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01Y1 - 분진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01Y1
KR200222001Y1 KR2020000024200U KR20000024200U KR200222001Y1 KR 200222001 Y1 KR200222001 Y1 KR 200222001Y1 KR 2020000024200 U KR2020000024200 U KR 2020000024200U KR 20000024200 U KR20000024200 U KR 20000024200U KR 200222001 Y1 KR200222001 Y1 KR 200222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hole
receiving member
suppor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석
Original Assignee
이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석 filed Critical 이문석
Priority to KR2020000024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01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진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피가 상당히 큰 분진을 압축하여 원기둥 형태의 고형체로 성형함으로써 분진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여 분진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분진의 처리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분진이 유입되어 쌓일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그 바닥면 적소에는 쌓인 분진이 하부로 투입되는 분진 투입구가 형성된 원통용기; 원통용기의 내부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원통용기의 바닥면에 쌓인 분진을 분진 투입구 내로 밀어넣는 회전날개; 회전날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원통용기의 하부 적소에 설치되는 한편, 분진 투입구에 관계하는 분진 유입구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관통구와 내통되며, 분진 투입구와 분진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분진을 관통구에 일시 저장하는 원통형의 분진 받이부재; 분진 받이부재의 일측 관통구에 연결되어 분진 받이부재의 관통구 내측에 임시 저장된 분진을 타측으로 밀어내는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 및 분진 받이부재의 타측에 일단이 접하여 위치되고, 피스톤에 의해 타측 관통구로 밀려 나오는 분진을 압축하여 고형체로 성형하는 분진 압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진 압축장치{DUST COMPRESSING APPARATUS}
본 고안은 분진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을 압축하여 부피가 매우 적은 고형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진의 발생원으로는 반도체소자 제조공업, 자동차공업, 플라스틱공업, 자원산업, 세라믹공업, 분말야금공업, 세제공업, 초매공업, 페라이트공업, 색재공업, 농약공업, 사료가공업, 폐기물처리산업, 바이오 관련산업, 화장품공업, 의약품공업, 피혁제조공업, 목재가공업, 고무가공업 및 정미소 등 산업 전반에 걸친 많은 분야에서 분진이 발생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은 기계설비 자체에도 악영향을 끼칠뿐만 아니라 작업장의 환경을 저해하고, 또한 인체에 흡입될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확학약품을 사용하는 피혁제조업은 악성폐수를 배출하는 산업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피혁제조업은 분진의 발생량 또한 다른 제조업에 비해 다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장 내의 환경은 다른 산업에 대해 더욱 열악할 뿐만 아니라 피혁분진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더욱 치명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장 내에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실제로 분진을 집진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작업장 내에서 가동 중에 있다.
한편, 작업장 내의 분진을 집진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장치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 중의 하나가 집진기라는 것으로, 이러한 집진기는 분진이 발생하는 설비와 연결되어 분진을 집진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은 분진을 모아 줄 수 있는 역할만 할 뿐 모아진 분진의 부피를 줄이는 등의 처리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분진의 처리에 있어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집진기에 의해 집진된 분진의 부피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처리비용 또한 클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피가 상당히 큰 분진을 압축하여 원기둥 형태의 고형체로 성형함으로써 분진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여 분진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진 압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 이외에 분진을 압축하여 그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분진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분진이 유입되어 쌓일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그 바닥면 적소에는 쌓인 분진이 하부로 투입되는 분진 투입구가 형성된 원통용기; 원통용기의 내부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원통용기의 바닥면에 쌓인 분진을 분진 투입구 내로 밀어넣는 회전날개; 회전날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원통용기의 