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764A -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 - Google Patents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764A
KR20110069764A KR1020117002055A KR20117002055A KR20110069764A KR 20110069764 A KR20110069764 A KR 20110069764A KR 1020117002055 A KR1020117002055 A KR 1020117002055A KR 20117002055 A KR20117002055 A KR 20117002055A KR 20110069764 A KR20110069764 A KR 20110069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metal
roller
scrap
compression device
roll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레스터
크레이그 로즈
Original Assignee
다니엘리 데이비 디스팅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리 데이비 디스팅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니엘리 데이비 디스팅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6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62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shredding scrap metal, e.g. automobi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18Feeding means
    • B02C2013/28663Feeding means us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는 여러 소재의 부피 및 부산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철, 즉 차량, 트레일러 등의 고철이 모두 적재되고 파쇄되는 고철을 제한되지 않게 효과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시설에 사용될 수 있는 압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축 장치는 파쇄되기 전의 고철을 압축 및/또는 파쇄하기 위하여 파쇄 시설의 입구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철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면과 연동하여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부재와 공급면 사이에서 상기 고철을 포집하고 압축하기 위하여 시설에 고철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면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철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는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작동 중에 상호 연결되는 반원통형의 캡 부재를 구비하고, 분리될 수 있도록 빈 튜브형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COMPRESSION DEVICE FOR SHREDING PLANT}
본 발명은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는 여러 소재의 부피 및 부산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철, 즉 차량, 트레일러 등의 고철이 모두 적재되고 파쇄되는 고철을 제한되지 않게 효과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시설에 사용될 수 있는 압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축 장치는 파쇄되기 전의 고철을 압축 및/또는 파쇄하기 위하여 파쇄 시설의 입구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소재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차량, 트레일러 또는 그 외의 파쇄 고철을 위한 시설에서 이러한 조각이 대부분 적재된 후 파쇄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시설은 예를 들어 슬라이드와 같이 고철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연통되는 가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장치는 고철이 진입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으로 포집하여 이송시킨 후, 상기 압축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파쇄 유닛에 의해 가공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공지된 압축 장치는 주변에 배치되고, 대략 수평축 및 상기 고철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구동축에 의해 회전이 유지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부재는 간헐적으로 횡방향으로 균등하게 이격되고, 각각의 롤러 부재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돌기는 상기 고철이 파쇄 유닛으로 진입하는 것을 포집하고 부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롤러 부재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유압 피스톤 혹은 이와 같은 승강 장치 수단에 의해 일단에 힌지결합되어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고철 더미의 크기 및 부피에 따라 컨베이어 수단에서 고철 표면에 공급하는 적절한 거리로 상기 롤러 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쇄 시설로 제공되는 고철은 각각의 롤러 부재의 측면 및 공급면 사이에서 왕복 가압을 통하여 압축된다. 또한, 상기 롤러 부재는 상기 파쇄 장치를 향하여 진행하는 고철에 개선된 파쇄 작용을 가하기 위하여 공급면으로부터 감소되는 거리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공지된 가압 장치의 한 가지 단점으로서, 호환되지 않는 고철의 치수 및/또는 부피 때문에 롤러 부재가 소재의 끼임현상 발생시 작용하는 토크로 인하여 구동축에 손상을 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지된 가압 장치의 다른 단점으로서, 효율적인 파쇄 작용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 부재의 회전축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구조를 단단히 지지할 수 있는 크기가 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상기 고철이 파쇄되는 동안, 상기 롤러 부재의 횡진동을 발생시키고,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이송될 것이다. 이와 같이 의도치 않은 진동은 상기 압축 장치의 손상을 가속화시키고, 일 예로, 상기 롤러 부재와 같은 압축 장치의 구조적 결함을 야기할 것이다.
공지된 가압 장치의 또 다른 단점으로서, 상기 횡돌기는 진입하는 고철의 포집의 손실을 야기하고, 상기 파쇄 유닛으로 진입시키고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파쇄된다. 이것은 파쇄 유닛의 과적을 야기하게 된다.
