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431B1 -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431B1
KR101935431B1 KR1020170081906A KR20170081906A KR101935431B1 KR 101935431 B1 KR101935431 B1 KR 101935431B1 KR 1020170081906 A KR1020170081906 A KR 1020170081906A KR 20170081906 A KR20170081906 A KR 20170081906A KR 101935431 B1 KR101935431 B1 KR 10193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nts
contaminant
hopper
scree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붕용
Original Assignee
이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붕용 filed Critical 이붕용
Priority to KR102017008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잡물을 이송하여 탈수하는 협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협잡물이 공급되는 중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에 스크류가 설치된 이송수단, 몸통부에 연통되어 협잡물의 수분을 탈수하는 스크린부, 및 스크린부에 연통 설치되어 탈수된 협잡물이 이송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수율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협잡물배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에는 이송되는 협잡물의 특성(크기나 밀도 등)에 따라 협잡물의 탈수압을 조절하여 협잡물의 함수율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탈수 작업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A Dewatering Device}
본 발명은 협잡물을 이송하여 탈수하는 협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협잡물이 공급되는 중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에 스크류가 설치된 이송수단, 몸통부에 연통되어 협잡물의 수분을 탈수하는 스크린부, 및 스크린부에 연통 설치되어 탈수된 협잡물이 이송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수율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협잡물배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에는 이송되는 협잡물의 특성(크기나 밀도 등)에 따라 협잡물의 탈수압을 조절하여 협잡물의 함수율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탈수 작업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는 스크린이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을 스크린으로 집진한 다음, 그 집진된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통상 스크린을 통해 집진 배출되는 협잡물은 함수량이 높아 큰 부피를 차지함으로, 통상의 협잡물 이송 탈수기를 통해 협잡물을 탈수하여 협잡물의 함수량을 절감시켜 최소한의 부피로 버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협잡물 이송 탈수기의 구성은 대략 다음과 같다.
협잡물을 안내하여 유입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수납되는 중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에 스크류가 설치된 이송수단,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협잡물의 가압하여 탈수되도록 하는 탈수망과 물 배출구를 갖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에서 탈수된 협잡물이 외부로 이송되면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구비되는 협잡물배출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협잡물 이송 탈수기는 협잡물이 탈수망이 구비되는 테이퍼부를 지날 때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의 내면에서 협잡물이 가압되면서 탈수되고 탈수된 수분은 탈수망을 통해 빠져나온 후 물배출구로 배출되고 수분이 빠져나간 협잡물은 계속 이송하여 테이퍼부에 연통되어 연결되는 협잡물 배출부에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통상 협잡물이 집진되는 장소, 환경 등에 따라 집진되는 협잡물의 크기가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종래의 협잡물 이송 탈수기는 협잡물의 크기를 보상하여 적합하게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탈수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으므로, 다소 크기가 큰 협잡물은 상기 이송스크류를 통해 상기 탈수망에 너무 강하게 가압되어 상기 탈수망이 빈번하게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소 크기가 작은 협잡물은 상기 이송스크류를 통해 상기 탈수망에 다소 약하게 가압되어 탈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협잡물이 함수율이 높은 상태 즉, 협잡물의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너무 부피가 큰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공개특허 제10-2016-0127311호의 '가변링이 부착된 협잡물 이송 탈수기'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상기 '가변링이 부착된 협잡물 이송 탈수기'의 구성 및 작동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협잡물을 안내하여 유입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수납되는 중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에 스크류가 설치된 이송수단,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협잡물의 가압하여 탈수되도록 하는 탈수망과 물 배출구를 갖는 테이퍼부, 및 상기 테이퍼부에서 탈수된 협잡물이 외부로 이송되면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구비되는 협잡물배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협잡물배출부에 협잡물을 가압하는 가압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관로에 탈 부착이 가능한 가변링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협잡물의 크기나 규모에 따라 상기 탈 부착 가변링의 설치 수량을 조절하여 상기 가압관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압관로의 전방 끝단의 직경도 가변되도록 하여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가압 탈수할 수 있도록 한다.
KR 10-2016-0127311 (공개번호) 2016.11.03. KR 10-0797556 (등록번호) 2008.01.17. KR 10-1998-0008293 (공개번호) 1998.04.3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변링이 부착된 협잡물 이송 탈수기'는 탈수부의 끝단에 탈수망과 연통되도록 가변 가압수단을 형성하고, 그 가변 가압수단의 메인 가변링에 부착 설치되는 부착 가변링의 설치 개수를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조절 설치하여 가압관로의 전방 끝단의 직경 크기를 가변하여 협잡물이 가압관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압관로에 가압되는 정도를 적합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협잡물을 가압 탈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이송되는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매번 가변링을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직경을 변경시키도록 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상당히 불편하다.
