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746A - 소켓 렌치 - Google Patents

소켓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746A
KR20110070746A KR1020100060465A KR20100060465A KR20110070746A KR 20110070746 A KR20110070746 A KR 20110070746A KR 1020100060465 A KR1020100060465 A KR 1020100060465A KR 20100060465 A KR20100060465 A KR 20100060465A KR 20110070746 A KR20110070746 A KR 2011007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hole
steel ball
wrench
wren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680B1 (ko
Inventor
다이스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시타코교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시타코교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시타코교겐큐쇼
Publication of KR2011007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35Connection means between socket or screwdriver bit an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 Y10T403/592Ball de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소켓 본체측에 형성한 조립 구멍과 조작 핸들측에 구비한 드라이브가 덜거덕 거리지 않고 안정된 맞물림 상태를 얻을 수 있고, 이들 양자의 끼워짐도 양호한 소켓 렌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작 핸들(1)에 구비된 드라이브(2)에 지지 구멍(4)을 형성하고, 이 지지 구멍(4)에 코일 스프링(5)에 의해 가압된 강구(6)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강구(6)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요입부(9)를 렌치 본체(3)의 상기 드라이브(2)를 맞물리게 하는 조립 구멍(7)의 내벽에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렌치 본체(3)에 상기 드라이브(2)와 동축상으로 해서 피조작용 볼트(b)의 다각형 두부(b')를 맞물리게 하는 접속각 구멍(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9)는 서로 교차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강구(6)가 접하는 한쌍의 접촉벽(9a, 9b)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소켓 렌치{SOCKET WRENCH}
본 발명은 다각형의 너트나 볼트의 두부 외측에 렌치 본체를 끼우고, 이 렌치 본체에 조작 핸들의 조작에 의해 드라이브의 구동력을 부여하여 상기 너트 등을 체결하거나 해제시키는 소켓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켓 렌치는 조작 핸들에 구비된 드라이브에 지지 구멍을 형성하고, 이 지지 구멍에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강구(鋼球)를 출입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고, 이 강구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요입부(凹入部)를 렌치 본체의 상기 드라이브를 맞물리게 하는 조립 구멍의 내벽에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렌치 본체에 상기 드라이브와 동축상으로 하여 예를 들면 피조작용 볼트의 다각형 두부를 맞물리게 하는 접속각 구멍을 형성한 구조의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특허문헌 1로서 나타낸 것은 상기 조작 핸들에 조립된 별체의 어댑터에 상기 드라이브를 배치한 구조를 사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 구조는 물론,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를 생략하여 드라이브를 조작 핸들(의 두부)에 직접 부착한 형식의 소켓 렌치에도 적용된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9876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소켓 렌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 본체(103)의 조립 구멍(107)의 내벽에 형성한 요입부(109)의 벽면을 강구(106)가 이루는 원호면보다 곡률 반경이 큰 원호면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핸들(101)의 선단에 배치한 드라이브(102)를 조립 구멍(107)에 맞물리게 해서 강구(106)를 코일 스프링(105)의 프레싱(pressing)에 의해 요입부(109)에 맞물리게 해서 그 벽면에 접촉시켰을 때 강구(106)와 요입부(109)의 벽면은 서로 점접촉하고, 구체(球體)인 강구(106)는 요입부(109)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려고 해서 조립 구멍(107)과 드라이브(102)의 안정된 맞물림 상태를 얻기 어렵고, 끼워짐도 양호하지 않다. 이것은 드라이브(102)에 조립된 렌치 본체(103)의 접속각 구멍(108)을 이용한 피조작용 볼트의 다각형 두부에 대한 맞물림 조작의 원활함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렌치 본체측에 형성한 조립 구멍과, 조작 핸들측에 구비된 드라이브가 덜거덕 거리지 않고 안정된 맞물림 상태를 얻을 수 있고, 즉 렌치 본체의 피조작용 볼트의 다각형 두부에 대한 맞물림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소켓 렌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창안한 것이다.
