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835A - 전해콘덴서 - Google Patents

전해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835A
KR20110076835A KR1020100137917A KR20100137917A KR20110076835A KR 20110076835 A KR20110076835 A KR 20110076835A KR 1020100137917 A KR1020100137917 A KR 1020100137917A KR 20100137917 A KR20100137917 A KR 20100137917A KR 20110076835 A KR20110076835 A KR 20110076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tab
positive
lead
terminal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마사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사가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사가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5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 H01G9/151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with wound foil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로서, 편측 프레스단자가 적용되고, 그 편측 프레스단자가 감은 후에 리드선의 지름방향 위치가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형태로 양(음)극박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로서 편측 프레스단자가 적용되고, 그 편측 프레스단자가 감은 후에 리드선의 지름방향 위치가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형태로 양(음)극박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양(음)극박으로의 접속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콘덴서{ELECTROLYTIC CAPACITOR}
본 발명은 전해콘덴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양극박(陽極箔) 및 음극박(陰極箔) 등을 감아돌린 전해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전해콘덴서의 한 형태로 양극박과 음극박을 세퍼레이터지(紙)를 개재시켜 감아냄으로써 형성된 전해콘덴서가 있다.
여기서, 그와 같은 권회식(卷回式)의 전해콘덴서로서, 2단자(양극 1단자 + 음극 1단자) 구조의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모양의 양극박(103), 음극박(104) 및 2개의 세퍼레이터지(105, 106)가 준비된다. 양극박으로서, 예를 들어, 유전체 산화피막을 형성한 알루미늄박이 적용되며, 음극박으로서, 알루미늄박이 적용된다.
양극박(103)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는 양극 리드탭단자(110)가 접속되고, 음극박(104)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는 음극 리드탭단자(113)가 접속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음)극 리드탭단자(110, 113)에는 원기둥 모양의 보스부(116a)와, 양(음)극박(103, 104)에 접속되는 판 모양의 접속부(116b)와, 양(음)극단자가 되는 원기둥 모양의 리드선(116c)이 마련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박(103) 및 음극박(104) 등은 양극박(103)과 음극박(104)과의 사이에 한쪽의 세퍼레이터지(105)가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한쪽의 세퍼레이터지(105)와 다른 쪽의 세퍼레이터지(106)와의 사이에 양극박(103)이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 양극박(103), 음극박(104) 및 세퍼레이터지(105, 106)의 일단 측을 감기중심(卷芯)(131a, 131b)에 끼워넣는다. 다음으로, 그 상태에서 감기중심(131a, 131b)을 오른쪽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단 측으로부터 양극박(103) 및 음극박(104) 등이 감겨, 권회식의 전해콘덴서가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전해콘덴서에는 등가(等價)직렬 인덕턴스(inductance)(ESL : Equivalent Series Inductance)라고 칭해지는 인덕턴스 성분이 있다. 이 ESL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서 크게 되며, 전해콘덴서는 콘덴서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고주파영역에서 사용되는 전해콘덴서에는 보다 낮은 ESL이 요구되게 된다. 또, 전해콘덴서에는 등가직렬저항(ESR : Equivalent Series Resistance)이라고 칭해지는 저항성분이 있어, 보다 낮은 ESR이 요구된다.
ESR와 ESL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리드탭단자로서, 복수의 리드탭단자를 구비한 멀티단자의 전해콘덴서가 있다. 다음으로, 그와 같은 멀티단자의 전해콘덴서로서, 4단자(양극 2단자 + 음극 2단자) 구조의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박(103)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1)와 제2 양극 리드탭단자(112)가 접속되고, 음극박(104)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제1 음극 리드탭단자(114)와 제2 음극 리드탭단자(115)가 접속된다. 양극박(103) 및 음극박(104) 등은 2단자의 전해콘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배치되어, 그 일단 측이 감기중심(131a, 131b)에 끼워넣어진다(도 28 참조). 그 상태에서 감기중심(131a, 131b)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단 측으로부터 양극박(103) 및 음극박(104) 등이 감겨,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소자(10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콘덴서소자(102)에 대해서, 양극박(103) 및 음극박(104)의 절단면 등에 화성(化成)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시행된다. 다음으로, 콘덴서소자(102)에 봉지용 고무패킹(122)(도 31 참조)이 장착된다. 봉지용 고무패킹(122)이 장착된 콘덴서소자(102)는 소정의 크기의 바닥이 있는 알루미늄 케이스(120)(도 31 참조)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케이스(120)의 개구단 측이 가로 조임과 컬링 (curling)에 의해서 봉지되고, 소정의 에이징(aging)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케이스(120)의 컬(curl)면에 플라스틱제의 좌판(座板, seat plate)(124)이 장착된다. 좌판(124)에는 리드탭단자(111, 112, 114, 115)의 위치에 대응한 4개의 개구부(124a)(도 3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 후,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124)의 개구부(124a)로부터 돌출한 각 리드선(116c)을 전극단자로 하여, 프레스가공과 절곡가공을 함으로써, 4단자 구조의 전해콘덴서(101)가 완성한다. 