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747A -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해질 산화의 억제 - Google Patents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해질 산화의 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747A
KR20110069747A KR1020107029873A KR20107029873A KR20110069747A KR 20110069747 A KR20110069747 A KR 20110069747A KR 1020107029873 A KR1020107029873 A KR 1020107029873A KR 20107029873 A KR20107029873 A KR 20107029873A KR 20110069747 A KR20110069747 A KR 20110069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lithium ion
cathode
ion battery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렛 러츠트
리 양
멍칭 쉬
앙 샤오
Original Assignee
보드 오브 거버너즈 포 하이어 에듀케이션, 스테이트 오브 로드아일랜드 앤드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드 오브 거버너즈 포 하이어 에듀케이션, 스테이트 오브 로드아일랜드 앤드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즈 filed Critical 보드 오브 거버너즈 포 하이어 에듀케이션, 스테이트 오브 로드아일랜드 앤드 프로비던스 플랜테이션즈
Publication of KR2011006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3Liquid materials, e.g. for Li-SOCl2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In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로서, 상기 전해질은 유기 카보네이트,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용제의 혼합물에 용해된 LiPF6, LiBF4, LiB(C2O4)2 또는 관련 염과 함께 저농도의 산화적으로 불안정한 첨가제를 포함하여 상기 첨가제가 캐소드 입자의 표면과 반응하여 캐소드에 의한 전해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패시베이션막을 생성한다. 상기 첨가제는 2,3-디히드로푸란(2,3-DHF), 2,5-디히드로푸란(2,5-DHF),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디메틸비닐렌 카보네이트(DMVC) 및 γ-비자이로락톤에서 선택되는 중합성 유기분자, 또는 관련 불포화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이다.

Description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해질 산화의 억제{INHIBITION OF ELECTROLYTE OXIDATION IN LITHIUM ION BATTERIES WITH ELECTROLYTE ADDITIVES}
(우선권 정보)
본 출원은 그 전체를 원용한 2008년 7월 3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번호 제61/077,927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수년간, 니켈-카드뮴은 무선통신에서 모바일 컴퓨팅까지의 휴대용 기기에 적합한 유일한 전지였다. 1990년대 초에는 니켈 금속 하이브리드 및 리튬 이온이 알려지면서 고객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 고분분투하였다. 최근에는 리튬 이온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가장 촉망받는 화학 전지이다.
소비자 제품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리튬 이온 전지는 흑연질 탄소 애노드, 리튬화 코발트 산화물(LiCoO2) 캐소드,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EC)를 포함하는 카보네이트 용제의 혼합물 중의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로 이루어진 전해질을 함유한다.
넓은 온도 범위에 걸친 리튬 이온 전지의 가장 한계적인 구동 문제는 전해질 그 자체이다.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성능은 조작 온도가 -10℃ 이하로 내려감에 따라 저하하고 또한 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도 열화한다.
일반적인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C)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및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와 같은 각종 직쇄상 카보네이트의 용제 혼합물 중의 LiPF6염으로부터 얻어진다. EC 및 LiPF6은 가장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전해질 포뮬레이션으로 알려져 있다. 이 2개의 전해질은 리튬 이온 전지의 온도 한계를 결정한다.
리튬 이온 전지는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휴대 전원 중 하나이다. 그러나, 특히 승온된 온도(>50℃)에서의 보관 또는 장기간 사용시에 전력 및 용량이 손실되어 전기 자동차(EV)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용도의 리튬 이온 전지(LIB)로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성능 열화는 LiPF6의 열적 불안정성 및 전해질의 전극 재료 표면과의 반응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이것에 의해 리튬 이온 전지용 대체 전해질의 개발이 촉구되어 왔다.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 가장 폭넓게 사용된 리튬염은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이다. 그러나, LiPF6은 열적으로 또는 가수분해적으로 안정성이 부족하여 이상적이지 않다. 가장 폭넓게 검토된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용의 "대체" 염 중 하나가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B(C2O4)2, LiBOB)이다. LiBOB계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이온 전지는 용량 저감이 거의 없이 70℃까지 구동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카보네이트 용제에서의 LiBOB의 용해성 부족 및 저온에서의 LiBOB 전해질의 성능 부족에 의해서 LiBOB의 사용은 한정되어 있었다. LiBOB계 전해질은 옥살레이트 부위의 개환 반응과 삼방정계 보레이트의 형성에 의해서 애노드 표면 상에 안정한 고체 전해질 계면(SEI)을 생성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차세대 EV, HEV 또는 PHEV용 리튬 이온 전지의 개발은 개선된 전해질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었다. 전해질의 개선은 현재 입수가능한 염/용제 조합의 특성을 개선하는 새로운 염, 새로운 용제 또는 새로운 첨가제의 개발로부터 이루어졌다.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해질은 유기 카보네이트,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용제의 혼합물에 용해된 LiPF6, LiBF4, LiB(C2O4)2 또는 관련 염과 함께 저농도의 산화적으로 불안정한 첨가제를 포함하여 상기 첨가제가 캐소드 입자의 표면과 반응하여 캐소드에 의한 전해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패시베이션막을 생성한다.
