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766B1 -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766B1
KR101538766B1 KR1020140008063A KR20140008063A KR101538766B1 KR 101538766 B1 KR101538766 B1 KR 101538766B1 KR 1020140008063 A KR1020140008063 A KR 1020140008063A KR 20140008063 A KR20140008063 A KR 20140008063A KR 101538766 B1 KR101538766 B1 KR 10153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rive
drive motor
driving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삼동
Original Assignee
강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삼동 filed Critical 강삼동
Priority to KR102014000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65G33/06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conveyed and guided by parallel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로 모재(Base Metal, 母材)를 절삭 가공할 경우에 발생되는 칩(Chip)을 수거하는 컨베이어에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칩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개방부가 공작기계의 하부에 위치되어 공작기계에서 낙하되는 칩이 유입되는 이송관과,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이송관 내에 설치되고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칩을 이송시키는 스크루와,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 및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교대로 연속하여 포함한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와, 구동 제어신호에 포함된,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정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Controlling apparatus of chip conveyor for collection}
본 발명은 선반이나 밀링 등과 같은 각종 공작기계로 모재(Base Metal, 母材)를 절삭 가공할 경우에 발생되는 가공 부산물인 칩(Chip)을 수거하는 컨베이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에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스크루가 칩을 원활하게 압축 및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 및 밀링 등과 같은 공작기계에는 드릴비트 및 드릴척 등과 같은 각종 절삭공구 등이 장착되고, 상기 절삭공구가 모재를 요구되는 조건으로 절삭 가공하게 된다.
상기 절삭공구가 모재를 절삭 가공할 경우에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공작기계가 작업을 할 경우에 상기 절삭공구 및 상기 모재로 절삭유를 공급하여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절삭공구 및 상기 모재 등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가 작동할 경우에 상기 절삭공구 및 상기 모재에 공급되는 절삭유와 함께, 상기 절삭공구에 의해 상기 모재가 가공되면서 발생되는 가공 부산물인 칩은 상기 공작기계의 하부에 별도로 구비된 수거통 등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수거통 등으로 낙하되는 절삭유는, 적정한 필터링과정을 통해 필터링된 후 순환장치 등을 통해 상기 절삭공구 및 상기 모재로 다시 공급되어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거통 등으로 낙하된 칩은, 별도의 배출기구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상기 공작기계에 설치된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거하고 있다.
상기 별도의 배출기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칩을 인위적으로 배출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항상 공작기계의 근처에 대기하고 있다가 수거통에 수거된 칩의 수거량을 인위적으로 확인하고, 배출기구를 동작시켜 칩을 배출해야 되었다.
그러므로 자동화장비의 최대 장점인 무인화에 맞지 않게 작업자가 항상 대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음은 물론 작업 능률이 매우 저하되었고, 이로 인하여 고가(高價)의 자동화장비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작기계의 근처에 대기하고 있는 작업자가 상기 수거통에 수거된 칩의 수거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방치할 경우에 상기 수거통에 상기 칩이 쌓이게 되어 상기 공작기계에, 상기 수거통에 수거된 칩이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공작기계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칩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컨베이어를 사용할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공작기계의 근처에 일일이 대기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매우 고가로서 영세업자들이 상기 공작기계에 선택사양으로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작기계의 가공 부산물인 칩을 공작기계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공작기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작기계에서 떨어진 외부 위치까지 연장 설치해야 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공작기계의 설치 공간과는 별도로, 상기 공작기계의 내부로부터 상기 공작기계에서 떨어진 외부 위치까지 상기 컨베이어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작기계를 사용하는 제조업자들은 대부분이 영세업자들로서 넓은 공장 부지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대여 받을 수 있는 작은 규모의 공장에 공작기계를 설치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칩의 배출이 용이한 컨베이어가 저렴하게 보급되어도 영세업자들은 상기 컨베이어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상기한 컨베이어는 공작기계에서 낙하된 칩을 압축시키지 않고, 이송만 시키는 것으로서 공작기계에서 발생된 상태 그대로의 칩 즉, 공작기계가 모재를 가공하면서 부풀려진 상태로 발생하는 칩이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그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칩이 부풀려진 상태로 배출되면, 부피가 커져 칩의 처리에 따른 어려움이 가중된다. 또한 부풀려진 칩을 처리할 경우에 별도의 프레스 등으로 칩을 압축하여 부피를 줄여야 되므로 칩의 운반 및 처리에 어려움이 가중되었다.
