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471B1 -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471B1
KR102066471B1 KR1020170030515A KR20170030515A KR102066471B1 KR 102066471 B1 KR102066471 B1 KR 102066471B1 KR 1020170030515 A KR1020170030515 A KR 1020170030515A KR 20170030515 A KR20170030515 A KR 20170030515A KR 102066471 B1 KR102066471 B1 KR 10206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ser
polarizing film
cutting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493A (ko
Inventor
이범석
황규성
최항석
장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3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47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위치한 제1 필름; 상기 편광자의 타면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필름보다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제2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필름 측 및 제2 필름 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며, 상기 제2 필름 측으로부터 상기 제1 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의 재단 영역에 보조 가스를 분사하는 편광필름의 레이저 재단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THE LASER CUTTING METHOD FOR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필름을 재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편광필름에서 요오드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의 상하부 지지체로서 TAC(tri acetyl cellulose) 필름을 사용해 왔는데, TAC 필름은 열과 습도에 약하기 때문에 고온 고습의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편광도의 저하, 수분 열화로 인해 패널 가장자리의 빛샘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 내구성의 문제가 있다. 최근 TAC 필름의 대체재로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투과도와 내습,내열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낮은 복굴절률 등의 특성을 보유한 투명 필름 소재인 사이클릭 올레핀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필름이 PVA 보호 필름으로 각광 받고 있다.
COP는 기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는 TAC(triacetyl cellulose) 대비, 91%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는 고투명성과 낮은 굴절률(1.51 ~ 1.54) 및 복굴절률(20nm ~ 25nm) 등 탁월한 광학적 특성과 낮은 투습율, 높은 유리전이 온도(140℃ ~ 171℃)를 가져 우수한 내열성을 보유하여 압출, 사출, 공압 성형 등에서 변형이 작고 성형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며, 특히 COP가 가지는 낮은 흡습성은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보이므로 평판 디스플레이의 광학 소재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우수한 광학 물성과 내구성을 가진 COP 필름을 이용해 제조된 편광필름을 탑재한 LCD 패널의 경우, 편광필름 원단을 특정 패널의 크기로 재단 및 가공하여야 하는데, 이때 가공 측면 즉 재단 단면에서 기인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COP의 조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COP가 갖는 소수성(hydrophobicity) 즉 낮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PVA 층 및 편광필름을 구성하는 다른 광학 필름들과의 접착력 개선이 요구된다. 이는 환상형 올레핀 고분자가 극성용매에 매우 안정한 성질을 갖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접착력 개선을 위해 상압 플라즈마, 산소 플라즈마, 자외선/오전 및 화학적 코팅 처리 등이 수반되기도 한다. 접착력이 개선된 편광필름을 가공 및 재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목형을 이용한 톰슨 프레스 가공, 나이프 가공 및 면취 가공을 포함한 기계적 가공 가공에 있어 절단부의 국소적 충격 및 필름 변형에 의해 COP와 PVA 간의 탄성계수, 인장 강도의 차에 기인한 계면 간 미소 박리에 따른 이격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편광자의 핵심인 PVA 층은 소재 자체의 탄성 계수가 크며, 연신축 즉 광 흡수축을 따라 연신 과정에 의해 필름 내부에 상당량의 잔류 응력이 존재하여 기계 가공시 절단면에 다수의 미세 크랙이 발생된다. 이러한 미세 크랙은 추후 사용자 환경의 온도 차에 따라 액정 패널 중앙부로 크랙의 성장을 초래하고 패널 내 빛샘 불량을 발생한다.
또한, 기계적 가공을 통해 재단된 편광 필름의 재단면은 PVA 층이 노출되어 있다. 비록 노출 영역이 PVA 필름의 두께로 매우 미소한 수준이나 패널의 크기가 크고 장시간 사용되는 것을 고려할 때, 흡습에 의한 패널 가장자리에서 개시되는 수분 열화 및 편광도의 저하에 의한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업계에 편광필름의 침수 테스트와 같은 평가 항목이 요구되기도 하는데, 이는 종래의 디스플레이가 주로 TV나 테스크 탑 모니터와 같은 실내 가전용도에서 최근 사용자의 환경의 변화가 심한 스마트폰, 테블릿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나 차량용 계기판 클러스터나 CID(Central Information Dislplay)의 시장 전이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가공품질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제품의 평가 항목으로 포함되고 있다.