2종의 캐소드막 형성 첨가제가 개발되어 왔다. 제 1종의 첨가제로는 양이온 중합을 행할 수 있는 유기분자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첨가제로는 2,3-디히드로푸란(2,3-DHF), 2,5-디히드로푸란(2,5-DHF),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및 γ-부티로락톤을 들 수 있다. 제 2종의 첨가제로는 캐소드 표면과 반응하여 표면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유기 가용성 무기 시약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기타 목적, 특성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진다.
도 1은 첨가제 유무에 따른 전해질의 애노드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전해질의 유무에 따른 전해질의 사이클링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캐소드의 EIS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사이클링된 캐소드의 XPS 스펙트럼의 챠트이고; 또한
도 5는 사이클링된 캐소드의 FTIR-ATR 스펙트럼이다.
2종의 캐소드막 형성 첨가제가 개발되어 왔고, 캐소드 중합을 행할 수 있는 유기분자를 포함한 이러한 종류의 첨가제로는 2,3-디히드로푸란(2,3-DHF), 2,5-디히드로푸란(2,5-DHF),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디메틸비닐렌 카보네이트(DMVC) 및 γ-부티로락톤, 또는 관련된 불포화 에테르류, 에스테류 또는 카보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제 2종의 첨가제로는 캐소드 표면과 반응하여 표면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유기 가용성 무기 시약을 들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의 애노드의 환원 전위는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전해질(염 및 용제)을 환원시키기에 충분히 높다. 그러나, 최초 수회 충전 사이클 동안 애노드 표면 상에 고체 전해질 계면(SEI)이 생성되어 전해질이 더욱 환원되는 것이 억제된다. 애노드막 형성 첨가제가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에 있어서 폭넓게 연구되어 왔다. 상기 첨가제는 애노드의 표면 상에서 환원되어 더욱 안정한 애노드 SEI를 형성한다. 캐소드막 형성 첨가제에 대한 연구는 더욱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의 VC(애노드막 형성 첨가제)를 연구하면서, VC도 캐소드의 표면 상에서 반응하는 것을 주목하였다. 캐소드에 의한 VC의 산화에 의해 캐소드 입자의 표면 상에 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VC)로 이루어진 유기 폴리머막이 형성되는 것이 IR 분광법에 의해 증명되었다(도 1 참조).
LiPF6/카보네이트 전해질은 비활성 전극의 존재 하에서 4.5V 초과시 산화적으로 안정하다. 그러나, 활성 캐소드 재료(LiCoO2, LiMn2O4, LiNi0 .33Co0 .33Mn0 .33O2, LiFePO4, 및 관련 재료)는 저전위에서 전해질의 산화를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애노드 SEI에 의해 전해질의 환원을 억제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산화되어 캐소드 SEI를 형성함으로써 캐소드와 전해질의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첨가제가 개발되어 왔다. 캐소드 SEI는 전해질의 더욱 산화를 방지하여 캐소드가 더욱 높은 전압으로 사이클링되게 하는 패시베이션층으로서 작용한다.
