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742A -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 Google Patents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742A
KR20110084742A KR1020100004462A KR20100004462A KR20110084742A KR 20110084742 A KR20110084742 A KR 20110084742A KR 1020100004462 A KR1020100004462 A KR 1020100004462A KR 20100004462 A KR20100004462 A KR 20100004462A KR 20110084742 A KR20110084742 A KR 2011008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mooring
shackle
ho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우리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4742A/ko
Publication of KR2011008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잡아매어 두기 위한 계류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류부표에 선박의 계류줄이 매여지면서 일정한 각도로 한쪽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도록 하여 계류부표가 침수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여 설치된 선박의 안내를 돕는 등명기의 파손과 침수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류부표는 선박이 항에 많이 정박 되어 있을 때나 대형의 선박일 때 선박이 항에 들어오지 못하게 될 때 바다에 선박이 임시 정박을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계류부표는 일정한 크기의 부력통의 상부면에 선박의 계류줄을 묶는 샤클과 위치를 확인해 주는 등명기가 장착되고 상기 샤클의 바닥면에 바닷속의 지면에 고정된 무게추에 연결된 체인을 연결하고 상기 체인이 부력통의 상부면에 장착된 샤클의 연결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계류부표는 계류부표보다 큰 대형의 선박이 정박을 위해 계류줄을 팽팽하게 당겨 고정할 경우 무게추와 샤클에 연결된 체인이 당겨지면서 부표통의 중앙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 계류부표가 기울어져 상부면 일부가 해수면에 침수가 발생되고 이때 파도 등으로 인해 계류부표가 회전되면서 상부면 전부가 침수가 되어 파도에 의해 계류부표 상부면에 형성된 등명기가 파손이 되거나 침수가 되어 부식이 발생되어 고장이 발생되므로 등명기로서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류부표가 상부면이 침수되지 않도록 부표통의 체인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경사지게 형성토록 함으로써 계류부표가 한쪽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인 부표통의 침수와 회전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A buoy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본 발명은 선박이 닻을 내리지 않고 해안에 정박할 때 선박을 잡아매어 두기 위한 계류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류부표에 선박의 계류줄이 매여지면서 계류부표가 잠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면서, 한쪽 방향으로만 기울어지도록 하여 부표에 설치된 선박의 안내를 돕는 등명기의 파손과 침수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해안에서 항만으로 입항할 때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또는 배에 기름을 주입하기 위해 잠시 동안 입항을 하게 되는데 항만에 정박 된 배들이 많거나 대형의 선박일 경우 항만에 들어오지 못하고 바다에 닻을 내려 정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선박이 정박을 하기 위해 닻을 내리게 될 경우 잠시 동안 배를 정박하기 위해서 닿을 내리게 될 경우 전력이나 기름 등의 소모가 발생되어 이러한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계류줄을 바다에 떠있는 계류부표에 묶어 배가 움직이지 않고 정박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계류부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에 떠있는 상태에서 파도에 의해 흘러가지 않도록 부력통(100)의 중앙에 지면에 고정되는 무게추(400)에 연결된 체인(220)을 연결되도록 수직의 관통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0)이 형성된 부력통(100)의 상부면에는 선박의 계류줄을 묶기 위한 샤클(200)이 장착되고 그 하측의 연결부(210)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210)에 체인(220)을 연결하고 상기 샤클(200)이 형성된 상부면에 야간이나 날이 안개가 끼거나 날이 흐린 날에도 계선부표가 잘 보여 지도록 등명기(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계류부표는 선박의 정박을 위해 어느 정도 크기로 되어 있는 것으로 선박이 소형일 경우 계류부표에 계류줄을 묶을 시 계류부표가 선박의 거의 높이가 같아서 계류부표가 기울어짐 없이 해수면에 떠 있게 되나 선박이 대형일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높이에 의해서 계류부표가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부표통(100)에 지면의 무게추(400)와 연결하기 위한 체인(220)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관통홀(110)이 부표통(100)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의 선박에 연결된 계류줄이 평평하게 당겨질 경우 부표통(100)의 관통홀(110)에 연결된 체인(220)에 의해 기울어짐 각도가 더 커지게 되어 해수면에 부표통(100)의 상부면 일부가 잠기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때 파도가 세거나 할 경우에는 파도에 의해 부표통(100)이 회전되면서 부표통(100)의 모든 면이 돌아가면서 잠기게 되면서 부표통(100)의 상부에 형성된 등명기(300)가 파도에 의해 분리가 되거나 파손 또는 침수가 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계류부표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파손과 침수로 인한 등명기(300)의 수리를 위하여 많은 시간과 수리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대형선박을 정박을 위하여 사용할 경우에 계류부표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작게 하여 계류부표가 해수면에 상부면이 잠기지 않도록 함과 회전을 방지하여 계류부표에 형성된 등명기가 파도에 의한 파손과 침수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류부표에 무게추에 연결된 체인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홀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하면서 하단부 일부의 관통홀 공간을 중앙에서 한쪽 방향으로 뚫어지게 형성하여 계류부표의 기울어짐 각도를 작게 하여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계류부표의 상부면이 해수면에 잠기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류부표의 상부면이 해수면에 침수되지 않게 됨으로써 바닷물로 인한 등명기의 부식 및 파손과 침수를 방지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면서 사용의 용이성과 수리 비용절감 및 등명기로서의 목적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류부표의 관통홀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계류부표의 이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계류부표의 기울어짐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계류부표의 관통홀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계류부표의 기울어짐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류부표의 샤클과 무게추에 연결된 체인이 위치되는 관통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계류부표의 관통홀이 형성된 이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류부표는 일정한 크기의 부표통(10)과 상기 부표통(10)의 상측에 선박의 계류줄을 묶는 샤클(20)과 계류부표의 위치를 확인해 주는 다수의 경광등(30)이 장착되고 상기 샤클(20)이 장착된 부표통(10)에 일정한 각도를 갖는 관통홀(1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샤클(20)의 하단에 무게추(50)에 연결된 체인(25)이 연결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부표통(10)은 해수면에 떠 있을 수 있게 내측이 비어있는 금속의 재질의 함체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통(10)에 형성된 관통홀(11)은 일정한 폭으로 상부면의 중앙보다 약간 옆으로 형성되어 부표통(10)의 중간부분까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중간부분에서 하단부분까지 수직에서 전방으로 절개되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류부표가 평상시에는 똑바른 상태로 해수면에 떠 있다가 대형의 선박이 계류부표에 계류줄을 묶어 정박할 때 부표통(10)의 경사지게 형성된 관통홀(11)로 인해서 바다 속 지면에 고정된 무게추(50)와 연결된 체인(25)이 경사지게 형성된 관통홀(11)을 따라 당겨지게 되어 부표통(10)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한쪽 방향으로만 기울어져 부표통(10)의 상부면이 해수면에 침수되거나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표통(10)의 상부면에 장착된 선박의 계류줄을 묶는 샤클(20)은 바닥판(23)에 두 개의 기둥(21)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중앙을 가로지르는 걸림기둥(2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3)의 이면에 무게추(50)에 연결된 체인(25)을 연결하는 연결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통(10)의 상부면에는 야간이나 안개나 날이 흐린 날에 선박이 계류부표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도록 등명기(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통의 상부면 둘레에 난간(40)을 형성하여 상기 난간(40)에 작은 소형의 배나 튜브 등을 묶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통(10) 측면 둘레에 완충구(12)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여 부표통(10)이 선박에 부딪힘으로 인해 선박이나 부표통(1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표통(10)에 무게추(50)에 연결된 체인을 연결하는 관통홀(11)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부표통(10)의 상부면이 침수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회전을 방지하여 일정한 각도로 한쪽 방향으로만 기울어지게 되어 침수 또는 파도에 의해 계류부표에 설치된 등명기(30)의 파손과 침수를 방지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 부표통 11: 관통홀
12: 완충구
20: 샤클 21: 기둥
22: 걸림기둥 23: 바닥판
24: 연결부 25: 체인
30: 등명기
40: 난간
50: 무게추