편광필름의 가공 방식에 있어 종래의 널리 사용하던 기계적 재단 방식에서 최근 집속된 레이저 빔을 이용한 필름 가공 방식이 편광 필름 가공 생산에 적용이 되어 오고 있는데, 종래의 TAC 기재와 달리 COP는 소재 자체가 가지는 낮은 광흡수와 내열 특성으로 인해 CO2 레이저와 같은 기존 가공용 레이저를 이용한 재단 및 가공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상용화된 가공용 레이저의 출사 파장영역, 자외선 (355nm), 가시광 (532 nm), 적외선 (1064nm, 9.3㎛ ~ 10.6㎛)에서 소재의 광흡수율이 낮아 광열반응에 의한 COP 소재의 가공 효율이 낮다.
도 1은 COP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레이저 재단에 따른 재단면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편광필름은 PVA 편광자, PVA의 상면에 위치한 TAC 필름, PVA 편광자의 하면에 위치한 COP 필름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CO2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필름을 재단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광 흡수율이 PVA 편광자, TAC 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COP 필름 층에서 레이저 조사가 더 오랫동안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COP 필름은 과잉 용융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OP 필름의 상측에는 적어도 PVA 편광자, TAC 필름 등이 지지기재로 위치하므로, COP 필름의 용융물은 PVA 편광자, TAC 필름과는 반대 방향으로 뭉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COP 필름 층에서의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의 레이저 조사는 전체적인 재단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복수의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위치한 제1 필름; 상기 편광자의 타면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필름보다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제2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필름 측 및 제2 필름 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며, 상기 제2 필름 측으로부터 상기 제1 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의 재단 영역에 보조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레이저 광의 흡수율이 2 %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레이저 광의 흡수율이 2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사이클릭올레핀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스는 질소, 아르곤, 산소 및 공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기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스는 4.0 Bar 내지 10.0 Bar 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필름 측으로부터 상기 제1 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에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20W 내지 100W의 평균 출력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100mm/s 내지 500mm/s의 속도로 재단하도록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20kHz 내지 50kHz의 펄스 반복률을 갖는 CO2 펄스 레이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3.55μs 내지 3.85μs 의 펄스 폭을 갖는 CO2 펄스 레이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된 구조의 편광필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필름 층에서 상대적으로 레이저 조사가 오랫동안 이루어지더라도 보조 가스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필름 층의 과잉 용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스를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필름 측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필름 층의 용융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필름 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뭉치게 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편광필름의 재단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COP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레이저 재단에 따라 재단면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필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에 사용되는 재단유닛과 편광필름의 절단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편광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여러 소재에 대하여 파장에 따른 흡수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유리판에 부착하여 기포발생 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되는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이 부착된 유리판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이 부착된 유리판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보조 가스를 사용하지 않은 레이저 재단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가스를 사용한 레이저 재단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을 이용하여 재단 가능한 편광필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편광필름은 액정표시장치에 부착되어 광학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필름일 수 있다. 편광필름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일면 측에 위치한 제1 필름 및 편광자의 타면 측에 위치한 제2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제1 필름/편광자/제2 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제1 필름/편광자/제2 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편광판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가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편광자는, 요오드를 원료로 하는 요오드화칼륨을 순수한 물에 용해시켜서 적정한 농도의 요오드화칼륨 용액으로 조정한 후, 이 용액에 PVA 필름을 통과시켜 PVA 필름에 요오드 이온을 흡착시키고 연신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레이저 광의 흡수율이 2 %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광의 흡수율이란,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발진 파장 범위에서의 레이저 광의 평균 흡수율(%)”을 의미할 수 있으며, 공지된 ATR(Attenuated total reflection)법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ATR법'은 측정 대상물에 임의의 파장을 가지는 광(예를 들어,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측정 대상물의 표면에서 전반사되는 광을 측정하여, 측정 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을 일컫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발진 파장 범위 내에서 임의의 파장을 가지는 광의 흡수율을 ATR법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흡수율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발진 파장 범위에서의 레이저 광의 평균 흡수율(%)을 구할 수 있다.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편광자의 상하부면의 지지체이자 보호필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필름은 편광자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레이저 광 흡수율이 2 % 보다 큰 투명 필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이나 광학 특성의 균일성, 기계 강도, 열안정성 등이 뛰어난 폴리머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제1 필름은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필름, 폴리술폰계 폴리머 필름, 폴리이미드계 폴리머 필름 등일 수 있다.
