2 고정 수단의 형태의 추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콘택-고정 수단(16)은 프레임(32)과 병합되는 플레이트(31)를 갖는다. 프레임(32)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가이드 엘리먼트(18)가 배열되는 리세스(19)를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19)는 그 실시예에서 정사각형이고, 가이드 엘리먼트(18)는 직사각형 블록의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프레임(32)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제 1 또는 제 2 가이드 벽(20, 21)에 의해 대향하는 측면 림들(rims)에서 한정된다(delimited). 더욱이,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플레이트(31)의 연결측 측면 림에 인접하여, 플레이트(31)의 코너 영역들과 연관되는 2개의 가이드 코너들(33, 34)을 갖는다.
플레이트(31)에 대향하게, 제 2 플러그 하우징(3)을 향하는 방향에서 연장하는 방해 엘리먼트(17)는 전단측 프레임부(35) 상에 구현된다. 방해 엘리먼트(17)는 전단부(7)의 제 1 좁은 측면(80)의 함몰부(36) 위에 배열된다. 방해 엘리먼트(17)는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전단측 엣지 영역(37)까지 연장한다. 콘택-고정 수단(16)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제 1 또는 제 2 넓은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제 1 좁은 측면(80)으로부터 연장하는, 플레이트(31)로부터 측방향으로 나오는 2개의 홀딩 브라켓들(holding brackets)(22, 23)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홀딩 웹(24)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제 1 및 제 2 넓은 측면 상에 구현된다. 도 1에 도시된 콘택-고정 수단(16)의 예비-록킹 위치에서, 제 1 홀딩 브라켓(22)의 제 1 록킹 러그(26)는 제 1 홀딩 웹(24) 뒤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 2 록킹 러그(미도시됨)가 제 2 홀딩 웹(미도시됨) 뒤에 도달한다. 따라서, 콘택-고정 수단(16)은 분리로부터 보호된다. 측방향 가이드 벽들(20, 21)과 가이드 코너들(33, 34)의 형태의 가이드들 및 리세스(19) 내의 가이드 엘리먼트(18)의 배열로 인해, 제 1 좁은 측면의 평면에서 콘택-고정 수단의 변위(displacement)는 가능하지 않다. 콘택-고정 수단(16)은 도시된 예비-록킹 위치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제 1 좁은 측면(80)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된다.
도 2는 수용 개구(6) 위에서 보이는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사시도이다. 전기 콘택들을 도입하기 위한 제 2 콘택 개구들(39)을 갖는 제 2 콘택 하우징(38)은 수용 개구(6) 내에 배열된다. 또한,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슬리브-형상의 전단부(7)가 삽입될 수 있는 환형 수용 공간(40)은 콘택 하우징(38)과 하우징 프레임(13) 사이에 제공된다.
도 3은 예비-록킹 위치에서 콘택-고정 수단(16)을 갖는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사시도이다. 제 1 및 제 2 가이드 러그(27, 28)는 전단부(7)의 제 1 및 제 2 넓은 측면에서 구현된다. 슬리브-형상의 전단부(7)는 3개의 측면들 상의 제 1 플러그 하우징(2)을 둘러싸며 전단부(7)의 세로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평면에서 배열되는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인접 림(abutment rim)(41)까지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라운딩된 단면을 갖는다. 전면측 프레임부(35)의 영역에서, 주변 인접 림(41)이 차단된다(interrupted). 인접 림(41)에 인접하여, 전단부(7)는 인접 림(41)에 인접하는 함몰부(36)를 제 1 측면(42) 상에 갖는다. 방해 엘리먼트(17)는 제 1 측면(42) 뒤에 돌출하고 함몰부(36) 뒤에 배열된다는 것을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방해 엘리먼트(17)는 2개의 측방향의 부분적인 플레이트들(43, 44)을 갖는 각을 이룬 플레이트의 형태의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구현된다. 부분적인 플레이트들(43, 44)은 전단부(7)의 넓은 측면들의 일부를 둘러싼다. 도 3은 콘택-고정 수단(16)이 가이드 엘리먼트(18)의 측면 림에 직접적으로 대항하여 리세스(19)의 측면 림에 위치한다는 것을 명확히 도시한다. 또한, 플레이트(31)는 가이드 코너들(33, 34)에 의해 가이드 엘리먼트(18)에 대향하게 한정된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가이드 벽(21, 22)은 대향하는 세로방향 측면들에 프레임(19)을 한정한다. 따라서, 콘택-고정 수단(16)은 플레이트(31)의 평면에서 변위될 수 없어서, 홀딩 브라켓들(22, 23)이 제 1 및 제 2 홀딩 웹(24, 25)에 대한 안전한 록킹을 허용한다.