하부 적소에 설치되는 한편, 분진 투입구에 관계하는 분진 유입구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관통구와 내통되며, 분진 투입구와 분진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분진을 관통구에 일시 저장하는 원통형의 분진 받이부재; 분진 받이부재의 일측 관통구에 연결되어 분진 받이부재의 관통구 내측에 임시 저장된 분진을 타측으로 밀어내는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 및 분진 받이부재의 타측에 일단이 접하여 위치되고, 피스톤에 의해 타측 관통구로 밀려 나오는 분진을 압축하여 고형체로 성형하는 분진 압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분진 압축수단은 분진 받이부재의 타측 관통구에 일단이 접하게 위치되어 분진을 압축시키면서 안내하는 반원 형태의 상하로 양분되는 분진 압축편; 상하의 분진 압축편을 상하에서 압축·지지하는 지지편; 상하의 지지편 양측 각각을 연결하여 지지편이 분진 압축편을 압축·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및 지지편과 지지대 사이에서 지지편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하의 분진 압축편이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분진 받이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분진 압축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분진 압축수단의 작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실린더를 포함한 분진 받이 부재 및 분진 압축수단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다른 예의 분진 받이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다른 예의 분진 압축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또 따른 예의 분진 압축수단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
100. 분진 압축장치 110. 원통용기
120. 회전날개 130. 구동모터
140. 분진 받이부재 150. 실린더
152. 피스톤 160. 분진 압축편
162. 지지편 164. 지지대
166. 탄성부재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분진 받이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분진 압축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분진 압축수단의 작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의 실린더를 포함한 분진 받이 부재 및 분진 압축수단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 적소에 분진 투입구(112)가 형성되는 한편 집진기(10)로부터 분진이 유입되어 쌓이는 원통용기(110), 원통용기(110)에 쌓인 분진을 분진 투입구(112)로 밀어 넣는 회전날개(120), 회전날개(120)를 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0), 분진 투입구(112)에 관계하는 분진 유입구(142)를 통해 원통용기(110)로부터 유입되는 분진을 일시 저장하는 분진 받이부재(140), 분진 받이부재(140)의 일측 관통구(144)에 연결되어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내측에 임시 저장된 분진을 타측으로 밀어내는 피스톤(152)을 갖는 실린더(150), 분진 받이부재(140)의 타측에 일단이 위치되어 피스톤(152)에 의해 타측 관통구(144)로 밀려 나오는 분진을 압축하여 원기둥의 고형체(50)로 성형하는 분진 압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분진 압축장치는 분진이 원통용기(110)의 내부에 일정량 쌓이게 되면 구동모터(130)를 통해 회전날개(120)를 회전시켜 원통용기(110)에 쌓인 분진을 원통용기(110)의 바닥면 적소에 형성된 분진 투입구(112)로 밀어 넣게 된다. 회전날개(120)에 의해 분진 투입구(112)로 투입된 분진은 분진 받이부재(140)의 분진 유입구(142)를 통해 관통구(144)의 내부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된다. 분진 받이부재(140)에 임시 저장된 분진은 피스톤(152)의 작동에 의해 타측으로 밀려 난 후 분진 압축수단에 의해 원기둥 형태의 고형체(50)로 성형된다. 이처럼 원기둥 형태의 고형체(50)로 성형된 분진의 부피는 고형체(50) 전의 분진에 비해 80% 이상 줄어든다.
본 고안의 분진 압축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통용기(110)는 분진이 쌓이는 용기로, 이 원통용기(110)는 상부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도 2 에서와 같이 분진을 모으는 집진기(10)와 연결된다. 이처럼 집진기(10)와 연결된 원통용기(110)에는 집진기(10)에 집진된 분진이 낙하되어 쌓이게 된다.
현편, 전술한 원통용기(110)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100)의 최상부를 이루고 있고, 원통용기(110)의 바닥면 적소에는 원통용기(110)의 내부에 쌓인 분진이 후술할 회전날개(120)에 의해 투입될 수 있는 분진 투입구(112)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회전날개(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술할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원통용기(110)에 쌓인 분진을 분진 투입구(112)로 투입시키는 것으로, 이 회전날개(120)는 원통용기(110)의 내부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모터(130)는 회전날개(12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 구동모터(130)는 원통용기(110)의 하부측에 설치된다.
분진 받이부재(140)는 회전날개(120)의 회전에 의해 원통용기(110)의 분진 투입구(112)로 투입된 분진을 임시 저장하는 것으로, 이 분진 받이부재(14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관통구(144)가 구비되며, 상부로는 원통용기(110)의 분진 투입구(112)에 관계하여 분진 유입구(142)가 형성되어 관통구(144)와 내통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분진 받이부재(140)는 원통용기(110)의 분진 투입구(112)로 투입된 분진이 분진 유입구(142)를 통해 관통구(144)의 내부로 유입되어 임시로 저장된다.