제2 필름은 편광자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필름보다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투명 필름일 수 있다. 제2 필름은 레이저 광 흡수율이 레이저 광 흡수율이 2%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일 수 있다. 제2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필름, 노르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필름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릭올레핀 폴리머(COP)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필름 등일 수 있다. 제2 필름은 편광필름에 요구되는 위상차 필름 기능은 물론이고 뛰어난 내흡수 방지 기능, 내습 방지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제1 필름 또는 제2 필름과 편광자 사이에는 접착체층이 개재될 수 있다. 접착제층 형성시 사용 가능한 접착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계 또는 비수계 접착제일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와의 접착력 등을 고려할 때, 이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아세토아세틸기 등을 포함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비수계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엔/티올계 접착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의 광 라디칼 중합반응을 이용하는 접착제나 에폭시계 접착제, 옥세탄계 접착제, 에폭시/옥세탄계 접착제, 비닐에테르계 접착제 등의 광 양이온 중합반응을 이용하는 접착제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필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필름(10)은, 전술한 제1 필름(1b)/편광자(1a)/제2 필름(1c)/이 적층된 구조의 편광판(1)과, 편광판(1)의 상부에 위치한 보호필름(2)과, 편광판(1)의 하부에 위치한 점착제층(3) 및 점착제층(3)에 부착된 이형필름(4)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2)은, 편광판의 유통 과정이나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부착 공정 등에서 편광판의 표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필름(1b)의 상부에 점착제(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부착될 수 있다.
점착제층(3)은,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매개물로서, 제2 필름(1c)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층(3)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점착제를 형성하는 폴리머들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점착제층(3)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공중합체, 천연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티렌,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통상의 중합체가 이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형필름(4)은, 편광판과 액정표시장치의 부착 매개물이 되는 점착제층(3)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점착제층(3)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보호필름(2) 및 이형필름(4)으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라면,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 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일 수 있다. 특히, 이형필름(4)의 경우, 실리콘계, 불소계,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처리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에 사용되는 재단유닛과 편광필름의 절단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은, 편광자; 편광자(1a)의 일면 측에 위치한 제1 필름(1b); 편광자(1c)의 타면 측에 위치하며 제1 필름(1b)보다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제2 필름(1c);을 포함하는 편광필름(10)을, 레이저(Laser)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으로서, 제1 필름 측(A) 및 제2 필름 측(B)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편광필름(10)에 레이저(Laser)를 조사하며, 제2 필름 측(B)으로부터 제1 필름 측(A)을 향하는 방향으로 편광필름의 재단 영역에 보조 가스(Assist Gas)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름 측(A)이라 함은, 편광자(1a)를 기준으로 제1 필름(1b)이 위치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제1 필름(1b)이 편광자(1a)의 상방에 위치하므로, 제1 필름 측(A)은 편광자(1a)의 상방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 필름 측(B)이라 함은, 편광자(1a)를 기준으로 제2 필름(1c)이 위치하는 영역을 의마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제2 필름(1c)이 편광자(1a)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제2 필름 측(B)은 편광자(1a)의 하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편광필름(10)을 재단하는 절단 유닛(20)은 레이저(Laser)를 조사하는 레이저 장치(21)와, 보조 가스(Assist Gas)를 분사하는 분사 장치(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은, 레이저(Laser)를 조사함으로써 편광필름을(10) 재단하는 공정에 있어, 제1 필름(1b)보다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에 의해 제2 필름(1c) 층에서 상대적으로 레이저(Laser) 조사가 오랫동안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편광필름(10)의 재단 영역에 보조 가스(Assist Gas)를 분사함으로써 제2 필름(1c)의 과잉 용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스(Assist Gas)를 제2 필름 측(B)으로부터 제1 필름 측(A)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제2 필름(1c)의 용융물이 제1 필름 측(A)로부터 제2 필름 측(B)을 향하는 방향으로 뭉치게 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편광필름(10)의 재단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편광필름의 