또한, 2 ~ 4단자 등의 멀티단자 구조의 전해콘덴서를 개시한 문헌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79621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멀티단자 구조의 전해콘덴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 발명자에 의해서 밝혀졌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고주파영역에서 사용되는 전해콘덴서에는 보다 낮은 ESL이 요구된다. 이 ESL은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의 피치에 의존하고, 이 피치는 전해콘덴서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규격화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 등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전해콘덴서에도 사이즈의 축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콘덴서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양극박에 접속되는 2개의 양극 리드탭단자(111, 112) 사이의 거리 PL은 짧아진다. 거리 PL이 짧아지면, 양극 리드탭단자(111)의 판 모양의 접속부(116b)(도 26, 도 27 참조)와, 양극 리드탭단자(112)의 판 모양의 접속부(116b)가 너무 접근하여, 제조장치의 기구상, 양극 리드탭단자(111)와 양극 리드탭단자(112)를 안정하게 양극박(103)에 접속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2개의 음극 리드탭단자(114, 11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양(음)극 리드탭단자(111, 112, 114, 115)의 판 모양의 접속부(116b)끼리가 너무 접근하지 않도록,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 PL을 확보하도록 하면, 대향하는 양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과 음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과의 피치가 길어져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양극박 및 음극박 등을 길이방향의 일단 측으로부터 감아내어 콘덴서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의 경우, 2바퀴째 이후에는 그때까지 감긴 양극박 등의 부분 위에 더 양극박 등이 감기게 되어, 나중에 감김에 따라서, 감기시작(중심)으로부터의 지름방향 거리는 길어진다.
이 때문에,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제1(2)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116c) 사이의 피치 PP가 넓어지게 된다. 이 피치 PP가 바뀜으로써 ESL이 높아져,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이 저하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양(음)극박으로의 접속이 안정하게 행해지는 전해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해콘덴서는, 띠모양의 양극박 및 음극박과 복수의 리드탭단자를 가지고 있다. 양극박 및 음극박은 각각 감긴다. 복수의 리드탭단자는 양극박 및 음극박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형태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그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단자가 되는 리드선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그 복수의 리드탭단자는 양극박 및 음극박이 감긴 상태에서 리드선이 접속부에 대해서 지름방향으로 시프트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의 2개의 양극 리드탭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 2개의 양극 리드탭단자는 리드선의 지름방향 위치를 내측으로 시프트시키는 형태로 양극박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해콘덴서에 의하면, 리드선 사이의 소정의 피치를 확보하는데에,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을 확보하면서, 리드탭단자를 안정하게 양(음)극박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전해콘덴서에 적용되는 편측 프레스단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전해콘덴서에 적용되는 편측 프레스단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양(음)극박으로의 접속형태와, 양(음)극박과 세퍼레이터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도 3에 나타내는 공정의 뒤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도 4에 나타내는 공정의 뒤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도 5에 나타내는 공정의 뒤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도 6에 나타내는 공정에서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단면선 IX-C-IX에서의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단면선 X-C-X에서의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변형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도 8에 나타내는 단면선 IX-C-IX에 대응하는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변형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도 8에 나타내는 단면선 X-C-X에 대응하는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 관한 전해콘덴서의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양(음)극박으로의 접속형태와, 양(음)극박과 세퍼레이터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도 15에 나타내는 공정의 뒤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도 16에 나타내는 공정의 뒤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도 17에 나타내는 공정에서의 상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배치관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도 19에 나타내는 단면선 XX-C-XX에서의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도 19에 나타내는 단면선 XXI-C-XXI에서의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변형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도 19에 나타내는 단면선 XX-C-XX에 대응하는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 변형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도 19에 나타내는 단면선 XXI-C-XXI에 대응하는 단면도와, 비교예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동일한 단면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2에 관한 전해콘덴서의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1 