피스톤(152)을 포함하는 실린더(150)는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쌓인 분진을 피스톤(152)이 진행하는 방향의 관통구(144) 타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으로, 이 피스톤(152)을 포함하는 실린더(150)는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일측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전술한 피스톤(152)의 직경은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내경에 관계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실리더(150)의 작동시 피스톤(152)이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를 관통하여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내측에 쌓인 분진을 피스톤(152)이 진행하는 방향의 관통구(144) 타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분진 압축수단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52)에 의해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타측으로 밀려나온 분진을 피스톤(152)의 압력과 분진 압축수단을 통해 분진을 원기둥 형태의 고형체(50)로 압축·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이 분진 압축수단은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타측에 접하여 설치된다.
즉, 분진 받이부재(140)를 사이에 두고 관통구(144)의 일측에는 피스톤(152)을 포함하는 실린더(150)가 설치되고, 관통구(144)의 타측에는 분진 압축수단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피스톤(152)을 포함하는 실린더(150), 분진 받이부재(140) 및 분진 압축수단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중심선 상에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분진 압축수단은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타측에 일단이 접하게 위치되어 분진을 압축시키면서 안내하는 반원 형태의 상하로 양분되는 분진 압축편(160), 상하의 분진 압축편(160)을 상하에서 압축·지지하는 지지편(162), 상하의 지지편(162) 양측 각각을 연결하여 지지편(162)이 분진 압축편(160)을 압축·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164) 및 지지편(162)과 지지대(164) 사이에서 지지편(16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하의 분진 압축편(160)이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16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분진 압축편(160)은 일단이 실린더(150) 반대 방향의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타측에 설치되어 피스톤(152)에 의해 밀려 분진 압축편(160)으로 유입된 분진을 압축하는 한편 압축·성형된 고형체(50)를 자유단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분진 압축편(160)은 각각 그 단면 형상이 반원의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가 합쳐져 그 단면 형상이 원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분진 압축편(160)에 의해 압축·성형된는 분진 고형체(50)는 원기둥의 형태로 성형된다.
지지편(162)과 지지대(164)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이루어지는 분진 압축편(160)을 상시 두 개가 원형태를 이루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편(162)은 분진 압축편(160)의 상하에 위치되며, 지지대(164)는 지지편(162) 양측에서 지지편(162)을 관통하여 상하의 두 지지편(162)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164)는 일단에 머리부(164a)가 형성된 기다란 볼트 형태로 되어 일단에는 너트(164b)가 결합되는 형태로 두 지지편(162)를 지지하게 된다.
탄성부재(166)는 분진 압축편(160)이 분진을 탄력적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탄성부재(166)는 지지대(164)의 머리부(164a)와 지지편(162) 사이 그리고, 너트(164b)와 지지편(162) 사이의 지지대(164)에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166)로는 도 6 에서와 같이 우레탄이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할 도 10 에서와 같이 탄성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탄성부재(166)는 지지편(162)과 지지대(164)를 통해 분진 압축편(16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지편(162)을 통해 분진 압축편(160)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큰 부피를 갖는 분진이 분진 압축편(160)의 일단으로 밀려 들어오게 되면 큰 부피의 분진은 분진 압축편(160)에 의해 힘을 받기 때문에 고형체(50)의 형태로 압축·성형된다. 이때, 압축·성형되는 분진 고형체(50)는 피스톤(152), 분진 압축수단의 분진 압축편(160), 지지편, (162), 지지대(164) 및 탄성부재(166)의 상호 작용을 통해 성형된다.
즉, 큰 부피를 갖는 분진이 분진 압축편(160)의 일단으로 밀려 들어오게 되면 두 개의 분진 압축편(160)은 약간씩 벌어지게 되고, 벌어지는 두 개의 분진 압축편(160)은 탄성부재(166)에 힘을 가하여 결국 탄성부재(166)는 받은 힘만큼 수축된다. 따라서, 상하의 두 압축편(160)은 탄성부재(166)로부터 더욱 큰 힘을 받게 된다. 이는 결국 분진 압축편(160)의 일단으로 밀려 들어온 분진이 더욱 큰 압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반복해서 피스톤(152)에 의해 분진 압축편(160)의 일단으로 밀려 들어오는 분진은 고형체(50)로 압축·성형되는 분진 고형체(50)의 후단에 일체로 성형되면서 분진 압축편(160)에 안내되어 배출이 된다. 결국, 상하의 두 분진 압축편(160) 사이에서 압축·성형되는 분진은 분진 압축편(160)의 외측으로 배출될때까지는 계속적인 압축을 받기 때문에 그 부피는 계속해서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압축·성형되어 배출되는 분진 고형체(50)는 작업자가 절단하여 처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는 원통용기(110)의 내부에 쌓이는 분진의 양을 감지하는 레벨스위치(170)와 감지신호에 의해 분진 압축장치(100) 전반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분진을 고형체(50)로 압축·성형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분진 압축장치(100)가 자동으로 전환되었을 경우에는 레벨스위치(17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구동모터(130)와 실린더(15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분진을 압축·성형하여 고형체(50)를 성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레벨스위치(170)는 집진기(10)를 통해 원통용기(110) 내에 투입되는 분진의 투입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원통용기(110)의 내측에 적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레벨스위치(170)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30)와 실린더(150)를 작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진 압축장치(100)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원통용기(110)에 분진이 일정량 쌓여 레벨스위치(170)에 의해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구동모터(130)를 작동시켜 회전날개(120)를 구동시키게 되고, 회전날개(120)의 구동에 의해 원통용기(110)에 쌓인 분진은 분진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다.