상기 출원은 선행기술 상의 결점을 극복하고, 상기 목적 및 효과를 얻기 위하여 착안되고, 실험되고, 구체화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보수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롤러 부재의 손상과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철 파쇄 시설의 압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종속항에서 발명의 다른 특징 또는 주요 창의적인 사상에 대한 다양함을 개시하며, 이에 앞서서 독립항에서 특정된다.
전술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고철 파쇄 시설을 위한 압축 장치는 상기 시설의 파쇄 유닛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압축 장치는 파쇄 유닛을 향하여 고철을 진행시킴으로써 고철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동 수단과 연동된다.
상기 압축 장치는 상기 고철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부재는 그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에 공급되는 고철을 포집하고 압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철은 상기 이동 수단과 연동하고 롤러 부재 및 상기 고철의 공급면 사이에서 파쇄된다.
본 발명의 특정되는 요지에 의하면, 상기 롤러 부재는 작동 중에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분리되고 연결되는 반원통형의 캡 중공 튜브형 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반원통형 캡을 손상시키지 않고, 시설 자체의 조립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하는 롤러 부재의 상호 가변성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또한, 상기 압축 장치는 상기 롤러 부재가 설치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공급면에 대하여 소정 거리로 상기 롤러 부재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처리될 고철을 정돈한다. 또한, 상기 압축 장치는 롤러 부재를 진입하는 고철의 진행에 더하여 올릴 수 있는 지지 수단 및 고철 자체 파쇄 작용을 돕기 위한 롤러 부재가 상기 고철의 포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센싱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발생할 수 있는 과적 또는 흡수되는 한계 동력을 방지하고 파쇄 유닛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상기 압축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고철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압축 장치는 상기 파쇄 유닛에서 고철의 양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센싱 수단에 연동한다. 이와 같이 유지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효율적인 상태에서 파쇄 유닛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철의 양으로 파쇄 유닛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파쇄 시설의 박스형의 바디에 대하여 제1 단부에서 피벗되는 기다란 튜브형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다란 튜브형 부재는 그 횡방향 위치에서 상기 롤러 부재를 조립하도록 제2 단부에서 별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또한, 상기 압축 장치는 상기 기다란 튜브 부재와 연동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튜브 부재의 버팀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철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에 의하면, 대략 튜브형의 구조인 상기 롤러는 상기 시설의 유지보수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해가 가능하다.
상기 파쇄 유닛의 구획으로 진입하는 고철의 밀도는 낮아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파쇄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들과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제공되어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제1 작업 환경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철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제2 작업 환경에서 도 1의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3차원 분해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장치(10)는 파쇄 공장(14)의 내부로 공급되는 스크랩을 가압하고 분쇄할 수 있도록 적용된다. 상기 압축 장치(10)는 상기 시설(14)의 박스형의 몸체(12)의 측벽에 설치되고, 스크랩 파쇄 유닛이 배치되는 구획(18)을 향하여 상기 고철을 이송하는 슬라이드(16)와 연동되며, 공지된 타입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압축 장치(10)는 2개의 실린더형의 롤러(20, 120)로서 하측 롤러(20) 및 상측 롤러(12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16)를 통하여 상기 시설(14)로 공급되는 고철을 포집하기 용이하게 한다. 상기 롤러(20, 120)는 대략 수평 및 상기 슬라이드(16)의 고철의 공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압축 장치(10)는 유압 구동과 같은 공지된 타입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직접 하측 롤러와 연결된다. 상기 상측 롤러(120)는 양측 롤러 부재(20, 120)가 바람직한 차등 회전 속도로 회전을 유지하도록 공지된 변속 수단에 의해 하측 롤러(20)와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측 롤러 부재(20)는 상기 처리된 고철의 신장 작용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롤러 부재(120)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롤러(20, 120)는 외주면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고, 2개의 원형 크라운(19) 사이의 각 롤러 부재(20, 120)의 총 너비(L) 이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브(21)는 상기 외주면에서 균등하게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21)는 상기 롤러 부재의 회전 중에, 상기 시설(14)로 공급되는 고철의 포집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0, 120)는 분리되고, 각각의 롤러(20, 12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31)와 작동 중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반원통형의 캡(30)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31)의 단부(32)는 각각의 암(22)의 별도의 하우징과 결합된다. 상기 반원통형의 캡(30)은 작동 중, 즉 롤러(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캡(30)이 상호 연결될 때, 상기 샤프트(31)가 통과할 수 있는 좌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오목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크라운(33)을 포함한다. 각각의 반원형의 크라운(33)은 작동중에 상기 샤프트(31)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로드(35)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4개의 홀(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31)는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캡(3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캡(30)의 반원형 크라운(33)과 함께 작동 중에 연결되도록 2개의 스페이서(38)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페이서(38)는 강체이고 상기 샤프트(31)와 동축이며 상기 샤프트(3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평평한 원판(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40)는 상호 소정의 거리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8)는 상기 샤프트(31)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판(40)의 파지 및 상기 스페이서(38)의 응력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 한 쌍의 원판(40) 사이에서 수직으로 개재되는 제2 평판(41)을 포함한다.
