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289B1 -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289B1
KR100684289B1 KR1020050114074A KR20050114074A KR100684289B1 KR 100684289 B1 KR100684289 B1 KR 100684289B1 KR 1020050114074 A KR1020050114074 A KR 1020050114074A KR 20050114074 A KR20050114074 A KR 20050114074A KR 100684289 B1 KR100684289 B1 KR 10068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ischarge
transfer screw
screw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호
Original Assignee
안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호 filed Critical 안영호
Priority to KR102005011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마련된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가압상태로 회전시켜 이송시킬 수 있게 수평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이송 스크류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지지브라켓 내에 다수의 봉이 틈새를 갖게 상호 이격되게 접합되어 이송 스크류를 감싸도록 형성된 탈수 하우징과, 탈수 하우징의 종단에 결합되어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스크류의 연장방향과 경사지는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캡과, 배출구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캡에 결합된 개폐구 조절기를 구비하고, 제1이송스크류는 제2이송스크류 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가압상태로 이송스크류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송스크류 외측에 설치되는 탈수 하우징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배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탈수율을 조정하기 위한 배출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과부하시 이송 스크류의 회전축으로의 동력전달을 해제시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스크류 부분의 부분 발췌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탈수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부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탈수 하우징 내에 어레이된 봉을 이송스크류의 축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1이송스크류의 제1회전에 설치된 과부하 안전 유니트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배출캡에 결합된 개폐구 조절기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ㄱ고,
도 7은 도 1의 배출캡 내에 삽입된 슬라이더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모터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본체 130: 제1이송스크류
140: 제2이송스크류 150: 탈수 하우징
152: 지지브라켓 155: 봉
167: 풀리 180: 배출캡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분이 다량함유된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여 감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쓰레기 분리수거의 일환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쓰레기와 분리수거하고 있다.
그런데,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그대로 수집하여 쓰레기장으로 이송할 경우 이송 부담이 커지고,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누출수에 의해 이송차량 및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2455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수분제거장치는 스크류를 감싸는 타공판이 원형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 음식물의 하중 및 스크류에 의한 가압력을 견디기 위해서는 판재의 두께가 두꺼워야하고, 접합부위가 가압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타공을 해야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캡을 거쳐 이송스크 류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가압력을 적절하게 변동하기 위한 가압력 변동범위 폭이 크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이외에 숫가락 등 이송스크류에 과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이물질이 투입되었을 때 과부하에 의해 기기가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틈새를 갖는 탈수 하우징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넓은 범위로 조정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부하 인가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는 본체에 마련된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가압상태로 회전시켜 이송시킬 수 있게 수평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이송 스크류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지지브라켓 내에 다수의 봉이 틈새를 갖게 상호 이격되게 접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를 감싸도록 형성된 탈수 하우징과; 상기 탈수 하우징의 종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장방향과 경사지는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캡과; 상기 배출구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캡에 결합된 개폐구 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이송스크류는 상기 제2이송스크류 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수 하우징을 향해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 및 상기 탈수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외측 에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여 집수된 액체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집수조;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스크류의 제1회전축과 상기 제2이송스크류의 제2회전축은 상호 맞물림 회전되게 제1 및 제2 맞물림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인가되는 부하량이 증가하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축으로의 동력전달이 감쇠될 수 있게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제1회전축 사이에 설치된 과부하 안전 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과부하 안전 유니트는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되 걸림턱이 형성된 브레이크 플랜지와; 상기 브레이크 플랜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게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된 풀리와; 상기 풀리와 상기 브래이크 플랜지의 걸림턱 사이에 삽입된 압착 패드와; 상기 풀리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 맞은 편에서 상기 풀리를 향해 진퇴될 수 있게 상기 브레이크 플랜지의 몸통과 나사결합된 조임너트와; 상기 조임너트와 상기 풀리 사이에 삽입된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스프링을 가압할 수 있는 방향에서 진퇴될 수 있게 상기 조임너트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링을 미세 가압하는 가압조정볼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 조절기는 상기 배출캡 내에 상기 제1이송스크류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이송스크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킬 수 있게 상기 배출캡 내에 설치된 제2스프링과; 상기 제1이송스크류의 회전축방향으로 연통되게 상기 배출캡에 형성된 관로내에 진퇴될 수 있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스프링을 상기 제1이송스크류 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구 조정 핸들;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스크류 부분의 부분 발췌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100)는 본체(101), 제1 및 제2 이송스크류(130)(140), 탈수 하우징(150), 과부하 안전유니트(160), 개폐구 조절기(170)를 구비한다.
