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253A -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253A
KR20110084253A KR1020117011009A KR20117011009A KR20110084253A KR 20110084253 A KR20110084253 A KR 20110084253A KR 1020117011009 A KR1020117011009 A KR 1020117011009A KR 20117011009 A KR20117011009 A KR 20117011009A KR 20110084253 A KR20110084253 A KR 20110084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ample
prozone
prozone phenomenon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650B1 (ko
Inventor
히로노리 하세가와
교이치 오시로
사토시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kinetic measurement, i.e. time rate of progress of an antigen-antibody inte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6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e.g.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 G01N33/53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 G01N33/53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by sorbent column, particles or resin strip, i.e. sorben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Abstract

종전의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해도 간이하게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i㎜unochromatography)법 등을 이용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하고, 상기 검체 분석 용구가, 다공질 기재에,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시료 공급부, 시약부 및 검출부가 배치된 검체 분석 용구이며, 상기 시약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정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검출되고, 하기 A법 및 B법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법: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검출 결과를 플롯하고, 상기 플롯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 B법: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표지의 검출을, 시간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실시하고, 얻어진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

Description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METHOD FOR DETECTING PROZONE PHENOMENON, ANALYSIS METHOD, DEVICE FOR DETECTING PROZONE PHENOMENON, AND ANALYSIS DEVICE}
본 발명은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분야의 진단에 있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의 검출이나 임신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체 분석 용구가 보급되어 있다. 상기 검체 분석 용구 중에서도, 면역 크로마토그래피(i㎜unochromatography)법을 이용한 검체 분석 용구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되고 있다. 상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검체 분석 용구의 검출 원리는, 예컨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다공질 기재로 형성되고, 상기 다공질 기재의 검출부에 고정화 항체가 고정된 검체 분석 용구를 준비한다. 이것에, 시료(검체)와 착색 입자로 표지한 표지화 항체를 첨가한다. 상기 시료 중에 분석 대상 성분인 항원이 존재하면, 상기 항원을 통해, 상기 표지화 항체와 상기 고정화 항체가 복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착색 입자에 의해 다공질 기재 상의 검출부가 착색된다. 상기 표지로서는, 착색 입자 외에, 효소와, 효소 반응에 의해 착색되는 기질의 조합 등도 있다. 상기 검출부는, 통상, 라인 형상이다. 착색이 확인된 경우에는, 시료 중에 분석 대상 성분이 존재한다고 하여 양성이라고 판정하고, 착색이 없으면 시료 중에 분석 대상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여 음성이라고 판정한다. 상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있어서는, 상기 검출부를 복수 설치하거나, 단계적인 착색을 확인함으로써,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을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분석 대상 성분의 검출에 있어서는, 분석 대상 성분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프로존 현상이 문제가 된다. 프로존 현상이란, 실제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이 고농도임에도 불구하고, 외관상,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저농도라고 판단되는 현상이다. 도 5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의 항원의 농도와 검출부의 흡광도(착색의 정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항원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흡광도는 상승하지만, 일정한 농도 이상이 되면, 흡광도가 얻어지지 않는다(착색되지 않음)고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예컨대 항원 농도가 Z1인 경우에 흡광도 X가 검출되지만, 고농도 영역의 농도 Z2에 있어서도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같은 정도의 흡광도밖에 검출되지 않게 된다. 이 현상은,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이 과잉으로 존재하면, 상기 고정화 항체가, 표지화 항체와 반응하지 않는 분석 대상 성분으로 메워져 버려, 표지화 항체와 반응한 분석 대상 성분은 상기 고정화 항체에 포착되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그 때문에, 분석에 있어서는, 고농도 영역에서, 외관상, 음성(거짓 음성)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진짜로 음성인 경우와 구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프로존 현상에 의한 거짓 음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시료를 적절하게 희석하여 재검사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해서, 검체 분석 용구의 고정화 항체로서, 친화성이 다른 복수의 항체를 사용하거나(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복수의 검출부에 있어서, 항체의 양을 단계적으로 변경하는 시도(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278305호 공보
특허 문헌 2: WO2003/014740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제3644780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서는, 검체 분석 용구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복수의 검출부의 최하류의 영역에서 반응이 종료될 때까지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지할 수 없어, 검사 효율의 저하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검체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성분인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하는 면역 반응을 이용한 면역 분석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검체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성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특이적 결합 물질)을 이용하는 분석 방법 전반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전의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해도 간이하게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이용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의 검출 방법은,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하고,
상기 검체 분석 용구가, 다공질 기재에,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시료 공급부, 시약부 및 검출부가 배치된 검체 분석 용구이며,
상기 시약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정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검출되고,
하기 A법 및 B법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법: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검출 결과를 플롯하고, 상기 플롯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
