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695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695A
KR20110086695A KR1020117009939A KR20117009939A KR20110086695A KR 20110086695 A KR20110086695 A KR 20110086695A KR 1020117009939 A KR1020117009939 A KR 1020117009939A KR 20117009939 A KR20117009939 A KR 20117009939A KR 20110086695 A KR20110086695 A KR 2011008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core
mask
pleats
point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078B1 (ko
Inventor
마사히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간이한 구성으로 흡수성 코어를 수용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는 보수액이 함침된 흡수성 코어와, 통기성을 갖는 시트재를 2장 이상 적층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시트재의 사이에 상기 흡수성 코어를 수용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해당 마스크 본체를 얼굴에 유지하기 위한 한쌍의 귀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주름으로 접히는 것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플리츠가 형성되고, 상기 플리츠의 주름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보수액(保水液)이 함침된 흡수성 코어를 수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수면 중에는 음식물이나 타액 등의 연하(嚥下)가 없기 때문에 인후가 건조하기 쉬워지는 일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다음과 같은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마스크는 수분이 유지된 흡수성 코어를 자루 형상의 수용체에 수용하고, 이 수용체를,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에 부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면 중에 구강으로 수분이 보급되어 인후의 건조를 방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7―319421호 공보
그런데 상기 마스크에는 마스크 본체와는 별도로, 흡수성 코어를 수용하는 수용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고, 제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당 수용체가 마스크 본체와는 별도 부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장착 시에 해당 수용체가 입가에 닿을 염려가 있어서, 장착 시의 압박감이나 경직감의 점에서 불충분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한 구성으로 흡수성 코어를 수용 가능하고, 또한, 사용감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는 보수액이 함침된 흡수성 코어와, 통기성을 갖는 시트재를 2장 이상 적층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시트재의 사이에 상기 흡수성 코어를 수용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해당 마스크 본체를 얼굴에 유지하기 위한 한쌍의 귀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주름으로 시트재가 접히는 것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츠가 형성되고, 상기 플리츠의 주름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구성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를 구성하는 2장의 시트재의 사이에 흡수성 코어를 수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코어를 수용하는 수용체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 종래예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어서,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리츠(주름)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넓히면 마스크 본체를 세로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얼굴의 보다 넓은 범위를 마스크 본체로 덮을 수 있다. 여기에서, 플리츠의 주름은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를 시트재의 사이에 수용할 때에 플리츠가 방해되어 수용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에 있어서는, 플리츠의 주름이 흡수성 코어가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한, 어느 쪽의 위치에도 플리츠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 한정에 있어서, 복수의 플리츠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 본체의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플리츠를 설치하고, 흡수성 코어를 이들 2개의 플리츠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플리츠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를 보다 넓힐 수 있고, 마스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한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을 플리츠의 위쪽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플리츠가 흡수성 코어의 아래쪽 만에 위치하게 되어 흡수성 코어를 상기 영역에 수용할 때에 플리츠가 방해되지 않고, 매우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플리츠는 정면에서 보아 위 방향, 아래 방향 중 어느 방향에도 형성할 수 있는데, 아래 방향에 형성하면 보다 넓히기 쉽고, 마스크를 장착했을 때에 입가에 공간을 형성하기 쉬워져서, 장착에 의한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의 아래쪽에 플리츠를 형성하고, 그 플리츠의 주름을 따라서 흡수성 코어의 수용 영역의 하단으로 되는 고정부를 실시할 수 있다. 고정부는 봉제, 초음파 용착, 열 융착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흡수성 코어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에 따르면, 간이한 구조로 흡수성 코어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실시예 1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실시예 2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실시예 3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실시예 4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실시예 5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비교예 1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비교예 2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는 얼굴을 덮는 마스크 본체에 보수액이 함침된 흡수성 코어가 수용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수성 코어)