도 4는 2개의 부분적인 부분들(45, 46)을 갖는 각을 이룬 슬라이딩 엘리먼트 형태로 구현되는 콘택-고정 수단(16)의 사시도로서, 제 1 부분적인 부분(45)은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 플러깅되는 인터록킹 플레이트(47)로서 구현된다. 인터록킹 플레이트(47)는 개구들(48)을 가지며, 개구들(48)을 통하여 콘택-고정 수단(16)의 예비-록킹 위치에서, 콘택들이 연결측(49)(도 3)으로부터 콘택 챔버들 내의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 삽입된다. 또한, 개구들(48)은 콘택-고정 수단(16)의 단부 위치에서, 콘택 챔버들의 삽입 개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콘택 챔버들로부터 콘택들의 추출을 방지하는 방해 림들(50)에 의해 한정된다.
제 2 부분적인 부분(46)은 플레이트(31), 프레임(32) 및 방해 엘리먼트(17)에 의해 형성된다. 방해 엘리먼트(17)는 인터록킹 플레이트(47)를 향하는 방향에서 수직으로 하향하게 오프셋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32)에 고정된다. 또한, 방해 엘리먼트(17)의 부분적인 부분(51)은 리세스(19) 내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서 가이드 엘리먼트(18)를 위해 이용가능한 리세스(19)의 영역을 한정한다. 더욱이, 제 1 홀딩 브라켓들(22, 23)은 홀딩 브라켓들(22, 23)의 단부 영역로부터 플레이트(31)에 평행한 평면 내로 연장하는 제 2 록킹 러그(52)를 갖는다. 콘택-고정 수단(16)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로 일체로 제조된다.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 주변 밀봉부(53)는 인터록킹 플레이트(47)로부터 플레이트(31)로의 전환(transition)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인터록킹 플레이트(47)를 위한 삽입 개구의 영역 내에 밀봉된다.
도 5는 콘택-고정 수단(16) 없는 제 1 플러그 하우징(2)을 도시한다. 이 경우,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밀봉부(53)가 배열되는 인터록킹 플레이트(47)를 위한 삽입 개구(54)를 발견(see)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삽입 개구(54)는 계단형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으로 구현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인터록킹 플레이트(47)는 또한 계단형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함몰부(36)는 전단부(7)의 상부 측면(42)의 가로방향 림(traverse rim)(55)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이드 엘리먼트(18)의 가로방향 림(55)까지 연장한다는 것을 도 5로부터 알 수 있다. 더욱이, 함몰부(36)는 인접 림(41)으로부터 이격되게 셋팅되어 전단부(7)를 가로지르게 상부 측면(42) 상에 형성되는 제 2 가로방향 림(83)까지 연장한다. 또한, 함몰부(36)는 전단부(7)의 제 1 및 제 2 좁은 측면들의 한정된 높이까지 접힌 림들(81, 82)의 형태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주변 인접 림(41)은 전단부(7)의 세로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되며, 전단부(7)의 상부 측면(42)은 자유롭게 유지되고, 인접 림(41)은 제공되지 않는다. 전단부(7)까지 삽입 개구(54)를 통하여 돌출하는 콘택(56)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서 개략적으로 플러깅된다.
도 6은 전단부(7) 위에서 보이는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사시도이다. 제 1 콘택 개구들(58)을 갖는 제 1 콘택 하우징(57)은 전단부(7) 내에 제공된다. 콘택(56)의 핀 단부는 제 1 콘택 개구들(58) 중 하나를 통하여 외부로 가이드된다. 또한, 인접 림(41)은 3개의 측면들 상에서 전단부(7)를 둘러싸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전단부(7)는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제 2 콘택 하우징(38)이 플러깅되는 제 2 수용 개구(59)를 갖는다.