막형성 첨가제의 유무에 따른 LiPF6/카보네이트 전해질의 순환 전압전류법에 있어서 제 1 사이클 후에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전해질은 산화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더욱 높은 전압으로 사이클링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도 2 참조). 2,3-디히드로푸란을 함유하는 샘플에 대한 산화 개시는 기준 전해질 보다 1V 정도 더 높다. 3.0V~4.5V(vs Li) 사이에서 사이클링된 리튬 이온 코인셀에 대해 예비 조사를 행했다. 상기 코인셀은 20℃에서 C/20 충방전 속도 사이클에 이은 C/10 충방전 속도 사이클에서 즉시 시이클링되었다. VC, 2,3-DHF 또는 2,5-DHF을 3원의 전해질에 첨가함으로써 캐소드 고체 전해질 계면(SEI)이 형성되어 4.5V로 사이클링된 셀의 용량유지가 현전히 증가한다(도 3, 표 1 참조). 0.1% 2,5-DHF를 첨가함으로써 20사이클 후의 용량 저하가 50% 저감된다. 이것에 의해, 첨가제가 캐소드 상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할 수 있어 고전압에서의 사이클 수명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된다.
첨가제의 유무에 따른 전해질의 애노드 안정성
도 1로부터, 최초 스캔시 기준 전해질은 유리상 탄소 전극 상의 리튬 금속에 대해서 5.2V 근방에서 애노드 안정성을 갖는 반면, 2%의 2,5-DHF를 첨가함으로써 전압 임계가 4.75V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의 2,5-DHF를 함유하는 전해질은 다음 스캔시(6.0V 이하) 현저한 감응전류 없이 높은 애노드 안정성을 갖는다. 상기 2,5-DHF는 최초 스캔에서 전기화학적 구동력 하에 분해되어 전극 상에 유효가교된 PEO형 표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2,5-DHF의 첨가에 의해 유리상 탄소 전극 표면이 부동태화되어 전극의 더욱 산화를 방지하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2% GBL를 첨가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보호 표면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기준 전해질에 비하여 분해 전류가 작아진다.
바인더로서의 층상 Li 1 .17 Mn 0 .58 Ni 0 .25 O 2 , PVDF 의 연구
사이클링 성능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0.5% 2,5-DHF 및 1% GBL의 첨가에 의해 기준 전해질 보다 사이클링 성능이 우수했다. 첨가제를 함유하는 셀은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셀보다 5.0V로의 사이클링시 더욱 높은 용량을 갖는다.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 EIS )
사이클링된 하프셀의 EIS 임피던스를 도 3에 나타낸다. 기준 셀이 0.5% 2,5-DHF 또는 1% GBL을 함유하는 셀보다 임피던스가 더 크다. 이것은 캐소드 표면 상에서의 전해질 산화를 억제하는 첨가제와 일치한다.
사이클링된 캐소드의 X선 광전자 분광법( XPS )
도 4에 프레쉬, PEC 및 사이클링된 캐소드의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C1s 스펙트럼으로부터, 프레쉬 캐소드는 PVDF(290.3eV에서 C-F이고 또한 285.7eV에서 C-H), 도전성 탄소 및 리튬 카보네이트(Li2CO3)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기준 전해질의 존재 하에서의 셀의 사이클링시, C=O에 대한 289eV 및 C-O에 대한 286eV에서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PEC)의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표면 PEC는 전해질의 산화의 결과로서 형성된다.
O1s 스펙트럼에서도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프레쉬 캐소드는 금속 산화물(529.5eV) 및 Li2CO3(531.5eV)로 주로 이루어진다. PEC는 C-O(533.5eV) 및 C=O(531.8eV)로 이루어진다. 기준 전해질을 가진 사이클링된 셀로부터 추출된 캐소드는 주로 PEC로 이루어진 표면막을 포함하고, C-O의 강도는 C=O보다 높다. 2,5-DHF 또는 GBL이 첨가된 셀은 금속 산화물(529.5eV)과 Li2CO3으로부터의 C=O의 강도가 더욱 높아 얇은 표면막인 것을 시사한다. 또한, 상기 셀은 PEC의 상대 농도가 낮다.
F1s 스펙트럼으로부터, 687.7eV에서의 PVDF에 대해 강한 시그널이 관찰된다. 첨가제의 조합의 여부에 따라 F 함유종의 구조에 다소 변화가 있다.
