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018A - 선박의 무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무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018A
KR20150035018A KR20130115100A KR20130115100A KR20150035018A KR 20150035018 A KR20150035018 A KR 20150035018A KR 20130115100 A KR20130115100 A KR 20130115100A KR 20130115100 A KR20130115100 A KR 20130115100A KR 20150035018 A KR20150035018 A KR 20150035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ooring
main
chain
chai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재
김주현
양병진
이동현
이명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5018A/ko
Publication of KR2015003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06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5/00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Abstract

본 출원은 선박의 무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메인 볼라드(bollard)가 배치되고, 제티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 돌핀(dolphin), 일 측이 상기 메인 볼라드에 결박되고 상기 제티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제티에 걸쳐지는 메인 무어링 라인, 선박의 좌, 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및 일 측이 상기 메인 무어링 라인의 타 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티에 걸쳐지고 상기 브라켓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브라켓에 결속되는 메인 체인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선박의 무어링 장치{mooring apparatus for vessels}
본 발명은 선박의 무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셰일가스(shale gas)란, 오랜 세월 동안 모래와 진흙이 쌓여 단단하게 굳은 탄화수소가 퇴적암층에 매장되어 있는 가스이다.
셰일가스는 유전이나 가스전에서 채굴하는 기존 가스와 화학적 성분이 동일하여 난방용 연료나 석유화학 원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신 에너지원으로써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는 LNG터미널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육상 제티(jetty)에 짧게는 몇 년 길게는 몇 십 년 동안 정박하며, 셰일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있다가, LNG운반선에 액화 상태로 옮겨 실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가 제티(jetty: J)에 계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는 상기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의 미드(mid) 데크가 제티(J)와 나란히 위치하도록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방식으로 접안이 이루어진다.
이후,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로부터 다수의 노멀 무어링 라인(normal mooring line: N)을 인출하여 돌핀(dolphin: D)에 마련된 계선주(bollard)에 각각 묶어줌으로써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를 제티(J)에 계류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파도가 높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악천후 속에서 노멀 무어링 라인(N)만으로는 높은 파도와 강한 바람에 저항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를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가 전복되는 등의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었고,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파도가 높고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마다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가 인근 항구로 잦은 피항을 가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978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악천후 시에도 선박을 제티(jetty)에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메인 볼라드(bollard)가 구비되고, 제티로부터 일정간격을 이격되어 설치된 메인 돌핀(dolphin), 일 측이 상기 메인 볼라드에 결박되고 상기 제티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제티에 걸쳐지는 메인 무어링 라인, 선박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및 일 측이 상기 메인 무어링 라인의 타 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티에 걸쳐지고 상기 브라켓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브라켓에 결속되는 메인 체인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티의 높이와 상기 돌핀의 높이는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메인 돌핀은 육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에 제 1볼라드가 구비되고 상기 선박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1돌핀, 일 측이 상기 제 1볼라드에 결박되고 상기 선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무어링 라인, 상기 선박의 선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1체인 고정장치 및 일 측이 상기 제 1무어링 라인의 타 측과 연결되고 상기 선박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제 1체인 고정장치에 결속되는 제 1체인 케이블을 포함하는 선수용 무어링 유닛; 및 상부에 제 2볼라드가 배치되고 상기 선박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2돌핀, 일 측이 상기 제 2볼라드에 결박되고 상기 선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무어링 라인, 상기 선박의 선미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2체인 고정장치 및 일 측이 상기 제 2무어링 라인의 타 측과 연결되고 상기 선박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제 2체인 고정장치에 결속되는 제 2체인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미용 무어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 1체인케이블과 상기 제 1무어링 라인의 접점에 부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 2체인케이블과 상기 제 2무어링 라인의 접점에 부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 2돌핀은 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 1체인 고정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외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으로 인입되는 제 1체인 케이블을 상기 제 1체인 고정장치로 가이드하는 선수용 초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선수용 초크는 상기 선박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외벽과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제 2체인 고정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외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으로 인입되는 제 2체인 케이블을 상기 제 2체인 고정장치로 가이드하는 선미용 초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선미용 초크는 상기 선박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외벽과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에 의하면 무어링 라인을 통해 선박의 동요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파도와 강한 바람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선박을 항구로 피항시키지 않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에 의하면 부표를 통해 체인케이블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에 의하면 체인고정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체인케이블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에 의하면 계류작업이 용이하게 되므로, 계류작업시간이 감소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이 제티에 계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의 선수부(fore part)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의 선미부(aft part)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다른 선박이 계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선박의 무어링 장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선박(1)은 선박(1)의 미드(mid) 데크가 제티(jetty: J)와 나란히 위치하도록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방식으로 접안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티(J)는 선박(1)의 접안을 위하여 육지(shore: S)로 부터 돌출시켜 만든 부두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티(J)는 조류 등에 의해 수면의 높이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해발고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물로써 그 형상은 중요하지 않으며 선박(1)이 접안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다.