종래기술에 관한 전해콘덴서에서의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양(음)극박으로의 접속형태와, 양(음)극박과 세퍼레이터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양측 프레스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양측 프레스단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제1 종래기술에 관한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2 종래기술에 관한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나타내는 공정의 뒤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나타내는 공정의 뒤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양극 리드탭단자의 양극박으로의 접속형태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3은 양극 리드탭단자의 양극박으로의 접속형태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전해콘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
여기에서는 양극 리드탭단자를 2개 구비하고, 음극 리드탭단자를 2개 구비하며, 그 양(음)극 리드탭단자로서 편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전해콘덴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측 프레스단자(18)는 2개의 동일한 금형 가운데, 주로 한쪽의 금형에 의해서, 양측 프레스단자(116)의 리드선(116c)(도 27 참조)에 대해서 비대칭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도 1a에서는 접속부(18b)에 대한 리드선(18c)의 시프트량(거리 S1)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측 프레스단자를 나타내고, 도 1b에서는 시프트량(거리 S2)이 상대적으로 큰 편측 프레스단자를 나타내고 있다. 어느 편측 프레스단자(18)도 원기둥 모양의 보스부(18a), 양(음)극박에 접속되는 판 모양의 접속부(18b) 및 양(음)극단자가 되는 원기둥 모양의 리드선(18c)이 성형되어 있다. 리드선(18c)은 보스부(18a)의 일단 측에 마련되며, 접속부(18b)는 보스부(18a)의 타단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서 판 모양의 접속부(18b)는 지면(紙面)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편측 프레스단자(18)에서는 양(음)극박으로의 접속면으로서, 설명상, 접속부(18b)에 대해서 리드선(18c)이 시프트하고 있는 측과 반대의 측에 위치하는 접속부(18b)의 접속면을 제1 접속면(18d)으로 하고, 리드선(18c)이 시프트하고 있는 측에 위치하는 접속부(18b)의 접속면을 제2 접속면(18e)으로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측 프레스단자(18)에서는 양(음)극박에 접속되는 접속부(18b)의 위치로부터 리드선(18c) 및 보스부(18a)를 지름방향으로 시프트시킨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박(3)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접속되고,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접속된다. 또, 음극박(4)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제1 음극 리드탭단자(14)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접속되고, 제2 음극 리드탭단자(15)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접속된다.
여기서,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와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와의 간격 PL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장치에 의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와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를 안정하게 양극박(3)에 접속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또, 제1 음극 리드탭단자(14)와 제2 음극 리드탭단자(15)와의 간격 NL도 제1 음극 리드탭단자(14)와 제2 음극 리드탭단자(15)를 안정하게 음극박(4)에 접속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박(3) 및 음극박(4)은 양극박(3)과 음극박(4)과의 사이에 한쪽의 세퍼레이터지(5)가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한쪽의 세퍼레이터지(5)와 다른 쪽의 세퍼레이터지(6)와의 사이에 양극박(3)이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 양극박(3), 음극박(4) 및 세퍼레이터지(5, 6)의 일단 측을, 화살표 5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기중심(31a)과 감기중심(31b)에 끼워넣는다. 다음으로, 그 상태에서, 화살표 5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기중심(31a, 31b)을 오른쪽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4) 및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12, 15)가 양(음)극박(3, 4)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형태로 일단 측으로부터 양극박(3) 및 음극박(4) 등이 감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소자(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콘덴서소자(2)에 대해서, 양극박 등의 절단면 등에 화성처리가 시행되고, 또한, 온도 150℃ ~ 300℃ 정도의 열처리가 시행된다. 다음으로, 중합에 의해 도전성 고분자가 되는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3,4-Ethylenedioxythiophene)과, 산화제 용액으로서 예를 들어, p-톨루엔설폰산 제2철 알코올 용액과의 혼합용액을 콘덴서소자(2)에 함침(含浸)시킨다. 그 후, 열화학 중합시킴으로써, 콘덴서소자(2)의 양극간에 도전성 고분자층(도시생략)이 형성된다. 또한, 전해질로서는, 이 그 밖에, 예를 들어,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푸란(polyfuran), 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등의 도전성 고분자 재료, 혹은, TCNQ 착염(7,7,8,8-테트라시아노키노지메탄(7,7,8,8-Tetracyanoquinodimethane))을 이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소자(2)에 봉지용 고무패킹(22)이 장착된다. 다음으로, 콘덴서소자(2)는 소정의 크기의 바닥이 있는 알루미늄 케이스(20)(도 6 참조)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케이스(20)의 개구단 측이 가로 조임과 컬링에 의해서 봉지되어, 소정의 에이징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케이스(20)의 컬면에 플라스틱제의 좌판(24)(도 6 참조)이 장착된다. 그 후,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24)의 개구부(24a)로부터 돌출한 각 리드선(18c)을 전극단자로서, 프레스가공과 절곡가공을 시행함으로써, 4단자 구조의 전해콘덴서(1)가 완성된다.