Claims (3)

  1. 일정한 크기의 부표통(10)과 상기 부표통(10)의 상측에 선박의 계류줄을 묶는 샤클(20)과 계류부표의 위치를 확인해 주는 등명기(30)가 장착되고 상기 샤클(20)의 하단에 무게추(50)에 연결된 체인(25)이 관통되게 위치되는 부표통(10)에 일정한 각도를 갖는 관통홀(11)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1)은 일정한 폭으로 부표통(10)의 상부면 중앙에서 약간 옆으로 형성되어 중간부분까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중간부분에서 하단부분까지 수직에서 전방으로 절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20)은 바닥판(23)에 두 개의 기둥(21)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중앙을 가로지르는 걸림 기둥(2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3)의 이면에 무게추(50)에 연결된 체인(25)을 연결하는 연결부(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KR1020100004462A 2010-01-18 2010-01-18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KR20110084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62A KR20110084742A (ko) 2010-01-18 2010-01-18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62A KR20110084742A (ko) 2010-01-18 2010-01-18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742A true KR20110084742A (ko) 2011-07-26

Family

ID=4492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462A KR20110084742A (ko) 2010-01-18 2010-01-18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47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746A (ko) 2015-03-06 2016-09-20 우리해양 주식회사 계류 부표
KR102077405B1 (ko) * 2018-12-13 2020-02-13 해양환경공단 야간 표시등을 갖는 앵커 부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746A (ko) 2015-03-06 2016-09-20 우리해양 주식회사 계류 부표
KR102077405B1 (ko) * 2018-12-13 2020-02-13 해양환경공단 야간 표시등을 갖는 앵커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0150346A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774693B1 (ko) 연안 플로터 계류 시스템
BRPI0619946B1 (pt) navio
CN104024101A (zh) 安全浮标
KR101241235B1 (ko) 해양 부표
NO138650B (no) Fortoeyningsanordning.
CN104619583B (zh) 半潜水式平台
ES2542427T3 (es) Método de carga de casco spar
KR20060112195A (ko) 부이
KR20110084742A (ko) 상부면의 침수와 부표통의 회전을 방지하는 계류(계선)부표
KR101602174B1 (ko) 위치 유지가 용이한 부표장치
KR101272106B1 (ko) 태양광 표시등 및 수평 조절구조를 갖는 장구형 부구
KR101694859B1 (ko) 계류 부표
KR101871103B1 (ko)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CN212580085U (zh) 自稳式深水航标
KR2015000418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CN216034936U (zh) 一种防漂浮物缠绕的水滴形浮标
JP5684220B2 (ja) 浮標の設置方法
WO2005105568A1 (ja)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KR20090131558A (ko) 유향 순응식 해양 관측 표시 부표
JP2008049977A (ja) 浮船台
CN211399500U (zh) 重力航标灯
KR20150035018A (ko) 선박의 무어링 장치
KR101453745B1 (ko) 웜기어-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200389965Y1 (ko) 선박의 항로표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019

Effective date: 201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