그리고, 제티(J)에 정박한 선박(1)은 무어링 장치에 의해 계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LNG-FPSO: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 및 재기화 설비(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 및 하역설비(LNG-FLSO) 등 제티(J)에 계류되는 다양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또는 드릴쉽(drillship)등의 특수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메인 돌핀(dolphin: 10), 메인 무어링 라인(110), 브라켓(bracket: 130) 및 메인 체인케이블(150)을 포함한다.
메인 돌핀(10)은 말뚝형 구조물로써, 제티(J)와 일정간격을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돌핀(10)은 제티(J)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육상(S)에 입설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돌핀(10)은 상부에 메인 볼라드(bollard: 11)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메인 볼라드(11)를 육상(S)에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 볼라드(11)는 메인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110)을 걸어 제티(J)에 정박한 선박(1)이 표류하지 않도록 붙잡기 위해 메인 돌핀(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기둥과 같은 구성요소이며, 메인 돌핀(10)의 시멘트에 매립되거나 메인 돌핀(10)에 매립되어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메인 볼라드(11)는 원형 단면일 수 있으며, 원형 이외에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단면의 형상에 구애 받지 않는다.
그리고 메인 볼라드(11)는 선박(1)을 지지함에 따라 파도나 태풍과 같은 외력에 의해 선박(1)이 떠내려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주강, 주철, 강판 또는 철근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볼라드(11)는 선박(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무어링 라인(110)은 일 측이 메인 볼라드(11)에 결박되고 제티(J)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측이 제티(J)에 걸쳐질 수 있다.
메인 무어링 라인(110)은 선박(1)의 중량을 지탱해야 하는 것으로 일정한 장력을 갖는 와이어 로프 또는 합성섬유 로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무어링 라인(110)의 타 측에는 상기 메인 무어링 라인(110)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뛰어난 메인 체인케이블(150)의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도나 태풍과 같은 외력에 의해 선박(1)이 동요하는 경우 메인 무어링 라인(110)이 제티(J)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체인케이블(150)은 해수에 의한 부식과 선박(1)의 움직임에 따른 마모에 강한 탄소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체인케이블(150)과 메인 무어링 라인(110)은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체인케이블(150)과 메인 무어링 라인(110) 사이에 샤클(shackle: 미도시)이 구비되어, 메인 체인케이블(150)과 메인 무어링 라인(110)이 각각 상기 샤클(미도시)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체인케이블(150)의 일 측은 메인 무어링 라인(110)과 연결되어 제티(J)에 걸쳐지고, 선박(1)에 설치된 브라켓(130)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선박(1)의 좌, 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30)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 체인케이블(150)이 상기 브라켓(130)에 결속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30)은 스마이트 브라켓(smit brack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 체인케이블(150)이 걸릴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브라켓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파도가 높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악천후 속에서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선박(1)의 동요(여기서, 롤링(rolling))를 감소시킴에 따라 선박(1)을 제티(J)에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선수용 무어링 유닛(200) 및 선미용 무어링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의 선수부(fore part)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수용 무어링 유닛은 제 1돌핀(20), 제 1무어링 라인(210), 제 1체인고정장치(230) 및 제 1체인케이블(250)을 포함한다.
제 1돌핀(20)은 말뚝형 구조물로써, 선박(1)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돌핀(20)은 도교를 통하여 육지(S)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참조).
이러한, 제 1돌핀(20)은 상부에 제 1볼라드(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볼라드(21)는 제 1무어링 라인(210)을 걸어 제티(J)에 정박한 선박(1)이 표류하지 않도록 붙잡기 위해 제 1돌핀(2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기둥과 같은 구성요소이며, 제 1돌핀(20)의 시멘트에 매립되거나 제 1돌핀(20)에 매립되어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제 1볼라드(21)는 머리가 굽힌 곡주(曲柱)일 수 있으며, 곡주 이외에도 직주(直柱)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단면의 형상에 구애 받지 않는다.