이하, 본 발명의 마스크에 수용되는 흡수성 코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흡수성 코어는 마스크에 부착되고, 후술하는 보수액을 함침하여 사용 시에 보수액을 서서히 방출시켜서 구강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수면 중에 충분한 수분을 구강에 공급하는 데는, 후술하는 보수액을 5g/장 이상 함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무게는 200∼10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60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은 무게가 200g/㎡보다 작으면 수분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는 한편, 1000g/㎡보다 크면 코어가 지나치게 단단해져서 착용 시에 불쾌해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의 면적으로서는 예를 들면, 15∼8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5㎠의 면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의 치수로서는 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4∼12㎝ 정도, 세로 방향으로 3∼8㎝ 정도가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8∼11㎝ 정도, 세로 방향으로 4∼6㎝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는 여러 가지 섬유 소재에 의해 구성이 가능한데, 친수성 섬유나 친수성 섬유와 합성 수지의 혼방으로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섬유 소재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레이온(rayon), 코튼(cotton), 펄프 등을 들 수 있고, 유연성ㆍ보수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펄프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코어는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어레이드(air raid)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생산성ㆍ가공성ㆍ내구성의 관점에서 주성분인 펄프에 폴리에틸렌 등의 열융착성 섬유를 소정의 비율로 혼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를 펄프로 구성하는 경우, 펄프:열융착 섬유의 비율은 60:40∼80:20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내구성ㆍ보수성의 관점에서 한쌍의 부직포로 끼운 3층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단에 배치되는 층의 부직포는 동일 소재로 해도 좋고, 다른 소재로 해도 좋다. 이들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친수성 섬유, 소수성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친수성 섬유와 합성 섬유의 혼방으로 할 수 있고, 친수성 섬유로서는, 레이온, 코튼, 티슈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이온이다. 친수성으로 하면 제조 시에 보수액을 펄프에 흡수시키기 쉬워져서 제조가 용이해진다는 잇점이 있다. 소수성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E, PP이다. 소수성으로 하면 젖음이나 끈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착용자측을 향하는 면을 소수성 섬유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그것과는 반대측의 면을 친수성 섬유로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섬유인 레이온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부직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20∼50g/㎡의 무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에는 호흡을 위한 통기 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착용 시에 입이 위치하는 장소에 설치한다. 마스크의 착용이 어긋난 경우에도 호흡을 방해하지 않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코어 전면에 설치한다. 통기 구멍은 크기, 간격은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직경은 8㎜, 구멍끼리의 간격은 5∼20㎜가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의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타원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코가 끼워지는 노치(notch)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노치부를 설치하는 데는, 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를 오목형으로 형성하면 좋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코가 코어에 덮이지 않고, 노치된 영역에 끼워지기 때문에 코에 의한 호흡이 편안해지는 것과 함께, 흡수성 코어가 코에 의하여 위치 결정되어, 수면 중에 흡수성 코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노치부의 치수로서는, 코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20∼40㎜ 정도, 세로 방향으로 5∼30㎜ 정도가 바람직하다.
(보수액)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보수액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보수액은 상기한 흡수성 코어에 함침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면 중에 충분한 수분을 구강에 공급하는 데는, 5∼30g의 보수액이 흡수성 코어에 함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g이다.