상술한 전해콘덴서에서는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4)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를 적용하고, 그 편측 프레스단자(18)를, 감아돌린 후에 리드선(18c)의 지름방향 위치가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형태로 양(음)극박(3, 4)에 접속하고 있다. 또,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12, 15)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를 적용하고, 그 편측 프레스단자(18)를, 감아돌린 후에 리드선(18c)의 지름방향 위치가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형태로 양(음)극박에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대향하는 리드선(18c) 사이의 피치를 좁힐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예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 및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로서,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비교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1)의 리드선(116c)과, 제2 양극 리드탭단자(112)의 리드선(116c)은 감긴 양극박(3)에서 각각의 접속부(116b)가 접속되어 있는 지름방향 위치에 대응한 지름방향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 제1 음극 리드탭단자(114)의 리드선(116c)과, 제2 음극 리드탭단자(115)의 리드선(116c)은 감긴 음극박(4)에서 각각의 접속부(116b)가 접속되어 있는 지름방향 위치에 대응한 지름방향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도 9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1)의 리드선(116c)과 제1 음극 리드탭단자(114)의 리드선(116c)의 피치를 PP로 한다. 또, 도 10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양극 리드탭단자(112)의 리드선(116c)과 제2 음극 리드탭단자(115)의 리드선(116c)의 피치를 PP로 한다. 또한, 도 8 등에서 감기 시작하는 기점(起点)이 되는 양극박(3) 및 음극박(4) 등의 일단 측을 중심부 C로 나타낸다.
이것에 대해서, 상술한 전해콘덴서에서는, 도 9 및 도 10의 각각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4) 및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12, 15)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적용된다. 게다가,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1 접속면(18d)이 양(음)극박(3, 4)의 내주면(3a, 4a)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양(음)극박(3, 4)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접속부(18b)의 지름방향 위치는, 도 9 및 도 10의 각각의 하단에 나타내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접속부(116b)의 지름방향 위치와 변함없지만, 리드선(18c)(보스부(18a))의 지름방향 위치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리드선(116c)(보스부(116a))의 지름방향 위치보다도 콘덴서소자(2)의 중심(양극박(3) 등의 감기 시작) C의 측(내측)으로 거리 S만큼 시프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의 리드선(18c)과 제1 음극 리드탭단자(14)의 리드선(18c)의 피치 P는 피치 PP로부터 그 시프트량(2 × S)을 뺀 피치로 줄어든다. 또,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의 리드선(18c)과 제2 음극 리드탭단자(15)의 리드선(18c)의 피치 P도 피치 PP로부터 그 시프트량(2 × S)을 뺀 피치로 줄어든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피치를 확보하려면, 편측 프레스단자에서는 양측 프레스단자의 경우보다도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2, 14, 15)의 판 모양의 접속부(18b)끼리를 접근시키지 않고,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2, 14, 15)를 안정하게 양(음)극박(3, 4)에 접속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심 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리드선(18c) 사이의 피치를 넓게 하지 않고 소망하는 피치 P를 얻을 수 있어,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통상,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에 대해서는 양(음)극박의 일단 측으로부터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를 접속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짧아지는 경향이 있고, 그 때문에, 전해콘덴서의 ESR특성이 악화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상술한 전해콘덴서에서는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4)의 리드선(18c)의 지름방향 위치가 양측 프레스단자(116)의 리드선(116c)의 지름방향 위치보다 내측으로 시프트함으로써, 양(음)극박(3, 4)의 일단 측으로부터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4)의 접속부(18b)를 접속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도 양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경우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ESR특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양(음)극박(3, 4)을 안정하게 감아낼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된 전해콘덴서에서는 제1(2)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2, 14, 15)의 리드선(18c)은 리드선(18c)이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보아 사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해콘덴서로서, 양(음)극박 등이 감긴 상태에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가 양(음)극박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전해콘덴서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양(음)극 리드탭단자와 양(음)극박과의 배치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음)극박 등이 감긴 상태에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가 양(음)극박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전해콘덴서라도 된다.