또한 종래의 탈수기는 가변링을 설치하거나 제거해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제조 및 설치비용이나 인건비 등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가변링을 탈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협잡물을 유입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수납되는 중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에 스크류가 설치된 이송수단, 몸통부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협잡물의 수분을 탈수하는 스크린부, 및 스크린부에 연통되어 설치되고 탈수된 협잡물이 이송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배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에는 이송되는 협잡물의 특성(크기나 밀도 등)에 따라 협잡물의 탈수압을 조절하여 협잡물의 함수율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탈수 작업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잡물배출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에 가압되는 탈수압이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통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협잡물 사이에 포함되는 물질들로 인하여 협잡물의 크기가 커서 스크류 내에서 이송이 어렵거나 협잡물 배출부에서 함수율과 관계없이 협잡물끼리 뭉쳐있어 원하지 않는 함수율로 슬러지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협잡물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협잡물 탈수장치에 있어서, 협잡물을 유입하여 공급하는 호퍼부(110)와, 상기 호퍼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수납되는 중공형 몸통부(120),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131)가 설치된 구동축(132) 및 상기 구동축(13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3)로 이루어진 협잡물이송수단(130), 상기 몸통부(120)의 일단부에 연통 설치되어 이송되는 협잡물의 수분을 탈수하여 배출하는 스크린부(140), 및 상기 스크린부(140)의 일단부에 연통 설치되어 탈수된 협잡물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배출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150)는 상기 스크린부(140)를 통과하면서 탈수된 협잡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배출구(151a)가 구비된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14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면서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지지플레이트(152), 및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작동실린더(153)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실린더(153)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작동로드(153a)와, 상기 작동로드(153a)의 일단부가 왕복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중공의 실린더몸체부(153b),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153a)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53c), 및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1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153d)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부(110)의 하부에는 실린더(111)에 의하여 전진과 후퇴를 하는 협잡물분쇄부(112)가 구비되되, 상기 협잡물분쇄부(112)는 협잡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협잡물이 떨어지면서 하방으로 밀리도록 날카로운 끝단과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20)에는 상기 호퍼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분쇄부(112)에 의해 절단되면서 공급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은 상기 호퍼부(110)의 출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협잡물분쇄부(112)의 하면은 상기 몸통부(12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몸통부(120)의 상기 유입홀은 협잡물이 상기 스크류(131)의 피치(pitch) 사이로 떨어져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피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피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협잡물배출부(150)에 구비되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는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스크린부(140)에 가깝게 설치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스크린부(140)에서 멀리 설치되어 경사를 이루면서 타원형상으로 형성 구비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53c)의 일단부가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작동로드(153a)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전방플레이트(153ba)와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타단부가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후방플레이트(153bb)가 각각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수율 자동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는 협잡물이 협잡물배출부의 가압지지플레이트에 가압되면서 스크린부에서 탈수되도록 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에는 이송되는 협잡물의 특성(크기나 밀도 등)에 따라 협잡물의 탈수압을 조절하여 협잡물의 함수율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탈수 작업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배출부에 설치되는 조절수단에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협잡물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협잡물의 특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잡물배출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에 가압되는 탈수압이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통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에 구비되는 조절수단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를 통해 협잡물이 탈수되면서 이송 배출되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협잡물을 유입하여 공급하는 호퍼부(110)와,
상기 호퍼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수납되는 중공형 몸통부(120),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131)가 설치된 구동축(132) 및 상기 구동축(13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3)로 이루어진 협잡물이송수단(130),
상기 몸통부(120)의 일단부에 연통 설치되어 이송되는 협잡물의 수분을 탈수하여 배출하는 스크린부(140), 및
상기 스크린부(140)의 일단부에 연통 설치되어 탈수된 협잡물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배출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150)는 상기 스크린부(140)를 통과하면서 탈수된 협잡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배출구(151a)가 구비된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14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면서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지지플레이트(152), 및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작동실린더(153)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는 스크린이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을 스크린으로 집진한 다음, 그 집진된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협잡물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여 건조된 협잡물을 반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분이 함유된 협잡물이 상기 호퍼부(110)의 상부측으로 유입되면 그 하단부의 연통부를 통해 상기 몸통부(120)로 공급된다.
