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793A - 커피로스터 - Google Patents

커피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793A
KR20110087793A KR1020100007389A KR20100007389A KR20110087793A KR 20110087793 A KR20110087793 A KR 20110087793A KR 1020100007389 A KR1020100007389 A KR 1020100007389A KR 20100007389 A KR20100007389 A KR 20100007389A KR 20110087793 A KR20110087793 A KR 2011008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chamber
green beans
roasting
chamb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717B1 (ko
Inventor
홍진표
민흥식
Original Assignee
(주) 씨엠테크
홍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엠테크, 홍진표 filed Critical (주) 씨엠테크
Priority to KR102010000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7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의 생두를 볶도록 된 커피로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생두를 소량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로스팅 할 수 있는 커피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로스터는 호퍼(110)로부터 공급받은 생두가 로스팅되는 금속재질의 로스팅 챔버(120);
상기 로스팅 챔버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로스팅 챔버에 형성된 배기공(122);
상기 로스팅 챔버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세라믹 히터(140);
상기 로스팅 챔버의 저부에 설치된 수직회전축(151)을 가진 정역모터(150);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정역모터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로스팅 챔버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섞어주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160);
상기 로스팅 챔버와는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복수로 배치되어 호스팅 챔버 내부의 생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열전대를 형성하는 온도센서(170);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형성된 껍질배출공(180)을 통해 배출된 생두의 껍질이 저장되는 제1수납함(190);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어 로스팅된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도어(200);
상기 도어를 통해 배출된 로스팅된 생두가 저장되는 제2수납함(210); 및
상기 온도센서들로부터 온도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라믹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피로스터{Coffee roaster}
본 발명은 커피의 생두를 볶도록 된 커피로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의 생두를 소량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로스팅 할 수 있는 커피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생두를 로스팅하는 과정이다. 생두는 적절한 온도와 열로 로스팅시켜야 풍미있는 커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원산지로부터 수입된 커피 생두는 대단위 처리업체에서 대량으로 로스팅시켜 밀폐된 용기에 담아서 장기간 유통되므로 신선도가 크게 떨어져 커피의 풍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욕구와 소비문화가 변화하면서 신선하고 개인 취향에 맞는 커피를 마시고 싶어하기 때문에 각 가정이나 소규모 커피전문점에서도 커피를 즉석에서 로스팅하여 커피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커피로스터"가 국내특허출원 제10-2000-27797호로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피로스터는 껍질받이(11)와 생두받이(12)가 설치되는 전면지지판(10)과, 생두를 투입하기 위한 공급수단(21)과, 생두배출공(22)을 작동부재(23)에 의해 개폐시키는 배출도어(24)가 설치되며 상기 전면지지판(10)과 결합되는 배면 지지판(20)과, 상기 전면 지지판(10)과 배면 지지판(20) 사이에 설치되고 생두가 로스팅되는 드럼챔버(30)와, 상기 드럼챔버(30)가 회전작동되도록 배면지지판(20)에 내설된 제1구동부재(31)와, 상기 드럼챔버(30) 내부를 가열하도록 상기 배면 지지판(20)에 설치된 가열수단(40)과, 상기 드럼챔버(3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면 지지판(20)에 설치된 온도센서(50)와, 상기 드럼챔버(30)로부터 배출되는 생두가 상기 생두받이(12) 내부로 골고루 배출되도록 상기 배면 지지판(20)에 설치된 제2구동부재(61)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 컨베이어(60)와, 상기 전면 지지판(10)에 설치되어 생두의 로스팅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피로스터는 모든 동작이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생두의 로스팅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가정이나 업소에서 용이하게 로스팅 할 수 있다.
국내특허출원제2000-27797호(2002.06.26.공개),도3
이와 같은 종래의 커피로스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종래의 커피로스터는 드럼챔버(30) 전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열수단(40)과 근접한 드럼챔버(30)의 표면은 드럼챔버(30)의 내부보다 표면을 먼저 가열되므로 드럼챔버(30)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생두는 껍질만 타게 되고 속은 덜 익혀지므로 골고루 로스팅 되지 않는다.
둘째, 종래의 커피로스터는 드럼챔버(30)가 전체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큰 동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드럼챔버(30)의 하중이 회전축에 그대로 전달되어 회전축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많다. 따라서, 제1구동부재(31)의 용량과 사이즈가 커지고 작동소음도 커지며 이로 인한 제작비 및 전력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예상된다.