보수액은 물이어도 좋고, 또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물에 5∼50중량%의 폴리올을 배합할 수 있다. 폴리올을 배합하면, 흡수성 코어로부터의 수분 증발 스피드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어서, 장시간의 지속을 요하는 수면 중의 보수액으로서는 바람직하다. 폴리올로서는, 글리세린이나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1, 2―펜탄디올, 1, 2―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이 안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외에도, 메틸파라벤이나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 등의 방부제, 히알루론산염이나 베타인 등의 보습제, 식물 엑스, 크산탄검이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Na, 한천, 구아검, 카라기난 등의 수용성 증점제, 유칼리나 민트 등의 향료, 향료를 가용화하는 계면 활성제(노니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어니온성 계면 활성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보수액은 미리 흡수성 코어에 함침되어 있어도 좋고, 사용 시에 흡수성 코어에 함침해도 좋다. 미리 보수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예를 들면, 액이나 향료가 불투과성의 알루미라미네이트 필름이나 알루미 증착 PET필름이나 투명(실리카) 증착 PET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자루 등에 수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는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마스크 본체에 상기한 흡수성 코어가 부착된다.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단부에는 귀덮개 밴드(귀덮개부)도 부착된다. 귀덮개 밴드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구성되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의 치수로서는, 얼굴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100∼190㎜ 정도, 세로 방향으로 50∼1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가로 방향으로 150∼180㎜ 정도, 세로 방향으로 70∼9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는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등의 통기성을 갖는 시트재로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법, 멜트 블로법, 서멀 본드법 또는 스펀레이스법에 의한 부직포,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형성의 관점에서 스펀본드법에 의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의 구조로서는, 1층 이상의 시트재로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S층(스펀본드의 단층), SS층(스펀본드―스펀본드의 2층 구조), SSS층(스펀본드―스펀본드―스펀본드의 3층 구조), SMS층(스펀본드―멜트 블로―스펀본드의 3층 구조)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SS층, SSS층 및 SMS층, 더욱 바람직하게는 SSS층 및 SMS층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직포 및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소재는 공지의 것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종이, 레이온ㆍ코튼 등의 천연 섬유, 폴리프로필렌ㆍ폴리에틸렌ㆍ폴리에스테르 등, 합성 섬유로 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이고, 보형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선택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상기 시트재를 2장 이상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인데, 이 경우, 인접하는 2장의 시트재의 사이에 상기한 흡수성 코어가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시트재는 봉제, 초음파 용착, 열융착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적어도 하단 및 양측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자루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개방된 상단으로부터 흡수성 코어가 수용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츠(pleats)(주름)가 형성된다. 플리츠는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주름으로 시트재를 접는 것으로 형성된다. 이 플리츠를 넓힘으로써 마스크 본체가 세로 방향(상하 방향)으로 신장되어, 여러 가지 얼굴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마스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한 압박감을 경감할 수 있다. 플리츠는 정면에서 보아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 중 어느 방향에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 방향의 플리츠는 시트재를 전방(얼굴에서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바깥으로 접은 후, 다시 후방(얼굴을 향하는 방향 또는 얼굴과 대략 평행)을 향하여 바깥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아래 방향의 플리츠는 시트재를 전방을 향하여 바깥으로 접은 후, 다시 후방(얼굴에서 떨어지는 방향 또는 얼굴과 대략 평행)을 향하여 바깥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플리츠의 수는 한정되지 않지만, 수가 많을수록 마스크 본체가 신장된다. 다만, 1, 2개가 장착성, 흡수성 코어의 수용성 및 제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과 플리츠의 주름이 간섭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주름이 흡수성 코어의 배치 영역에 간섭하면, 흡수성 코어를 마스크 본체에 수용할 때에 플리츠를 넓히지 않으면 안되어서, 수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단부를 고정하는 외에, 흡수성 코어의 배치 영역을 규제하기 위한 고정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흡수성 코어의 배치 영역의 양측에 적어도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고정부를 설치하면, 흡수성 코어를 배치했을 때에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 나아가서는 흡수성 코어의 마스크 본체로부터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는 자루 형상으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의 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약간 아래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흡수성 코어를 수용할 때에 마스크 본체의 개구부를 넓게 벌릴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수용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코어의 배치 영역의 하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 고정부를 설치하면, 흡수성 코어의 하단의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이 때, 아래쪽에 배치된 플리츠의 주름을 따라서 흡수성 코어의 하단을 규정하는 고정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의 형상은 특별하게는 한정되지 않는다. 연속하는 직선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단속적인 점, 또는 선의 집합체이어도 좋다. 또한, L자형이어도 좋다. L자형이면, 잡아당겨도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마스크 본체에는 예를 들면, 그 상변을 따라서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수지나 생분해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상의 노즈피스(nosepiece)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노즈피스에 의해 마스크 본체가 얼굴에 꼭 맞아서 코와 마스크 본체의 간극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마스크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5는 실시예 1∼5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비교예 1, 2를 나타내는 마스크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는, 귀덮개 밴드를 생략하고 있다.