이 전해콘덴서에서는, 도 11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4)로서의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2 접속면(18e)이 양(음)극박(3, 4)의 외주면(3b, 4b)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양(음)극박(3, 4)에 접속된다. 또, 도 12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12, 15)로서의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2 접속면(18e)이 양(음)극박(3, 4)의 외주면(3b, 4b)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양(음)극박(3, 4)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접속부(18b)의 지름방향 위치는, 도 11 및 도 12의 각각의 하단에 나타내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접속부(116b)의 지름방향 위치와 변함없지만, 리드선(18c)(보스부(18a))의 지름방향 위치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리드선(116c)(보스부(116a))의 지름방향 위치보다도 콘덴서소자(2)의 중심(양극박(3) 등의 감기 시작) C의 측(내측)으로 거리 S만큼 시프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의 리드선(18c)과 제1 음극 리드탭단자(14)의 리드선(18c)의 피치 P는 그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만큼(2 × S) 좁아진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의 리드선(18c)과 제2 음극 리드탭단자(15)의 리드선(18c)과의 피치 P도 그 시프트량에 대응하는 만큼(2 × S) 좁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피치를 확보하려면, 편측 프레스단자에서는 양측 프레스단자의 경우보다도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가 양(음)극박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전해콘덴서에서도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2, 14, 15)의 판 모양의 접속부(18b)끼리를 접근시키지 않고,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2, 14, 15)를 안정하게 양(음)극박(3, 4)에 접속할 수 있음과 아울러, 중심 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리드선(18c) 사이의 피치를 넓게 하지 않고 소망하는 피치 P를 얻을 수 있어,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
발명자는 실시예 1로서, 직경을 5.0㎜, 6.3㎜, 8.0㎜, 10.0㎜, 12.5㎜, 16.0㎜로 하고, 그 리드선 사이의 피치를 각각 2.0㎜, 2.5㎜, 3.5㎜, 5.0㎜, 5.0㎜, 7.5㎜로 하며,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 및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로서 편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전해콘덴서를 제작했다. 또,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와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와의 간격을 원주의 약 4분의 3(도 13 참조)에 상당하는 길이로 했다. 한편, 비교예로서, 양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동일한 사이즈 및 동일한 피치의 전해콘덴서를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콘덴서에 대해서, 4개의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이 위치하는 포인트를 이어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하나의 정점의 각도 θ(도 8 참조)와, 감기 전의 제1 양(음)극 리드탭단자(11, 14)와 제2 양(음)극 리드탭단자(12, 15)와의 거리 PL, NL(도 2 참조)를 평가했다. 그리고, 각도 θ가 90±20°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거리 PL, NL이 7.0㎜ 이상 확보할 수 있던 시료를 양품(良品)으로 하며, 각도 θ 및 거리 PL, NL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시료에 대해서는 불량품으로 했다.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제작한 시료 가운데, 양품율이 95% 이상인 것을 「○」표로 나타내고, 95% 미만인 것을 「×」표로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의 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서, 비교예에서는 리드탭단자의 접속부가 접근하여, 양품율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피치에 대해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특히, 콘덴서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서도 양(음) 리드탭단자를 양(음)극박으로 안정하게 접속할 수 있어, 양품율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실시형태 2
여기에서는, 양극 리드탭단자를 2개 구비하고, 음극 리드탭단자를 1개 구비하며, 그 양(음)극 리드탭단자로서 편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전해콘덴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박(3)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접속되고,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접속된다. 또, 음극박(4)의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음극 리드탭단자(13)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접속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와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와의 간격 PL은 제조장치에 의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와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를 안정하게 양극박(3)에 접속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양극박(3) 및 음극박(4)은 양극박(3)과 음극박(4)과의 사이에 한쪽의 세퍼레이터지(5)가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한쪽의 세퍼레이터지(5)와 다른 쪽의 세퍼레이터지(6)와의 사이에 양극박(3)이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배치된 양극박(3), 음극박(4) 및 세퍼레이터지(5, 6)의 일단 측을, 화살표 5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기중심(31a)과 감기중심(31b)에 끼워넣는다. 다음으로, 그 상태에서, 화살표 5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기중심(31a, 31b)을 오른쪽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 및 음극 리드탭단자(13)가 양(음)극박(3, 4)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형태로 일단 측으로부터 양극박(3) 및 음극박(4) 등이 감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소자(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콘덴서소자(2)에 대해서, 양극박 등의 절단면 등에 화성처리 등이 시행되어, 콘덴서소자(2)의 양극 사이에 도전성 고분자층(도시생략)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소자(2)에 봉지용 고무패킹(22)이 장착된다. 다음으로, 봉지용 고무패킹(22)이 장착된 콘덴서소자(2)는 소정의 크기의 바닥이 있는 알루미늄 케이스(20)(도 17 참조)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케이스(20)의 개구단 측이 가로 조임과 컬링에 의해서 봉지되어, 소정의 에이징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케이스(20)의 컬면에 플라스틱제의 좌판(24)이 장착된다. 그 후,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판(24)의 개구부(24a)로부터 돌출한 각 리드선(18c)을 전극단자로 하여 프레스가공과 절곡가공을 시행함으로써, 3단자 구조의 전해콘덴서(1)가 완성된다.