조작 핸들에 구비된 드라이브에 지지 구멍을 형성하고, 이 지지 구멍에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강구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고, 이 강구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요입부를 렌치 본체의 상기 드라이브를 맞물리게 하는 조립 구멍의 내벽에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렌치 본체에 상기 드라이브와 동축상으로 해서 피조작용 볼트의 다각형 두부를 맞물리게 하는 접속각 구성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요입부는 서로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강구가 접하는 한쌍의 접촉벽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브를 조립 구멍에 맞물리게 했을 때 드라이브에 구비된 강구가 조립 구멍에 코일 스프링의 프레싱에 의해 확실하게 맞물리고, 이에 따라 드라이브를 구비한 조작 핸들과 렌치 본체의 조립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강구는 조립 구멍의 요입부의 한쌍의 접촉벽에 접하기 때문에 강구는 코일 스프링과의 접촉을 포함한 이른바, 3점에서 유지되게 되고, 이에 따라 렌치 본체와 드라이브간에 안정된 상태로 배치되고, 렌치 본체와 드라이브는 덜거덕 거리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 가능한 소켓 렌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절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렌치 본체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x-x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y-y선 단면도.
도 8은 렌치 본체의 저면도.
도 9는 종래예의 강구와 요입부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소켓 렌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실시예의 소켓 렌치(A)는 조작 핸들(1)과, 이 조작 핸들(1)의 선단에 배치된 드라이브(2)에 제거 가능하게 조립된 렌치 본체(3)로 구성된다.
조작 핸들(1)은 선단측의 두부(1a)내에 도시 생략한 래치트 기구(ratchet mechanism)를 구비하고, 이 래치트 기구에 의해 정전 방향 또는 역전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방향으로만 회동이 허용되는 상기 드라이브(2)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실시예의 드라이브는 단면이 거의 사각형체로 이루어지지만, 요컨대 렌치 본체(3)의 후기의 조립 구멍(7)에 거의 일치시켜서 맞물리고, 렌치 본체(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형상이면 좋음](2)는 축선 방향의 중간부의 둘레측(周側)에 드라이브(2)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지지 구멍(4)을 구비하고, 이 지지 구멍(4)에 코일 스프링(5)의 프레싱에 의해 일부가 상기 둘레측보다 돌출되는 강구(6)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즉, 강구(6)는 드라이브(2)의 지지 구멍(4)에 맞물려 있고, 이 강구(6)는 상기 지지 구멍(4)의 강구(6)의 직경보다 좁은 개구 단부(4a)에 의해 드라이브(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또한 이 강구(6)와 지지 구멍(4)의 뒤벽(4b) 사이에 개재시킨 상기 코일 스프링(5)의 프레싱에 의해 일부가 상기 개구 단부(4a)[드라이브(2)의 상기 둘레측]보다 상시 돌출하도록 해서 드라이브(2)에 조립되어 있다.
렌치 본체(3)는 축선 방향의 일방측의 외경에 대하여 타방측의 외경을 좁게 한 짧은 원기둥체를 갖는다. 직경이 좁은 측의 단면(3a)에 단면이 직사각형상인 조립 구멍(7)을 형성하고, 직경이 넓은 측의 단면(3b)에 단면이 6각형인 접속각 구멍(connecting square hole)(8)을 각각 형성한다. 조립 구멍(7)에 상기 드라이브(2)를 삽입해서 끼움과 아울러 상기 접속각 구멍(8)에 피장작용(被裝作用)의 볼트(b)의 6각형 두부(b')나 6각형 너트(도시 생략)를 맞물리게 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조립 구멍(7)의 드라이브(2)에 조립된 상기 강구(6)가 접하는 내벽(7a)에는 조립 구멍(7)에 드라이브(2)를 끼울 때 상기 강구(6)가 맞물리는 요입부(9)를 형성하고, 요입부(9)에 대한 상기 강구(6)의 맞물림 관계에 의해 조립 구멍(7)과 드라이브(2)의 접속 관계가 유지되고, 조작 핸들(1)과 렌치 본체(3)는 서로 조립되어 있어서 소켓 렌치(A)를 구성한다.