B법: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표지의 검출을, 시간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실시하고, 얻어진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은, 분석 공정 및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공정은,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하여 실시하며,
상기 검체 분석 용구가, 다공질 기재에,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시료 공급부, 시약부 및 검출부가 배치된 검체 분석 용구이고,
상기 시약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정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검출되며,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은,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사용하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하기 A 수단 및 B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수단: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플롯한, 상기 검출 결과의 피크의 위치에 의해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B 수단: 상기 표지의 검출을, 시간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실시하고, 얻어진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본 발명의 분석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분석 방법에 사용하고,
분석 수단 및 프로존 현상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 수단은, 상기 검체 분석 용구의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을 검출하고,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수단은,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의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해도 간이하게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여, 특이적 결합 물질을 이용해서 분석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이용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석이나 임상의 분야 등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고 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시료의 반사광을 검출한 검출 차트이다. 도 1의 (A)는, CRP 농도 60 ㎎/100 ㎖의 시료의 결과이고, 도 1의 (B)는, CRP 농도 6.5 ㎎/100 ㎖의 시료의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제2 검출부의 하류측 영역의, 10분 후의 반사율(R10)과, 반사율의 차(ΔR5-10)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검체 분석 용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이용하는 검체 분석 용구의 그 외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검체 분석 용구의 I-I 방향 단면도이다. 도 4의 (C)는, 상기 검체 분석 용구를 케이스체에 수용한 검체 분석칩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프로존 현상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이란, 실제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이 고농도임에도 불구하고, 외관상,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저농도라고 판단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항원 항체 반응의 프로존 현상 및 항원 항체 반응 이외의 생화학적 분야 등 전반의 반응에 있어서 보여지는 프로존 현상과 같은 현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법을 포함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서는, 미리 작성된, 상기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와,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관계를 관련시킨 판단 기준을 참조하여,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가,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차 및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비 중 적어도 한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및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A법을 포함하는 경우, 및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A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롯의 피크 위치가,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 있는 경우에는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A법에 의해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또한, 상기 B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 이상의 검출부이고, 상기 2개 이상의 검출부에 있어서,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의 검출부가, 분석 대상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이며, 하류측이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에서는,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하류측의 영역의 검출 결과에 의해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가, 광학적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석 방법에서는,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했다면, 거짓 음성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및 분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항원인 경우에는,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이, 표지화 항체 및 고정화 항체이면 된다. 또한,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항체인 경우에는,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이, 표지화 항체 및 고정화 항원이면 된다. 분석 대상 성분이 항체인 경우, 고정화 항원에 분석 대상 성분의 항체가 연결되고, 분석 대상 성분의 항체의 Fc 영역에, 표지화 항체의 Fab의 선단이 연결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대해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석 대상 성분을 포함하는 시료(검체)로서는, 액상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료가 고체상인 경우에는, 예컨대 완충액 등의 액체 중에 용해 또는 분산된 용액으로 하면 된다. 상기 완충액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트리스 완충액, 인산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액, 붕산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료로서는, 예컨대 비강 흡인액, 비강 세정액, 비강 씻음액, 콧물, 인두 씻음액, 함수액(含漱液), 타액, 전혈, 혈청, 혈장, 대변, 소변, 수액(髓液) 등의 생체 시료, 동물 및 식물 등의 음식물이나 가공 식품 등의 식품, 환경 검사에서의 하천의 물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석 대상 성분이 항원 또는 항체(이하, 「항원 등」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음)인 경우, 예컨대 상기 시료로부터, 추출액 등에 의해 항원 또는 항체를 추출하여 제작한 시료를 이용해서 분석해도 된다. 