셋째, 종래의 커피로스터는 온도센서(50)가 드럼챔버(30)의 내부 온도만을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가열수단(40)이 생두 자체의 온도와는 무관하게 온/오프 되면서 드럼챔버(30)의 내부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생두가 정상적으로 로스팅 되지 못하게 되므로 온도변화와 가열시간에 민감한 로스팅의 특성상 커피의 맛과 향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온도센싱 구조에 따르면 동일한 상태의 로스팅 결과를 얻기가 매우 힘들어서 같은 맛과 향의 커피를 재현해 내기 매우 힘들게 된다. 따라서, 가정용이나 소형으로의 상품화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생두의 온도를 기준으로 로스팅 동작이 정확하게 제어되는 커피로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챔버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에서 유리한 구조를 갖게 되고 저전력으로 동작되는 커피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피로스터는 호퍼로부터 공급받은 생두가 로스팅되는 금속재질의 로스팅 챔버; 로스팅 챔버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로스팅 챔버에 형성된 배기공; 상기 로스팅 챔버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세라믹 히터; 상기 로스팅 챔버의 저부에 설치된 수직회전축을 가진 정역모터;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로스팅 챔버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섞어주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 상기 로스팅 챔버와는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복수로 배치되어 호스팅 챔버 내부의 생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열전대를 형성하는 온도센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형성된 껍질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생두의 껍질이 저장되는 제1수납함;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어 로스팅된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통해 배출된 로스팅된 생두가 저장되는 제2수납함; 상기 온도센서들로부터 온도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라믹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정역모터의 수직회전축과 교반날개의 회전축은 동축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회전축과 교반날개의 회전축에는 수직회전축의 동력이 교반날개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도록 회전과정에서 상호간에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부재를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은 "ㄷ" 형상의 절개홈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절개부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로스팅 챔버가 고정된 상태에서 정역모터가 교반날개만을 회전시켜 생두를 로스팅시키므로 로스팅 챔버의 내부가 골고루 가열되면서 생두가 골고루 로스팅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로스팅 챔버가 고정된 상태로 정역모터가 교반날개만을 회전시키므로 모터에 걸리는 부하량이 작아 모터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며 저전력, 저소음으로 동작되므로 제작비와 장치의 사이즈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설치된 온도센서들이 로스팅 챔버와 열전대를 이루면서 생두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평균온도값을 기준으로 로스팅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생두 자체의 온도와는 무관한 로스팅 챔버의 내부온도를 기준으로 로스팅 제어를 하도록 된 종래보다 로스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맛과 향이 크게 향상된 커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커피로스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로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퍼(110)로부터 공급받은 생두가 로스팅되는 금속재질의 로스팅 챔버(120)와, 로스팅 챔버(120)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로스팅 챔버(120)에 형성된 배기공(122)과,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세라믹 히터(140)와,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저부에 설치된 수직회전축(151)을 가진 정역모터(150)와,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정역모터(150)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로스팅 챔버(120)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섞어주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160)와, 상기 로스팅 챔버(120)와는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복수로 배치되어 호스팅 챔버 내부의 생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열전대를 형성하는 온도센서(170)와,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 형성된 껍질배출공(180)을 통해 배출된 생두의 껍질이 저장되는 제1수납함(190)과,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 설치되어 로스팅된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도어(200)와, 상기 도어(200)를 통해 배출된 로스팅된 생두가 저장되는 제2수납함(210)과, 상기 온도센서(170)로부터 온도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라믹 히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커피로스터는 최상부에 호퍼(110)가 위치된다. 그리고 호퍼(110)의 하부에는 호퍼(110)로부터 공급받은 생두가 로스팅되는 로스팅 챔버(120)가 위치된다. 상기 로스팅 챔버(120)는 본 발명의 커피로스터의 몸체를 이루는 함체(101)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호퍼(110)는 상기 함체(101)의 뚜껑(102)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스팅 챔버는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이 열전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상부에는 호퍼(110)로부터 공급되는 생두가 유입되는 생두유입공(121)과,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와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공(122)에는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에는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세라믹 히터(140)가 복수로 설치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세라믹 히터(140)는 아래에 위치한 생두측에 열을 집중적으로 방출시켜 보다 신속한 로스팅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석면판이나 규소판을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히터(140)는 신속하게 발열되므로 히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외부충격에 강하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전하다. 더욱이 상기 세라믹 히터(140)는 재질 특성상 발열시 원적외선을 방출하므로 껍질만 태우지 않고 생두의 내부까지 균일하게 로스팅시킬 수 있다. 상기 세라믹 히터(140)의 면적과 개수는 로스팅 챔버(120)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된다.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저부에는 정역모터(150)가 설치되며, 상기 정역모터(150)는 수직회전축(151)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는 로스팅 챔버(120)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섞어주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160)가 설치된다. 상기 교반날개(160)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결합된 회전봉(162)의 형태로서, 상기 회전축(161)은 정역모터(150)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정역모터(150)의 수직회전축(151)과 교반날개(160)의 회전축(161)은 연결부재를 통해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회전축(151)과 교반날개(160)의 회전축(161)을 이격되게 배치하고 별도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역모터(150)의 수직회전축(151)과 교반날개(160)의 회전축(161)이 이격되도록 구성하면 정역모터(150)와 무관하게 로스팅 챔버(120)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정비측면에서 매우 유리해진다.