(실시예 1)
마스크 본체(1)는 2장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 시트(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즈는 세로 90×가로 180㎜이다. 또한, 외측의 부직포 시트의 무게는 20g/㎡이고, 내측의 부직포 시트의 무게는 40g/㎡이다. 이들 부직포 시트(11)는 겹쳐져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및 하단이 초음파 용착되어 있다(도면 중의 점선). 그리고 2장의 부직포 시트의 사이에 흡수성 코어(2)가 수용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마스크 본체(1)의 양측에는 상기 귀덮개 밴드가 초음파 용착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의 상하에는 각각 플리츠(12, 13)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플리츠(12)는 정면에서 보아 위 방향에 형성되고, 하측의 플리츠(13)는 정면에서 보아 아래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플리츠(12, 13)도 2개의 주름으로 부직포 시트(11)를 접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쪽의 주름도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과는 간섭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하측의 플리츠(13)의 하단부에는 가로 방향을 따라서 용착(17)(하단 고정부)이 실시되어 있으며, 다음에 설명하는 흡수성 코어(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의 상변을 따라서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선상의 노즈피스(18)가 매립되어 있으며, 마스크 본체(1)에 있어서, 이 노즈피스(18)의 상하가 초음파 용착되어 위치를 고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흡수성 코어(2)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수성 코어(2)는 세로 55×가로 90㎜로 형성되고, 펄프를 양면에서 부직포 시트에 의하여 끼운 것이다. 펄프의 무게는 500g/㎡이다. 또한, 흡수성 코어(2)의 상변에는 노치부(21)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평면에 보아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노치부: 세로 20×가로 30㎜). 또한, 직경 8㎜의 복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표 2에 나타내는 약 10g의 보수액이 함침되어 있다. 이 흡수성 코어(2)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모두 같은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성분 중량%
1, 2―헥산디올 1
글리세린 3
DPG 4
1, 3―BG 3
메틸파라벤 0. 2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 0. 006
히알루론산 나트륨 0. 01
캠퍼 0. 04
멘톨 0. 04
POE(60) 경화 피마자유 0. 5
적량
(실시예 2)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은 플리츠이고, 그 외는 같다. 실시예 2에서는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의 아래쪽에 2개의 위 방향의 플리츠(12, 13)가 형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플리츠(12, 13)도 2개의 주름으로 부직포 시트를 접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은 플리츠이고, 그 외는 같다. 실시예 3에서는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의 아래쪽에 1개의 위 방향의 플리츠(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리츠(12)도 2개의 주름으로 부직포 시트를 접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은 플리츠이고, 그 외는 같다. 실시예 4에서는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의 아래쪽에 1개의 아래 방향의 플리츠(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리츠(12)도 2개의 주름으로 부직포 시트를 접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의 양측에 두쌍의 고정부(14, 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14, 15)는 부직포 시트를 용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고정부(14)는 L자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의 고정부(15)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은 플리츠이고, 그 외는 같다. 실시예 5에서는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의 아래쪽에 아래 방향의 2개의 플리츠(12, 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리츠(12, 13)도 2개의 주름으로 부직포 시트를 접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5에서는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의 양측에 두쌍의 고정부(14, 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14, 15)는 부직포 시트를 용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고정부(14, 15)도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은 플리츠이고, 그 외는 같다. 비교예 1에서는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과 간섭하는 위치에 위 방향의 3개의 플리츠(12, 13, 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플리츠(12, 13, 16)는 2개의 주름으로 부직포 시트를 접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주름이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의 상이점은 마스크 본체 및 흡수성 코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별개로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수용부(3)는 부직포 시트에서 상단이 개방하는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1)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장의 부직포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마스크본체(1)에는 위 방향의 3개의 플리츠(12, 13, 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플리츠(12, 13, 16)는 2개의 주름으로 부직포 시트를 접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주름이 흡수성 코어(2)의 배치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 및 2를 10명의 피험자에게 착용시키고, 이하의 3점을 5단계로 평가했다.