그러므로 등록 실용신안 제20-0327636호에서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칩이 수거되는 이송관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관 내에는 스크루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크루가 회전되면서 칩을 압축 및 이송시키게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 실용신안 제20-0327636호는 칩의 압축상태에 관계없이 구동모터로 계속 스크루를 회전시키면서 칩을 이송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개방부로 많은 양의 칩이 일시적으로 유입되는 등의 이상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스크루가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칩이 과도하게 압축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면, 구동모터 및 스크루에 과부하가 걸려 손상됨은 물론 칩을 원활하게 이송하지 못하게 되고, 이송관의 개방부 부위에 칩이 쌓이게 되어 공작기계의 고장을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 실용신안 제20-0327636호(2003. 09. 15.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동모터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컨베이어가 칩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모터의 부하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상태에 따라 구동모터를 구동 및 정지시켜 컨베이어가 칩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는, 개방부가 공작기계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작기계에서 낙하되는 칩이 유입되는 이송관과,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칩을 이송시키는 스크루와,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교대로 연속하여 포함한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 및 상기 정지신호는, 각기 미리 설정된 시간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상태를 검출하여 부하상태신호를 발생하는 부하상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부하상태신호로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로 계속 구동신호를 발생하며 검출한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로 정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부하상태 검출부는,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가 상기 구동모터로 출력하는 구동전력의 전압신호 및 전류신호를 검출하여 부하상태신호로 발생하거나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한 회전속도신호를 부하상태신호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구동 제어신호로 정지신호를 발생하였을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으로 되는 시점의 부하 값 변동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정지시간동안 계속 상기 정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는, 복수의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각각의 정지시간이 메모리에 룩 업 테이블로 미리 저장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으로 되는 시점의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해당 정지시간을 상기 룩 업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해당 정지시간동안 계속 상기 정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루가 칩을 압축 및 이송시킬 경우에 간헐적으로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스크루가 칩을 이송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스크루가 칩을 이송시키지 않는 시간동안 칩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칩의 압축을 완화되게 하며, 칩의 압축이 완화된 상태에서 다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루가 다시 칩을 압축 및 이송시키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부하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상태 및 부하 값 변동량에 따라 소정의 정지시간동안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스크루가 칩을 이송시키지 못하도록 한 후 다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루가 칩을 압축 및 이송시키게 한다.
그러므로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과부하로 인한 구동모터 및 스크루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스크루가 이송하는 칩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스크루가 칩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수평반송부를 발췌하여 보여 주는 일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일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본 발명은 선반이나 밀링 등 그 이외의 모든 공작기계에서 모재의 가공 시 필수적으로 생산되는 칩의 수거처리를 위해 공작기계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스크루를 이용한 밀폐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 컨베이어는 대략 관형상으로 이루어 칩이 밀폐형의 반송관로를 이용해 압송되게 한 것으로, 크게 나누어 수평반송부(10)와, 그 수평반송부(10)에 연이어지는 경사반송부(20)로 이루고 있다.
먼저, 수평반송부(10)는 공작기계의 하부, 즉 모재가 가공되는 척의 직하부 로부터 낙하되는 칩을 받아드리는 호퍼형의 유입부(12)를 가지며, 그 수평반송부(10) 내에는 전장길이에 걸쳐 별도의 구동모터(14)로부터 체인과 스프로킷 휠로 이루는 다단계의 동력전달요소들(16)을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18)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자유단으로 설치되는 스크루(19)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되는 컨베이어는 공작기계(M)를 구동시켜 모재의 가공 시 필수적으로 발생되어 낙하되는 칩을 수평반송부(10)의 유입부(12)을 통해 유입시키어 수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작기계(M)를 구동과 동시 구동모터(14)가 함께 구동하여 회전동력이 발생된다. 이 회전동력은 회전부재(18)로 전달되어 상기 스크루(19)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스크루(19)가 회전하면, 수평반송부(10)의 유입부(12)를 통해 유입된 칩은 경사반송부(20) 측으로 압송시키어 소기의 배출을 이루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일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컨베이어의 구동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와,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컨베이어의 구동모터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컨베이어를 비롯하여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271722호 및 등록특허 제10-1271240호와 같이 2개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칩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등과 같이, 칩이 수거되어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에서 상기 수거된 칩을 이송시키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각종 컨베이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와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연속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메모리(202)가 내장된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메모리(202)에는,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메모리(2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신호 및 상기 정지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연속 반복되는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가 구동 제어신호로 발생하는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의 발생시간은 실험적으로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면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신호가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시간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 제어신호가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시간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의 출력단자가 저항(R1)을 통해 접지저항(R2) 및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전원단자(Vcc)가 상호간에 병렬 접속된 역방향 다이오드(D) 및 릴레이 코일(RY)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동작전력이, 상기 릴레이 코일(RY)의 구동에 따라 접속되는 릴레이 스위치(RYS)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에 인가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가,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교대로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구동제어신호 발생부(200)가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는 구동모터 구동부(300)로 입력되어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된 후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신호는 예를 들면, 논리 1인 5V의 전압신호이고, 상기 정지신호는 예를 들면, 논리 0인 0V의 전압신호이다.