아울러, 각각의 원판(40)은 상기 제1 홀(34)과 대략 유사하게 배치되는 제2 홀(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홀(42)은 상기 캡(30)에 상기 샤프트(31)을 부착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로드(35)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각각의 원판(40)은 대응되는 돌기와 연동하기 용이하고 상기 로드(35)의 삽입을 위한 제2 홀(42)과 상기 제1 홀(34)의 정렬을 맞추며, 상기 롤러(20)의 회전 중에 상기 샤프트와 캡(30)의 보다 용이한 파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캡(3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V자형의 홈(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 장치(10)는 대략 기다란 2개의 암(22)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20, 120)가 매달려서 조립되고 지지되도록 하는 상기 슬라이드(16) 중 각각의 측부는 상기 슬라이드(16)의 공급면에 대하여 횡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박스형의 바디(12)에 제1 단부(23)에서 피벗되는 암(22)은 전술한 매달린 위치로 상기 롤러(20, 120)의 조립을 위하여 수용하는 제2 단부(24) 및 변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파쇄 유닛과 더욱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하측 롤러(20)는 상기 슬라이드(16)로부터 상기 상측 롤러(120)의 대응되는 거리보다 덜 이격되는 슬라이드(16)의 공급면으로부터 배치된다.
상기 암(22)은 대략 수평으로 제1 부분(도 1) 및 제2 경사부(도 2) 사이에서 그 제1 단부(23)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진동하며 이동한다. 이러한 제1 부분에서 상기 암(22)은 상기 하측 롤러(20)를 상기 슬라이드(16)의 공급면과 거의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제2 부분(도 2)에서 상기 승강 암은 상기 하측 롤러(20)를 상기 슬라이드(16)의 공급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상측 롤러(120)는 상기 암(22)이 상기 제1 부분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부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16)가 항상 상기 제1 롤러(20)보다 더욱 멀리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 장치(10)는 상기 박스형의 바디(12)의 고정된 부분 및 상기 암(22)의 제2 단부(24) 사이에서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2 위치 사이에서 진동에 의해 상기 암(22)으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암(22)은 상기 제1 단부(23) 및 제2 단부(24)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원통형상의 기다란 튜브형 바디(25)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형 바디(25)는 상기 압축 장치(10)에 상당한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튜브형 바디(25)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상기 튜브형 바디(25)에 용접되며, 상기 튜브형 바디(25)의 전장을 따라 배치되는 평평한 세로판(27)을 포함한다. 상기 세로판(27)은 상기 튜브형 바디(25)의 구조를 보강하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튜브형 바디(25)는 상기 튜브형 바디(25)의 소정 길이만큼의 위치에 외부로 배치되는 횡판(28)을 포함한다. 상기 횡판(28)은 안정성 및 견고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형 바디(25)를 횡방향으로 보강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횡판(28)은 상기 튜브형 바디(25)와 한 부품으로 제조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상기 압축 장치(10)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처리될 고철은 상기 파쇄 시설(14)로 공급되어 적재되고 상기 슬라이드(16)의 중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즉, 상기 고철은 상기 파쇄 시설(14)의 내부로 진입할 때, 회전되는 롤러 부재(20, 120)의 리브(21)에 의해 포집된다. 상기 상측 롤러(120)는 상기 하측 롤러(20)보다 먼저 상기 고철을 포집한다. 