상기 추출액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액에는, 계면 활성제, 안정화제, 항균제 등을 적절하게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석 대상 성분이나 적용하는 시료는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컨대 혈액 중의 C반응성 단백질(CRP), HbA1c, TSH, FT3, FT4, hCG, HBs 항원, HBc 항체, HCV 항체, TY 항원, 안티-스트렙토리신 O(ASO), Ⅳ형 콜라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MMP-3), PIVAK-Ⅱ, α1 마이크로글로불린, β1 마이크로글로불린, 아밀로이드 A(SAA), 엘라스타아제 1, 염기성 페토프로테인(BFP), 칸디다 항원, 자궁 경관 점액 중 과립구 엘라스타아제, 디곡신, 시스타틴 C, 제XⅢ 인자, 뇨중 트랜스페린, 매독, 히알루론산, 피브린 단량체 복합체(SFMC), 폰·윌 브랜드 인자(제Ⅷ 인자 모양 항원), 프로테인 S, 류머티즘 인자(RF), IgD, α1 애시드글리코프로테인(α1 AG), α1 안티트립신(α1 AT), α2 마크로글로불린, 알부민(Alb), 세룰로플라스민(Cp), 합토글로빈(Hp), 프리알부민, 레티놀 결합 단백(RBP), β1C/β1A 글로불린(C3), β1 E 글로불린(C4), IgA, IgG, IgM, β 리포단백(β-LP), 아포단백 A-I, 아포단백 A-Ⅱ, 아포단백 B, 아포단백 C-Ⅱ, 아포단백 C-Ⅲ, 아포단백 E, 트랜스페린(Tf), 뇨중 알부민, 플라스미노겐(PLG), 리포단백(a)(LP(a)) 등의 검출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물질로서, 상기 표지화 항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표지화 항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지화 항체는, 예컨대 착색 불용성 담체 입자를 결합시킨 항체여도 되고, 효소를 결합시킨 항체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색 불용성 담체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착색 라텍스 입자, 금속 콜로이드 입자, 착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착색 폴리젖산 입자, 착색 다공성 유리 입자, 착색 실리카 입자, 착색 아가로스 입자, 착색 덱스트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 라텍스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청색 라텍스 입자, 적색 라텍스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콜로이드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금 콜로이드 입자, 백금 콜로이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 불용성 담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착색 라텍스 입자의 경우에는, 예컨대 0.05 ㎛∼5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1 ㎛∼1 ㎛의 범위이며, 상기 금속 콜로이드 입자의 경우에는, 예컨대 2 ㎚∼10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5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소로서는, 예컨대 반응하여 기질을 착색시키는 것이 이용되고, 예컨대 퍼옥시다아제, 알칼리포스파타아제, β-D-갈락토시다아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질로서는, 상기 효소에 반응하여 착색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질로서는, 예컨대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술폰산)(ABTS), 3,3',5,5'-테트라메틸벤지딘(TMB), 디아미노벤지딘(DAB), 5-브로모-4-클로로-3-인돌릴인산(BCIP), 4-메틸륨베리페닐-β-D-갈락토시드(4MUG), 3-(2'-스피로아다만탄)-4-메톡시-4-(3"-β-D-갈락토피라노실)페닐-1,2-디옥세탄(AMGPD)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지화 항체의 항체로서는, 분석 대상 성분인 항원 또는 항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각종 항원 등에 대한 항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예컨대 생체 유래의 항체여도 되고, 인공 합성된 항체여도 된다. 상기 생체 유래의 항체로서는, 예컨대 면역 글로불린(Ig), 항체 프래그먼트, 키메라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면역 글로불린으로서는, 예컨대 IgG, IgA, IgM, IgD, IgE 및 IgY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체 프래그먼트로서는, Fab, Fab', F(ab')2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키메라 항체로서는, 예컨대 인간화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예컨대 마우스, 토끼, 염소, 양, 닭 등 유래의 혈청으로부터,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작해도 되고, 또는 시판의 각종 항체를 이용해도 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체로서는, 폴리클로날 항체 및 모노클로날 항체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되고, 상기 항원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인공 합성된 항체로서는, 예컨대 애피보디(affibody) 등을 들 수 있다. 애피보디란, 인공 항체의 일종이며, 표적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 중에서 스크리닝하여 취득한 것이다. 애피보디는, 항체와 비교해서 사이즈가 작고, 또한, 열이나 알칼리 등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 항체의 항체로서는,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인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이고, 예컨대 상기 표지화 항체와 동일한 항원에 결합 가능한 항체여도 된다. 상기 고정화 항체의 종류나 조제 방법은, 예컨대 상기 표지화 항체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 항원의 항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인 항체에 대한 특이적인 항원이고, 예컨대 전술한 각종 항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 항원의 제작 방법은, 예컨대 종래 공지의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이후, 상기 고정화 항체 또는 상기 고정화 항원을, 「고정화 항체 등」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대해서, 면역 분석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은, 하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의 (A)의 평면도에, 면역 분석 방법에 이용하는 상기 검체 분석 용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검체 분석 용구(10)는, 다공질 기재(11)에,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화살표)의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시료 공급부(1), 시약부(2), 제1 검출부(L1), 제2 검출부(L2) 및 컨트롤용 검출부(C)를 갖는다. 이 검체 분석 용구(10)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검출부(L1), 상기 제2 검출부(L2) 및 상기 컨트롤용 검출부(C)를 포함하는 영역이, 상기 검출부이다. 상기 시약부(2)는, 표지화 항체(예컨대, 청색 라텍스 표지 항CRP 항체)를 담지하고 있다. 상기 제1 검출부(L1)는, 분석 대상 성분인 항원(예컨대, CRP)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이고, 항CRP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다. 상기 제2 검출부(L2)는,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이고, 예컨대 항CRP 항체가 고정화되어 있다. 상기 L1과 L2에는, 동일한 항체가 동일량 고정화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용 검출부(C)는, 예컨대 항 IgG 항체가 고정화된 컨트롤 검출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기재(11)는, 모세관 작용을 발휘하는 다공질 구조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다공질 기재(11)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막,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막, 유리 필터, 여과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기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직사각형, 원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기재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분석 장치의 규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의 검체 분석 용구에서는, 상기 다공질 기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라인 형상으로 검출부를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검출부의 개수는, 1개∼10개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검출부의 형상도, 라인 형상 이외에, 예컨대 직사각형, 원형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본 예의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한 면역 분석 방법에서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A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
먼저, 혈청(시료)을 채취한다(단계 S1). 이어서, 상기 시료 공급부(1)에, 상기 시료를 적하한다(단계 S2). 상기 적하에 의해, 상기 시료는, 상기 시약부(2)에 공급되고, 상기 시약부(2)에 담지된 상기 표지화 항체를 용해한다. 상기 시료가 분석 대상 성분인 항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상기 표지화 항체와 상기 항원이 결합하여, 항원-표지화 항체 결합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항원-표지화 항체 결합체는, 상기 다공성 기재에 전개되고, 상기 검출부의 상기 고정화 항체에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복합체의 형성에 의해, 상기 제1 검출부(L1), 상기 제2 검출부(L2) 및 상기 컨트롤용 검출부(C)가 상기 표지에 의해 발색한다.