도 7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연결측(49) 위에서의 도면으로서, 콘택(56)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 플러깅되고,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터록킹 플레이트(47)에 의해 콘택-고정 수단(16)을 이용하여 인터록킹된다. 이 경우, 인터록킹 플레이트(47)의 방해 림(50)은 삽입 개구(60) 내로 돌출하고 후면 상의 콘택(56) 뒤에 도달한다. 따라서, 콘택(56)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으로부터 우발적으로 추출될 수 없다. 따라서, 콘택(56)은 제 2 콘택-고정 수단으로서 콘택-고정 수단(16)을 이용하여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 고정된다.
도 8은 인터록킹된 상태의 콘택(56) 및 콘택-고정 수단(16)의 개략도이다. 이 경우, 콘택-고정 수단(16)의 방해 림(50)은 콘택(56)의 콘택 몸체(61) 뒤에 도달한다. 콘택 챔버 내에서 록킹을 위한 록킹 후크(locking hock)들(84)이 콘택 몸체(61) 상에 제공된다.
도 9는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을 갖는 완전히 동시-플러깅된 플러그 커넥터(1)의 부분 도면으로서, 작동 엘리먼트(10) 및 콘택-고정 수단(16)은 둘다 단부 위치에 있다. 단부 위치에서, 콘택-고정 수단(16)은 홀딩 브라켓들(22, 23)의 제 2 록킹 러그들(52) 및 제 1 플러그 하우징(2) 상에 형성된 록킹 리세스들(62)을 이용하여 제 1 플러그 하우징(2)에 록킹된다.
플레이트(31)를 이용한 콘택-고정 수단(16)의 간단한 하향-가압(pressing-down)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가이드 코너(33, 34) 사이에 노치(notch)(63)가 제공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1)는 툴을 이용하여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향하게 가압될 수 있으며, 툴 또는 손가락은 노치(63) 내에 삽입된다. 인접 림(41)은 도시된 위치에서,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하우징 프레임(13)의 전단측 엣지 영역에 직접적으로 인접한다. 따라서, 방해 엘리먼트(17)는 하우징 프레임(1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적어도 작동 엘리먼트(10) 아래에 배열된다.
도 10은 도 9의 완전히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1)를 도시하며, 작동 엘리먼트(10) 및 하우징 프레임(13)은 도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 방해 엘리먼트(17)가 함몰부(36) 내에 배열되고 하우징 프레임(13) 내에 삽입된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콘택-고정 수단(16)이 예비-록킹 위치에 있는 경우, 방해 엘리먼트(17)는 가이드부(7)의 상부 측면(42) 뒤에서 상향하게 돌출하고, 이에 따라서 환형 수용 공간(40)이 가이드부(7)의 단면에 적응됨에 따라,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콘택-고정 수단(16)이 단부 위치, 즉 방해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작동 엘리먼트(10)를 이용하여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로 당겨질 수 있으며, 방해 엘리먼트(17)가 함몰부(36) 내에서 하강된다.
도 11은 콘택-고정 수단(16)의 방해 엘리먼트(17)가 인접 림(41)까지만 가이드되는 플러그 커넥터(1)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작동 엘리먼트(10)는 방해 엘리먼트(17) 위의 영역으로 연장된다. 단부 위치에서 작동 엘리먼트(10)의 수직 위치는 콘택-고정 수단(16)의 예비-록킹 위치에서 방해 엘리먼트(17)의 수직 위치보다 더 낮게 배열된다. 또한, 콘택-고정 수단(16)의 단부 위치에서 방해 엘리먼트(17)의 수직 위치는 단부 위치에서 작동 엘리먼트(10)의 수직 위치 아래에 배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작동 엘리먼트(10)는 콘택-고정 수단(16)이 단부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단부 위치로 올 수 있다. 따라서, 방해 엘리먼트(17)가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항상 삽입될 필요는 없다. 콘택-고정 수단(16)이 단부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예비-록킹 위치로부터 단부 위치로 작동 수단(10)의 이동이 해제된다면 충분하다.
도 12는 도 11의 플러그 커넥터(1)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 경우, 콘택-고정 수단(16)은 예비-록킹 위치에 있다. 작동 엘리먼트(10)는 또한 예비-록킹 위치에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은 예비-록킹 위치에 있으며, 전단부(7)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러그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홈과 맞물리고 작동 엘리먼트(10)의 제 1 및 제 2 가이드 트랙들과 맞물린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의 완전한 동시-푸싱(pushing-together)을 위하여, 이제 작동 엘리먼트(10)를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보다 깊게 삽입할 필요가 있다. 작동 엘리먼트(10)는 작동 엘리먼트(10)의 부분적인 부분(85)이 방해 엘리먼트(17) 위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현된다. 방해 엘리먼트(17)는 부분적인 부분(85)에 대하여 인접함으로써 단부 위치 내에 작동 엘리먼트(10)의 삽입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은 작동 엘리먼트(10)의 작동을 통해 서로에 대해 완전하게 플러깅될 수 없다.