한편, 분진 투입구(112)로 투입된 분진은 분진 받이부재(140)의 분진 유입구(142)를 통해 관통구(144) 내측에 임시 저장된다. 이때, 회전날개(120)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회전수 만큼 회전한 후에는 제어부는 실린더(150)를 구동시켜 피스톤(152)을 통해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내측에 저장된 분진을 분진 압축수단으로 밀어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152)이 한 번 구동한 후에는 제어부는 실린더(150)와 구동모터(13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후, 다시 레벨스위치(170)로부터 감지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반면, 분진 압축장치(10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원통용기(110) 내로 분진이 쌓이는 양을 보고 기기를 작동시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30)의 작동에 의해 회전날개(12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원통용기(110)에 쌓인 분진이 분진 투입구(112)를 통해 분진 받이부재(140)의 분진 유입구(142)를 통해 관통구(144) 내측에 임시 저장된다. 이때, 회전날개(120)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회전수 만큼 회전한 후에는 실린더(150)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152)이 분진 받이부재(140)의 관통구(144) 내측에 저장된 분진을 분진 압축수단으로 밀어내어 분진을 분진 압축수단으로 이송시켜 압축·성형하게 된다.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다른 예의 분진 받이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분진 받이수단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분진이 쌓이는 분진 받이판(210), 분진 받이판(210)에 쌓이 분진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 넣기 위한 피스톤(222)을 포함한 유압실린더(220), 피스톤(222)의 끝단에 연결되어 분진 받이판(210)에 쌓이 분진을 일측 방향으로 밀어 넣는 밀대(224), 실린더(220)의 작동과 밀대(224)의 의해 밀려진 분진이 유입되는 분진 유입구(232)가 형성되는 한편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분진 유입구(232)와 내통되는 관통구(234)가 형성되는 분진 받이부재(230)을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른 예의 분진 받이수단은 분진 받이판(210)에 일정량 분진이 쌓이게 되면 실린더(220)의 작동에 의해 밀대(224)가 분진을 분진 받이부재(230)의 분진 유입구(232)를 통해 밀어 넣게 되고, 분진 유입구(232)를 통해 유입된 분진은 분진 받이부재(230)의 관통구(234)에 임시 저장된다.
물론, 분진 받이부재(230)의 관통구(234) 양측으로는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린더와 분진 압축수단이 연결되어 있어 분진 받이부재(230)의 관통구(234)에 임시 저장된 분진의 고형체로 압축·성형되는 과정은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다.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다른 예의 분진 압축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압축장치에서 또 따른 예의 분진 압축수단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분진 압축수단 역시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로 분진 받이부재(도시하지 않음)의 관통구(도시하지 않음) 타측에 일단이 접하게 위치되어 분진을 압축시키면서 안내하는 반원 형태의 상하로 양분되는 분진 압축편(240), 상하의 분진 압축편(240)을 상하에서 압축·지지하는 지지편(242), 상하의 지지편(242) 양측 각각을 연결하여 지지편(242)이 분진 압축편(240)을 압축·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244) 및 지지편(242)과 지지대(244) 사이에서 지지편(24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하의 분진 압축편(240)이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246)로 이루어지기는 마찬가지이나, 탄성부재(246)로써 탄성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예에서 탄성부재(166)로 우레탄이나 고무 등을 이용하고 있는 것과 도 10 에 도시된 탄성부재(246)로써의 탄성스프링을 비교하여 볼 때 분진 압축수단의 작용 및 효과에는 차이가 거의 없다.