사이클링된 캐소드의 FTIR - ATR
도 5에 프레쉬 캐소드 및 사이클링된 캐소드의 FTIR-AT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PVDF는 모든 캐소드에 대해 지배적인 시그널이다. 기준 캐소드에 있어서, 1250cm-1에서는 PVDF에 영향을 받지만, 1740cm-1에서 PEC 시그널이 가장 강한 것을 볼 수 있다. PEC의 농도는 2,5-DHF 또는 GBL의 첨가시 저하된다. 이것은 첨가제가 전해질의 산화를 억제한다는 것과 일치하며, 이들 첨가제를 조합함으로써 셀을 5.0V vs Li과 같은 고전압으로 사이클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리튬 전지는 흑연, 또는 기타 관련 형태의 탄소, 실리콘, 실리콘/흑연 복합재료, 리튬 금속 및 리튬 합금으로 이루어진 애노드를 포함한다. 활성 캐소드 재료는 LiCoO2, LiMn2O4, LiFePO4, LiNixCo1 - xO2, LiN1 /3Co1 /3Mn1 /3O2, 및 관련 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첨가제는 티타늄 테트라메톡시드, 티타늄 테트라에톡시드,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알루미늄 트리메톡시드, 알루미늄 트리에톡시드, 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폭시드, 트리메틸보레이트, 트리에틸보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보레이트,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토실리케이트, 및 관련된 티타늄 테트라알콕시드, 트리알킬 보레이트, 알루미늄 트리알콕시드 및 테트라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무기 분자이어도 좋다. 첨가제는 캐소드 입자의 표면과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신규한 캐소드 전해질 계면을 형성한다.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00중량%의 범위 내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일반적으로 다공질 폴리에틸렌 또는 다공질 폴리프로필렌인 세퍼레이터를 갖는다. 세퍼레이터는 2개의 전극을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이온 전도를 행하면서 전기 전도를 방지한다. 전지의 나머지 부분은 산업상 표준인 것들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 수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형태 및 상세에 대해서 각종 변화, 생략 및 첨가를 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로서:
    유기 카보네이트,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용제의 혼합물에 용해된 LiPF6, LiBF4, LiB(C2O4)2 또는 관련 염과 함께 저농도의 산화적으로 불안정한 첨가제를 포함하여 상기 첨가제가 캐소드 입자의 표면과 반응하여 캐소드에 의한 전해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패시베이션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2,3-디히드로푸란(2,3-DHF), 2,5-디히드로푸란(2,5-DHF),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디메틸비닐렌 카보네이트(DMVC) 및 γ-부티로락톤, 또는 관련 불포화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에서 선택되는 중합성 유기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농도는 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농도는 0.0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티타늄 테트라메톡시드, 티타늄 테트라에톡시드,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시드, 알루미늄 트리메톡시드, 알루미늄 트리에톡시드, 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폭시드, 트리메틸보레이트, 트리에틸보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보레이트,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토실리케이트, 및 관련된 티타늄 테트라알콕시드, 트리알킬 보레이트, 알루미늄 트리알콕시드 및 테트라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무기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농도는 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농도는 0.0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캐소드 입자의 표면과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새로운 캐소드 전해질 계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캐소드 재료는 LiCoO2, LiMn2O4, LiFePO4, LiNixCo1 - xO2, LiN1/3Co1/3Mn1/3O2, 및 관련 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재료는 흑연, 및 기타 관련 형태의 탄소, 실리콘, 실리콘/흑연 복합재료, 리튬 금속 및 리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
  11. 애노드;
    캐소드;
    유기 카보네이트,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용제의 혼합물에 용해된 LiPF6, LiBF4, LiB(C2O4)2 또는 관련 염과 함께 저농도의 산화적으로 불안정한 첨가제를 포함하여 상기 첨가제가 캐소드 입자의 표면과 반응하여 상기 캐소드에 의한 전해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패시베이션막을 생성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로서:
    상기 첨가제는 2,3-디히드로푸란(2,3-DHF), 2,5-디히드로푸란(2,5-DHF),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및 γ-부티로락톤에서 선택되는 중합성 유기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전지.