상술한 전해콘덴서에서는,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를 적용하고, 그 편측 프레스단자(18)를, 감은 후에 리드선(18c)의 지름방향 위치가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형태로 양극박(3)에 접속하고 있다. 또,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를 적용하고, 그 편측 프레스단자(18)를, 감은 후에 리드선(18c)의 지름방향 위치가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형태로 양극박(3)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음극 리드탭단자(13)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를 적용하고, 그 편측 프레스단자(18)를, 감은 후에 리드선(18c)의 지름방향 위치가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형태로 음극박(4)에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대향하는 리드선(18c) 사이의 피치를 좁힐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예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2) 양극 리드탭단자 및 음극 리드탭단자로서,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비교예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1)의 리드선(116c)과, 제2 양극 리드탭단자(112)의 리드선(116c)은 감긴 양극박(3)에서 각각의 접속부(116b)가 접속되어 있는 지름방향 위치에 대응한 지름방향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음극 리드탭단자(113)의 리드선(116c)은 감긴 음극박(4)에서 접속부(116b)가 접속되어 있는 지름방향 위치에 대응한 지름방향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도 20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1)의 리드선(116c)과 음극 리드탭단자(113)의 리드선(116c)과의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를 거리 CPP로 한다. 또, 도 21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양극 리드탭단자(112)의 리드선(116c)과 음극 리드탭단자(113)의 리드선(116c)과의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를 거리 CPP로 한다.
이것에 대해서, 상술한 전해콘덴서에서는, 도 20 및 도 21의 각각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2) 양극 리드탭단자(11, 12) 및 음극 리드탭단자(13)로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적용된다. 게다가,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1 접속면(18d)이 양(음)극박(3, 4)의 내주면(3a, 4a)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양(음)극박(3, 4)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접속부(18b)의 지름방향 위치는, 도 20 및 도 21의 각각의 하단에 나타내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접속부(116b)의 지름방향 위치와 변함없지만, 리드선(18c)(보스부(18a))의 지름방향 위치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리드선(116c)(보스부(116a))의 지름방향 위치보다도 콘덴서소자(2)의 중심(양극박(3) 등의 감기 시작) C의 측(내측)으로 거리 S만큼 시프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의 리드선(18c)과 음극 리드탭단자(13)의 리드선(18c)과의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 CP는 거리 CPP로부터 그 시프트량(2 × S)을 뺀 거리로 줄어든다. 또,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의 리드선(18c)과 음극 리드탭단자(13)의 리드선(18c)과의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 CP도 거리 CPP로부터 그 시프트량(2 × S)을 뺀 거리로 줄어든다.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 CP가 줄어짐으로써, 양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과 음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과의 피치도 줄어지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피치를 확보하려면, 편측 프레스단자에서는 양측 프레스단자의 경우보다도 양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양극 리드탭단자(11, 12)의 판 모양의 접속부(18b)끼리를 접근시키지 않고, 양극 리드탭단자(11, 12)를 안정하게 양극박(3)에 접속할 수 있음과 아울러, 대향하는 리드선(18c) 사이의 피치를 넓게 하지 않고 소망하는 피치 CP를 얻을 수 있어,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해콘덴서로서 양(음)극박 등이 감긴 상태에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가 양(음)극박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전해콘덴서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양(음)극 리드탭단자와 양(음)극박과의 배치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음)극박 등이 감긴 상태에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가 양(음)극박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전해콘덴서라도 된다.
이 전해콘덴서에서는, 도 22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로서의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2 접속면(18e)이 양극박(3)의 외주면(3b)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양극박(3)에 접속되고, 음극 리드탭단자(13)로서의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2 접속면(18e)이 음극박(4)의 외주면(4b)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음극박(4)에 접속된다.
또, 도 23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로서의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2 접속면(18e)이 양극박(3)의 외주면(3b)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양극박(3)에 접속되고, 음극 리드탭단자(13)로서의 편측 프레스단자(18)의 접속부(18b)의 제2 접속면(18e)이 음극박(4)의 외주면(4b)에 접촉하는 형태로 편측 프레스단자(18)가 음극박(4)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접속부(18b)의 지름방향 위치는, 도 22 및 도 23의 각각의 하단에 나타내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접속부(116b)의 지름방향 위치와 변함없지만, 리드선(18c)(보스부(18a))의 지름방향 위치는 양측 프레스단자(116)를 적용한 경우의 리드선(116c)(보스부(116a))의 지름방향 위치보다도 콘덴서소자(2)의 중심(양극박(3) 등의 감기 시작) C의 측(내측)으로 거리 S만큼 시프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의 리드선(18c)과 음극 리드탭단자(13)의 리드선(18c)과의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 CP는 거리 CPP로부터 그 시프트량(2 × S)을 뺀 거리로 줄어든다. 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의 리드선(18c)과 음극 리드탭단자(13)의 리드선(18c)과의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 CP도 거리 CPP로부터 그 시프트량(2 × S)을 뺀 거리로 줄어든다. 중심부 C를 경유한 거리 CP가 줄어짐으로써, 양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18c)과 음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18c)과의 피치도 줄어지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피치를 확보하려면, 편측 프레스단자에서는 양측 프레스단자의 경우보다도 양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가 양(음)극박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전해콘덴서에서도 양극 리드탭단자(11, 12)의 판 모양의 접속부(18b)끼리를 접근시키지 않고, 양극 리드탭단자(11, 12)를 안정하게 양극박(3)에 접속할 수 있음과 아울러, 리드선(18c) 사이의 피치를 넓게 하지 않고 소망하는 피치를 얻을 수 있어, 전해콘덴서로서의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2) 양극 리드탭단자(11, 12)의 리드선(18c) 및 음극 리드탭단자(13)의 리드선(18c)은 리드선(18c)이 돌출하고 있는 측에서 보아 삼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 상술한 전해콘덴서에서는 음극 리드탭단자(13)로서 편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음극 리드탭단자가 1개의 전해콘덴서인 경우에는 음극 리드탭단자로서 양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해도 된다.