이어서, 시간(t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의 발색의 유무 및 정도를 나타내는 반사광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화살표)을 따라 상기 반사광의 검출 결과를 플롯한 차트를 준비한다(단계 S3). 이어서, 상기 컨트롤용 검출부(C)의 좌표 부근에서의 곡형(谷型) 피크를 검출한다. 이 곡형 피크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시료 및 상기 표지화 항체가 정상적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측정 불능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1 검출부(L1) 및 상기 제2 검출부(L2)의 좌표 부근에 있어서, 2개의 곡형 피크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곡형 피크의 경계에 있는 산형(山型) 피크를, 상기 제1 검출부(L1)와 상기 제2 검출부(L2)의 경계로 한다. 이 경계의 좌표를, 상기 제2 검출부(L2)의 상류측 말단의 좌표로 하고, 한편, 이 경계의 좌표로부터, 하류측에 소정의 값 플러스가 되는 좌표를, 상기 제2 검출부(L2)의 하류측 말단의 좌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류측 말단의 좌표의 검출값 플롯과, 상기 하류측 말단의 좌표의 검출값 플롯을 선분으로 연결하고, 상기 선분과 상기 곡형 플롯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을, 상기 제2 검출부(L2) 전체의 피크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검출부의 플롯의 형상(피크 위치)으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한다. 상기 피크 위치가 상기 제2 검출부(L2) 전체의 피크의 전반(상류측)에 있는지 후반(하류측)에 있는지로,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피크 위치가 상기 제2 검출부(L2) 전체의 피크의 후반(하류측)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하류측에 없는 경우(아니오)에는, 후술하는 B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과 같이 하여,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한다. 하류측에 있는 경우(예)에는,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단계 S5). 예컨대, 상기 제2 검출부(L2)에 있어서, 예컨대 또한, 상기 선분의 중점을 지나는 기준선으로 상기 피크를 이분하여, 상기 피크를, 「전반」 및 「후반」으로 나눈다. 이어서, 각각의 범위에서의 검출값 플롯의 최소값(전반: L2f-min, 후반: L2l-min)을 구한다. 그리고, L2f-min≥L2l-min이면,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에 있어서는, 상기 피크 위치가 상기 제2 검출부(L2) 전체의 피크의 후반(하류측)에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선분의 중점을 지나는 기준선으로 상기 피크를 이분하여 판단을 행하였으나,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준선은, 예컨대 상기 선분의 하류측 3분의 1의 점을 지나는 것 등으로 하고, 이 기준선을 경계로 상류측 및 하류측을 정의해도 된다. 기준선을 어느 위치에 마련하는지는, 예컨대 분석 대상 성분의 검출 특성, 검출부의 크기, 시료 공급부와 검출부와의 거리, 측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 등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검출부가 있는 경우에는, 상류측의 검출부와 하류측의 검출부의 피크 높이를 비교하여, 하류측의 검출부에서 피크 높이가 높은 경우에,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프로존 현상의 요인의 하나로서, 시약부에 담지된 표지화 항체와 반응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항원이 시료 중에 과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표지화 항체와 반응하지 않는 항원이 검출부로 흘러 나와, 검출부에 고정화된 항체와 반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 표지화 항체와 반응하지 않는 항원이, 검출부에 고정된 항체를 마스크하기 때문에, 나중에 흘러나오는 표지화 항체와 반응한 항원이 검출부에 고정화된 항체와 반응할 수 없어, 발색이 희미해진다. 이 현상은, 검출부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현저하게 보여진다. 그 때문에, 검출부의 후반에 있어서 피크가 존재하면,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상기 제2 검출부(L2)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는 일례를 나타내었으나, 상기 제1 검출부(L1)에 있어서 검출을 행해도 된다. 또한, 검체 분석 용구가 검출부를 3개 이상 갖는 경우에는, 다른 임의의 검출부에 있어서 행해도 된다.
(B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
상기 A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이어서, 시간(t1)의 경과보다 앞의 시점인 시간(t2)에 있어서 미리 취득해 둔, 시간(t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검출부에서의 발색의 유무 및 정도를 나타내는 반사광을 검출한 결과를 플롯한다(단계 S4-1). 그리고, 예컨대 상기 제2 검출부(L2)의 반사율의 시간(t2)으로부터 시간(t1)의 변화량에 의해 프로존 현상을 검출한다. 그때에는, 상기 제2 검출부(L2) 전체의 피크에 의해 프로존 현상을 검출해도 되지만, 예컨대 또한, 상기 선분의 중점을 지나는 좌표로 상기 피크를 이분하여, 상기 제2 검출부(L2)의 하류측의 영역에 의해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시간(t1)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부(L2)의 하류측의 영역의 검출 결과에 대해서, 카운트값을 상기 선분으로부터의 비율(%)로 환산하고, 적산을 행하여, 반사율(Rt1)(%)을 구한다. 마찬가지로, 시간(t2)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의 반사광을 검출하여, 반사율(Rt2)(%)을 구한다. 검출 개시로부터, 상기 시간(t1)까지의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5분∼20분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분∼15분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분∼12분의 범위이다. 상기 시간(t1) 및 상기 시간(t2)의 시간차(t1-t2)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2분∼8분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3분∼7분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분∼6분의 범위이다. 얻어진 2개의 반사율의 차(ΔRt2-t1(%)=Rt2-Rt1)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한다. 상기 반사광의 검출 및 상기 반사율의 산출은, 상기 시간(t1) 및 상기 시간(t2)에 한정되지 않고, 3회 이상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반사광의 검출을, 예컨대 1분마다 경시적으로 행하고, 상기 시간(t2)에서의 검출 결과를, 예컨대 상기 시간(t2)-1분, 상기 시간(t2), 상기 시간(t2)+1분의 3개의 검출 결과의 평균값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미리 작성된, 상기 반사율의 차와,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관계를 관련시킨 판단 기준을 참조하여,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 기준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반사율의 차와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에서의 기준선, 상기 반사율의 차와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사율의 차와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에서의 기준선을 이용하는 경우, 최소 제곱법에 의해 경계선을 작성하고, 이것을 기준선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반사율의 차(ΔRt2-t1)가, 기준선을 하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기준선을 하회하는 경우(예)에는, 프로존 현상이 발생한다고 판단한다(단계 S5). 기준선을 하회하지 않는 경우(아니오)에는,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단계 S6).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사율의 차에 더하여 또는 대신하여, 상기 반사율의 비로부터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해도 되고, 상기 반사율의 차 및 비 이외의 상기 반사율의 대소 관계로부터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표지의 검출을 광학적 신호인 반사율을 이용하여 행하였으나, 투과율, 흡광도 등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을 산화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검출을, 전술한 바와 같은 표지화 항체의 발색에 기인한 반사율의 대소 관계에 의한 검출에 더하여 또는 대신하여, 산화 전류값의 대소 관계에 의해 검출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표지화 항체 등으로서, 산화 환원 효소를 결합시킨 항체 또는 항원을 이용하고, 상기 검출부에 전자 수용체 및 전극(음극 및 양극)을 배치한다. 상기 산화 환원 효소로서는,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을 산화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산화 환원 효소를 이용한 경우, 예컨대 다음과 같이 하여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검출부(L2)에 있어서, 상기 산화 환원 효소의 촉매 반응에 의해,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산화되고, 동시에, 상기 전자 수용체가 환원된다. 그리고, 상기 환원된 전자 수용체를 전기 화학적 방법에 의해 재산화한다. 이 재산화에 의해 얻어지는 산화 전류값이, 상기 분석 대상 성분량에 대응하기 때문에, 상기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을 정량할 수 있다. 상기 전극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금 전극, 카본 전극, 은 전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체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임의의 구성 부재이다. 상기 전극은, 예컨대 상기 검체 분석 용구의 사용 시에, 상기 검출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에 있어서는, 상기 A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또한 상기 B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을 실시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A법 및 상기 B법 중, 상기 A법만, 또는 상기 B법만을 채용하여 프로존 현상 검출을 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분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석 방법은, 분석 공정 및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분석 공정은,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상기 검체 분석 용구는,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은,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의 분석 방법에서는,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한 경우,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의 분석이, 정확하게 판정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거짓 음성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짓 음성이라고 판정함으로써, 음성과 구별되어, 분석을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존 현상의 발생이 검출되고 있기 때문에, 시료를 희석한 재차의 분석을 행할 필요도 없다.