  12. 리튬 이온 전지를 사이클링하여 캐소드 상에 보호막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외부 컨테이너를 제공하여 상기 리튬 이온 전지를 유지하는 공정,
    입자 표면을 갖는 캐소드를 제공하는 공정,
    애노드를 제공하는 공정,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전해질은 유기 카보네이트,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용제의 혼합물에 용해된 LiPF6, LiBF4, LiB(C2O4)2 또는 관련 염과 함께 저농도의 산화적으로 불안정한 첨가제를 포함하여 상기 리튬 이온 전지의 사이클링시 상기 첨가제가 캐소드 입자의 표면과 반응하여 상기 캐소드 표면 상에 상기 캐소드에 의한 전해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패시베이션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막 생성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2,3-디히드로푸란(2,3-DHF), 2,5-디히드로푸란(2,5-DHF),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 디메틸비닐렌 카보네이트(DMVC) 및 γ-부티로락톤, 또는 관련 불포화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카보네이트에서 선택되는 중합성 유기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막 생성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다공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막 생성방법.
KR1020107029873A 2008-07-03 2009-07-02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해질 산화의 억제 KR20110069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92708P 2008-07-03 2008-07-03
US61/077,927 2008-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747A true KR20110069747A (ko) 2011-06-23

Family

ID=4101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873A KR20110069747A (ko) 2008-07-03 2009-07-02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해질 산화의 억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17446A1 (ko)
EP (1) EP2297802A1 (ko)
JP (1) JP2011527090A (ko)
KR (1) KR20110069747A (ko)
WO (1) WO20100030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864A (ko) * 2011-10-05 2014-08-13 원드 매터리얼 엘엘씨 리튬 이온 배터리용 실리콘 나노구조체 활물질, 및 그에 관련된 공정, 조성물, 구성요소 및 디바이스
WO2022177253A1 (ko) * 2021-02-17 2022-08-25 (주)자이언트케미칼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해질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773B2 (en) 2008-04-08 2016-03-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lytes for wide operating temperature lithium-ion cells
JP6003086B2 (ja) * 2012-02-27 2016-10-05 株式会社Gsユアサ リチウム二次電池
WO2013149073A1 (en) * 2012-03-28 2013-10-03 A123 Systems, LLC Electrolyte additive with improved cycle life
US10553871B2 (en) 2012-05-04 2020-02-04 Zenlabs Energy, Inc. Battery cell engineering and design to reach high energy
US9780358B2 (en) 2012-05-04 2017-10-03 Zenlabs Energy, Inc. Battery designs with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and cathode materials
EP2859605B1 (en) * 2012-06-07 2017-08-09 Robert Bosch GmbH Electrolyte additive for metal-air battery
KR101584251B1 (ko) 2012-11-22 2016-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994261B1 (ko) * 2012-12-12 2019-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US10411299B2 (en) 2013-08-02 2019-09-10 Zenlabs Energy, Inc. Electrolytes for stable cycling of high capacity lithium based batteries
JP6386748B2 (ja) * 2014-02-28 2018-09-05 株式会社クラレ 電解液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365082B2 (ja) 2014-08-01 2018-08-0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電解液、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電池
WO2016160703A1 (en) 2015-03-27 2016-10-06 Harrup Mason K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US10535864B2 (en) 2015-06-03 2020-01-14 Maxell Holdings, Ltd. Nonaqueous electrolyte prim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R3044830B1 (fr) * 2015-12-08 2020-06-1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ellule electrochimique pour batterie au lithium comprenant un electrolyte specifique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US11094925B2 (en) 2017-12-22 2021-08-17 Zenlabs Energy, Inc. Electrodes with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cells achieving high capacity,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cycle life performance
CN108390096A (zh) * 2018-03-01 2018-08-10 中南大学 一种四氟硼酸盐的应用、包含四氟硼酸盐的复合电解液和复合正极材料
KR102595175B1 (ko) 2018-03-14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리알콕시알킬실란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US11973178B2 (en) 2019-06-26 2024-04-30 Ionblox, Inc. Lithium ion cells with high performance electrolyte and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achieving very long cycle life performance
JP7413038B2 (ja) * 2020-01-21 2024-01-15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23B1 (ko) * 1991-04-29 1995-12-05 주식회사 코오롱 방향족 폴리아미드 펄프 및 그의 제조방법
DE19641138A1 (de) * 1996-10-05 1998-04-09 Merck Patent Gmbh Lithiumfluorphosphate sowie deren Verwendung als Leitsalze
US6395431B1 (en) * 1998-10-28 2002-05-28 Valence Technology, Inc. Electrolytes having improved stability comprising an N,N-dialkylamide additive