상기 하측 롤의 회전 속도는 상기 상측 롤러(20)보다 빠르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롤러(20, 120)에 의해 동시에 포집된 고철을 신장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파쇄 유닛의 구획(18)으로 진입하는 고철의 밀도는 낮아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파쇄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롤러(20, 120)의 리브(21)는 상기 파쇄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고철 자체가 원치않는 축적을 방지하며 포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과적 및 더 높은 동력 소비 또는 파쇄 고철의 처짐을 피하며 상기 파쇄 유닛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16)의 고철의 진행 및 상기 고철이 스스로 롤러(20, 120)에 대한 포집 작용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처리될 고철 위에서 롤러(20, 120)의 승하강을 위하여 그 치수 및 형상에 부합하도록 상기 피스톤(29)에 의해 보조되는 경우, 제1, 2 피스톤의 사이에서 상기 암(22)은 회전/진동한다. 상기 롤러(20, 120)의 회전에 연동되는 상기 리브(21)의 포집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롤러(20, 120) 및 암(22)의 총 중량에 의해 동시적인 신장 및 파쇄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16)의 고철의 진행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암(22) 및 연결된 롤러(20, 120)는 고철을 자체적으로 포집하기 위하여 오직 유용한 방법으로 비틀림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압축 장치(10) 자체 응력 피로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진입중인 고철의 상기 롤러(20, 120)의 포집 작용은 직접적으로 감지되며, 예를 들면 상기 롤러로 이동하는 유압 모터에 연동하여 대응되는 센서에 의해 증가하는 압력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필요시 상기 암(22)의 비틀림 그리고/또는 상기 고철의 롤러(20, 120)의 승하강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승강 장치의 작용을 돕기 위한 승강 장치를 작동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압축 장치(10)는 상기 파쇄 유닛의 구획(18)에 저장되는 고철 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에 연동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센서는 상기 파쇄 유닛에 연동하는 구동기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환기는 상기 롤러(20, 120)를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 유닛 및 승강 장치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쇄 유닛에 존재하는 효과적인 양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롤러(20, 120)의 구동을 작동시키고, 상기 파쇄 유닛이 제어되는 방법으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경우에 따라 상기 롤러(20, 120) 및 승강 장치를 감속시키거나 중지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파쇄 유닛을 재작동시키기 위한 알맞은 상태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구획(18) 내부에 진입하는 고철의 유동을 늦추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정비 그리고/또는 착용 목적으로 상기 롤러(20, 120)를 분해하기 위해서 상기 롤러(20, 120)는 상기 압축 장치(10)로부터 우선 분리되어야 한다. 이후, 상기 로드(35)는 예를 들어 상기 샤프트(31)로부터 제1 반원통형 캡(30)을 승강시킴으로써 분리되도록 하며 이에 대응되는 제1 홀(34) 및 제2 홀(42)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롤러(20, 120)는 상기 샤프트(31)를 덮기 위하여 함께 상기 캡(30)을 준비하고 각각의 캡(30)의 홈부에 돌기를 연결함으로써 동일하나 반대가 아닌 방법으로 조립된다. 이후, 상기 로드(35)는 상기 캡(30)을 샤프트(31)에 정확히 클램핑하여서 상기 제1, 2 홀(34, 42)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로드(35)는 분리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롤러(20, 120)에 안정성 및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 예로서 너트 등의 조립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캡(30)과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대략 튜브형의 구조인 상기 롤러(20, 120)는 상기 시설(14)의 유지보수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해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압축 장치(10)에 있어서 본 발명의 그 분야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부품의 수정 그리고/또는 추가는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몇몇의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하더라도, 당업자는 다른 동등한 압축 장치(10)의 형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청구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정의된 보호의 분야에서 안출될 수 있을 것이다.