테이퍼 형성 영역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들어, 최외곽에 위치하는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액정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 우수한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포 발생이 현저히 저감되기 때문에 외관 특성이 우수한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편광필름(10)의 재단에 이용되는 레이저(Laser)는 CO2 펄스 레이저일 수 있다. CO2 펄스 레이저는 레이저 발진 파장을 결정하는 공진기(resonator) 및 이득 매질(gain media)에 CO2가 사용된다. CO2 펄스 레이저를 사용하여 편광필름을 재단하는 경우, 절삭 공구 등이 요구되지 않으며 물리적 외력을 이용한 재단에 따른 편광필름의 변형 및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CO2 펄스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장치(21)는 scanner type 또는 nozzle gun type이 사용될 수 있으나, 레이저 장치(21)의 종류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필름은, CO2 레이저 파장(9.3㎛ ~10.6㎛) 영역에서의 레이저 광 흡수율이 2 % 보다 큰 필름일 수 있다. 제1 필름은,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필름, 폴리술폰계 폴리머 필름, 폴리이미드계 폴리머 필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2 필름은, CO2 레이저 파장(9.3㎛ ~10.6㎛) 영역에서의 레이저 광 흡수율이 2 % 보다 작거나 같은 필름일 수 있다. 제2 필름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필름, 노르보넨과 같은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 필름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릭올레핀 폴리머(COP)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필름 등일 수 있다.
도 4는 편광필름을 구성할 수 있는 여러 소재에 대하여 파장에 따른 흡수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필름의 일 예로 사용될 수 있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과 제2 필름의 일 예로 사용될 수 있는 사이클릭올레핀 폴리머(COP) 필름의 사이클릭CO2 레이저 파장(9.3㎛ ~10.6㎛) 영역에 있어 레이저 광 흡수 정도를 비교해보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레이저 광 흡수 스펙트럼은 피크가 발생하는 반면, 사이클릭올레핀 폴리머(COP) 필름의 레이저 광 흡수 스펙트럼은 피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즉, CO2 레이저 파장(9.3㎛ ~10.6㎛) 영역에 있어 레이저 광 흡수율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보다 사이클릭올레핀 폴리머(COP) 필름이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광 흡수율이 서로 다른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CO2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게 되는 경우, 레이저 광 흡수율이 더 낮은 제2 필름(1c) 층에서 상대적으로 레이저(Laser) 조사가 오랫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레이저의 평균 출력은 재단 속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10W 내지 100W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W 내지 90W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W 내지 70W일 수 있다. 레이저의 평균 출력이 10W보다 낮은 경우에는, 레이저의 빔 에너지가 낮아 편광필름의 커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레이저의 평균 출력이 100W보다 높은 경우에는, 과도한 열영향 등에 의해 편광필름의 재단면에 열화로 인한 품질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레이저의 재단속도는 100mm/s 내지 500mm/s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mm/s 내지 400mm/s 일 수 있다. 편광필름의 재단에 필요한 에너지 밀도를 갖는 레이저를 순간적으로 노출시켜 편광필름을 구성하는 필름들의 열화시간을 최소화하는 경우, 재단면의 품질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레이저의 재단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레이저의 출력을 높여야 하므로, 레이저의 출력을 고려하여 재단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의 재단속도는 편광필름(10)을 이동시키는 속도를 변화시켜 조정할 수 있고, 편광필름에 대한 레이저 장치(21)를 이동시키는 속도를 변화시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레이저의 펄스 반복률은 20kHz 내지 60kHz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kHz 내지 30kHz일 수 있다. 레이저의 펄스 반복률은 레이저의 출력 및 편광필름의 두께, 편광필름을 구성하는 필름의 광투과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레이저의 펄스 폭(pulse width)은 편광필름의 커팅이 불완전, 즉 미커팅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고, 또한 편광필름의 재단면 주변에 과다한 흄(Fume)이 발생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레이저의 펄스 평균 반복률을 20kHw로 하는 경우, 레이저의 펄스 폭(pulse width)은 3.55μs 내지 3.90μs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60μs 내지 3.85μs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μs 내지 3.80μs일 수 있다. 