그리고, 제 1볼라드(21)는 메인 볼라드(11)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주강, 주철, 강판 또는 철근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박(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무어링라인(210)은 일 측이 제 1볼라드(21)에 결박되고 선박(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무어링 라인(210)은 선박(1)의 중량을 지탱해야 하는 것으로 일정한 장력을 갖는 와이어 로프 또는 합성섬유 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무어링 라인(210)의 타 측에는 상기 제 1무어링 라인(210)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고,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뛰어난 제 1체인케이블(25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체인케이블(250)과 제 1무어링 라인(210)은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 1체인케이블(250)과 제 1무어링 라인(210) 사이에 샤클(shackle: 미도시)이 구비되어, 제 1체인케이블(250)과 제 1무어링 라인(210)이 각각 상기 샤클(미도시)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1)이 동요하는 경우 제 1무어링 라인(210)보다 강도가 우수한 제 1체인케이블(250)이 선박(1) 내부로 인입되기 때문에, 선체와의 마찰로 제 1무어링 라인(210)이 마모되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체인케이블(250)과 제 1무어링 라인(210)의 접점에는 제 1부표(2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무어링라인(210)이 제 1볼라드(21)에 결박된 상태에서 해상에 던져지면, 선박(1)이 제 1부표(290)가 해수면에 떠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제 1체인케이블(250)을 용이하게 견져낼 수 있다.
이때, 제 1체인케이블(250)은 해수에 의한 부식과 선박(1)의 움직임에 따른 마모에 강한 탄소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상으로부터 건져진 제 1체인케이블(250)은 일 측이 제 1무어링 라인(210)의 타 측과 연결되고, 선박(1)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되어 타 측이 제 1체인 고정장치(230)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제 1체인 고정장치(230)는 메인바디(231), 상기 메인바디(23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233), 상기 메인바디(231) 일 측에 핀 결합되어 반대측이 개폐되는 도그(235) 및 상기 도그(235)의 핀 결합된 일 측에 배치되는 카운트 웨이트(237)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1) 내부로 인입된 제 1체인케이블(250)은 롤러(233)의 회전을 따라 제 1체인 고정장치(230)에 고정되며, 이와 같이 고정된 제 1체인케이블(250)은 도그(235)의 하중에 의해 눌려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카운트 웨이트(237)는 도그(235)를 통해 롤러(233)를 덮음으로써 제 1체인케이블(250)을 제 1체인고정장치(230)에 고정시키거나, 도그(235)를 통해 롤러(233)를 개방함으로써 제 1체인케이블(250)을 제 1체인 고정장치(230)로부터 고정 해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체인 고정장치(230)는 선수부 갑판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제 1체인 고정장치(230)로부터 선박(1)의 외측방향에 선수용 초크(270)가 더 포함하여, 선박(1)으로 인입되는 제 1체인케이블(250)이 잘 미끄러지도록 제 1체인 고정장치(230)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선수용 초크(270) 내측에는 제 1체인케이블(25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며, 제 1체인케이블(250)이 상기 통로를 지나갈 수 있는 방향 또는 위치를 기준으로 선수부 갑판상에 부설될 수 있다.
이러한, 선수용 초크(270)는 선박(1)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외벽과 일체형을 이룰 수도 있다.
이처럼, 선수용 무어링 유닛(200)은 선박(1)의 선수부를 고정함에 따라 선박(1)이 선미부 쪽으로 동요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또한 제티(J)로부터 선체의 선수부가 떨어지지 않고 제티(J)에 붙어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의 선미부(aft part)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미용 무어링유닛(300)은 제 2돌핀(30), 제 2무어링 라인(310), 제 2체인 고정장치(330) 및 제 2체인케이블(350)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미용 무어링 유닛(300)의 제 2돌핀(30), 제 2볼라드(31), 제 2무어링라인(310), 제 2체인케이블(350) 및 제 2체인 고정장치(330)는 전술한 선수용 무어링 유닛(200)의 제 1돌핀(20), 제 1볼라드(21), 제 1무어링라인(210), 제 1체인케이블(250) 및 제 1체인 고정장치(23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돌핀(30)은 말뚝형 구조물로써, 제티(J)와 일정간격을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돌핀(30)은 제티(J)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육상(S)에 입설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체인케이블(350)과 제 2무어링 라인(310)의 접점에는 제 2부표(3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무어링라인(310)이 제 2볼라드(31)에 결박된 상태에서 해상에 던져지면, 선박(1)이 제 2부표(390)가 해수면에 떠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제 2체인케이블(350)을 용이하게 견져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계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계류작업시간이 감소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해상으로부터 건져진 제 2체인케이블(350)은 일 측이 제 1무어링 라인(310)의 타 측과 연결되고, 선박(1)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되어 타 측이 제 2체인 고정장치(330)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제 2체인 고정장치(330)는 선미부 갑판에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체인 고정장치(230) 및 제 2체인 고정장치(330)는 도그를 이용하여 롤러를 덮음으로써 제 1체인케이블(250) 및 제 2체인케이블(350)을 고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체인케이블(250) 및 제 2체인케이블(350)을 선박(1)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체인 고정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체인 고정장치(230) 및 제 2체인 고정장치(330)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체인 고정장치(330)로부터 선박(1)의 외측방향에는 선미용 초크(370)가 설치됨에 따라, 선박(1)으로 인입되는 제 2체인케이블(350)이 잘 미끄러지도록 제 2체인 고정장치(330)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선미용 초크(370) 내측에는 제 2체인케이블(35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며, 제 2체인케이블(350)이 상기 통로를 지나갈 수 있는 방향 또는 위치를 기준으로 선미부 갑판상에 부설될 수 있다.
