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210A -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210A
KR20110069210A KR1020090125835A KR20090125835A KR20110069210A KR 20110069210 A KR20110069210 A KR 20110069210A KR 1020090125835 A KR1020090125835 A KR 1020090125835A KR 20090125835 A KR20090125835 A KR 20090125835A KR 20110069210 A KR20110069210 A KR 2011006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ar
railway vehicle
pair
fix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299B1 (ko
Inventor
오상훈
오형식
박성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2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몸체와 대차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몸체의 좌우 기울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롤링을 완화하는 안티롤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는, 상기 대차 프레임에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 양단부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의 설치홀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되는 안티롤바; 상기 설치홀의 외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안티롤바의 외주면을 압착 지지하는 압착부재; 상기 안티롤바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암부;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암부와 상기 철도차량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몸체가 기울어짐에 따른 하중을 상기 암부에 전달하는 한 쌍의 로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티롤바의 일단 또는 양단의 암부가 안티롤바에 탈착될 수 있게 구비되고, 안티롤바가 대차 프레임에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 내부에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으므로,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없는 대차에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철도차량, 안티롤바, 대차 프레임, 트랜솜 파이프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Anti-roll bar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안티롤바(anti-roll bar)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전장치와 제동장치 등이 설치되면서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없는 대차에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는 철도차량 몸체와 대차 프레임에 설치되어, 대차 프레임에 대해 철도차량 몸체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롤링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이하, '안티롤바 장치'라 한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 대차(TR)의 대차 프레임(TF) 하부에 설치된 하우징(10), 이 하우징(10) 내부의 압착부재에 의해 압착 지지되는 안티롤바(20), 안티롤바(20)의 양단에 단단히 압입 고정되는 한 쌍의 암(30), 한 쌍의 암(30)과 철도차량 몸체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로드(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철도차량 몸체에 롤링 현상이 발생하면, 롤링 현상에 의한 하중이 한 쌍의 로드(40)를 통해 한 쌍의 암(30)에 인가되면서 안티롤바(20)에는 회전력이 인가된다. 이때, 압착부재가 탄성 비틀림 변형하여 안티롤바(20)의 회전이 억제됨으로써,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 현상이 완화된다.
이러한 종래의 안티롤바 장치는, 안티롤바(20), 한 쌍의 암(30) 및 한 쌍의 로드(40)가 모두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10)에 의해 지지되게 대차 프레임(TF) 하부에 설치되므로, 대차 프레임(TF) 하부에 안티롤바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용 대차의 종류에 따라 대차 프레임 하부에 집전장치, 제동장치 등이 밀집되게 설치되어 안티롤바 장치가 설치될 공간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대차 프레임의 양쪽 끝단에 앤드빔을 설치한 후, 집전장치나 제동장치 등을 이 앤드빔을 이용해 이동 취부함으로써 안티롤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취할 경우, 대차 프레임의 양쪽 끝단에 별도의 앤드빔이나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집전장치나 제동장치를 돌출 구비하므로, 대차의 중량이 증가하고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티롤바 장치를 대차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공수가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집전장치, 제동장치 등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별도의 앤드빔이나 브래킷이 필요 없이 대차 프레임에 안전하고 신속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는, 대차 프레임에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 양단부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의 설치홀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되는 안티롤바; 상기 설치홀의 외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안티롤바의 외주면을 압착 지지하는 압착부재; 상기 안티롤바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암부;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암부와 철도차량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몸체가 