콘택-고정 수단(16)이 단부 위치 내에 플러깅된 경우에만, 즉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 보다 깊게 플러깅된 경우에만, 방해 엘리먼트(17)는 단부 위치 내에 작동 엘리먼트(10)의 삽입 그리고 이에 따른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작동 엘리먼트(10)의 삽입을 위한 경로(way)를 제거(clear)한다. 따라서, 콘택-고정 수단의 예비-록킹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의 완전한 동시-플러깅은 작동 수단(10)의 이동 경로의 차단의 결과로서만 방지될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콘택-고정 수단(16)은 방해 엘리먼트(17)가 전단부(7)까지 측방향으로 연장하지 않는 방식으로 방해 엘리먼트(17)와 함께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해 엘리먼트(17)는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이 함께 완전히 플러깅될 때에도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 경로는 콘택-고정 수단(16)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그러나,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 콘택-고정 수단(16)은 방해 엘리먼트가 전단부(7) 뒤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완전하게 동시-플러깅된 상태에서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방해 엘리먼트와 함께 부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수단(10)의 이동 경로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이동 경로는 둘다 콘택-고정 수단(16)이 예비-록킹 위치에 있을 때 방해 엘리먼트에 의해 차단된다.
도 13은 플레이트(31)가 연속적인 플레이트로서 구현되어 리세스(19)가 제공되지 않는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31)는 양 측면들 상에서 각을 이루는 엣지(64)에 의해 연결측(49) 상의 3개의 측면들 상에서 한정된다. 또한,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엣지(64)의 각을 이룬 부분적인 엣지들(67, 68)로부터 이격되게 셋팅되어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측방향 웹들(65, 66)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웹(65, 66)은 대향하는 세로방향 측면들에서 플레이트(31)를 부가적으로 한정한다. 제 1 웹(65)과 제 1 부분적인 엣지(67) 사이 그리고 제 2 웹(66)과 제 2 부분적인 엣지(68) 사이의 노치들에서, 홀딩 브라켓들(22, 23)은 하향하게 측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제 1 및 제 2 웹(65, 66)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상부 측면(42) 뒤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넓은 측면들을 따라 측면 웹들(69)과 하향하게 부가적으로 병합된다. 제 3 및 제 4 록킹 러그들(71)은 측면 웹들(69) 상에서 구현된다. 제 3 또는 제 4 록킹 러그(71) 상에서, 제 1 및 제 2 홀딩 브라켓(22, 23)의 제 1 록킹 러그들은 예비-록킹 위치에서 록킹된다.
플레이트(31)는 인접 림(41) 뒤에서 외부로 가이드되고, 인접 림(41) 뒤에서 각 경우에 대향 측면들에서 2개의 측면 림들(73, 74)에 도달한다. 이는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상이한 방해 엘리먼트(17)의 장착 및 가이딩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31)의 전단 림(75)은 또한 제 2 플러그 하우징(3)에 대한 인접 림을 형성한다.
단부 위치에서 콘택-고정 수단(16)의 록킹을 위하여, 홀딩 브라켓들(22, 23)의 제 2 록킹 러그들(52)(미도시됨)이 맞물리는 록킹 리세스들(76)은 제 1 플러그 하우징(2) 상에서 측방향으로 제공된다.
방해 엘리먼트(17)는 본 실시예에서 인접 림(41) 뒤에서 돌출하고 가이드부(7)의 함몰부(36) 위에 배열된다. 도 12는 예비-록킹 위치에서 콘택-고정 수단(16)을 도시한다. 콘택-고정 수단(16)을 단부 위치 내에, 즉 록킹 위치 내에 가압한 후에, 방해 엘리먼트(17)는 함몰부(36) 쪽으로 다시 이동되어, 제 1 콘택 하우징(2)이 인접 림(41)까지 제 2 콘택 하우징(3)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방해 엘리먼트(17)는 인접 림(41)까지만 연장할 수 있고, 작동 엘리먼트(10)는 도 11 및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인접 림(41) 뒤로 돌출할 수 있다.