또한, 상기 로스팅 챔버(120)는 커피로스터의 함체(101)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수직회전축(151)이나 교반날개(160)의 회전축(161)에 무리한 하중이 인가되지 않아 작은 힘만으로도 생두를 로스팅시킬수 있게 되므로 정역모터(150)의 용량과 사이즈 및 전력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이즈가 작고 소음 및 전력소모가 작은 커피로스터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재로는 상기 수직회전축(151)과 교반날개(160)의 회전축(161)에 돌출형성된 간섭부재(152,163)가 적당하다. 상기 간섭부재(152,163)는 회전과정에서 상호간에 간섭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직회전축(151)의 동력을 교반날개(160)의 회전축(161)으로 전달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스팅 챔버(120) 내부의 생두는 교반날개(160)의 작용으로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에서 골고를 섞이면서 로스팅된다.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는 복수의 온도센서(17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170)는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로스팅 챔버(120) 내부의 생두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센서(170)는 로스팅 챔버(171)의 바닥에 극소량의 용접을 통해 부착된 로스팅 챔버(170)와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종금속간의 접합을 통해 얻어지는 열기전력(seebeck 효과)을 통해서 열전대를 형성하여 온도의 변화를 검출해 내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70)는 온도변화만을 감지하므로 절대온도를 측정하는 별도의 온도계(미도시)를 기준온도 센서로 동반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는 온도센서(170)가 설치되는 절개부(171)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171)는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 형성된 "ㄷ" 형상의 절개홈(171a)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센서(170)는 상기 절개부(171a)의 상면에 극소량의 용접을 통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절개부(171)에 온도센서(17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절개홈(171a)을 통해 압력센서(170)의 주위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온도센서(170) 주위의 온도를 저하시켜 온도센서(170)가 생두와의 접촉시 온도측면에서 민감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온도센서(170)는 정교한 센싱능력을 발휘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70)는 그 체적을 최소화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도센서(170)와 생두와의 접촉이 민감해지도록 하여 정교한 센싱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는 껍질배출공(18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로 이루어진 슬릿형태의 껍질배출공(180)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껍질배출공(180)은 교반날개(160)의 회전반경 내에 형성되어 교반날개(160)가 생두를 골고루 섞을 때, 생두로부터 떨어져 나온 껍질들이 상기 껍질배출공(180)의 위를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아래로 탈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껍질배출공(180)의 하부에는 상기 껍질배출공(180)을 통해 탈락된 로스팅된 생두의 껍질이 저장되는 제2수납함(2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는 로스팅된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도어(20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00)는 로스팅 챔버(120)의 외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동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스팅 챔버(120)의 측벽에 힌지브라켓(201)이 설치되고, 이 힌지브라켓(201)에 로스팅 챔버(120)의 측벽과 저부에 밀착되게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어(200)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상부에는 솔레노이드(210)와 연결된 작동바(202)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210)의 동작에 따라 작동바(202)가 전후진하면서 도어(200)를 개폐한다.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는 상기 도어(200)에 대응되게 로스팅된 생두가 배출되는 생두배출공(123)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어(200)의 하부에는 도어(200)가 개방될 때 배출되는 로스팅된 생두를 담아 저장할 수 있는 제2수납함(21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170), 세라믹 히터(140) 및 솔레노이드(210)와 같은 동작들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각종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현재의 상태가 표시되는 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 및 온도센서(170), 정역모터(150) 세라믹 히터(140), 솔레노이드(210) 등과 같은 각종 내부장치의 제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출력부는 함체(101)에 마련된 메뉴창(220)을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컴에 내장된 프로그램에는 커피의 종류에 따른 생두의 여러가지 로스팅 조건들이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뉴창(220)에 원하는 타입의 커피를 선택하기만 하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원두가 적정온도와 적정시간 동안 자동으로 로스팅되어 제2수납함(210)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본체에 마련된 메뉴창(220)을 통해 원두가 로스팅되는 진행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커피로스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상부에 설치된 호퍼(110)뚜껑을 열고 호퍼(110)에 생두를 적정량을 투입하면, 호퍼(110)로 투입된 생두가 호퍼(110)를 통해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에 생두가 투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창(220)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커피의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가 사용자가 선택한 커피에 맞도록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70), 정역모터(150), 세라믹 히터(140) 및 솔레노이드(210)와 같은 동작들을 제어한다.