기울어짐에 따른 하중을 상기 암부에 전달하는 한 쌍의 로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암부는, 그 중 하나 또는 전부가 상기 안티롤바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그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암부에 구비된 고정홀은 그 내주면이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는, 상기 암부를 상기 안티롤바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티롤바가 상기 가압고정부에 의해 상기 고정홀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고정부는, 외주부를 따라 상기 암부의 상기 고정홀 주변부와 접촉되는 돌출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상기 안티롤바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안티롤바 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는,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키홈;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상기 제1키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키홈; 및 상기 제1ㆍ제2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티롤바에 대한 상기 암부의 슬립을 차단하는 고정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에 의하면, 안티롤바가 대차 프레임에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 내부에 관통하여 위치되므로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없는 대차에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티롤바의 일단 또는 양단의 암부가 안티롤바에 탈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암부를 안티롤바에서 분리한 상태로 대차 프레임에 형성된 설치홀을 통해 안티롤바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트랜솜 파이프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안티롤바의 단부 외주면 및 해당 단부가 삽입되는 암부의 고정홀의 내주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가압고정부를 통해 암부를 안티롤바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암부를 안티롤바에 견고하게 압입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티롤바의 단부 외주면과 고정홀 내주면에 각각 키홈을 형성하고, 해당 키홈에 고정키를 삽입함으로써, 암부에 인가되는 토크에도 미끄러짐 없이 안티롤바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는, 철도차량 몸체와 대차 프레임에 설치되어 대차 프레임에 대해 철도차량 몸체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롤링 현상을 완화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이하, '안티롤바 장치'라 한다)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티롤바 장치는, 안티롤바(100), 한 쌍의 압착부재(200), 한 쌍의 암부(300), 한 쌍의 가압고정부(400) 및 한 쌍의 로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안티롤바(100)는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에 의해 로드부(500)에 인가되는 하중이 암부(300)를 통해 토크로 변환되면, 그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받는 막대 형 상의 부재이다.
상기 안티롤바(100)는 양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암부(30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데, 철도차량 몸체에 롤링이 발생하면 그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측은 상승하고 다른 한 측은 하강하므로, 안티롤바(100)의 양단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회전력은 안티롤바(100)에 비틀림 탄성 변형을 가져오고, 이러한 변형에 의한 안티롤바(100)의 탄성력은 해당 회전력을 억제하여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을 완화한다.
상기 안티롤바(100)는 대차 프레임(TF)에 철도차량의 폭 방향 수평으로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TP)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 양단부가 대차프레임(TF) 양측의 설치홀(TF')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안티롤바(100)가 트랜솜 파이프(TP)의 내부에 설치될 때에는 그 일단이 상기 설치홀(TF')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설치된다.
상기 압착부재(2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프레임(TF)의 설치홀(TF')의 외측부에 각각 나사(SC)를 통해 고정되는 하우징(210)의 수용홈(211) 내부에 구비되어 안티롤바(100)의 외주면을 압착 지지한다. 상기 안티롤바(100)는 이 한 쌍의 압착부재(200)에 의해 그 양단부가 각각 압착 지지되어, 대차 프레임(TF)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재(200)는 고무, 수지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에 의해 안티롤바(100)에 회전력이 인가되면 안티롤바(100)와 같이 탄성 비틀림 변형을 일으키고 이러한 변형에 의한 탄성력으로 안티롤바(100)의 회전을 억제하여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암부(300)는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에 의해 로드부(500)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하중을 토크로 변환시켜 안티롤바(10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암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막대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은 안티롤바(100)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은 회동 가능하게 힌지(H)를 통해 로드부(500)에 결합된다.
