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881A - 편광판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절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881A
KR20110083881A KR1020100003853A KR20100003853A KR20110083881A KR 20110083881 A KR20110083881 A KR 20110083881A KR 1020100003853 A KR1020100003853 A KR 1020100003853A KR 20100003853 A KR20100003853 A KR 20100003853A KR 20110083881 A KR20110083881 A KR 2011008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laser
cutting
fume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037B1 (ko
Inventor
배연섭
한동수
안병훈
채성욱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0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a combination of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23K26/062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by shaping pul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73Shaping the laser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69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판의 절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이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 길이를 최소화된다.

Description

편광판 절단 방법{The cutt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판의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와 같은 광학소자에는 편광판이 적용된다.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편광자(또는 ‘편광필름’이라고도 함)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TAC)으로 대표되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점착제층, 이형필름, 표면보호필름 또는 기능성 코팅층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다층구조의 편광판은 롤에 감겨진 시트형상 제품으로서 제조되며, 용도에 따라 낱장의 편광판으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레이저(1)를 이용하여 편광판(2)을 절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편광판(2)의 레이저(1) 조사면이 고온의 레이저 에너지에 의해 기화되어 편광판(2)이 절단된다. 그러나, 편광판(2)의 절단시 편광판(2)에서 발생하는 퓸(fume)이 절단부 근처에서 융착되어 퓸융착부(F)를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단부 근처에 형성되는 퓸융착부(F)는 편광판(2)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되므로, 퓸융착부(F)의 길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 길이를 최소화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광판 절단 방법은,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판의 절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이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 길이는 1150μm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첩률 조건에서 레이저 펄스 주기가 40~50μse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 빔 스팟의 직경은 15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의 절단 방향 이송 속도는 100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는 CO2 펄스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첫째로,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 길이가 최소화 된다.
둘째로,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 길이가 1150μm이하로 된다.
셋째로, 퓸융착부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제품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광판의 절단 단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절단 방법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판은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편광자 보호필름, 액정셀과 점합하게 되는 점착제층 및 박리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구비되는 다층구조를 갖는다.
편광자로는 PVA 수지로 된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PVA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과,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천연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티렌,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통상의 중합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박리필름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처리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표면보호필름, 반사판, 반투과판, 위상차판, 시야각보상필름 등의 광학필름이 더 적층될 수 있으며,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팅층, 오염방지층, 대전방지층, 반사방지층, 방현층 또는 확산층 등의 기능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층구조의 편광판은 시트형상으로 롤에 감겨진 후 용도에 따라 낱장의 편광판으로 절단되어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시트형상 제품으로서 통상의 구조를 갖는 편광판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안티글레어층, 반사방지층, 확산층 등의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또는 반사판, 반투과판, 위상차판, 시야각 보상필름 등의 각종 광학층이 적층된 편광판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며, 편광판 이외에도 시트형상의 제품에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구성 또는 이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레이저 빔 스팟(10)은 레이저가 편광판에 조사되는 면적(B)으로서, 원형의 모양이다. 레이저는 레이저 빔 스팟(10)이 중첩되도록 조사된다. 레이저 빔 스팟(10)은 레이저 펄스 주기(20)에 따라 개수가 달라진다. 예로서, 레이저 펄스 주기(20)가 100μsec인 경우에는 1초에 10개의 레이저 빔 스팟이 조사된다. 이 경우 레이저 빔 스팟(10)의 중첩률은 상기 10개의 레이저 빔 스팟에서 서로 인접하는 레이저 빔 스팟(10)의 중첩면적(A)을 레이저 빔 스팟(10)의 면적(B)으로 나눈 값이 된다.
퓸융착부(F)는 편광판(2)의 절단부(30)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퓸융착부(F)는 부품어 오름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퓸융착부(F) 길이는 편광판(2)의 절단부(30)의 부풀어 오름 내측 끝단으로부터 소정길이만큼 형성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실험예 1
레이저의 절단 방향 이송 속도는 100m/min이고, 레이저의 종류는 CO2 펄스 레이저이며, 파워는 200W이고, 파장은 10.6μm이다.
레이저의 펄스 주기는 40μsec이고,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은 50%이다. 이경우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의 길이는 표1과 같이 200μm이다.
실험예 2
레이저의 절단 방향 이송 속도는 100m/min이고, 레이저의 종류는 CO2 펄스 레이저이며, 파워는 200W이고, 파장은 10.6μm이다.
레이저의 펄스 주기는 50μsec이고,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은 40%이다. 이경우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의 길이는 표1과 같이 1100m이다.
실험예 3
레이저의 절단 방향 이송 속도는 100m/min이고, 레이저의 종류는 CO2 펄스 레이저이며, 파워는 200W이고, 파장은 10.6μm이다.
레이저의 펄스 주기는 70μsec이고,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은 20%이다. 이경우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의 길이는 표1과 같이 1300μm이다.
실험예 4
레이저의 절단 방향 이송 속도는 100m/min이고, 레이저의 종류는 CO2 펄스 레이저이며, 파워는 200W이고, 파장은 10.6μm이다.
레이저의 펄스 주기는 80μsec이고,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은 1.5%이다. 이경우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의 길이는 표1 과 같이 1250μm이다.
실험예 5
레이저의 절단 방향 이송 속도는 100m/min이고, 레이저의 종류는 CO2 펄스 레이저이며, 파워는 200W이고, 파장은 10.6μm이다.
레이저의 펄스 주기는 100μsec이고,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은 -20%이다. 이경우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의 길이는 표1 과 같이 1150μm이다.
레이저 펄스 주기(μsec) 중첩률 퓸융착부 길이(μm)
40 50% 200
50 40% 1100
70 20% 1300
80 1.5% 1250
100 -20% 1150
위와 같은 실험에서, 레이저 빔 스팟(10)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퓸융착부의 길이가 1150μm이며, 중첩률이 20%이하인 경우에는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퓸융착부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레이저 절단시 퓸융착부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첩률의 조건은 40~50%이며, 그와 같은 중첩률 조건에서 퓸융착부의 길이가 1150μm미만으로 최소화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 형상의 편광판을 낱장의 편광판으로 절단하는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 : 레이저 2 : 편광판
10 : 레이저 빔 스팟 20 : 레이저 펄스 주기
30 : 절단부