본체(101)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호퍼형 투입구(103)가 마련되어 있다.
투입구(103)의 종단은 탈수 하우징(150)의 유입구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 다.
제1이송스크류(130)는 본체(101) 내에 지지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이송스크류(130)는 나선형 날개(132)가 종단부분에서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2이송스크류(140)는 제1이송스크류(130)와 수평방향에서 나란하게 연장되되 제1이송스크류(130) 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각 이송스크류(130)(140)의 나선형 날개(132)(142)의 간격은 투입구(103)로부터 배출캡(180)을 향해 멀어질수록 이격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탈수 하우징(150)은 제1이송스크류(130)와 제2이송스크류(140)를 감싸되 탈수가 가능한 틈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탈수 하우징(150)은 지지브라켓(152) 및 다수의 봉(155)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브라켓(152)은 판형 플레이트 내에 하나의 궤도를 갖는 ∞ 자형 홀(15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홀(153) 내주면을 따라 봉(155)이 일정 부분 삽입되어 접합될 수 있는 장착홈(15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봉(155)은 지지 브라켓(152)의 장착홈(154)에 용접 또는 그 밖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하면 된다.
이때 봉(155) 사이의 간격은 탈수가 가능한 틈을 갖도록 결정하면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형태의 봉(155)이 적용되었지만 원형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봉(155)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탈수 하우징(150)은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스크류(130)(140)에 의해 가압상태로 회전되면서 탈수가 진행될 때 봉(155)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가되는 횡압력을 견디는 능력을 높일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참조부호 157은 제2이송스크류(140)의 종단으로부터 더 연장된 제1이송스크류(15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형의 홀을 갖는 제2지지브라켓이다.
탈수 하우징(150) 외측에서 탈수 하우징(150)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 노즐관(110)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관(110)은 외부 집수조(116) 외측으로 연결된 급수관(112)과 연결되어 있다. 급수관(112)은 급수밸브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게 연결되면 된다. 이와 같이 노즐관(110)을 통해 물을 분사하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탈수된 누출수를 희석시켜 집수조(116)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집수조(116)는 노즐관(110) 및 탈수 하우징(150)으로 이격되는 외측 에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여 집수된 액체를 배출관(117)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11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폐용 밸브가 장착된다.
제1이송스크류(130)의 종단부분은 탈수 하우징(150) 보다 더 연장되게 배치되어 배출캡(180) 내에 일정깊이 삽입되게 결합되어 있다.
제1이송스크류(130)와 제2이송스크류(140)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제1이송스크류(130)의 제1회전축(131)과 제2이송스크류(140)의 제2회전축(141)에 상호 맞물림 회전되게 제1 및 제2 맞물림 기어(133)(143)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이송스크류(130)는 구동원으로 적용된 모터(118)로부터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119)를 통해 인가된 회전동력을 풀리(167)를 통해 인가받을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입구(103)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철재 숟가락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이송 스크류(130)(140)에 인가되는 부하량이 증가하면 제1회전축(131)이 풀리(167)로부터 겉돌 수 있도록 과부하 안전 유니트(160)가 구비된다.