이러한, 선미용 초크(270)는 전술한 선수용 초크(270)와 마찬가지로 선박(1)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외벽과 일체형을 이룰 수도 있다.
이처럼, 선미용 무어링 유닛(300)은 선박(1)의 선미부를 고정함에 따라 선박(1)이 선수부 쪽으로 동요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고, 또한 제티(J)로부터 선체의 선미부가 떨어지지 않고 제티(J)에 붙어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선수용 무어링 유닛(200)과 선미용 무어링 유닛(300)을 더 포함하여, 선박(1)의 접안 시 파력, 조력, 풍력에 의해 발생하는 접안에너지에 따른 선박(1)의 동요(여기서, 피칭(pitching))을 감소시킴에 따라 선박(1)이 제티(J)에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선측부(side hull part)에 중 어느 한 측면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파도가 높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악천후 속에서 선박(1)을 제티(J)에 더욱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복수 개의 선수용 무어링 유닛(200) 및 복수 개의 선미용 무어링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수용 무어링 유닛(200)과 선미용 무어링 유닛(300)이 선박의 선수부와 선미부를 각각 고정함에 따라 선박(1)이 선수부 또는 선미부 방향으로 동요하는 것을 막고, 또한 제티(J)로부터 선체의 선수부 및 선미부가 떨어지지 않고 제티(J)에 불어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에 다른 선박(3)이 계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이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인 경우,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이 상기 선박(1)에 병렬 계류됨에 따라 선박(1)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운반선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 때, 선박(1)에는 복수의 퀵 릴리즈 후크(quick release hook: 5)가 구비되고, 다른 선박(3)에는 퀵 릴리즈 후크(5)에 대응하는 개수의 계류용 윈치(mooring winch: 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대응하는 위치의 퀵 릴리즈 후크(5)와 계류용 윈치(7) 사이에는 복수의 계류라인(9)이 개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선박(1)과 다른 선박(3)을 병렬로 계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복수의 퀵 릴리즈 후크(5)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에 설치되고, 복수의 계류용 윈치(7)가 다른 선박(3)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계류용 윈치(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에 설치되고, 복수의 퀵 릴리즈 후크(5) 가 다른 선박(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과 다른 선박(3) 사이의 틈새에는 충격완화를 위한 펜더(fender: 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무어링 장치는 파도나 태풍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파도와 강한 바람으로부터 선박(1)을 제티(jetty)에 안정적으로 계류시키면서, 파이프(400)를 통해 가스 또는 원유를 선박(1)내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선박 10: 메인 돌핀
11: 메인 볼라드 110: 메인 무어링 라인
130: 브라켓 150: 메인 체인케이블
20: 제 1돌핀 21: 제 1볼라드
200: 선수용 무어링 유닛 210: 제 1무어링 라인
230: 제 1인 고정장치 250: 제 1체인케이블
270: 선수용 초크 290: 제 1부표
300: 선미용 무어링 유닛 30: 제 2돌핀
31: 제 2볼라드 310: 제 2무어링 라인
330: 제 2체인 고정장치 350: 제 2체인케이블
370: 선미용 초크 390: 제 2부표
J: jetty

Claims (11)

  1. 상부에 메인 볼라드(bollard)가 배치되고, 제티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메인 돌핀(dolphin);
    일 측이 상기 메인 볼라드에 결박되고 상기 제티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제티에 걸쳐지는 메인 무어링 라인;
    선박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및
    일 측이 상기 메인 무어링 라인의 타 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티에 걸쳐지고 상기 브라켓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브라켓에 결속되는 메인 체인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티의 높이와 상기 돌핀의 높이는 동일한 선박의 무어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돌핀은 육상에 설치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에 제 1볼라드가 배치되고, 상기 선박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1돌핀, 일 측이 상기 제 1볼라드에 결박되고 상기 선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무어링 라인, 상기 선박의 선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1체인 고정장치 및 일 측이 상기 제 1무어링 라인의 타 측과 연결되고 상기 선박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제 1체인 고정장치에 결속되는 제 1체인 케이블을 포함하는 선수용 무어링 유닛; 및