이어서,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사용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이며,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하기 A 수단 및 B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A 수단은,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플롯한, 상기 검출 결과의 피크의 위치에 의해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고, B 수단은, 상기 표지의 검출을, 시간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실시하고, 얻어진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다.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광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취득 수단은, 예컨대 광원부 및 수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검체 분석 용구(10)의 상기 제1 검출부(L1), 상기 제2 검출부(L2) 및 상기 컨트롤용 검출부(C)를 포함하는 다공질 기재 상에 조사광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부에 의해 반사광을 검출한다. 상기 광원부는,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광부는, 예컨대 포토다이오드, 광전자 증배관(포토멀티플라이어),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산화 전류값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취득 수단은, 예컨대 전원 및 전류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전극(음극 및 양극)을, 상기 전원에 접속하고, 상기 전극과 상기 전원 사이에 상기 전류계를 배치한다. 이어서,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어서, 상기 시료가 상기 제2 검출부(L2)에 도달한 후, 상기 산화 전류값을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산화 전류값을 바탕으로,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의 정량을 행한다.
상기 취득 수단은,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의 일부여도 되고, 외부의 기기여도 된다.
상기 검출 수단은,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PU), 메모리, 입력 단말 및 출력 단말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 단말로서는, 예컨대 키보드나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상기 출력 단말은, 예컨대 디스플레이나 프린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 수단은, 전부가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전부 또는 일부가 장치 본체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 내에, 검출 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검출 수단에서 이용하는 전술한 각종의 판단 기준은, 미리 메모리에 기억시켜 검출 시에 참조해도 되고, 상기 입력 단말로 상기 CPU에 입력하여 참조해도 된다.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결과는, 상기 출력 단말에 의해 출력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분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석 장치는, 분석 수단 및 프로존 현상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수단은, 상기 검체 분석 용구의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을 검출하며,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수단은, 상기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 수단은, 중앙 처리 장치(CPU), 메모리, 입력 단말 및 출력 단말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 단말로서는, 예컨대 키보드나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상기 출력 단말은, 예컨대 디스플레이나 프린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 수단은, 전부가 분석 장치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전부 또는 일부가 장치 본체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 내에, 분석 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의 검출 결과는, 상기 출력 단말에 의해 출력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여러 가지 농도로 CRP를 포함하는 시료를 준비하고,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검출과, 상기 B법을 포함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판단 기준의 작성의 구체예를 이하에 서술한다.
(CRP 검체)
복수의 환자 및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청을,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각 혈청에 대해서, 라텍스 면역 비탁법에 의해, 미리, CRP 농도를 결정해 두고, 그 CRP 농도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항원 항체 반응을 발생시키는 시료와,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는 시료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CRP 농도 0.6 ㎎/100 ㎖, 2.5 ㎎/100 ㎖ 및 6.5 ㎎/100 ㎖의 각 시료를, 정상적인 항원 항체 반응을 발생시키는 시료, CRP 농도 25 ㎎/100 ㎖ 이상의 시료를,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는 시료로 하였다.