과부하 안전 유니트(160)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과부하 안전 유니트(160)는 브레이크 플랜지(162), 풀리(167), 조임너트(163), 제1스프링(164), 가압조정볼트(165)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플랜지(162)는 제1 회전축(131)에 고정 결합되되 제1회전축(1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경이 확장된 형태의 걸림턱(162a)이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플랜지(162)를 구분하면 원통부분(162b)과, 원통부분(162b) 보다 외경이 확장된 걸림턱(162a)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풀리(167)는 브레이크 플랜지(167)의 원통부분(162b)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모터(118)로부터 동력전달부재(119)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걸림턱(162a)과 대향되는 부분이 인입되게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62a)과 풀리(167)의 대향면에는 압착패드(168)가 설치되어 있다. 압착패드(168)는 마찰력이 높은 공지된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고, 걸림턱(162a)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너트(163)는 브레이크 플랜지(162)의 원통부분(162b)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을 통해 걸림턱(162a)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가압조정볼트(165)는 조정너트(163)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걸림턱(162a)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제1스프링(164)은 조정너트(163)와 풀리(16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69는 제1스프링(164)의 전후에 삽입된 와셔이고, 참조부호 168b는 압착패드이며, 제1스프링(164)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풀리(167)와 걸림턱(162a) 사이의 압착패드(168a)를 통한 상호 밀착력은 조임너트(163)를 이용하여 1차 조정하고, 미세조정은 가압조정볼트(165)를 이용하여 조정하면 된다.
따라서, 과부하 안전유니트(160)는 제1스프링(164)의 가압상태에 따라 결정된 정상 부하범위 내에서는 제1스프링(164)에 의해 풀리(167)가 브레이크 플랜지(162)의 걸림턱(162a)과 압착패드(168a)를 통해 밀착상태로 상호 회전되고 하고, 제1회전축(131)의 부하가 증가할 경우 압착패드(168a)와 풀리(167)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게 하여 모터(118) 및 이송스크류(130)(140)를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과부하 안전 유니트(160)는 제1회전축(131)의 부하가 증가하여 풀리(167)가 제1회전축(131)에 대해 겉돌게 되어 제1회전축(131)의 회전수가 설정된 값보다 떨어지면 이를 검출하여 모터(118)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구축된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31)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이송스크류 회전검출센서(233)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를 구비한다.
이송 스크류 회전검출센서(233)는 회전 검출방식에 따라 다양한 센서 예를 들면, 근접센서, 엔코더, 포터인터럽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 회전검출센서(233)는 일 예로서, 근접센서가 적용되고, 근접센서가 감응 할 수 있게 제1회전축(131)에는 근접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돌기(231)를 설치한다.
또한, 제어부(235)는 이송 스크류 회전검출센서(233)에서 회전시마다 출력되는 신호를 카운트 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회전수 값이 설정된 값 보다 떨어지면 과부하상태로 판단하고 모터(11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배출캡(180)은 본체(101)에 결합되어 있고, 제1이송스크류(130)의 연장방향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내부공간을 갖는다.
배출캡(180)의 내부공간은 제1이송스크류(130)의 종단부분이 일정 깊이 진입되게 외경이 중앙부분으로 진행할 수록 점직전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스크류 수납부분(181)과, 스크류 수납부분(181)보다 내경이 확장된 슬라이더 수납부분(182) 및 스크류 수납부분 보다 내경이 좁게 연장된 스프링 삽입부분(18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 수납부분(182)에는 하방으로 뚤린 배출구(185)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86은 배출구(185)를 통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낙하방향을 하방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낙하 가이드 플레이트이다.
개폐구 조절기(170)는 배출캡(180)의 배출구(185)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캡(180)에 결합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개폐구 조절기(170)는 슬라이더(172), 제2스프링(174) 및 조종핸들(176)을 구비한다.
슬라이더(172)는 배출캡(180) 내의 슬라이더 수납부분(182) 내에 삽입되어 제1이송스크류(130)의 제1 회전축(131) 방향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7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스크류(130)와 대향되는 머리부(172a)에 배출구(185)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깊이가 깊어지게 경사지고, 라운트 형태로 된 음식물 쓰레기 이송안내용 홈(17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72)의 머리부(172a) 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된 몸통(172b)에는 직선이동 가이드용 장공(172d)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73은 배출캡(180)을 관통하여 장공(172d)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72)가 직선이동될 수 있게 구속하는 구속핀이다.
제2스프링(174)은 슬라이더(172)를 제1이송스크류(130)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킬 수 있게 슬라이더(172)의 몸통(172b)과 조정핸들(176)의 진퇴부분(176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조정핸들(176)은 배출캡(180)의 스프링 수납부분(183) 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되어 진퇴되는 진퇴부분(176a)과 진퇴부분(176a) 종단에 결합된 핸들(176b)을 구비한다.