먼저 정역모터(150)가 교반날개(16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된다. 이와 동시에 세라믹 히터(140)가 생두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발열되는데, 생두의 온도는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 설치된 온도센서(170)들에 의해 제어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되다가 상기 온도센서(170)로부터 감지된 온도의 평균온도값이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제어부가 세라믹히터(14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온도가 아닌 생두의 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되므로 보다 정밀한 로스팅이 가능하다. 또한, 로스팅 챔버(12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세라믹 히터(140)는 로스팅 챔버(120)의 내부온도와 로스팅 챔버(120)의 표면온도는 동일하게 상승되면서 생두는 골고루 로스팅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로스팅 챔버(120)가 회전함에 따라 로스팅 챔버(120)의 표면온도가 급상승하면서 생두의 내부는 익지 않은 상태에서 껍질만 타버리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교반날개(16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생두의 껍질들은 로스팅 챔버(120)의 껍질배출공(180)의 하부로 탈락되고, 상기 껍질배출공(180)을 통해 탈락된 로스팅된 생두의 껍질은 제1수납함(190)에 저장된다. 그리고 로스팅된 생두들은 로스팅 챔버(120)의 바닥에서 교반날개(160)에 의해 골고루 섞이면서 가열되다가 생두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였음을 온도센서(170)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는 세라믹 히터(140)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솔레노이드(210)를 동작시켜 도어(200)를 개방한다. 그 결과, 생두는 회전하는 교반날개(160)에 밀려 생두배출공(123)을 통해 배출되어 아래의 제2수납함(210)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로스팅 챔버(120)가 회전하지 않고 오로지 교반날개(160)만 회전하기 때문에 정역모터(150)는 동력부담이 적어진다. 따라서 작은 용량의 소형모터의 적용이 가능해지므로, 본 발명의 커피로스터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되며 전력소모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커피의 종류별로 미리 입력되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므로 사용자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커피에 맞게 요구되는 정확한 온도와 시간으로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소량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로스팅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호퍼 101...함체
102...뚜껑 120...로스팅 챔버
121...생두유입공 122...배기공
130...필터 140...세라믹 히터
150...정역모터 151...수직회전축
152,163...간섭부재 160...교반날개
170...온도센서 180...껍질 배출공
190...제1수납함 200...도어
210...제2수납함 220...메뉴창

Claims (3)

  1. 호퍼로부터 공급받은 생두가 로스팅되는 금속재질의 로스팅 챔버;
    상기 로스팅 챔버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로스팅 챔버에 형성된 배기공;
    상기 로스팅 챔버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세라믹 히터;
    상기 로스팅 챔버의 저부에 설치되며 수직회전축을 가진 정역모터;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정역모터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로스팅 챔버 내부의 생두를 골고루 섞어주도록 회전하는 교반날개;
    상기 로스팅 챔버와는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복수로 배치되어 호스팅 챔버 내부의 생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도록 열전대를 형성하는 온도센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형성된 껍질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생두의 껍질이 저장되는 제1수납함;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어 로스팅된 원두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통해 배출된 로스팅된 생두가 저장되는 제2수납함; 및
    상기 온도센서들로부터 온도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라믹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모터의 수직회전축과 교반날개의 회전축은 동축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직회전축과 교반날개의 회전축에는 수직회전축의 동력이 교반날개의 회전축으로 전달되도록 회전과정에서 상호간에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부재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챔버의 바닥은 "ㄷ" 형상의 절개홈에 의해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절개부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KR1020100007389A 2010-01-27 2010-01-27 커피로스터 KR10118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89A KR101181717B1 (ko) 2010-01-27 2010-01-27 커피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89A KR101181717B1 (ko) 2010-01-27 2010-01-27 커피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793A true KR20110087793A (ko) 2011-08-03