도 14는 2개의 세로방향 측면들에서 서로 대향하여, 리세스들의 형태의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들(48)을 가진 인터록킹 플레이트(47)를 갖는 콘택-고정 수단(16)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인터록킹 플레이트(47)는 대향하는 측면 림들과의 콘택들을 인터록킹하는 핀 형태로 구현된다.

Claims (15)

  1. 서로 플러깅되는(plugged) 제 1 플러그 하우징(2)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3)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1)로서,
    예비-록킹(pre-locking) 위치로부터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콘택-고정(contact-securing) 수단(16)이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 내에 제공되고,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은 우발적인 분리로부터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콘택들(56)을 보호하며,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 수단(actuating means)(10)은 상기 제 2 플러그 하우징(3)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은 예비-록킹 위치로부터 단부 위치로 상기 작동 수단(10)의 이동의 결과로서 함께 플러깅되며,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은 방해 엘리먼트(obstructing element)(17)를 갖고, 상기 방해 엘리먼트(17)는 상기 작동 수단(10) 또는 상기 제 2 플러그 하우징(3)의 이동 경로 내로 돌출하며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이 상기 단부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의 동시-플러깅(plugging-together)을 방지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10)은 슬라이드로서 구현되고, 상기 방해 엘리먼트(17)는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상기 예비-록킹 위치에서, 상기 단부 위치로의 상기 슬라이드의 슬라이딩을 방해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록킹 위치에서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록킹을 허용하는 제 1 록킹 수단(23, 24, 26)은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 상에 그리고 상기 콘택-고정 수단(16) 상에 제공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위치에서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록킹을 허용하는 제 2 록킹 수단(52, 62)은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 및 상기 콘택-고정 수단(16) 상에 제공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은 리세스(recess)(19)를 갖고,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의 가이드 엘리먼트(18)는 상기 리세스(19) 내로 돌출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상기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에서 플러깅된 상태로 배열되는 영역 내에 함몰부(depression)(36)를 갖고, 상기 방해 엘리먼트(17)는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상기 예비-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이 함께 푸시(push)될 수 없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배열되며, 상기 방해 엘리먼트(17)는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 하우징(2, 3)이 하나가 다른 하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 내에서 완전하게 적어도 부분적인 부분과 함께 배열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은 2개의 측면들 상에서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부분적인 부분을 가이드하는 2개의 평행한 가이드 웹(guide web)들(20, 21)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은 2개의 부분적인 부분들(45, 46)을 갖는 각을 이룬(angled) 슬라이딩 엘리먼트의 형태로 구현되고, 제 1 부분적인 부분(45)은 상기 콘택들(56)을 고정시키기 위한 인터록킹 플레이트(interlocking plate)(47)를 가지며, 제 2 부분적인 부분(46)은 상기 방해 엘리먼트(17)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은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을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상기 예비-록킹 위치에서 그리고 상기 단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 상에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력성(flexible) 브라켓 암(bracket arm)(22, 23)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을 홀딩하기 위해 제 2 브라켓 암(23)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브라켓 암(23)은 상기 제 1 브라켓 암(22)에 거울-대칭적으로(mirror-symmetrically) 구현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킹 플레이트(47)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 내로 돌출하고, 위치에 따라 콘택(56)을 위한 삽입 개구(60)를 방해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47)는 측방향 리세스들(48)이 양 측면들 상에 배열된 웹(web)의 형태로 구현되고, 양 측면들 상의 상기 리세스들(48)은 방해면들(obstructing faces)(50)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리세스들(48)은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예비-록킹 위치에서, 상기 콘택들(56)을 삽입하기 위한 콘택 챔버들의 삽입 개구들(60)을 제거(clearing)하고, 상기 방해면들(50)은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단부 위치에서, 상기 콘택 챔버의 상기 삽입 개구(6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해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 엘리먼트(17)는 양 측면들 상에서 각을 이루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현되고, 2개의 각을 이룬 부분적인 플레이트들(43, 44)은 상기 제 1 플러그 하우징(2)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엘리먼트(10)는 상기 방해 엘리먼트(17) 위에 배열되고, 상기 방해 엘리먼트(17)는 상기 콘택-고정 수단(16)의 예비-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 2 플러그 하우징(3) 내로 그리고 상기 단부 위치 내로의 상기 작동 엘리먼트의 가압(pressing)을 차단하는(blocking),
    플러그 커넥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 1 플러그 하우징(2).