(검체 분석 용구)
CRP 측정용의 검체 분석 용구로서, 상품명 「스포트켐 i-Line CRP」(아크레이(주) 제조)를 사용하였다. 이 검체 분석 용구의 개략을 도 4에 도시한다. 도 4의 (A)는, 검체 분석 용구(20)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기 도 4의 (A)의 I-I 방향 단면도이며, 도 4의 (C)는, 상기 검체 분석 용구(20)를 케이스체(31)에 수용한 검체 분석칩(30)의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도 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검체 분석 용구(20)는, 상측 기판(도시하지 않음), 하측 기판(21), 검출용 다공질체(22), 2개의 샘플용 다공질체(23 및 24), 청색 라텍스 표지 항CRP 항체가 담지된 표지화 항체용 다공질체(25), 및 잉여의 검체를 흡수하는 흡수용 다공질체(26)를 구비한다. 하측 기판(21) 위에는, 그 길이 방향의 중앙에, 검출용 다공질체(22)가 적층되어 있다. 검출용 다공질체(22)의 일단(도 4에서 좌측)에는, 청색 라텍스 표지 항CRP 항체가 담지된 표지화 항체용 다공질체(25)가 적층되어 있다. 표지화 항체용 다공질체(25)에는, 2층의 샘플용 다공질체(23, 24)가 적층되어 있다. 검출용 다공질체(22)의 다른 말단(도 4에서 우측)에는, 흡수용 다공질체(26)가 적층되어 있다. 검출용 다공질체(22)는, 시료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샘플용 다공질체(23 및 24)가 적층된 측(도 4에서 좌측)을 상류, 흡수용 다공질체(26)가 적층된 측(도 4에서 우측)을 하류로 하고, 상류로부터, 항CRP 항체가 고정화된 제1 검출부(L1) 및 제2 검출부(L2), 및 항IgG 항체가 고정화된 컨트롤용 검출부(C)를 갖는다. 제1 검출부(L1) 및 제2 검출부(L2) 및 컨트롤용 검출부(C)를 포함하는 영역을, 검출부(27)라고 말한다. 그리고, 하측 기판(21) 위에 적층된 각종 다공질체를 덮도록, 상측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기판은, 샘플용 다공질체(24)의 시료 공급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 구멍을 갖고, 또한, 제1 검출부(L1), 제2 검출부(L2) 및 컨트롤용 검출부(C)에 대응하는 부위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검출부(L1)의 중앙부까지의 거리는 30 ㎜, 상기 제2 검출부(L2)의 중앙부까지의 거리는 33.5 ㎜, 상기 컨트롤용 검출부(C)의 중앙부까지의 거리는 38 ㎜이다.
(광학 신호 측정)
상기 검체 분석 용구에, 각 시료 5 ㎕를 첨가하고, 첨가 후, 1분 이내에 반사광 측정 장치(상품명 SPOTCHEM(등록상표) IL, 아크레이(주) 제조)에 세팅하여, 발색의 유무 및 정도를 나타내는 반사광을 검출하였다. 반사광은, 장치에 세팅한 시점을 검출 개시 시(0초)로 하고, 1분마다 경시적으로 검출하였다. 또한, 반사광의 검출은, 시료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검출부(27)에 대해서 행하였다.
상기 각종 시료 중, CRP 농도가 60 ㎎/100 ㎖인 1시료, 및 CRP 농도가 6.5 ㎎/100 ㎖인 1시료에 대해서, 검출 개시 시로부터 10분 후에서의 반사광을 검출한 검출 차트를, 각각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한다. 도 1의 (A)는, CRP 농도 60 ㎎/100 ㎖의 시료의 결과이고, 도 1의 (B)는, CRP 농도 6.5 ㎎/100 ㎖의 시료의 결과이다. 양 도면에 있어서, X축은 상기 검체 분석 용구의 검출부에서의, 상류로부터 하류 방향을 향하는 좌표를 나타내고, 1눈금은, 약 0.167 ㎜이다. 양 도면에 있어서, Y축은 상기 반사 측정 장치에 의한 검출값(단위 카운트)을 나타내고, 값이 작을수록, 발색 정도가 강한, 즉, 반사율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의 (A)의 검출 차트에서는, 플롯의 피크 위치가 시료의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 있어, 상기 A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이 발생」이라고 판단된다. 도 1의 (B)의 검출 차트에서는, 플롯의 피크 위치가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 있어, 상기 A법의 프로존 현상 검출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이 발생」이라고는 판단되지 않는다.
이어서, 각 시료의 검출 결과로부터, 제2 검출부에 대해서, 검출 개시로부터 5분 후 및 10분 후의 반사율, 상기 5분 후의 반사율로부터 10분 후의 반사율의 증가 정도를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료에 대해서, 상기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예시한, 좌표와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차트를 준비하고, 먼저, 컨트롤용 검출부의 좌표 부근(Y80∼Y110)에서의 곡형(谷型) 피크(C)를 검출하였다. 이 곡형 피크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료 및 청색 라텍스 표지 항CRP 항체가 정상적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검출 불능으로서, 평가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어서, 제1 검출부(L1) 및 제2 검출부(L2)의 좌표 부근(Y30∼Y80)에 있어서, 2개의 곡형 피크를 검출하였다. 상기 2개의 곡형 피크의 경계에 있는 산형 피크를, 제1 검출부(L1)와 제2 검출부(L2)의 경계로서 결정하였다. 이 경계의 좌표를, 제2 검출부(L2)의 상류측 말단의 좌표(U)로 하고, 한편, 상기 경계의 좌표로부터, 하류측으로 플러스 Y20이 되는 좌표를, 제2 검출부(L2)의 하류측 말단의 좌표(D)로서 결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류측 말단의 좌표(U)의 검출값 플롯과, 상기 하류측 말단의 좌표(D)의 검출값 플롯을 선분으로 연결하고, 상기 선분과 곡형 플롯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제2 검출부(L2)의 전체의 피크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선분의 중점을 지나는 좌표(M)를 결정하고, 제2 검출부(L2)의 하류측 영역의 결과(양 도면의 사선부)를 사용하였다. 이 제2 검출부(L2)의 하류측 영역의 결과에 대해서, 카운트값을 상기 선분으로부터의 비율(%)로 환산하고, 적산을 행하여, 반사율(%)을 구하였다. 이렇게 하여, 각 시료에 대해서, 제2 검출부(L2)의 하류측 영역에서의, 5분 후의 반사율(R5) 및 10분 후의 반사율(R10)을 구하고, 또한 5분 후의 반사율(R5)과 10분 후의 반사율(R10)의 차(ΔR5 -10)를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ΔR5-10(%)=R5-R10
여기서, 「5분 후의 반사율」로서는, 검출 개시로부터 5분 후의 검출값으로부터 산출된 값을 이용해도 되지만, 예컨대 「4분, 5분, 6분의 검출값으로부터 산출된 값의 평균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는 10분 후의 반사율(R10)과, 반사율의 차(ΔR5-10)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X축은 반사율의 차(ΔR5-10)이고, Y축은 10분 후의 반사율(R10)이며, ○는 정상적인 항원 항체 반응이 가능한 시료를 나타내고, ◆는 프로존 현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시료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존 현상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시료(◆)는, 그래프의 좌측 아래에 플롯이 밀집하고 있는 데 비하여, 정상적인 항원 항체 반응이 가능한 시료(○)는, 그래프의 우측 위에 플롯이 밀집하였다. 양 집단을 분리하기 위한 해석을 행한 결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4.52x+0.75라고 하는 식이 얻어졌다. 이 식을 검량선으로 함으로써, CRP 농도가 미지인 시료여도, 10분 후의 반사율(R10)과 반사율의 차(ΔR5-10)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의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해도 간이하게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여, 예컨대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이용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는, 임상 검사, 생화학 검사, 의학 연구 등의 분야에 적용 가능하고, 그 용도는 한정되지 않으며, 넓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1: 시료 공급부
2: 시약부