한편,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의 분진 압축수단은 유압을 이용한 다는 것인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6, 도 7 및 도 10 에 도시된 구성과 같이 분진 받이부재(도시하지 않음)의 관통구(도시하지 않음) 타측에 일단이 접하게 위치되어 분진을 압축시키면서 안내하는 반원 형태의 상하로 양분되는 분진 압축편(340), 상하의 분진 압축편(340)을 상하에서 압축·지지하는 지지편(342), 상하의 지지편(342) 양측 각각을 연결하여 지지편(342)이 분진 압축편(340)을 압축·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344)로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나, 상하의 분진 압축편(340)이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적정한 유압을 통하여 피스톤(346)으로 상하의 분진 압축편(340) 어느 하나에 힘을 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분진 압축장치(100)를 통해 다량의 분진을 압축·성형하여 그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분진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처리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면 부피가 상당히 큰 다량의 분진을 압축하여 고형체로 성형함으로써 분진의 부피를 최대한 줄여 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분진의 부피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그 처리비용을 절가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1. 분진이 유입되어 쌓일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그 바닥면 적소에는 쌓인 상기 분진이 하부로 투입되는 분진 투입구가 형성된 원통용기;
    상기 원통용기의 내부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원통용기의 바닥면에 쌓인 상기 분진을 상기 분진 투입구 내로 밀어넣는 회전날개;
    상기 회전날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원통용기의 하부 적소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분진 투입구에 관계하는 분진 유입구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관통구와 내통되며, 상기 분진 투입구와 분진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분진을 상기 관통구에 일시 저장하는 원통형의 분진 받이부재;
    상기 분진 받이부재의 일측 관통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진 받이부재의 관통구 내측에 임시 저장된 분진을 타측으로 밀어내는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 및
    상기 분진 받이부재의 타측에 일단이 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타측 관통구로 밀려 나오는 분진을 탄력적으로 압축하여 고형체로 성형하는 분진 압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압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압축수단은 상기 분진 받이부재의 타측 관통구에 일단이 접하게 위치되어 분진을 압축시키면서 안내하는 반원 형태의 상하로 양분되는 분진 압축편;
    상기 상하의 분진 압축편을 상하에서 압축·지지하는 지지편;
    상기 상하의 지지편 양측 각각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편이 상기 분진 압축편을 압축·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편과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지지편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상하의 분진 압축편이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압축장치.
KR2020000024200U 2000-08-26 2000-08-26 분진 압축장치 KR200222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00U KR200222001Y1 (ko) 2000-08-26 2000-08-26 분진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00U KR200222001Y1 (ko) 2000-08-26 2000-08-26 분진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01Y1 true KR200222001Y1 (ko) 2001-05-02

Family

ID=7305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200U KR200222001Y1 (ko) 2000-08-26 2000-08-26 분진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0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792B1 (ko)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US434323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d collecting a liquid extract and a dry by-product from a mash
US4389928A (en) Method for producing and collecting a liquid extract and a dry by-product from a mash
KR200222001Y1 (ko) 분진 압축장치
CN107443787B (zh) 活塞挤压型的固液过滤机构
WO2005053901A1 (de) Elektrohandwerkzeugmaschine mit staubauffangbehälter und füllstandsanzeige
KR10068428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CN111336770A (zh) 一种中草药研磨烘干设备
US20040005230A1 (en) Hydraulic air compressor having an automatic water valve reulation mechanism
KR20110069764A (ko) 파쇄 시설용 압축 장치
CN110142080A (zh) 一种间断式化工原料细研装置
US439723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d collecting a liquid extract and a dry by-product from a mash
CN210884341U (zh) 含铬废物输送结构
CN215094001U (zh) 一种纸制品制造用废料收集装置
KR101531694B1 (ko) 음식물쓰레기 압축장치
KR102153729B1 (ko) 고형물을 저장하고 있는 포집부에서 고형물을 배출하는 장치
CN217511993U (zh) 一种药草干洗设备的打散机构
CN109605524A (zh) 网格板制作设备
FI58038B (fi) Foerfarande vid utgoedsling jaemte anordning foer utfoerande av saettet
CN111282696A (zh) 一种中药材剪碎研磨处理设备
CN214111601U (zh) 一种建筑塑料垃圾压缩装置
CN215087504U (zh) 一种垃圾处理用粉碎装置
JPS6124489Y2 (ko)
CN210996884U (zh) 一种可转动切割的切割机
CN217393293U (zh) 一种小区物业用垃圾压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