[실시예 2]
발명자는, 실시예 2로서, 직경을 5.0㎜, 6.3㎜, 8.0㎜, 10.0㎜, 12.5㎜, 16.0㎜로 하고, 그 리드선 사이의 피치를 각각 2.0㎜, 2.5㎜, 3.5㎜, 5.0㎜, 5.0㎜, 7.5㎜로 하며, 2개의 양극 리드탭단자 및 1개의 음극 리드탭단자로서, 편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전해콘덴서를 제작했다. 또, 제1 양극 리드탭단자와 제2 양극 리드탭단자와의 간격을 원주의 약 3분의 1(배치패턴 A)과 원주의 약 3분의 2(배치패턴 B)(도 24 참조)에 상당하는 길이로 했다. 한편, 비교예로서, 양측 프레스단자를 적용한 동일한 사이즈, 동일한 피치 및 동일한 배치패턴의 전해콘덴서를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콘덴서에 대해서, 3개의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리드선이 위치하는 포인트를 이어서 형성되는 삼각형의 하나의 정점의 각도 θ(도 19 참조)와, 감기 전의 제1 양극 리드탭단자(11)와 제2 양극 리드탭단자(12)와의 거리 PL(도 14 참조)를 평가했다. 그리고, 그 각도 θ가 20° ~ 140°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거리 PL이 7.0㎜ 이상 확보할 수 있던 시료를 양품으로 하고, 각도 θ 및 거리 PL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시료에 대해서는 불량품으로 했다.
그 결과를 도 24에 나타낸다. 제작한 시료 가운데, 양품율이 95% 이상인 것을 「○」표로 나타내고, 95% 미만인 것을 「×」표로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배치패턴 B에 주목하면, 콘덴서의 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서, 비교예에서는 리드탭단자의 접속부끼리가 접근하여, 양품율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피치에 대해서 양(음)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특히, 콘덴서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서도 양(음) 리드탭단자를 양(음)극박에 안정하게 접속할 수 있어, 양품율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배치패턴 A에 주목하면, 비교예에서는 리드탭단자의 접속부끼리가 더욱 접근하기 때문에, 가장 큰 사이즈의 전해콘덴서(시료 6) 이외의 전해콘덴서(시료 1 ~ 5)에서는 모두 양품율이 나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피치에 대해서 양극 리드탭단자의 접속부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콘덴서의 사이즈가 큰 쪽에서부터 3번째까지의 전해콘덴서(시료 6 ~ 4)에 대해서는 소망하는 양품율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배치패턴 A에서는 리드탭단자의 접속부끼리가 더욱 접근하기 때문에, 전해콘덴서의 사이즈가 작은 쪽에서부터 3번째까지의 전해콘덴서(시료 1 ~ 3)에 대해서는 소망하는 양품율이 얻어지지 않음을 알았다.
이와 같이, 배치패턴 A 및 배치패턴 B 중 어느 경우에서도 한쪽 프레스를 채용한 전해콘덴서는 양측 프레스를 채용한 전해콘덴서보다 양품율이 높은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리드탭단자를 구비한 전해콘덴서와, 3개의 리드탭단자를 구비한 전해콘덴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전해콘덴서는 5개 이상의 리드탭단자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예시로서,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양(음)극박을 일단 측에서 감아내는 권회식의 전해콘덴서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1 전해콘덴서, 2 콘덴서소자,
3 양극박, 3a 내주면,
3b 외주면, 4 음극박,
4a 내주면, 4b 외주면,
5 세퍼레이터지, 6 세퍼레이터지,
11 제1 양극 리드탭단자, 12 제2 양극 리드탭단자,
13 음극 리드탭단자, 14 제1 음극 리드탭단자,
15 제2 음극 리드탭단자, 18 편측 프레스단자,
18a 보스부, 18b 접속부,
18c 리드선, 18d 제1 접속면,
18e 제2 접속면, 20 알루미늄 케이스,
22 봉지용 고무패킹, 22a 개구부,
24 좌판, 24a 개구부,
31a, 31b 감기중심, 51, 52 화살표.