레이저의 펄스 폭이 3.55 μs 보다 작은 경우에는, 편광필름의 커팅이 불완전, 즉 미커팅되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레이저의 펄스 폭이 3.90μs보다 큰 경우에는, 편광필름의 재단면 주변에 과다한 흄(Fume)이 발생하게 되어 절단 품질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보조 가스(Assist Gas)는 질소, 아르곤, 산소 및 공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가스(Assist Gas)의 일 예로, 질소나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인 경우에는 레이저 재단에 의해 기화하는 흄(Fume) 등의 이물이 레이저 장치(21)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조 가스(Assist Gas)의 다른 일 예로, 산소나 공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재단에 의해 생성되는 탄화물과 산소를 반응시켜 CO2 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탄화물이 레이저 장치(21)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보조 가스(Assist Gas)의 분사 압력은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제2 필름(1c)의 용융물이 하방을 향하여 뭉치게 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편광필름의 적층 구조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가스의 분사 압력은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각 기재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 200 내지 300 ㎛ 의 편광필름(보호필름/제1 필름(TAC)/편광자(PVA)/제2 필름(COP)/점착제층(PSA)/이형필름)의 레이저 재단시, 노즐의 직경이 1.0mm인 경우의 보조 가스의 분사 압력은 4.0 Bar 내지 7.0 Bar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Bar 내지 6.0 Bar일 수 있다. 상기 예에서의 보조 가스(Assist Gas)의 분사 압력이 4.0 Bar 보다 작은 경우에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제2 필름(1c)의 용융물이 하방을 향하여 뭉치게 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므로, 편광필름의 재단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예에서의 보조 가스의 분사 압력이 7.0 Bar 보다 큰 경우에는, 편광필름의 적층 구조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 편광필름의 적층 구조 및 재단면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예보다 편광필름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은 경우 및/또는 노즐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예에서의 보조 가스의 분사 압력 수치범위보다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역으로 편광필름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운 경우 및/또는 노즐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상기 예에서의 보조 가스의 분사 압력 수치 범위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레이저(Laser)는 제2 필름 측(B)으로부터 제1 필름 측(A)을 향하는 방향으로 편광필름(10)에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Laser)를 제1 필름 측(A)으로부터 제2 필름 측(B)을 향하는 방향으로 편광필름(10)에 조사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1 필름(1b) 층 및 편광자(1a) 층부터 절단되며 이들 층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절단되지만, 제2 필름(1c) 층은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로 인해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레이저가 조사되며, 이로 인해 이미 절단된 제1 필름(1b) 층 및 편광자(1a) 층은 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열화로 인한 재단면의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레이저(Laser)를 제2 필름 측(B)으로부터 제1 필름 측(A)을 향하는 방향으로 편광필름(10)에 조사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2 필름(1c) 층부터 절단되며 이 층은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로 인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절단되지만, 제1 필름(1b) 및 편광자(1a) 층이 직접적으로 열에 노출되는 시간은 앞선 경우보다 짧아지므로 열화로 인한 재단면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두께 250 ㎛ 의 편광필름(보호필름/제1 필름(TAC)/편광자(PVA)/제2 필름(COP)/점착제층(PSA)/이형필름)에 이형필름 측으로부터 보호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CO2 펄스 레이저를 조사 및 동일한 방향으로 N2 보조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편광필름을 풀커팅하여 재단하였다. 편광필름의 재단 과정에서 수행된 구체적인 처리 조건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3에 있어서, 레이저 조사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필름 재단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처리 조건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 있어서, 보조 가스를 분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필름 재단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처리 조건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내지 5
실시예 1 내지 3에 있어서, 레이저 조사 조건 중 펄스 폭을 다르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필름 재단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처리 조건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CO2 레이저 조건 N2 보조 가스 조건
펄스 반복률
(kHz)
펄스 폭(μs) 출력(W) 재단 속도
(mm/s)
분사 여부 분사장치 노즐직경
(mm)
분사 압력
(Bar)
실시예 1 20 3.70 60 333 분사 1.0 5
실시예 2 20 3.80 60 333 분사 1.0 5
실시예 3 20 3.90 60 333 분사 1.0 5
비교예 1 50 2.0 90 333 분사 1.0 5
비교예 2 50 2.0 90 333 미분사 - -
비교예 3 20 3.50 90 333 분사 1.0 5
비교예 4 20 4.00 90 333 분사 1.0 5
비교예 5 20 4.10 90 333 분사 1.0 5
실험예 1 -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기포발생 정도 결과
도 5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유리판에 부착하여 기포발생 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필름을 재단함으로써, 도 5의 (b)와 같이 재단된 편광필름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으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한 뒤 그 편광필름을 도 5의 (c)와 같이 부착롤러를 이용하여 유리판에 부착한다. 그리고 나서, 도 5의 (d)와 같이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편광필름이 부착된 유리판에 기포가 발생한 정도를 측정한다.