JP3825571B2 (ja) * 1998-12-08 2006-09-2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TW497286B (en) * 1999-09-30 2002-08-01 Canon Kk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001690B2 (en) * 2000-01-18 2006-02-21 Valence Technology, Inc. Lithium-based active materials and preparation thereof
JP2001256997A (ja) * 2000-03-13 2001-09-21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6673492B2 (en) * 2000-05-26 2004-01-06 Ube Industries, Ltd. Electrode material for a secondary cell and its production process
US6767671B2 (en) * 2000-07-14 2004-07-2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same
JP2002042864A (ja) * 2000-07-28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849752B2 (en) * 2001-11-05 2005-02-01 Central Glass Company, Ltd. Process for synthesizing ionic metal complex
US7026068B2 (en) * 2001-12-19 2006-04-11 Nichia Corporatio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2004039493A (ja) * 2002-07-04 2004-02-05 Sanyo Gs Soft Energ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JP2004234878A (ja) * 2003-01-28 2004-08-19 Nissan Motor Co Ltd ゲルポリマー電解質を備える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二次電池
KR100528933B1 (ko) * 2003-10-22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JP4924860B2 (ja) * 2003-11-18 2012-04-25 株式会社Gsユアサ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05099023A1 (ja) * 2004-04-07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245532B2 (ja) * 2004-08-30 2009-03-25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6156268A (ja) * 2004-12-01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パック
US20060216612A1 (en) * 2005-01-11 2006-09-28 Krishnakumar Jambunathan Electrolytes,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passivation layers
CN101160684A (zh) * 2005-03-02 2008-04-09 U芝加哥阿谷尼有限公司 用于锂电池的充电过度保护的新型氧化还原穿梭化合物
EP1892789B1 (en) * 2005-06-15 2018-02-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Lithium secondary battery
JP5070731B2 (ja) * 2006-04-26 2012-11-14 株式会社Gsユアサ 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4826760B2 (ja) * 2006-05-19 2011-11-30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864A (ko) * 2011-10-05 2014-08-13 원드 매터리얼 엘엘씨 리튬 이온 배터리용 실리콘 나노구조체 활물질, 및 그에 관련된 공정, 조성물, 구성요소 및 디바이스
US10355266B2 (en) 2011-10-05 2019-07-16 Oned Material Llc Silicon nanostructur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processes, compositions, component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US10804525B2 (en) 2011-10-05 2020-10-13 Oned Material Inc. Silicon nanostructur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processes, compositions, components, and devices related thereto
WO2022177253A1 (ko) * 2021-02-17 2022-08-25 (주)자이언트케미칼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해질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7090A (ja) 2011-10-20
US20110117446A1 (en) 2011-05-19
EP2297802A1 (en) 2011-03-23
WO2010003069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747A (ko) 전해질 첨가제를 이용한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해질 산화의 억제
Zhang et al. Challenges and Strategy on Parasitic Reaction for High‐Performance Nonaqueous Lithium–Oxygen Batteries
KR101905246B1 (ko)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033697B1 (ko)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이차전지
EP2645463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anode for secondary battery
CN106450438A (zh)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及使用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
EP2907183B1 (en) Electrochemical cells
JP2008027782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105406124A (zh) 一种提高锂离子电池高温及高电压性能的电解液及其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WO2022097073A1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CN111200165B (zh) 一种锂离子电池用电解液及锂离子电池
JPH09306544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電池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電解質型電池および電池用非水溶液系電解液
KR20150079078A (ko) 실릴에테르를 함유한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5592836B2 (ja) 電解液、ゲル電解質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2216867B (zh) 电解液添加剂、锂离子高压电解液、锂离子电池
CN117321822A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包和用电装置
CN106785023A (zh) 一种锂离子电池硅基/硅碳复合负极材料用电解液体系
JP2013182673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剤、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464149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CN111342044A (zh) 一种用于双离子电池的可存储阴离子的新型正极材料
JP2017054736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Suzuki et al. Electrochemical N (CF3SO2) 2− Intercalation/de-intercalation into Graphite Electrode as the Positive Electrode Reaction for Mg Secondary Batteries
KR20170013729A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또는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KR20240156160A (ko) 트리알릴보레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3782831A (zh) 一种耐高压锂离子电池电解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