10, 20: 검체 분석 용구
11: 다공질 기재
21: 하측 기판
22: 검출용 다공질체
23, 24: 샘플용 다공질체
25: 표지화 항체용 다공질체
26: 흡수용 다공질체
27: 검출부
30: 검체 분석칩
31: 케이스체
L1: 제1 검출부
L2: 제2 검출부
C: 컨트롤용 검출부

Claims (14)

  1. 시료 중의 분석 대상 성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하고,
    상기 검체 분석 용구가, 다공질 기재에,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시료 공급부, 시약부 및 검출부가 배치된 검체 분석 용구이며,
    상기 시약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정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검출되고,
    하기 A법 및 B법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A법: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검출 결과를 플롯하고, 상기 플롯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
    B법: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표지의 검출을, 시간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실시하고, 얻어진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법을 포함하고, 미리 작성된, 상기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와 프로존 현상의 발생의 관계를 관련시킨 판단 기준을 참조하여, 상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법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가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차 및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비 중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법을 포함하고, 상기 플롯의 피크 위치가 시료의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 있는 경우에는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또한 상기 B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 이상의 검출부이고, 상기 2개 이상의 검출부에서,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의 검출부가 분석 대상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이며, 하류측이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에서,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하류측의 영역의 검출 결과에 의해 프로존 현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가 광학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항원이고,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이 표지화 항체 및 고정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항체이고,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이 표지화 항체 및 고정화 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11. 분석 공정 및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공정은 검체 분석 용구를 사용하여 실시하며,
    상기 검체 분석 용구가, 다공질 기재에,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 시료 공급부, 시약부 및 검출부가 배치된 검체 분석 용구이고,
    상기 시약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가 상기 분석 대상 성분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고정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이 검출되며,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공정에서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면 거짓 음성이라고 판정하는 것인 분석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에 사용하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하기 A 수단 및 B 수단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A 수단: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을 따라 플롯한 상기 검출 결과의 피크의 위치에 의해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B 수단: 상기 표지의 검출을, 시간을 변경하여 2회 이상 실시하고, 얻어진 2개 이상의 검출 결과의 대소 관계로부터 프로존 현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분석 방법에 사용하고,
    분석 수단 및 프로존 현상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 수단은, 상기 검체 분석 용구의 상기 검출부에서, 상기 분석 대상 성분, 상기 표지화 물질 및 상기 고정화 물질의 복합체 중 상기 표지화 물질의 상기 표지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분석 대상 성분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존 현상 검출 수단은, 제13항에 기재된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장치.
KR1020117011009A 2009-08-07 2010-07-16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 KR101280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5298 2009-08-07
JP2009185298 2009-08-07
PCT/JP2010/062066 WO2011016326A1 (ja) 2009-08-07 2010-07-16 プロゾーン現象検出方法、分析方法、プロゾーン現象検出装置および分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253A true KR20110084253A (ko) 2011-07-21
KR101280650B1 KR101280650B1 (ko) 2013-07-01

Family

ID=4354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009A KR101280650B1 (ko) 2009-08-07 2010-07-16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3344B2 (ko)
EP (1) EP2423686B1 (ko)
JP (1) JP5714912B2 (ko)
KR (1) KR101280650B1 (ko)
CN (1) CN102341706B (ko)
WO (1) WO20110163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76327A (zh) * 2012-04-28 2013-10-30 通用电气公司 检测抗体或融合蛋白的浓度的方法
WO2014022828A1 (en) 2012-08-02 2014-02-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grated nanowire array devices for detecting and/or applying electrical signals to tissue
US9671398B2 (en) 2012-12-28 2017-06-06 Abbott Point Of Car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hook effect and expanding the dynamic range in point of care immunoassays
WO2014119544A1 (ja) * 2013-01-29 2014-08-07 国立大学法人三重大学 イムノクロマト法で血漿タンパクを測定する方法
WO2014196803A1 (en) * 2013-06-04 2014-12-11 Proteometech Inc. A strip for rapid testing having a variable control line and a diagnosis kit using the same
CN104714008B (zh) * 2015-02-04 2016-08-17 上海交通大学 一种免疫层析试纸条及其制作方法与检测方法
CN109470860B (zh) * 2016-11-22 2021-12-10 科美博阳诊断技术(上海)有限公司 免疫测定方法、用于鉴定免疫测定的系统和试剂盒