도 6a은 편광필름이 부착된 유리판에 기포가 발생한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유리판에 부착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기포발생 영역으로 특정된 부분은 기포 미발생 영역으로 특정된 부분보다 연한 색상을 띄고 있다. 편광필름이 부착된 유리판의 기포 발생 정도는, 특정된 기포발생 영역의 평균적인 두께로 측정될 수 있으며, 비교예 2의 경우에는 981㎛ 두께의 기포발생 영역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6b는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유리판에 부착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33배율)로서, 기포발생 영역의 평균적인 두께는 527㎛로 측정되었으며, 비교예 1에 비하여 그 정도는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3의 방법으로 편광필름을 재단하는 경우에는 편광필름 자체가 재단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도 6c는 비교예 4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유리판에 부착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로서, 기포 발생 영역으로 특정할 만큼의 넓은 영역의 기포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재단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미세 기포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적색으로 표시된 영역 참조)
비교예 5의 방법으로 편광필름을 재단하는 경우에는 재단면 전 구간에서 다량의 흄(Fume)이 발생하여 그 재단면에 흡착됨으로써, 절단 품질이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3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유리판에 부착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로서, 실시예 1, 2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부착한 유리판의 경우에는 기포 발생 영역으로 특정할 만큼의 넓은 영역의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재단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도 미세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부착한 유리판의 경우에는 기포 발생 영역으로 특정한 만큼의 넓은 영역의 기포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4의 방법으로 재단된 편광필름을 부착한 유리판과 마찬가지로 재단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미세 기포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실시예 3에 따른 유리판의 미세 기포 발생 지점은 재단면으로부터 이격된 정도가 비교예 3에 따른 미세 기포 발생 지점보다 작으므로, 시간에 따라 자연적으로 기포가 소멸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 보조 가스 분사 압력에 따른 기포발생 정도 결과
한편, 두께 250 ㎛ 의 편광필름(보호필름/제1 필름(TAC)/편광자(PVA)/제2 필름(COP)/점착제층(PSA)/이형필름)에 이형필름 측으로부터 보호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CO2 펄스 레이저를 조사 및 동일한 방향으로 N2 보조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편광필름을 풀커팅하여 재단하되, 기포 발생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N2 보조 가스 분사 압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N2 보조 가스 분사 압력을 변경하여 재단을 수행하였으며, 재단된 편광필름을 부착한 유리판의 기포 발생 영역의 평균적인 두께(d)를 측정하였다.