따라서, 조정핸들(176)의 진퇴부분(176a)을 슬라이더(172) 방향으로 전후진 되게 조작하여 제2스프링(174)의 슬라이더(172)의 제1이송스크류(130)의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핸들(176)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더(172) 에 의한 배출구(185)의 개방 폭은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유무에 따라 가변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스프링(174)이 탄성바이어스 되지 않게 충분히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슬라이더(172)가 충분히 전진되어 배출구(185)의 개방폭이 최소화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슬라이더(172)의 머리부(172a)를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슬라이더(172)가 제2스프링(174)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슬라이더(172)가 음식물 쓰레기의 가압력과 제2스프링(174)의 탄성력이 상호 균등하게 되는 위치까지 후퇴하여 배출구(185)의 개방폭을 확장시킨다. 따라서, 감량장치(100)를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배출구(185)가 폐쇄되게 조정핸들(176)을 조작하되 수분탈수율을 높이고자 할 경우 조정핸들(176)이 슬라이더(172) 방향으로 더 전진되게 조작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감량장치(100)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 분해 처리기로 이송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미생물 분해 처리기(미도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185)와 미생물 분해 처리기의 유입구 사이는 악취의 외부유출을 억제하도록 폐쇄된 관로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출구(185)에서 배출되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밀폐되게 이송할 수 있는 밀폐형 이송콘베이어가 배출구(185)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에 의하 면, 음식물 쓰레기가 가압상태로 이송스크류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송스크류 외측에 설치되는 탈수 하우징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배출구의 개폐량을 조정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탈수율을 조정하기 위한 배출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과부하시 이송 스크류의 회전축으로의 동력전달을 해제시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본체에 마련된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가압상태로 회전시켜 이송시킬 수 있게 수평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이송 스크류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지지브라켓 내에 다수의 봉이 틈새를 갖게 상호 이격되게 접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를 감싸도록 형성된 탈수 하우징과;
    상기 탈수 하우징의 종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이송스크류의 연장방향과 경사지는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캡과;
    상기 배출구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캡에 결합된 개폐구 조절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이송스크류는 상기 제2이송스크류 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하우징을 향해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 및 상기 탈수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외측 에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여 집수된 액체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집수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스크류의 제1회전축과 상기 제2이송스크류의 제2회전축은 상호 맞물림 회전되게 제1 및 제2 맞물림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인가되는 부하량이 증가하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제1회전축으로의 동력전달이 감쇠될 수 있게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제1회전축 사이에 설치된 과부하 안전 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안전 유니트는
    상기 제1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되 걸림턱이 형성된 브레이크 플랜지와;
    상기 브레이크 플랜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게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된 풀리와;
    상기 풀리와 상기 브래이크 플랜지의 걸림턱 사이에 삽입된 압착 패드와;
    상기 풀리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 맞은 편에서 상기 풀리를 향해 진퇴될 수 있게 상기 브레이크 플랜지의 몸통과 나사결합된 조임너트와;
    상기 조임너트와 상기 풀리 사이에 삽입된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스프링을 가압할 수 있는 방향에서 진퇴될 수 있게 상기 조임너트에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링을 미세 가압하는 가압조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 조절기는
    상기 배출캡 내에 상기 제1이송스크류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진퇴될 수 있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이송스크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킬 수 있게 상기 배출캡 내에 설치된 제2스프링과;
    상기 제1이송스크류의 회전축방향으로 연통되게 상기 배출캡에 형성된 관로내에 진퇴될 수 있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스프링을 상기 제1이송스크류 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개폐구 조정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