10: 압축 장치
12: 바디
14: 고철 파쇄 시설
16: 공급면
18: 구획
19: 원형 크라운
20, 120: 롤러 부재
21: 리브
22: 암
23: 제1 단부
24: 제2 단부
25: 튜브형 바디
27: 세로판
28: 횡판
29: 가동 장치
30: 캡
31: 샤프트
32: 단부
33: 크라운
34: 홀
35: 로드
40: 원판
41: 제2 평판
43: 홈

Claims (16)

  1. 고철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면(16)과 연동하여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하는 롤러 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부재(20)와 공급면(16) 사이에서 상기 고철을 포집하고 압축하기 위하여 시설(14)에 고철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면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철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20)는 상기 롤러(20)의 회전축(31)과 작동 중에 상호 연결되는 반원통형의 캡 부재(30)를 구비하고, 분리될 수 있도록 빈 튜브형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통형의 캡 부재(30)는 스페이서 부재(38)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축(31)과 작동 중에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20)는 상기 롤러 부재(20) 및 공급면(16) 사이에 개재되는 고철에 포집력을 가할 수 있는 리브(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1)는 상기 롤러 부재(20)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롤러 부재(20)의 총 길이(L) 이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철에 신장 작용을 가하기 위하여 차등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 부재(20, 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20, 120)의 지지 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22)은 상기 공급면(16)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상기 롤러 부재(20, 120)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이동되며, 처리되는 고철의 압축 그리고/또는 파쇄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면(16)상에서 고철의 점진적인 진행과 조화 및 일치되도록 상기 고철 상에 연동되는 롤러 부재(20, 120)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처리될 고철과 한 쌍의 롤러 부재(20, 120) 중 하측 롤러 부재(20)의 포집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수단은 상기 롤러 부재(20, 120)의 구동 수단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센싱 수단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압축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파쇄 유닛의 고철 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22)은 상기 파쇄 시설(14)의 박스형 바디(12)의 제1 단부(23)에서 피벗되고 제2 단부(24)에서 상기 공급면의 고철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상기 롤러 부재(20, 120)를 횡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갖는 기다란 튜브형 부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튜브형 부재(25)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다란 튜브형 부재를 횡방향으로 보강하도록 하는 보강 부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기다란 튜브 부재(25)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다란 튜브 부재(25)의 소정 길이로 위치하는 평평한 횡판(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튜브 부재(25)와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다란 튜브 부재(25)를 길이방향으로 보강하는 보강 부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별도의 조각 혹은 각각의 기다란 튜브 부재(25)에 용접되는 평평한 세로 판(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기다란 튜브 부재(25)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동 장치(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철을 압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파쇄용 시설.