상기 호퍼부(110)의 하부에는 실린더(111)에 의하여 전진과 후퇴를 하는 협잡물분쇄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협잡물분쇄부(112)는 상기 몸통부(120)로 협잡물이 인입되는 앞단에 배치되어 협잡물을 분쇄시킨다. 협잡물은 비닐, 머리카락, 천 등이 섞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섞이면 협잡물이 서로 뭉치게 되어 몸통부(120)로 인입되지 못하거나 인입된다 하더라도 후술하는 협잡물배출부(150)에서 원하는 함수율보다 탈수를 못하고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미리 작게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협잡물분쇄부(112)는 몸통부(120) 중에 협잡물이 유입되는 유입홀 위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작게 분쇄하며, 호퍼부(110)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는 유압 또는 공압 또는 전기로 구동될 수 있으며, 호퍼부(110)로 유입되는 협잡물의 상태에 따라 그 작동간격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협잡물을 가압하는 경우에 스크류의 회전을 중지하고 협잡물분쇄부(112)가 일정 시간 이상 전진과 후퇴를 하여 협잡물을 절단하여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잡물분쇄부(112)는 그 끝단이 칼날처럼 날카롭게 이루어져야 하며, 도면과 같이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서 절단된 협잡물이 쉽게 몸통부(120)의 유입홀로 밀어주도록 구성한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분쇄부(112)의 하면은 상기 몸통부(120)의 상부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몸통부(120)의 상기 유입홀은 협잡물이 상기 스크류(131)의 피치(pitch) 사이로 떨어져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피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피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몸통부(120)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33)에 의해 상기 구동축(132)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호퍼부(110)를 통해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로 협잡물이 유입되면 상기 구동축(132)에 설치되는 상기 스크류(131)에 의해 협잡물은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를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배출부(150)에 구비되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는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스크린부(140)에 가깝게 설치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스크린부(140)에서 멀리 설치되어 경사를 이루면서 타원형상으로 형성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동실린더(153)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작동로드(153a)와, 상기 작동로드(153a)의 일단부가 왕복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중공의 실린더몸체부(153b),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153a)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53c), 및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1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153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53c)의 일단부가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작동로드(153a)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전방플레이트(153ba)와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타단부가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후방플레이트(153bb)가 각각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플레이트(153ba)와 상기 후방플레이트(153bb)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153c)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플레이트(153ba)와 상기 후방플레이트(153bb)가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협잡물이 상기 스크린부(140)를 지나면서 상기 협잡물배출부(150)에 구비되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에 이르러 가압된다. 이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가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이송되는 협잡물의 이송력이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탄성력을 이기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에 의해 협잡물이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지지된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지지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140)의 내부에서 협잡물이 쥐어짜지면서 수분이 탈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140)는 수많은 탈수구멍(h)이 스크린몸체(140a) 전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외부측에 물배출구(141)가 설치된 스크린덮개부(14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140)에는 내부를 청소하거나 수리 등을 위해 스크린개폐부(143)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협잡물이송수단(130)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부(140)로 협잡물이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유입되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에 의해 협잡물에 가압력이 생기게 된다. 그러면 협잡물은 압착되면서 수분이 발생되고 이러한 수분은 상기 스크린부(140)에 형성된 상기 스크린몸체(140a)의 상기 탈수구멍(h)을 통해 상기 스크린 덮개부(142)에 구비되는 상기 물배출구(141)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때 상기 협잡물배출부(150)로 유입되는 탈수된 협잡물이 점차 많아지게 되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커지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153c)가 압축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작동로드(153a)가 후퇴하면서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후진 슬라이딩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탈수된 협잡물이 많아지면서 협잡물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53c)가 압축된다. 이는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에 구비된 상기 후방플레이트(153bb)가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153c)가 상기 후방플레이트(153bb)에 지지되면서 압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는 상기 후방플레이트(153bb)에 단부가 연결되면서 외부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롱볼트(153da)와 상기 롱볼트(153da)를 회전시키는 작동손잡이(153db) 및 상기 몸체부(15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롱볼트(153da)를 체결 고정시키는 너트부재(153d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는 협잡물의 특성(크기나 밀도 또는 점도 등)에 따라 상기 롱볼트(153da)를 상기 작동손잡이(153db)를 이용하여 상기 너트부재(153dc)에서 체결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전방플레이트(153ba)와 상기 후방플레이트(153bb) 사이의 간격을 좁게 또는 넓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탄성력을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할 수가 있다.