1. 흡수성 코어를 넣기 쉬움
1점: 넣기 어렵다
2점: 별로 넣기 쉽지 않다
3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4점: 조금 넣기 쉽다
5점: 넣기 쉽다
2. 마스크 착용 시의 압박감
1점: 신경쓰인다
2점: 조금 신경쓰인다
3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4점: 별로 신경쓰이지 않는다
5점: 신경쓰이지 않는다
3. 마스크 착용 시의 경직감
1점: 신경쓰인다
2점: 조금 신경쓰인다
3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4점: 별로 신경쓰이지 않는다
5점: 신경쓰이지 않는다
결과는 이하와 같다.
넣기 쉬움 압박감 경직감
실시예 1 38점 46점 47점
실시예 2 48점 38점 38점
실시예 3 47점 36점 39점
실시예 4 46점 47점 46점
실시예 5 46점 46점 45점
비교예 1 13점 36점 16점
비교예 2 46점 47점 31점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1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플리츠가 흡수성 코어의 배치 영역과 간섭해 있으면 넣기 어렵고, 또한, 경직감의 점에서 뒤떨어지며, 또한, 압박감에 대해서도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비교예 2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별개로 설치하면, 장착 시의 경직감의 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한편, 실시예 1∼5에 대해서는, 넣기 쉬움, 압박감, 경직감의 3가지의 항목 모두 양호한 결과로 되었다. 특히, 실시예 4 및 5는 그 효과가 현저했다.
또한, 실시예 4에 대하여,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에서 이하의 2점을 평가했다.
1. 흡수성 코어의 튀어나옴
1점: 신경쓰인다
2점: 조금 신경쓰인다
3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4점: 별로 신경쓰이지 않는다
5점: 신경쓰이지 않는다
2. 흡수성 코어의 가로 방향의 어긋남
1점: 신경쓰인다
2점: 조금 신경쓰인다
3점: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4점: 별로 신경쓰이지 않는다
5점: 신경쓰이지 않는다
흡수성 코어의 튀어나옴 흡수성 코어의 어긋남
고정부 있음 42점 50점
고정부 없음 27점 23점
상기의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흡수성 코어의 튀어나옴, 어긋남이 발생했다. 또한, 실시예 4에 있어서의 고정부(14, 15)를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흡수성 코어의 튀어나옴이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지만, L자형의 고정부에 비하여 흡수성 코어의 수용 시에 파단되기 쉬운 경향에 있었다.
1: 마스크 본체
2: 흡수성 코어
10: 겉측(외측) 시트재
11: 안측(얼굴측) 시트재
12, 13, 16: 플리츠
14, 15: 가로측 고정부
17: 하단 고정부

Claims (5)

  1. 보수액이 함침된 흡수성 코어와,
    통기성을 갖는 시트재를 2장 이상 적층하는 것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시트재의 사이에 상기 흡수성 코어가 수용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해당 마스크 본체를 얼굴에 유지하기 위한 한쌍의 귀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주름으로 상기 시트재가 접히는 것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리츠가 형성되고,
    상기 플리츠의 주름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이 상기 적어도 1개의 플리츠보다 위쪽에만 설치된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는 영역보다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플리츠가 정면에서 보아 아래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
  4. 제 1 항에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아래쪽에 상기 플리츠가 형성되고, 해당 플리츠의 주름을 따라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수용 영역의 하단으로 되는 고정부가 실시되어 있는
    마스크.
  5. 제 1 항에서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부를 갖고 있는
    마스크.