    상부에 제 2볼라드가 배치되고 상기 선박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2돌핀, 일 측이 상기 제 2볼라드에 결박되고 상기 선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무어링 라인, 상기 선박의 선미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2체인 고정장치 및 일 측이 상기 제 2무어링 라인의 타 측과 연결되고 상기 선박 내부로 인입되도록 연장되어 타 측이 상기 제 2체인 고정장치에 결속되는 제 2체인케이블을 포함하는 선미용 무어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인케이블과 상기 제 1무어링 라인의 접점에 제 1부표가 설치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체인케이블과 상기 제 2무어링 라인의 접점에 제 2부표가 설치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돌핀은 해상에 설치되는 선박의 무어링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인 고정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외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으로 인입되는 제 1체인 케이블을 상기 제 1체인 고정장치로 가이드하는 선수용 초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용 초크는 상기 선박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외벽과 일체형을 이루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체인 고정장치로부터 상기 선박의 외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으로 인입되는 제 2체인 케이블을 상기 제 2체인 고정장치로 가이드하는 선미용 초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미용 초크는 상기 선박의 외벽에 삽입되어 상기 외벽과 일체형을 이루는 선박의 무어링 장치.
KR20130115100A 2013-09-27 2013-09-27 선박의 무어링 장치 KR20150035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100A KR20150035018A (ko) 2013-09-27 2013-09-27 선박의 무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100A KR20150035018A (ko) 2013-09-27 2013-09-27 선박의 무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18A true KR20150035018A (ko) 2015-04-06

Family

ID=5303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100A KR20150035018A (ko) 2013-09-27 2013-09-27 선박의 무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50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3515B2 (en) 2017-05-31 2021-02-09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Mooring device for vessel using spring bellows structure
KR20210000484U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접안설비의 고정핀 분해용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3515B2 (en) 2017-05-31 2021-02-09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Mooring device for vessel using spring bellows structure
KR20210000484U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접안설비의 고정핀 분해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4237B1 (en) Deep water installation vessel
US5159891A (en) Adjustable boat mooring system for a flexibly-supported tension leg platform
CN100393576C (zh) 停泊的方法和系统
AU2007350722B2 (en) Mooring system
CN201140778Y (zh) 一种海上输油柔性连接系泊装置
US20140205383A1 (en) Jack-up drilling unit with tension legs
US5065687A (en) Mooring system
US6390008B1 (en) Tender for production platforms
KR20140120150A (ko) 자력을 이용한 계류 장치 및 방법
US8381669B2 (en) System for loading of hydrocarbons from a floating vessel
KR20150035018A (ko) 선박의 무어링 장치
US6619223B2 (en) Tender with hawser lines
WO2012101104A1 (en) A system for storage, deployment and retrieval of elongated flexible members
RU2418710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айсберга
US6575111B2 (en) Method for tendering
JP5684220B2 (ja) 浮標の設置方法
WO1998030438A1 (en) Arrangement of drilling and production ship
KR100516140B1 (ko) 선박 예인장치
CN211139573U (zh) 螺旋辅助缆定位及定形的矿石混输软管系统
KR20130003914A (ko) 선박용 아지무스 쓰러스터의 육상 설치 방법
CN211167296U (zh) 螺旋缠绕定位及定形的矿石混输软管系统
CN116654181A (zh) 航标锚固装置
NO20120146A1 (no) Produksjonskonstruksjon assistert av hjelpefartoy
CN110803254A (zh) 螺旋辅助缆定位及定形的矿石混输软管系统
KR200478161Y1 (ko) 해상 부유구조물 계류줄의 표류 및 부유 방지를 위한 앵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