한편, 협잡물이 상기 스크린부(140)를 통과하고 상기 협잡물배출부(150)로 유입되면서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는 점점 후진하면서 그 하단부측이 상기 배출구(151a)와 연통되게 되고, 그 순간 협잡물은 상기 배출구(15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로 가압되면서 유입되는 협잡물의 크기나 밀도 등에 따라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를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협잡물의 수분을 압착하여 탈수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상기 협잡물분쇄부(112)를 통해 협잡물을 작게 절단하여 공급하게 됨으로써 협잡물의 탈수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100)를 통해 협잡물을 탈수하는 작동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분이 함유된 협잡물이 상기 호퍼부(110)의 상부측으로 유입되면 그 하단부의 연통부를 통해 상기 몸통부(120)로 공급된다.
상기 몸통부(120)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33)에 의해 상기 구동축(132)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호퍼부(110)를 통해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을 상기 스크류(131)를 통해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를 따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를 따라 이송되는 협잡물은 상기 스크린부(140)를 지나면서 상기 협잡물배출부(150)에 구비되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에 이르러 가압된다. 즉, 협잡물은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에 의해 가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140)을 지나 상기 협잡물배출부(150)로 협잡물이 계속적으로 이송되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에 의해 협잡물에 가압력이 생기게 되면서 협잡물이 압착되어 수분이 상기 스크린부(140)에 형성된 탈수구멍을 통해 빠져나가고 이어 상기 스크린 덮개부(142)를 관통해 구비되는 상기 물배출구(1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협잡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밀어주게 된다. 즉, 상기 스크류(131)에 의한 협잡물의 이송력에 의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작동로드(153a)가 상기 탄성부재(153c)를 압축시키게 된다.
협잡물의 이송력에 의해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가 후방으로 점점 밀리면서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의 하부측이 상기 배출구(151a)에 이르게 되면 협잡물이 상기 배출구(151a)를 통해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의 하부측이 상기 배출구(151a)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면 탈수된 협잡물이 가장 많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의 조절에 의해 협잡물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협잡물에 함유된 수분을 간편하게 탈수할 수가 있게 된다.
도 3에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협잡물이 상기 배출구(151a)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양이 없는 상태(a)와 협잡물이 중간 정도의 양으로 빠져나가는 상태(b) 및 협잡물이 가장 많은 양으로 빠져나가는 상태(c)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함수율 자동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는 협잡물이 협잡물배출부의 가압지지플레이트에 가압되면서 스크린부에서 탈수되도록 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에는 이송되는 협잡물의 특성에 따라 협잡물에 가압되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협잡물에 가압되는 가압력의 크기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탈수 작업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100: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110:호퍼부 111:실린더 112:협잡물분쇄부
120:몸통부
130:협잡물이송수단
131:스크류 132:구동축 133:구동모터
140:스크린부 140a:스크린몸체 h:탈수구멍
141:물배출구 142:스크린 덮개부 143:스크린개폐부
150:협잡물배출부
151:몸체부 151a:배출구 152:가압지지플레이트
153:작동실린더 153a:작동로드 153b:실린더몸체부
153ba:전방플레이트 153bb:후방플레이트
153c:탄성부재 153d:탄성조절부재 153da:롱볼트
153db:작동손잡이 153dc:너트부재

Claims (5)

  1. 협잡물 탈수장치에 있어서,
    협잡물을 유입하여 공급하는 호퍼부(110)와,
    상기 호퍼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수납되는 중공형 몸통부(120),
    상기 몸통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131)가 설치된 구동축(132) 및 상기 구동축(13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3)로 이루어진 협잡물이송수단(130),
    상기 몸통부(120)의 일단부에 연통 설치되어 이송되는 협잡물의 수분을 탈수하여 배출하는 스크린부(140), 및
    상기 스크린부(140)의 일단부에 연통 설치되어 탈수된 협잡물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협잡물배출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협잡물배출부(150)는 상기 스크린부(140)를 통과하면서 탈수된 협잡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배출구(151a)가 구비된 몸체부(151)와,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14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협잡물이 지지되면서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지지플레이트(152), 및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작동실린더(153)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실린더(153)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작동로드(153a)와, 상기 작동로드(153a)의 일단부가 왕복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중공의 실린더몸체부(153b),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153a)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53c), 및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1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153d)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부(110)의 하부에는 실린더(111)에 의하여 전진과 후퇴를 하는 협잡물분쇄부(112)가 구비되되,