KR1020117014831A 2008-11-26 2009-11-23 플러그 커넥터 KR101713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8867.9 2008-11-26
DE102008058867A DE102008058867B3 (de) 2008-11-26 2008-11-26 Steckverbinder
PCT/EP2009/065632 WO2010060879A1 (en) 2008-11-26 2009-11-23 Plug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447A true KR20110089447A (ko) 2011-08-08
KR101713203B1 KR101713203B1 (ko) 2017-03-07

Family

ID=4146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831A KR101713203B1 (ko) 2008-11-26 2009-11-23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223793A1 (ko)
EP (1) EP2368294B1 (ko)
JP (1) JP2012510134A (ko)
KR (1) KR101713203B1 (ko)
CN (1) CN102224642B (ko)
DE (1) DE102008058867B3 (ko)
RU (1) RU2537841C2 (ko)
WO (1) WO20100608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91A (ko) * 2018-06-12 2019-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4570A2 (en) 2013-03-15 2014-09-18 Medsmart Innovation, Inc. Dynamic spinal segment replacement
JP6607088B2 (ja) * 2016-03-04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181404A (ja) * 2017-04-03 2018-11-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7392A1 (fr) * 1998-04-10 1999-10-15 Cinch Connecteurs Sa Connecteur electrique
JP2000200645A (ja) * 1999-01-06 2000-07-18 Yazaki Corp 端子係止構造
JP2003115342A (ja) * 2001-10-02 200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2161B2 (ja) * 1988-08-08 1997-06-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212210B2 (ja) * 1994-02-25 2001-09-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カム部材付きコネクタ
CA2255918A1 (en) 1996-06-06 1997-12-11 I-Hits Laboratory Corporation Ac/ac converter
JP3632811B2 (ja) * 1997-09-17 2005-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DE10252843A1 (de) * 2002-11-13 2004-06-03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04026665B4 (de) * 2004-05-28 2008-04-10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verbinder
FR2875957A1 (fr) * 2004-09-29 2006-03-31 Fci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lements de connecteur et connecteur le comprenant
JP2006324227A (ja) * 2005-04-18 2006-11-30 Yazaki Corp コネクタ
JP4593480B2 (ja) * 2006-01-11 2010-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7392A1 (fr) * 1998-04-10 1999-10-15 Cinch Connecteurs Sa Connecteur electrique
JP2000200645A (ja) * 1999-01-06 2000-07-18 Yazaki Corp 端子係止構造
JP2003115342A (ja) * 2001-10-02 200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691A (ko) * 2018-06-12 2019-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37841C2 (ru) 2015-01-10
CN102224642B (zh) 2014-02-19
KR101713203B1 (ko) 2017-03-07
US20110223793A1 (en) 2011-09-15
CN102224642A (zh) 2011-10-19
RU2011124548A (ru) 2013-01-20
EP2368294A1 (en) 2011-09-28
EP2368294B1 (en) 2014-09-10
JP2012510134A (ja) 2012-04-26
DE102008058867B3 (de) 2010-07-08
WO2010060879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2797B2 (ja) コネクタ
US7544074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a defined plug-in sequence
JP4752606B2 (ja) コネクタ
US8568159B2 (en) Connector
JP4963702B2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US7223113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6716069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retainer held securely on the housing
JPH1050381A (ja) コネクタ
US7172468B2 (en) Divide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CN103181033A (zh) 具有触头锁定构件和测试止挡件的电插头元件
CA2893008A1 (en)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CN107069299B (zh) 连接器
US6089927A (en) Connector provided with a retainer
KR101713203B1 (ko) 플러그 커넥터
JP4931100B2 (ja) 電気コネクタ
US7097476B2 (en) Connector with movable member for assisting connection with a mating connector
GB2458002A (en) Easily detachable connector
JP2010062076A (ja) 端子係止コネクタ
US11715906B2 (en) Connector
JP7275274B2 (ja) コネクタ
KR20090122118A (ko) 커넥터
JP4396652B2 (ja) コネクタ
US20230335949A1 (en) Connector
WO2024018842A1 (ja) 電気コネクタ
US20230029881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