편광필름의 재단 과정에서 수행된 구체적인 처리 조건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CO2 레이저 조건 N2 보조 가스 조건
펄스 반복률
(kHz)
펄스 폭(μs) 출력(W) 재단 속도
(mm/s)
분사 여부 분사장치 노즐직경
(mm)
실험예 2 20 3.7 50 300 분사 1.0
N2 보조 가스 분사 압력에 따른 기포 발생 영역의 평균적인 두께(d)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보조 가스 분사 압력(Bar) 기포 발생 영역의 평균적인 두께(d)(㎛)
0.0 862
0.5 859
1.0 883
2.0 779
2.5 677
3.0 524
3.5 553
4.0 496
4.5 55
5.0 0
5.5 0
6.0 0
표 3을 참조하면, 보조 가스 분사 압력이 증가할수록 기포 발생 영역의 평균적인 두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보조 가스 분사 압력 5.0 Bar 이상에서는 기포 발생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8은 보조 가스를 사용하지 않은 레이저 재단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며, 도 9는 보조 가스를 사용한 레이저 재단에 따른 편광필름의 재단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8 및 도 9의 편광필름 적층구조의 하단부(적색 표시 참조)를 살펴보면, 보조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 가스를 사용한 레이저 재단시, 그 재단면의 품질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광필름의 레이저 재단시 COP 필름 측으로부터 TAC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조 가스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TAC 필름보다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에 의해 COP 필름 층에서 상대적으로 레이저(Laser) 조사가 오랫동안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보조 가스(Assist Gas) 분사에 의해 COP 필름의 과잉 용융을 방지할 수 있으며, COP 필름의 용융물이 TAC 측으로부터 COP 필름을 향하는 방향으로 뭉치게 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편광필름의 재단면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편광필름
1 : 편광판
1a : 편광자
1b : 제1 필름
1c : 제2 필름
2 : 보호필름
3 : 점착제층
4 : 이형필름
20 : 절단 유닛
21 : 레이저 장치
22 : 분사 장치

Claims (11)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 측에 위치한 제1 필름; 상기 편광자의 타면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필름보다 낮은 레이저 광 흡수율을 가지는 제2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필름은 레이저 광의 흡수율이 2 % 보다 크고, 상기 제2 필름은 레이저 광의 흡수율이 2 % 이하이며,
    상기 제1 필름 측 및 제2 필름 측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에 레이저를 조사하며,
    상기 제2 필름 측으로부터 상기 제1 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의 재단 영역에 보조 가스를 분사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사이클릭올레핀 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스는 질소, 아르곤, 산소 및 공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기체를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스는 4.0 Bar 내지 10.0 Bar 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필름 측으로부터 상기 제1 필름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편광필름에 조사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20W 내지 100W의 평균 출력으로 조사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100mm/s 내지 500mm/s의 속도로 재단하도록 조사되는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20kHz 내지 50kHz의 펄스 반복률을 갖는 CO2 펄스 레이저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3.55μs 내지 3.85μs 의 펄스 폭을 갖는 CO2 펄스 레이저인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KR1020170030515A 2017-03-10 2017-03-10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KR10206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15A KR102066471B1 (ko) 2017-03-10 2017-03-10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15A KR102066471B1 (ko) 2017-03-10 2017-03-10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93A KR20180103493A (ko) 2018-09-19
KR102066471B1 true KR102066471B1 (ko) 2020-01-15

Family

ID=6371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15A KR102066471B1 (ko) 2017-03-10 2017-03-10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4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2274A (ja) * 2013-03-19 2014-09-29 Fujifilm Corp 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790B1 (ko) * 2008-09-29 2011-09-20 (주)와이티에스 편광필름 절단용 레이저 노즐장치
JP5481300B2 (ja) * 2010-07-29 2014-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切断方法および当該方法によって切断された偏光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2274A (ja) * 2013-03-19 2014-09-29 Fujifilm Corp 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93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388B1 (ko) 편광판의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절단된 편광판
EP2055423B1 (en) A method of cutting an optical film by using a laser beam
TWI387501B (zh) 光學薄膜之切斷方法及光學薄膜
KR101102159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TWI583479B (zh) 光學膜片的加工方法
JP5860188B1 (ja) 偏光板
JP6724789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90005836A (ko) 유기 el 표시 장치용 광학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유기 el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유기 el 표시 장치
JP6381334B2 (ja)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30130692A (ko) 편광판 절단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절단된 편광판
TWI722114B (zh) 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JP2014191051A (ja) 偏光子のレーザー加工方法
KR20110083881A (ko) 편광판 절단 방법
JP7316297B2 (ja) 偏光性光学機能フィルム積層体のレーザー切断加工方法
JPWO2018235462A1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画像表示装置
KR102066471B1 (ko) 편광필름의 재단 방법
JP2014191050A (ja) 偏光子のレーザー加工方法
WO2020110644A1 (ja) カッ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70098569A (ko) 편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7531A (ko) 편광판의 가공 방법
KR20110083880A (ko) 편광판 절단 방법
WO2020090502A1 (ja) カッ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0398800B (zh) 层叠体
TW202104947A (zh) 複合材之分斷方法
KR20230141649A (ko)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