    상기 협잡물분쇄부(112)는 협잡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협잡물이 떨어지면서 하방으로 밀리도록 날카로운 끝단과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20)에는 상기 호퍼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분쇄부(112)에 의해 절단되면서 공급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은 상기 호퍼부(110)의 출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협잡물분쇄부(112)의 하면은 상기 몸통부(12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몸통부(120)의 상기 유입홀은 협잡물이 상기 스크류(131)의 피치(pitch) 사이로 떨어져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피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피치 사이에 위치되는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배출부(150)에 구비되는 상기 가압지지플레이트(152)는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상단부는 상기 스크린부(140)에 가깝게 설치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스크린부(140)에서 멀리 설치되어 경사를 이루면서 타원형상으로 형성 구비되는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53c)의 일단부가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작동로드(153a)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전방플레이트(153ba)와 상기 탄성부재(153c)의 타단부가 연결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153d)의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후방플레이트(153bb)가 각각 상기 실린더몸체부(153b)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KR1020170081906A 2017-06-28 2017-06-28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KR10193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06A KR101935431B1 (ko) 2017-06-28 2017-06-28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906A KR101935431B1 (ko) 2017-06-28 2017-06-28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431B1 true KR101935431B1 (ko) 2019-01-04

Family

ID=6501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906A KR101935431B1 (ko) 2017-06-28 2017-06-28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4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29B1 (ko) * 2021-06-04 2021-09-07 주식회사 우성테크 협잡물 탈수 압송 장치
CN113587628A (zh) * 2021-07-16 2021-11-02 兰溪自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烘干窑出料设备及其加工工艺
KR102534293B1 (ko) 2022-10-04 2023-05-26 이붕용 협잡물 탈수기
KR102633605B1 (ko) * 2023-09-18 2024-02-05 주식회사터보젠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압축탈수기
KR102633476B1 (ko) * 2023-09-18 2024-02-06 주식회사터보젠 압축탈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49Y1 (ko) 2005-07-12 2005-09-23 훈 강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 장치
KR100684289B1 (ko) * 2005-11-28 2007-02-16 안영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649Y1 (ko) 2005-07-12 2005-09-23 훈 강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 장치
KR100684289B1 (ko) * 2005-11-28 2007-02-16 안영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29B1 (ko) * 2021-06-04 2021-09-07 주식회사 우성테크 협잡물 탈수 압송 장치
CN113587628A (zh) * 2021-07-16 2021-11-02 兰溪自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烘干窑出料设备及其加工工艺
KR102534293B1 (ko) 2022-10-04 2023-05-26 이붕용 협잡물 탈수기
KR102633605B1 (ko) * 2023-09-18 2024-02-05 주식회사터보젠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압축탈수기
KR102633476B1 (ko) * 2023-09-18 2024-02-06 주식회사터보젠 압축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431B1 (ko) 나사조절형 스크류식 협잡물 탈수장치
KR101935428B1 (ko) 실린더 가압식 협잡물 탈수장치
CN213798245U (zh) 一种螺旋输送压榨机
KR102269674B1 (ko) 막힘 방지와 미세입자 분리가 가능한 고액분리 시스템
KR102200736B1 (ko) 슬러지 탈수용 스크류 프레스
KR200339408Y1 (ko) 유입 폐수의 협잡물 제거장치
CN213506513U (zh) 一种用于市政污水处理厂的污泥处理装置
KR20180000147A (ko) 협잡물 탈수장치
KR102298729B1 (ko) 협잡물 탈수 압송 장치
KR100264222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커팅압착부
CN210786444U (zh) 一种农用固液分离机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458793B1 (ko) 탈수기
KR0127564Y1 (ko) 오.폐수처리설비의 고형물수거용 자동스크린장치
KR20180068617A (ko) 음식물 쓰레기용 감량기
KR102534293B1 (ko) 협잡물 탈수기
CN112757680A (zh) 一种餐厨垃圾接料挤压一体机
JP2005046814A (ja) 汚水中の夾雑物除去・脱水装置
KR200184294Y1 (ko) 야채 쓰레기의 액즙 추출 장치
KR200414761Y1 (ko) 음식물쓰레기수분압착기구조
KR200289744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KR20240001972A (ko) 협잡물 파쇄 탈수 이송기
KR20010035748A (ko) 슬러지 탈수장치
WO1999013959A1 (en) An apparatus for screening and compacting
KR101438684B1 (ko) 탈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