KR1020117002055A 2008-06-26 2009-06-24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 KR20110069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147A ITUD20080147A1 (it) 2008-06-26 2008-06-26 Dispositivo di compressione per un impianto di triturazione
ITUD2008A000147 2008-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764A true KR20110069764A (ko) 2011-06-23

Family

ID=4030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055A KR20110069764A (ko) 2008-06-26 2009-06-24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10180639A1 (ko)
EP (1) EP2326423B1 (ko)
KR (1) KR20110069764A (ko)
CN (1) CN102083538A (ko)
AT (1) ATE545464T1 (ko)
BR (1) BRPI0914720A2 (ko)
DK (1) DK2326423T3 (ko)
ES (1) ES2385375T3 (ko)
IT (1) ITUD20080147A1 (ko)
MX (1) MX2010014156A (ko)
RU (1) RU2492930C2 (ko)
WO (1) WO2009156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4726B1 (en) * 2013-04-19 2017-01-03 Subsurface, Inc. CIPP liner feeder system
US10550988B2 (en) 2017-03-20 2020-02-04 Subsurface, Inc. CIPP liner reel system
US10851933B2 (en) 2017-04-06 2020-12-01 Subsurface, Inc. CIPP liner feed roller
IT201800010290A1 (it) * 2018-11-13 2020-05-13 Scm Tech Srl Mulino e metodo per la rottamazione di metalli
US11827484B1 (en) 2023-01-12 2023-11-28 Omega Liner Company, Inc. Cured-in-place-pipe (CIPP) end cap internal roll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6692A (en) * 1920-04-03 1924-06-03 William H Voss Wringer-roll construction
US3094770A (en) * 1961-06-21 1963-06-25 Williams George Boyd Composite paint roller
US4209883A (en) * 1978-05-05 1980-07-01 Harding Development Company Paint applicator roller construction
US4720207A (en) * 1986-08-29 1988-01-19 Koehring Company Segmented rotor
US5505598A (en) * 1994-07-29 1996-04-09 Wirtgen America, Inc. Milling machine with multi-width cutter
JP3484861B2 (ja) * 1995-03-31 2004-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ローラ及びその成形用金型
DE19708185C2 (de) * 1997-02-28 2002-07-11 Svedala Lindemann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schicken und Betreiben einer Anlage zum Zerkleinern von recycelbaren Alt-Gütern
DE19736087A1 (de) * 1997-08-20 1999-02-25 Kloeckner Humboldt Wedag Walze für eine Hochdruck-Walzenpresse insbesondere zur Gutbettzerkleinerung körnigen Gutes
US6142923A (en) * 1998-08-05 2000-11-07 Gbr Systems Corporation Roller ring
US6422984B1 (en) * 2000-02-15 2002-07-23 Xerox Corporation Magnetic roll for use in xerographic printing
US20060243830A1 (en) * 2005-04-27 2006-11-02 Josephs Leroy R Auto shredder air scrubber
US8413288B2 (en) * 2008-12-08 2013-04-09 The Wooster Brush Company Paint roller cover supports with friction 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3538A (zh) 2011-06-01
WO2009156420A1 (en) 2009-12-30
ES2385375T3 (es) 2012-07-24
US20110180639A1 (en) 2011-07-28
EP2326423B1 (en) 2012-02-15
BRPI0914720A2 (pt) 2015-10-20
MX2010014156A (es) 2011-06-16
RU2492930C2 (ru) 2013-09-20
ATE545464T1 (de) 2012-03-15
DK2326423T3 (da) 2012-06-04
RU2011102287A (ru) 2012-08-10
EP2326423A1 (en) 2011-06-01
ITUD20080147A1 (it) 200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764A (ko)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
KR101736254B1 (ko) 압축밀도를 향상시킨 압축기
CN202240272U (zh) 一种装载机铲斗拼焊固定装置
SE501259C2 (sv) Anordning vid rund balningsanläggning
CN102765598A (zh) 一种带自动卸料刮板机构的输送装置
CN101048274A (zh) 具有减小的摩擦力的压实机
CN107055154A (zh) 自动卷网机
CN214346879U (zh) 一种配药研磨装置
CN214111601U (zh) 一种建筑塑料垃圾压缩装置
CN209134881U (zh) 一种秸秆打捆机
KR101993633B1 (ko) 오뚝이 쓰레기통
CN208120015U (zh) 重载托盘输送线
CN211099292U (zh) 一种制造油田压裂用石英砂生产设备
EP3381671B1 (en) Compa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waste material and use of the compac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8189463A (zh) 一种用于压片机的药片收集装置
KR20140123233A (ko) 폐기용 고철 압축장치
KR20140044586A (ko) 생활쓰레기 압착기
CN201841202U (zh) 空气滤清器金属滤网加强筋滚压装置
JPH08131864A (ja) 破砕装置
CN107804629A (zh) 一种应用于生活垃圾气力输送系统的垃圾收集箱
CN211808038U (zh) 一种金属打包机
CN217263360U (zh) 下料机构及配料装置
CN207641545U (zh) 一种可降低噪音的园林垃圾粉碎装置
CN207138069U (zh) 一种固体颗粒碾压装置
RU23961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автопокрыше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