CN108204959B (zh) * 2016-11-22 2020-10-30 博阳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鉴别hd-hook效应样本的方法和鉴定免疫测定中的hd-hook效应的系统
CN109470869B (zh) * 2016-11-22 2022-01-25 科美博阳诊断技术(上海)有限公司 免疫测定方法、用于鉴定免疫测定的系统和试剂盒
US20190353664A1 (en) * 2016-11-22 2019-11-21 Beijing Chemclin Biotech Co., Ltd. Method, system, reagent kit, and device for determining hd-hook-effect sample and immunoassay
CN110114677B (zh) * 2016-12-15 2023-06-20 株式会社堀场制作所 使用了免疫凝聚反应的浓度测定中的受试物质浓度的适当性的判定方法及具有用于该判定方法的处理部的试样分析装置
CN107102153A (zh) * 2017-05-18 2017-08-29 天津市宝坻区人民医院 血清中脂蛋白a先后双试剂测定方法
JP2019113425A (ja) * 2017-12-25 2019-07-11 Blue Industries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アッセイ用検査カートリッジ及び検査装置
CN110514651A (zh) * 2018-05-21 2019-11-29 博阳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化学发光免疫分析测定方法及使用该方法的系统、试剂盒
CN110514647B (zh) * 2018-05-21 2023-01-20 科美博阳诊断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化学发光分析测定方法及使用该方法的系统、试剂盒
CA3114522A1 (en) * 2018-09-28 2020-04-02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Methods for detecting hook effect(s) associated with anaylte(s) of interest during or resulting from the conductance of diagnostic assay(s)
CN110542660A (zh) * 2019-09-29 2019-12-06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检测试样反应中前带效应的方法、装置以及检测系统
CN110567900B (zh) * 2019-09-29 2022-07-05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试样反应中抗原过量的判断方法、装置及光学检测系统
CN116298324A (zh) * 2023-05-25 2023-06-23 武汉大学人民医院(湖北省人民医院) β2-微球蛋白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0787A (ja) 1993-02-25 1994-09-09 Toshiba Corp 座標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JPH08278305A (ja) 1995-04-03 1996-10-22 Nippon Shoji Kk 免疫学的測定装置
JP3644780B2 (ja) 1996-12-25 2005-05-11 湧永製薬株式会社 免疫学的定量装置
US6183972B1 (en) * 1998-07-27 2001-02-06 Bayer Corpora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alyte concentration in a lateral flow sandwich immunoassay exhibiting high-dose hook effect
JP2002122599A (ja) * 2000-10-17 2002-04-26 Nitto Denko Corp 免疫測定法
US20030100128A1 (en) * 2000-12-26 2003-05-29 Noriko Kenjyou Specific bonding analysis method and specific bonding analysis device using it
EP1416276B1 (en) 2001-08-09 2007-03-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iosensors and measurement method
EP1496361B1 (en) * 2003-07-07 2006-10-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munoassay method and immunoassay system using a Fourier transformation to judge the occurrence of zone phenomena.
JP4577052B2 (ja) * 2005-03-11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クロマトグラフィー測定装置
US7439079B2 (en) * 2005-04-29 2008-10-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ssay devices having detection capabilities within the hook effect region
EP1845373A1 (en) * 2006-04-13 2007-10-17 Olympus Life and Material Science Europa GmbH An immunoassay method
NZ596163A (en) * 2009-04-15 2014-01-31 Relia Diagnostic Systems Inc Diagnosti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6326A1 (ja) 2011-02-10
JP5714912B2 (ja) 2015-05-07
JPWO2011016326A1 (ja) 2013-01-10
EP2423686B1 (en) 2015-09-02
KR101280650B1 (ko) 2013-07-01
CN102341706B (zh) 2014-06-11
EP2423686A4 (en) 2013-01-02
US8993344B2 (en) 2015-03-31
US20120015450A1 (en) 2012-01-19
CN102341706A (zh) 2012-02-01
EP2423686A1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650B1 (ko) 프로존 현상 검출 방법, 분석 방법, 프로존 현상 검출 장치 및 분석 장치
EP1416276B1 (en) Biosensors and measurement method
Koivunen et al. Principles of immunochemical techniques used in clinical laboratories
CN106872420B (zh) 一种时间分辨荧光定量检测尿微量白蛋白的试剂盒及方法
JP5012507B2 (ja) 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EP2295970A1 (en) Immunoassay analyzer and immunoassay method
Wang et al. A paper-based device with an adjustable time controller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tumor biomarkers
CN104081210A (zh) 具有气动式样本致动的光学测定装置
CN104081207A (zh) 用于光学和电化学测定的检验装置
WO2015072724A1 (ko) 광범위한 농도범위의 생체물질 농도 측정이 가능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센서
EP1347299A1 (en) Specific bonding analysis method and specific bonding analysis device using it
US11806717B2 (en) Assay using sample thickness multiplexing
KR101718485B1 (ko) 면역크로마토그래피의 형광반응 또는 유색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Li et al. Detection of NT-pro BNP using fluorescent protein modified by streptavidin as a label in immunochromatographic assay
EP1293780A2 (en) Specific binding analysis method
KR20160120675A (ko) 래피드 정량 진단 키트
Shin et al. Hook effect detection and detection-range-controllable one-step immunosensor for inflammation monitoring
CN113113079B (zh) 一种识别定量免疫层析试验中钩状效应的方法
KR20150111391A (ko)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용 디바이스
CN114814243B (zh) 应用于蛋白质抗原的定量检测试剂盒及方法
KR102352618B1 (ko)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면역 분석 검사 스트립
JP2008180543A (ja) 分離デバイス、血液成分測定デバイス、血液成分測定システム、分離機能物質、血液成分測定方法、および分離方法。
JP2022131916A (ja) 抗原の測定方法及び固相化抗体の製造方法
JP2009294116A (ja) バイオセンサ
Nahm et al. Radiometry in medicine and bi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