KR1020050114074A 2005-11-28 2005-11-28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KR10068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074A KR100684289B1 (ko) 2005-11-28 2005-11-28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074A KR100684289B1 (ko) 2005-11-28 2005-11-28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289B1 true KR100684289B1 (ko) 2007-02-16

Family

ID=3810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074A KR100684289B1 (ko) 2005-11-28 2005-11-28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2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19B1 (ko) * 2006-06-09 2007-07-02 청수하이클린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
KR101168349B1 (ko) 2012-02-09 2012-07-24 손수봉 스크류 압착장치
KR101538766B1 (ko) * 2014-01-23 2015-07-24 강삼동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KR20160050218A (ko) * 2014-10-29 2016-05-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크루 압착식 가축분뇨 고액 분리기
CN108016069A (zh) * 2018-01-19 2018-05-11 河南洁达环保投资有限公司 一种移动式垃圾渗滤液处理车
KR101935431B1 (ko) * 2017-06-28 2019-01-04 이붕용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295A (ja) * 1994-11-08 1996-05-28 Riyuuzaki Welding:Kk スクリュープレス機
KR19990023144U (ko) * 1997-12-03 1999-07-05 최돈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8349Y1 (ko) 1998-06-19 2002-06-24 신경숙 야채쓰레기처리기
KR20040049396A (ko) * 2002-12-05 2004-06-12 일산테크(주) 야채쓰레기 탈수장치
KR100526623B1 (ko) 2003-09-03 2005-11-08 지규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295A (ja) * 1994-11-08 1996-05-28 Riyuuzaki Welding:Kk スクリュープレス機
KR19990023144U (ko) * 1997-12-03 1999-07-05 최돈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8349Y1 (ko) 1998-06-19 2002-06-24 신경숙 야채쓰레기처리기
KR20040049396A (ko) * 2002-12-05 2004-06-12 일산테크(주) 야채쓰레기 탈수장치
KR100526623B1 (ko) 2003-09-03 2005-11-08 지규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제거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19B1 (ko) * 2006-06-09 2007-07-02 청수하이클린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
KR101168349B1 (ko) 2012-02-09 2012-07-24 손수봉 스크류 압착장치
KR101538766B1 (ko) * 2014-01-23 2015-07-24 강삼동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KR20160050218A (ko) * 2014-10-29 2016-05-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크루 압착식 가축분뇨 고액 분리기
KR101667540B1 (ko) * 2014-10-29 2016-10-28 대한민국 스크루 압착식 가축분뇨 고액 분리기
KR101935431B1 (ko) * 2017-06-28 2019-01-04 이붕용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CN108016069A (zh) * 2018-01-19 2018-05-11 河南洁达环保投资有限公司 一种移动式垃圾渗滤液处理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28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US7644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conditions in power equipment
US84135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angerous conditions in power equipment
US20060000337A1 (en) Band saw with safety system
US6272981B1 (en) Chip compressing apparatus
CA2549153A1 (en) Device for continuously filtering material mixtures
KR20150097582A (ko) 암반 굴착장치, 드릴 스트링 구성요소, 조작 장치 및 굴착장치에 대한 장치 및 방법
DE19620954A1 (de) Anordnung zur Verschleißüberwachung von Förderrohren, Rohrweichen und dergleichen Bauteilen
PL1773499T3 (pl) Pneumatyczne urządzenie przenośnikowe dla materiału luzem
US5477900A (en) Non-jamming pulpwood chipper chute and spout assembly
EP0179842A1 (en) TRANSPORT APPARATUS.
KR10073461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
KR200800880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35906B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US9937552B2 (en) Rollover machine with safety braking mechanism
EP0385853B1 (fr) Dispositif de déplacement du fourreau d&#39;une machine d&#39;extrusion et machine d&#39;extrusion munie d&#39;un tel dispositif
US4934200A (en) Sampler for granular material moving through a pipe
KR20150128992A (ko) 공급 파이프를 가진 스크류 프레스 및 스크류 프레스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2301B1 (ko) 슬러지 절단기능을 갖는 스크루 프레스
KR200216534Y1 (ko) 보호장치를 구비한 벨트 콘베어의 크리너 장치
KR101435032B1 (ko) 철편 분리기
KR101416715B1 (ko) 금속절삭칩 처리용 압축기
CN218808649U (zh) 给料输送机
KR200216535Y1 (ko) 로 장입원료 유지용 슈트의 넘침 감지 장치
KR200239939Y1 (ko)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슬러지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