상기 암부(300)는 철도차량의 폭 방향 좌측과 우측을 각각 담당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이 한 쌍의 암부(300)는 각각 안티롤바(100)의 양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안티롤바(100)가 안티롤바(100)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작은 크기의 설치홀(TF')을 통해 일단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트랜솜 파이프(TP)에 설치되므로, 한 쌍의 암부(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안티롤바(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면서도, 다시 장착되었을 때 안티롤바(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안티롤바(100)의 단부는 그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안티롤바(10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암부(300)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홀(310)은 그 내주면이 안티롤바(100) 단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역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안티롤바(100)의 단부가 고정홀(310)에 삽입되면 안티롤바(100)의 단 부 외주면과 고정홀(310)의 내주면이 밀착 접촉된다. 이때, 후술되는 가압고정부(400)가 암부(300)를 강하게 안티롤바(100) 측으로 가압하면, 안티롤바(100)의 단부가 고정홀(310)에 강하게 압입되면서, 안티롤바(100) 단부의 외주면과 고정홀(310) 내주면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이 증가하면서 마찰력이 증대되어, 안티롤바(100)가 암부(300)에 견고하게 압입 고정된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티롤바(100)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1키홈(120)이 형성되고, 고정홀(310)의 내주면에는 제1키홈(120)에 대응되게 제2키홈(311)이 형성되며, 이 제1ㆍ제2키홈(120, 311)에는 고정키(130)가 설치됨으로써, 안티롤바(100)와 암부(300) 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그러므로 한 쌍의 암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안티롤바(100)에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고, 안티롤바(100)와 압착부재(200)는 이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고정부(4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부(300)를 각각 강하게 안티롤바(10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안티롤바(100)의 단부가 고정홀(310)에 강하게 압입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가압고정부(400)는 가압부재(410) 및 고정나사(420)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410)는 중심부에 고정나사(420)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412)이 형성된 소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의 외주부를 따라 암부(300)의 고정홀(310) 주변부와 접촉되는 돌출면(411)을 갖는다.
상기 고정나사(420)는 가압부재(410)의 나사홀(412)을 통해 안티롤바(100)의 고정홈(110)에 체결된다. 이 고정나사(420)의 고정홈(110)에 대한 체결 강도에 비례하여 고정나사(420)의 머리가 가압부재(410)를 안티롤바(100) 측으로 강하게 가압하게 되는데, 이렇게 가압부재(410)가 안티롤바(100) 측으로 가압되면 그 가압력을 돌출면(411)을 통해 암부(300)에 전달함으로써 암부(300)가 안티롤바(100)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안티롤바(100)의 단부가 암부(300)의 고정홀(310)에 강하게 압입되면서 안티롤바(100)와 암부(3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410)는 고정홀(310)의 외측 방향을 폐쇄함으로써 분진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덮개부재의 역할도 수행하며, 고정키(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부재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400)는 가압부재(410)와 고정나사(420)로 구비되었으나 그 구현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부(300)를 안티롤바(100)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도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한 쌍의 로드부(500)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철도차량 몸체의 좌측과 우측 및 한 쌍의 암부(300)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힌지(H)로 연결된다. 따라서 철도차량 몸체가 롤링 현상으로 좌우로 기울어지면 그에 따라 로드부(500)에 인가되는 수직 하중을 암부(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롤바 장치에 있어서, 암부(300)가 안티롤바(100)에 탈착될 수 있는 구조는, 한 쌍의 암부(300) 중 어느 하나에만 구현될 수 있고, 둘 모두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티롤바 장치의 설치 순서, 동작 및 사용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안티롤바 장치를 대차 프레임(TF)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암부(300) 중 어느 하나는 안티롤바(100)에서 분리되고 다른 하나는 결합된 상태로, 해당 암부(300)가 분리된 안티롤바(100)의 일단부를 설치홀(TF')을 통해 트랜솜 파이프(TP)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안티롤바(100)의 해당 일단부가 반대측 설치홀(TF')을 통해 돌출될 때까지 삽입하여, 안티롤바(100)가 트랜솜 파이프(TP) 내부에 완전히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한 쌍의 하우징(210)과 한 쌍의 압착부재(200)를 설치홀(TF')의 외측 주변부에 설치하여, 한 쌍의 압착부재(200)가 안티롤바(100)의 양단부를 압착 지지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암부(300)를 안티롤바(100)의 해당 단부에 결합한다. 이때, 해당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키홈(120) 및 암부(300)에 형성된 고정홀(310) 내주면의 제2키홈(311)에 고정키(130)를 설치하고, 가압부재(410)의 나사홀(412)을 통해 안티롤바(100)의 고정홈(110)에 고정나사(420)를 체결한다.