Claims (5)

  1. 각각 감기는 띠모양의 양극박 및 음극박과,
    상기 양극박 및 상기 음극박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형태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단자가 되는 리드선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리드탭단자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리드탭단자는 상기 양극박 및 상기 음극박이 감긴 상태에서 상기 리드선이 상기 접속부에 대해서 지름방향으로 시프트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의 2개의 양극 리드탭단자를 구비하며,
    2개의 상기 양극 리드탭단자는 상기 리드선의 지름방향 위치를 내측으로 시프트시키는 형태로 상기 양극박에 접속된 전해콘덴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리드탭단자는 상기 양극박 및 상기 음극박이 감긴 상태에서 상기 리드선이 상기 접속부에 대해서 지름방향으로 시프트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의 2개의 음극 리드탭단자를 구비하고,
    2개의 상기 음극 리드탭단자는 상기 리드선의 지름방향 위치를 내측으로 시프트시키는 형태로 상기 음극박에 접속된 전해콘덴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양극 리드탭단자의 상기 리드선 및 2개의 상기 음극 리드탭단자의 상기 리드선은 사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해콘덴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탭단자는 상기 양극박 및 상기 음극박이 감긴 상태에서 상기 리드선이 상기 접속부에 대해서 지름방향으로 시프트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 중 하나의 음극 리드탭단자를 구비하고,
    1개의 상기 음극 리드탭단자는 상기 리드선의 지름방향 위치를 내측으로 시프트시키는 형태로 상기 음극박에 접속된 전해콘덴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양극 리드탭단자의 상기 리드선 및 1개의 상기 음극 리드탭단자의 상기 리드선은 삼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전해콘덴서.
KR1020100137917A 2009-12-29 2010-12-29 전해콘덴서 KR201100768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9079A JP2011138977A (ja) 2009-12-29 2009-12-29 電解コンデンサ
JPJP-P-2009-299079 2009-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835A true KR20110076835A (ko) 2011-07-06

Family

ID=4418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917A KR20110076835A (ko) 2009-12-29 2010-12-29 전해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0757B2 (ko)
JP (1) JP2011138977A (ko)
KR (1) KR20110076835A (ko)
CN (1) CN102208287A (ko)
TW (1) TW2011357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9598B2 (ja) * 2008-12-26 2013-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US8388005B2 (en) * 2010-09-29 2013-03-05 Lit Motors Corporation Foldable scooter
JP5735368B2 (ja) * 2011-07-20 2015-06-17 ニチコン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WO2013030909A1 (ja) * 2011-08-26 2013-03-0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84609A1 (ja) * 2011-12-07 2013-06-1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コイル、リアクトル及びコイルの形成方法
CN103956264B (zh) * 2014-04-01 2017-10-27 扬州日精电子有限公司 一种卷绕型薄膜电容器的制作方法
DE102015122977A1 (de) 2015-12-30 2017-07-06 Epcos Ag Kondensator-Bauteil
JP6550363B2 (ja) * 2016-03-09 2019-07-24 湖北工業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用のリード線端子、電解コンデンサ及び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DE102016125733A1 (de) 2016-12-27 2018-06-28 Epcos Ag Hybrid-Polymer-Aluminium-Elektrolytkonden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densato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9307A (ja) * 1987-05-29 1988-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JPH04119621A (ja) * 1990-09-10 1992-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KR100532171B1 (ko) * 1997-11-28 2005-11-30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전해 콘덴서와 그의 제조 방법
JP2003133178A (ja) * 2001-10-22 2003-05-09 Aputodeito:Kk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JP2003217979A (ja) * 2002-01-18 2003-07-31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
JP2004179621A (ja) * 2002-11-11 2004-06-24 Fujitsu Media Device Kk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JP5137604B2 (ja) * 2008-02-06 2013-02-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38977A (ja) 2011-07-14
TW201135771A (en) 2011-10-16
US8400757B2 (en) 2013-03-19
US20110157778A1 (en) 2011-06-30
CN102208287A (zh)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6835A (ko) 전해콘덴서
JP4587996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4592792B2 (ja) 電解コンデンサ
US7961454B2 (en) Multi-layered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159598B2 (ja) 電解コンデンサ
US8320105B2 (en) Electrolytic capacitor
US2012023646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ytic capacitor and electrolytic capacitor
US820646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capacitor
JP5328870B2 (ja) 電解コンデンサ
US7778012B2 (en) Electrolytic capacitor
JP5334757B2 (ja) 電解コンデンサ
US8529641B2 (en)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334758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5334756B2 (ja) 電解コンデンサ
US8644004B2 (en)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3231414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5164325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12004481A (ja) 電解コンデンサ
JP2014120488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