요입부(9)는 상기 좁은 측의 단면(3a)측의 작은 원호 곡면상의 접촉벽(9a)과 상기 넓은 측의 단면(3b)측의 큰 원호 곡면상의 접촉벽(9b)이 서로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들 접촉벽(9a, 9b)이 개구 단부측으로부터 서로 연속하는 뒤단부에 도달함에 따라 점차 근접하도록 경사상으로 배치되어서 구성되고, 개구 형상을 렌치 본체(3)의 상기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긴 약간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접촉벽(9a, 9b) 사이에 상기 강구(6)의 일부가 맞물려서 이 접촉벽(9a, 9b)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는 접촉벽(9a, 9b)을 곡면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드라이브(2)에 대한 요입부(9)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곡면 형상일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방측이 경사져 있어서 강구(6)가 그 경사면에 접촉하는 형태의 것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에 부적합하지 않다.
또한, 요입부(9)는 단면이 정사각형상인 조립 구멍(7)의 사방의 내벽(7a, 7a, 7a, 7a)에 형성하여 드라이브(2)를 맞물리게 할 때에 방향성을 선택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지만 사방의 각 내벽(7a, 7a, 7a, 7a)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내벽(7a)에만 형성한 경우이어도 본 발명의 실시에는 부적합하지 않다.
조립 구멍(7)에 드라이브(2)를 삽입하면 드라이브(2)에 구비된 강구(6)는 조립 구멍(7)의 내벽(7a)에 접해서 가압되어 코일 스프링(5)의 프레싱에 저항해서 지지 구멍(4)내의 뒤벽(4b) 방향으로 후퇴한다. 이 후퇴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라이브(2)가 조립 구멍(7) 내를 이동해서 조립 구멍 내벽(7a)의 요입부(9) 위치에 도달하면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지지 구멍(4)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즉 개구 단부(4a) 방향으로 프레싱되어 있었던 강구(6)는 상기 내벽(7a)에 의한 코일 스프링(5)의 프레싱에 대한 규제가 해제되고, 지지 구멍(4)보다 돌출되어 요입부(9)에 맞물리게 되고, 조작 핸들(1)과 렌치 본체(3)는 서로 조립되어 소켓 렌치(A)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렌치 본체(3)의 접속각 구멍(8)을 피조작용 볼트(b)의 두부(b') 외측에 끼우고, 조작 핸들(1)을 래치트 기구(이것을 생략한 소켓 렌치에서도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함)를 이용하여 정전 방향(normal direction) 또는 역전 방향(reverse direction)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두부(b')는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트(b)가 체결되거나 또는 해제되는 것이다.
1 : 조작 핸들 2 : 드라이브
3 : 렌치 본체 4 : 지지 구멍
5 : 코일 스프링 6 : 강구
7 : 조립 구멍 8 : 접속각 구멍
9 : 요입부 9a, 9b : 접촉벽

Claims (1)

  1. 조작 핸들에 구비된 드라이브에 지지 구멍을 형성하고, 이 지지 구멍에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강구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고, 이 강구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요입부를 렌치 본체의 상기 드라이브를 맞물리는 조립 구멍의 내벽에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렌치 본체에 상기 드라이브와 동축상으로 해서 피조작용 볼트의 다각형 두부를 맞물리게 하는 접속각 구성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요입부는 서로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강구가 접하는 한쌍의 접촉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렌치.
KR1020100060465A 2009-12-18 2010-06-25 소켓 렌치 KR101232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7463A JP5393430B2 (ja) 2009-12-18 2009-12-18 ソケットレンチ
JPJP-P-2009-287463 2009-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746A true KR20110070746A (ko) 2011-06-24
KR101232680B1 KR101232680B1 (ko) 2013-02-13

Family

ID=4414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65A KR101232680B1 (ko) 2009-12-18 2010-06-25 소켓 렌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75076B2 (ko)
JP (1) JP5393430B2 (ko)
KR (1) KR101232680B1 (ko)
CN (1) CN102101277B (ko)
DE (1) DE102010025903B4 (ko)
TW (1) TWI374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4556B2 (en) * 2013-10-31 2016-02-09 Yu-Hua Ou Socket
US9950409B2 (en) * 2015-02-25 2018-04-2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Clamping device with removable handles
CN106826641B (zh) * 2017-01-17 2019-12-10 永康市强源工贸有限公司 一种不易晃动的套筒扳手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2220A (en) * 1920-12-17 1921-09-27 Quint Michael Socket-wrench
US2162359A (en) * 1936-08-22 1939-06-13 Armstrong Bros Tool Co Lock for socket wrenches, etc.