그러면,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가 구동 제어신호로 논리 1의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시간 동안에는 상기 트랜지스터(TR)가 온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력이 릴레이 코일(RYS) 및 트랜지스터(TR)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어 상기 릴레이 코일(RYS)가 구동된다.
상기 릴레이 코일(RYS)가 구동되면, 릴레이 스위치(RYS)가 접속되고, 이로 인하여 구동모터 동작전력이 상기 릴레이 스위치(RYS)를 통해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가 구동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스크루가 회전되면서 칩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가 구동 제어신호로 논리 0의 정지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시간 동안에는 상기 트랜지스터(TR)가 오프되고, 상기 릴레이 코일(RYS)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릴레이 코일(RYS)가 구동되지 않으면, 릴레이 스위치(RYS)가 접속되지 않고, 구동모터 동작전력이 구동모터에 공급되지 않아 구동되지 않는 것으로서 스크루가 회전되지 않아 칩을 이송시키는 동작이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 코일(RY)이 구동 및 정지될 경우에 서지전압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서지전압을 다이오드(D)가 흡수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RY)이 상기 서지전압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되지 않아 칩을 이송시키는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스크루에 의해 압축되었던 칩에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탄성력은, 원상복귀되고자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칩을 압축시킨 힘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가 구동 제어신호로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가 온되고, 상기 릴레이 코일(RYS)가 구동되어 상기 릴레이 스위치(RYS)가 접속되면서 구동모터가 구동되고, 스크루가 회전되면서 칩을 이송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일정한 주기로 구동 및 정지를 반복시켜 스크루가 칩을 이송 및 압축시키게 하고,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될 경우에는 상기 칩에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탄성력이 상기 칩을 압축시킨 힘을 완화시키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칩이 일시적으로 유입되는 등의 이상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칩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칩을 원활하게 이송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로 타이머(21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210)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타이머(210)에는 미리 제 1 시간범위 및 제 2 시간범위가 교대로 연속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210)는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경과시간이 상기 제 1 시간범위 또는 제 2 시간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타이머(210)가 카운트한 경과시간이 상기 제 1 시간범위일 경우에 상기 타이머(210)는 구동 제어신호로 논리 1의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타이머(210)가 카운트한 경과시간이 상기 제 2 시간범위일 경우에 상기 타이머(210)는 구동 제어신호로 논리 0의 정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타이머(210)가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는 구동모터 구동부(300)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300)는 상기한 도 4의 일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스크루가 칩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로 카운터(22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로 카운터(220)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카운트(220)의 카운트 값 범위를 미리 제 1 값 범위 및 제 2 값 범위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220)가 클럭신호 발생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서 발생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고, 클럭신호의 카운트 값이 상기 제 1 값 범위 또는 제 2 값 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클럭신호의 카운트 값이 상기 제 1 값 범위 이내일 경우에 상기 카운터(220)는 구동 제어신호로 논리 1의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클럭신호의 카운트 값이 상기 제 2 값 범위 이내일 경우에 상기 카운터(220)는 구동 제어신호로 논리 0의 정지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카운터(220)가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는 구동모터 구동부(300)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300)는 상기한 도 4의 일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구동 및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스크루가 칩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구동모터의 부하상태신호를 검출하여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로 출력하는 부하상태 검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상태 검출부(400)는 예를 들면,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동작전력의 전압신호 및 전류신호를 구동모터의 부하상태신호로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상태신호를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로 출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하상태 검출부(400)는 예를 들면, 엔코더 등과 같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속도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속도 검출수단이 검출하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신호를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에 부하상태신호로 출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상기 부하상태 검출부(400)로부터 입력되는 부하상태신호로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상기 기준 부하 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구동 제어신호로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루가 칩을 이송시키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부하 구동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상기 기준 부하 값 이상으로 될 경우에 구동 제어신호로 정지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정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상기 스크루가 칩을 이송시키는 동작을 정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부하 구동신호 발생부(200)는 구동 제어신호로 정지신호를 발생하였을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상기 기준 부하 값 이상으로 되는 시점에서의 부하 값 변동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정지시간동안 계속 정지신호를 발생하며, 정지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다시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다시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에는 메모리(202)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메모리(202)에는 부하 값 변동량에 따리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정지시간이 룩업 테이블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부하 구동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상기 기준 부하 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해당 시점에서의 부하 값 변동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정지시간을 상기 메모리(202)의 룩 업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해당 정지시간동안 계속 정지신호를 발생하며, 정지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다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가 구동 제어신호로 구동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루가 칩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부하상태 검출부(400)는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동작전력의 전압신호 및 전류신호를 구동모터의 부하상태신호로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상태신호를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로 출력한다.