이 고정나사(420)가 고정홈(110)에 체결되는 강도에 따라 고정나사(420)의 머리가 가압부재(410)를 안티롤바(100) 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접촉되는 안티롤바(100)의 단부 외주면과 암부(300)의 고정홀(310) 내주면이 강하게 밀착되면서, 안티롤바(100)와 암부(300)가 견고하게 압입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롤바 장치는 대차 프레임(TF) 하부에 장착되는 방식이 아닌, 안티롤바(100)가 트랜솜 파이프(TP)에 내장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대차 프레임(TF) 하부에 공간이 협소하거나 없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철도차량이 운행되면서 철도차량 몸체에 롤링이 발생하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그 기울어짐에 따라 수직 하중을 한 쌍의 로드부(500)가 받는다. 한 쌍의 로드부(500)는 이 수직 하중을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암부(300)에 전달하고 한 쌍의 암부(300)는 이를 토크로 변환하여 안티롤바(100)에 전달함으로써 안티롤바(100)에 회전력이 인가되게 한다.
이때,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에 의해 철도차량 몸체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측은 상승하고 다른 한 측은 하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한 쌍의 로드부(500) 중 어느 하나는 상승하고, 다른 하나는 하강한다.
그러므로 안티롤바(100)의 양단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이 인가되고, 이는 안티롤바(100)와 압착부재(200)에 비틀림 탄성 변형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안티롤바(100)의 회전을 억제하여 철도차량 몸체의 롤링을 효 과적으로 완화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티롤바 장치에 의하면, 안티롤바(100)의 일단 또는 양단의 암부(300)가 안티롤바(100)에 탈착될 수 있게 구비되고, 안티롤바(100)가 대차 프레임(TF)에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TP) 내부에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으므로, 대차 프레임(TF)의 하부에 설치 공간이 협소하거나 없는 대차에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를 철도차량의 대차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를 철도차량의 대차 프레임에 장착되는 상태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를 철도차량의 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A-A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안티롤바 110 : 고정홈
120 : 제1키홈 130 : 고정키
200 : 압착부재 210 : 하우징
211 : 수용홈 300 : 암부
310 : 고정홀 311 : 제2키홈
400 : 가압고정부 410 : 가압부재
411 : 돌출면 412 : 나사홀
420 : 고정나사 500 : 로드부
TF : 대차 프레임 TF' : 설치홀
TP : 트랜솜 파이프 H : 힌지
SC : 나사

Claims (5)

  1. 철도차량 몸체와 대차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몸체의 좌우 기울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롤링을 완화하는 안티롤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 프레임에 구비된 트랜솜 파이프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 양단부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양측의 설치홀을 통해 돌출되게 설치되는 안티롤바;
    상기 설치홀의 외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안티롤바의 외주면을 압착 지지하는 압착부재;
    상기 안티롤바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암부;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암부와 상기 철도차량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철도차량 몸체가 기울어짐에 따른 하중을 상기 암부에 전달하는 한 쌍의 로드부;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암부는,
    그 중 하나 또는 전부가 상기 안티롤바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그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암부에 구비된 고정홀은 그 내주면이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암부를 상기 안티롤바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티롤바가 상기 가압고정부에 의해 상기 고정홀에 압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는,
    외주부를 따라 상기 암부의 상기 고정홀 주변부와 접촉되는 돌출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상기 안티롤바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안티롤바 측으로 가압하는 고정나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롤바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키홈;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상기 제1키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키홈; 및
    상기 제1ㆍ제2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티롤바에 대한 상기 암부의 슬립을 차 단하는 고정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KR1020090125835A 2009-12-17 2009-12-17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KR10112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35A KR101126299B1 (ko) 2009-12-17 2009-12-17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35A KR101126299B1 (ko) 2009-12-17 2009-12-17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210A true KR20110069210A (ko) 2011-06-23
KR101126299B1 KR101126299B1 (ko) 2012-03-19

Family