KR1020117009939A 2008-09-30 2009-09-24 마스크 KR101707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5749 2008-09-30
JP2008255749A JP5137771B2 (ja) 2008-09-30 2008-09-30 マスク
PCT/JP2009/066472 WO2010038639A1 (ja) 2008-09-30 2009-09-24 マス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695A true KR20110086695A (ko) 2011-07-29
KR101707078B1 KR101707078B1 (ko) 2017-02-15

Family

ID=4207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939A KR101707078B1 (ko) 2008-09-30 2009-09-24 마스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37771B2 (ko)
KR (1) KR101707078B1 (ko)
WO (1) WO20100386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1068A (zh) * 2014-02-17 2015-08-19 长沙环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火灾逃生口罩
KR20200122044A (ko) * 2019-04-17 2020-10-27 에콜그린텍(주) 생분해성 pla 소재를 이용한 일회용 마스크 코 지지대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그리고 이를 구비한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4910A (ja) * 2010-05-11 2011-11-24 Kowa Co マスク用シート
JP2013244153A (ja) * 2012-05-25 2013-12-09 Nichiei:Kk 衛生マスクインナーシート
JP6161062B2 (ja) * 2013-04-22 2017-07-12 樫村 有紀子 マスク及びその製法
US9615612B2 (en) * 2013-08-29 2017-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with stiffening member integral with filtering structure
JP5995880B2 (ja) * 2014-01-08 2016-09-21 興和株式会社 マスク
CN105212353B (zh) * 2014-07-03 2017-04-05 宣德医材科技股份有限公司 气密型口罩的制造方法
JP2020000668A (ja) * 2018-06-29 2020-01-09 桐灰化学株式会社 温熱具
JP6976616B1 (ja) * 2020-11-30 2021-12-08 コアレックス信栄株式会社 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CN115553516A (zh) * 2021-07-02 2023-01-03 杨金龙 具有支撑条的口罩的罩体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1273A (ja) * 1988-02-04 1989-08-14 Shiide:Kk マスク
JP2004081473A (ja) * 2002-08-27 2004-03-18 Ozu Sangyo Kk マスク
JP2007319421A (ja) 2006-05-31 2007-12-13 Kobayashi Pharmaceut Co Ltd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JP2011161272A (ja) * 2011-05-30 2011-08-25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617U (ja) * 2004-06-01 2004-11-18 株式会社重松製作所 密着性に優れたプリーツマスク
JP4594181B2 (ja) * 2005-07-20 2010-12-08 大王製紙株式会社 マス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1273A (ja) * 1988-02-04 1989-08-14 Shiide:Kk マスク
JP2004081473A (ja) * 2002-08-27 2004-03-18 Ozu Sangyo Kk マスク
JP2007319421A (ja) 2006-05-31 2007-12-13 Kobayashi Pharmaceut Co Ltd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JP2011161272A (ja) * 2011-05-30 2011-08-25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1068A (zh) * 2014-02-17 2015-08-19 长沙环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火灾逃生口罩
KR20200122044A (ko) * 2019-04-17 2020-10-27 에콜그린텍(주) 생분해성 pla 소재를 이용한 일회용 마스크 코 지지대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그리고 이를 구비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078B1 (ko) 2017-02-15
WO2010038639A1 (ja) 2010-04-08
JP5137771B2 (ja) 2013-02-06
JP2010082278A (ja)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6695A (ko) 마스크
JP4832166B2 (ja)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JP6038071B2 (ja) マスク
JP2008295961A (ja) マスク
JP5694812B2 (ja) 機能性シートを収容可能なマスク
JP5591182B2 (ja)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JPWO2014003156A1 (ja) マスク
JP2008054767A (ja) 衛生マスク
JP5268432B2 (ja) 吸収性コア、及びこれを収容するマスク
JP7321706B2 (ja) マスク
JP2012205926A (ja) マスク
JP7408281B2 (ja) マスク
JP2021102829A (ja) マスク
JP7374583B2 (ja) マスク
JP7334039B2 (ja) マスク
WO2022102347A1 (ja) マスク
AU2019415216A1 (en) Mask
CN218851993U (zh) 一种3d折叠结构口罩
WO2021131254A1 (ja) マスク
JP2022101127A (ja) マスク
JP2022078902A (ja) マスク
TW202025931A (zh) 口罩
JP2020105678A (ja) マスク
JP2020105674A (ja) マスク
JP2020105670A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