US2701977A (en) * 1953-05-07 1955-02-15 Wright Tool And Forge Company Reversible ratchet wrench
US4187747A (en) * 1978-02-21 1980-02-12 Litton Industrial Products, Inc. Quick release mechanism for socket wrench
JPS5932508Y2 (ja) * 1980-02-04 1984-09-12 株式会社不二越 クイツクチエンジホルダ−
US4420995A (en) * 1981-06-05 1983-12-20 Roberts Peter M Quick-release and positive locking mechanism for use on socket wrenches and on power and impact tools
US4485700A (en) * 1983-01-26 1984-12-04 Colvin David S Reversible ratchet wrench
JPH01148271U (ko) * 1988-03-30 1989-10-13
JPH0618787Y2 (ja) * 1989-11-29 1994-05-18 前田金属工業株式会社 ネジ締め用トルク伝達部材
JPH069876U (ja) * 1991-12-11 1994-02-08 株式会社山下工業研究所 ソケットレンチ
DE4211256A1 (de) 1992-04-03 1993-10-07 Wacker Chemie Gmbh Vernetzbare Zusammensetzung auf Aminosiliconbasis
US6109140A (en) * 1998-04-09 2000-08-29 Joda Enterprises, Inc. Ratchet wrench
AU2001297010A1 (en) * 2000-10-20 2002-05-06 Joda Enterprises, Inc. Sealed ratchet wrench
TW511565U (en) * 2001-12-14 2002-11-21 Hou-Fei Hu Linking rod
US20070163406A1 (en) * 2006-01-17 2007-07-19 Qing-Xiang Liu Multiple sliding extension rod
CN101152710A (zh) * 2006-09-30 2008-04-02 李长撰 具有锁定装置的套筒接杆
US20090226248A1 (en) * 2008-03-07 2009-09-10 Tzu-Chien Wang Quick-Release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46461A1 (en) 2011-06-23
JP5393430B2 (ja) 2014-01-22
CN102101277A (zh) 2011-06-22
TW201121716A (en) 2011-07-01
JP2011125970A (ja) 2011-06-30
DE102010025903B4 (de) 2014-06-18
CN102101277B (zh) 2013-04-24
US8475076B2 (en) 2013-07-02
KR101232680B1 (ko) 2013-02-13
DE102010025903A1 (de) 2011-06-22
TWI374793B (en) 201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892B2 (en) Palm type spanner
US8205529B1 (en) Hybrid low profile and standard ratchet system
US4662251A (en) Orthogonal adjustable socket wrench
US7261022B1 (en) Insertion type hand tool
US6959629B2 (en) Hand tool having a retractable handle structure
US11565384B2 (en) Toggler structure for ratchet wrench
JP2005279922A (ja) 四角ドライバーへ遷移する改善された金床を有するインパクトレンチ
US6199457B1 (en) Quick release mechanism for socket drive tool
KR101232680B1 (ko) 소켓 렌치
US8038371B2 (en) Push button holesaw mandrel assembly
JP4741338B2 (ja) 管体の継手および管体の接続構造
US8342064B2 (en) Ratchetable open-ended wrench
US20120240731A1 (en) Tool extension
US20040247413A1 (en) Fastener and its handling tool
US11485009B2 (en) Extendable wrench
JP2020001912A (ja) 結合ピン着脱治具及び結合ピン着脱方法
US11034004B2 (en) Fastener pushing mechanism
US6814159B1 (en) Impact tool driver
JP4406906B2 (ja) プランジャ式接合ピン
US11383358B1 (en) Wrench
JP3178376U (ja) レンチ用ソケット
TW201930023A (zh) 扭力套筒結構
US20070240543A1 (en) Returning assembly of spanner
CN219235168U (zh) 一种多用途螺丝套筒扳手
JP2010071296A (ja) 構造用枠材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