KR101181717B1 KR101181717B1 (ko) 2012-09-19

Family

ID=4492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389A KR101181717B1 (ko) 2010-01-27 2010-01-27 커피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71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28B1 (ko) * 2012-11-14 2013-04-23 김학동 다기능 곡물 볶음 장치
WO2014038818A1 (ko) * 2012-09-04 2014-03-13 Jong Jin Han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CN105431058A (zh) * 2013-07-30 2016-03-23 Cm科技有限公司 咖啡烘焙器
WO2020076041A1 (ko) * 2018-10-11 2020-04-16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로스팅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KR20200041268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로스팅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KR20200109911A (ko) * 2019-03-15 2020-09-23 김혁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KR20210012288A (ko) * 2019-07-24 2021-02-03 김대호 커피 로스팅 장치용 히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피 로스팅 장치
KR20220037058A (ko) * 2020-09-17 2022-03-24 이철호 가마솥 구조를 기반으로 한 커피 로스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96B1 (ko) 2017-07-19 2018-06-18 김성찬 커피 로스터
KR101971999B1 (ko) * 2018-11-02 2019-08-16 유대현 모듈형 스마트 커피 로스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41B1 (ko) 2002-09-18 2004-12-23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18037B1 (ko) 2007-10-31 2009-09-18 엔아이티 주식회사 커피 로스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818A1 (ko) * 2012-09-04 2014-03-13 Jong Jin Han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KR101257328B1 (ko) * 2012-11-14 2013-04-23 김학동 다기능 곡물 볶음 장치
CN105431058A (zh) * 2013-07-30 2016-03-23 Cm科技有限公司 咖啡烘焙器
WO2020076041A1 (ko) * 2018-10-11 2020-04-16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로스팅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KR20200041268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로스팅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CN111556714A (zh) * 2018-10-11 2020-08-18 要塞技术株式会社 烘焙装置以及该烘焙装置的控制方法
US11717015B2 (en) 2018-10-11 2023-08-08 Stronghold Technology, Inc. Roas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109911A (ko) * 2019-03-15 2020-09-23 김혁 스마트 멀티쿠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 방법
KR20210012288A (ko) * 2019-07-24 2021-02-03 김대호 커피 로스팅 장치용 히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피 로스팅 장치
KR20220037058A (ko) * 2020-09-17 2022-03-24 이철호 가마솥 구조를 기반으로 한 커피 로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717B1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717B1 (ko) 커피로스터
US10448663B2 (en) Coffee roaster
TWI441607B (zh) Heating conditioner and the addition of spinach, radish, chrysanthemum and other greenish yellow or light yellow vegetables, vitamin C conditioning method
JP5284441B2 (ja) 自動調理装置
CN107405017A (zh) 食物和饮料制备序列记录和回放
JP5355735B2 (ja) 加熱調理器及び調理方法
KR102154934B1 (ko) 회전식 조리기구
JP2019088880A (ja) ロータリー式炒め・焙煎装置
US202303751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n-loop ignition of a smoke generator fuel source
JP2008089255A (ja) 加熱調理器
JP2019022461A (ja) 加熱調理器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1994594B1 (ko) 회전식 조리기구
JP2007275505A (ja) 調理器
JP4703589B2 (ja) 加熱調理器
WO2020253812A1 (en) Container including agitator for microwave sous vide function
JP5025308B2 (ja) 加熱調理器及びビタミンcを増加させる調理方法
JP2021167686A (ja) 加熱調理器
CN106724864B (zh) 烹饪器具、盖体和用于烹饪器具的控制方法
KR101523557B1 (ko) 볶음 겸용 요리기
JP2009085517A (ja) 加熱調理器
JP7303096B2 (ja) 加熱調理器
KR200491036Y1 (ko) 곡물 볶는 밥솥
JPS631833Y2 (ko)
JPS6318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