Claims (6)

  1.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판의 절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스팟의 중첩률이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절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절단부 내측의 퓸융착부 길이는 1150μm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절단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률 조건에서 레이저 펄스 주기가 40~50μ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절단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스팟의 직경은 15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절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절단 방향 이송 속도는 100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절단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CO2 펄스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절단 방법.
KR1020100003853A 2010-01-15 2010-01-15 편광판 절단 방법 KR10160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53A KR101605037B1 (ko) 2010-01-15 2010-01-15 편광판 절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53A KR101605037B1 (ko) 2010-01-15 2010-01-15 편광판 절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81A true KR20110083881A (ko) 2011-07-21
KR101605037B1 KR101605037B1 (ko) 2016-04-01

Family

ID=4492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53A KR101605037B1 (ko) 2010-01-15 2010-01-15 편광판 절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0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2049A (zh) * 2012-05-24 2012-10-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片拼接方法
KR101401486B1 (ko) * 2012-06-11 2014-06-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가공방법
CN104023898A (zh) * 2011-12-27 2014-09-03 住友化学株式会社 激光照射装置、光学构件贴合体的制造装置、激光照射方法以及光学构件贴合体的制造方法
CN106238919A (zh) * 2015-06-12 2016-12-21 住华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膜片的加工方法
JP2017531813A (ja) * 2014-09-30 2017-10-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板の切断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て切断された偏光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742A (ko) 2016-12-22 2018-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플렉서블 표시패널 제조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패널 제조장치
KR20180081197A (ko) 2017-01-05 2018-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제조방법 및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78200A (en) * 1999-08-03 2001-02-19 Xsil Technology Limited A circuit singulation system and method
JP2009142886A (ja) * 2007-12-18 2009-07-02 Agt:Kk レーザー穴開け加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3898A (zh) * 2011-12-27 2014-09-03 住友化学株式会社 激光照射装置、光学构件贴合体的制造装置、激光照射方法以及光学构件贴合体的制造方法
CN102722049A (zh) * 2012-05-24 2012-10-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片拼接方法
CN102722049B (zh) * 2012-05-24 2014-06-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片拼接方法
KR101401486B1 (ko) * 2012-06-11 2014-06-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가공방법
JP2017531813A (ja) * 2014-09-30 2017-10-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板の切断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て切断された偏光板
US10821553B2 (en) 2014-09-30 2020-11-03 Lg Chem, Ltd. Method for cutt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cut using same
CN106238919A (zh) * 2015-06-12 2016-12-21 住华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膜片的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037B1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881A (ko) 편광판 절단 방법
KR101249080B1 (ko) 광학 필름의 절단 방법 및 광학 필름
KR101911166B1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120779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US20100055402A1 (en)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I583479B (zh) 光學膜片的加工方法
KR101817388B1 (ko) 편광판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절단된 편광판
TWI568589B (zh) An optical film laminate, an optical display device using the optical film laminate,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WI722114B (zh) 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JP6296107B2 (ja)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
JP6381334B2 (ja)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766589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642673B1 (ko) 적층체
JP6770646B2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画像表示装置
KR20200047380A (ko)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4191050A (ja) 偏光子のレーザー加工方法
KR101605034B1 (ko) 편광판 절단 방법
JP6772369B2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821835A (zh) 光學膜片及其製造方法
KR102066471B1 (ko)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JP2019191458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9215472A (ja) 接着層付き積層体、積層体、液晶層積層体、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CN110398800B (zh) 层叠体
KR20110083882A (ko) 레이저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565011B1 (ko) 편광판 정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