또는 상기 부하상태 검출부(400)는 예를 들면, 엔코더 등과 같이 회전속도 검출수단으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에 부하상태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부하상태 검출부(400)로부터 입력되는 부하상태신호로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상기 기준 부하 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구동 제어신호로 계속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루가 계속 칩을 이송시키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상기 기준 부하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구동 제어신호로 정지신호를 발생하여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고, 스크루가 칩을 이송시키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 값이 상기 기준 부하 값 이상으로 되는 시점에서의 부하 값 변동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정지시간을 메모리(202)에 미리 저장된 룩 업 테이블에서 검색한다.
상기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정지시간이 검색되면,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해당 정지시간동안 계속 정지신호를 발생하여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구동모터를 구동시키지 못하고, 스크루가 회전되지 못하여 칩의 압축 및 이송이 정지되며, 상기 스크루의 정지에 따라 압축되었던 칩이 가지고 있는 자체의 탄성력이 상기 칩의 압축상태를 완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정지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200)는 구동 제어신호로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300)가 다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스크루가 칩을 이송 및 압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 202 : 메모리
210 : 타이머 220 : 카운터
300 : 구동모터 구동부 400 : 부하상태 검출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개방부가 공작기계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작기계에서 낙하되는 칩이 유입되는 이송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칩을 이송시키는 스크루;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상태를 검출하여 부하상태신호를 발생하는 부하상태 검출부;
    상기 부하상태신호로 판단되는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이 아닐 경우에 계속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부하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부하 값 이상일 경우에 부하값 변동량을 검출하며 검출한 부하 값 변동량에 따른 정지시간을 룩 업 테이블에서 검색하며 검색한 정지시간동안 정지신호를 발생한 후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 제어신호 발생부; 및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정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상태 검출부는,
    상기 구동모터 구동부가 상기 구동모터로 출력하는 구동전력의 전압신호 및 전류신호를 검출하여 부하상태신호로 발생하거나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한 회전속도신호를 부하상태신호로 발생하는,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40008063A 2014-01-23 2014-01-23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KR101538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63A KR101538766B1 (ko) 2014-01-23 2014-01-23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63A KR101538766B1 (ko) 2014-01-23 2014-01-23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766B1 true KR101538766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063A KR101538766B1 (ko) 2014-01-23 2014-01-23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522A (zh) * 2022-03-18 2022-05-2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渣收集装置及收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470A (ja) * 1997-01-24 1998-08-04 Okuma Mach Works Ltd チップコンベア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2143612A (ja) * 2000-11-07 2002-05-21 Tsubakimoto Meifuran Kk クーラント液浄化装置
KR100684289B1 (ko) * 2005-11-28 2007-02-16 안영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KR20130116764A (ko) * 2012-04-16 2013-10-24 현대위아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470A (ja) * 1997-01-24 1998-08-04 Okuma Mach Works Ltd チップコンベア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2143612A (ja) * 2000-11-07 2002-05-21 Tsubakimoto Meifuran Kk クーラント液浄化装置
KR100684289B1 (ko) * 2005-11-28 2007-02-16 안영호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장치
KR20130116764A (ko) * 2012-04-16 2013-10-24 현대위아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522A (zh) * 2022-03-18 2022-05-2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渣收集装置及收集方法
CN114516522B (zh) * 2022-03-18 2023-12-01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渣收集装置及收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3800A (en) Motor overload detection with predetermined rotation reversal
KR101538766B1 (ko) 칩 수거를 위한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CN111958299B (zh) 一种数控机床用清理装置
CN104191199A (zh) 一种螺丝分料吹料机构
JP3661440B2 (ja) 生産ライン
KR101460409B1 (ko) 칩 스크루 컨베이어 장치
CN208700059U (zh) 一种螺母输送装置
CN205968416U (zh) 切屑排出系统
CN105751133A (zh) 冲击扳手
CN201596626U (zh) 原煤杂物自动分离机
KR200327636Y1 (ko) 공작기계용 칩 배출장치
CN109290054B (zh) 一种金属自动分离器
KR20140081928A (ko) 인버터를 적용한 칩 컨베이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501907A (zh) 抖动式供料机
CN109213008B (zh) 电动工具转动控制的方法及装置
CN112221651A (zh) 一种气流磨出料控制装置
CN219465530U (zh) 一种传感器壳体自动下料机构
CN211495750U (zh) 一种长寿命重型板式喂料机
CN216576872U (zh) 一种应用于加工机床自动脱屑机构
CN210997812U (zh) 一种生产线检修防护控制装置
CN109304487A (zh) 一种车床加工连续上料装置
CN211337602U (zh) 一种水泥厂自动给料机振动壳体
CN214356793U (zh) 一种智能运输系统
CN213595353U (zh) 一种用于去毛刺装置的上料机构
CN216029643U (zh) 一种用于电子产品模具铜电极加工的数控加工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