ID=4440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835A KR101126299B1 (ko) 2009-12-17 2009-12-17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2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8316A (zh) * 2011-07-21 2012-02-22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扭臂与连杆紧凑型结构
KR101282151B1 (ko) * 2011-12-20 2013-07-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링크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이차 능동현가장치
CN103895664A (zh) * 2012-12-28 2014-07-02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无摇枕城际轨道车辆转向架
KR20160067791A (ko) * 2014-12-04 2016-06-14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철도 차량용 보기 대차 프레임, 관련된 보기 대차, 및 그러한 보기 대차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3243723A1 (fr) * 2016-05-10 2017-11-15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Palier de montage d'une barre antiroulis sur un châssis de bogie, et bogie correspond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82B1 (ko) * 2013-12-16 2015-06-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안티롤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KR101720275B1 (ko) 2015-08-18 2017-03-28 남학기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CN106184270B (zh) * 2016-09-22 2018-03-02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三向调整的抗侧滚扭杆系统及其制造安装方法
KR101957915B1 (ko) 2017-06-19 2019-03-14 남학기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6603A (ja) 2000-08-03 2002-02-12 Fuji Heavy Ind Ltd 鉄道車両のアンチローリング装置
JP2002316641A (ja) 2001-04-19 2002-10-29 Hitachi Ltd 鉄道車両の車体傾斜制御装置
KR200332043Y1 (ko) 2003-08-12 2003-11-03 주식회사 로템 인보드 대차용 레벨링장치
JP5127412B2 (ja) 2007-11-16 2013-01-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体間アンチロール装置及び鉄道車両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8316A (zh) * 2011-07-21 2012-02-22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扭臂与连杆紧凑型结构
KR101282151B1 (ko) * 2011-12-20 2013-07-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링크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이차 능동현가장치
CN103895664A (zh) * 2012-12-28 2014-07-02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无摇枕城际轨道车辆转向架
KR20160067791A (ko) * 2014-12-04 2016-06-14 알스톰 트랜스포트 테크놀로지스 철도 차량용 보기 대차 프레임, 관련된 보기 대차, 및 그러한 보기 대차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3243723A1 (fr) * 2016-05-10 2017-11-15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Palier de montage d'une barre antiroulis sur un châssis de bogie, et bogie correspondant
FR3051171A1 (fr) * 2016-05-10 2017-11-17 Alstom Transp Tech Palier de montage d'une barre antiroulis sur un chassis de bogie, et bogie correspondant
CN107380190A (zh) * 2016-05-10 2017-11-24 阿尔斯通运输科技公司 用于将防滚杆安装在转向架框架上的轴承及对应的转向架
US10604166B2 (en) 2016-05-10 2020-03-31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Bearing for mounting an anti-roll bar on a bogie frame, and corresponding bogie
RU2732352C2 (ru) * 2016-05-10 2020-09-15 Альстом Транспорт Текнолоджис Опора для установки стабилизатора попереч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на раме тележк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тележка
CN107380190B (zh) * 2016-05-10 2020-10-30 阿尔斯通运输科技公司 用于将防滚杆安装在转向架框架上的轴承及对应的转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299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299B1 (ko) 철도차량용 안티롤바 장치
JP6340144B2 (ja) 連結器のための垂直バネ支持装置
CN105632337A (zh) 一种用于悬挂装置的安全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28697B1 (ko) 철도 차량용 대차
EP2876018B1 (en) Bogie of rail vehicle
RU132406U1 (ru) Стояночный тормоз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CN105674022A (zh) 一种可快速散热的悬挂式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WO2007148882A1 (en) Shock absorber
CN215662819U (zh) 悬挂机构、底盘及轮式机器人
RU2602267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держивания в вертикальном положении сцепного дышла, шарнирно соединенного с нижней рамой кузова вагона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80017255A (ko) 완충 장치를 갖는 이송 캐스터
CN215632022U (zh) 一种立体车库自落式防坠器
CN105673637A (zh) 一种悬挂装置的电动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679182A (zh) 一种悬挂式部件的新型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796886U (zh) 一种一系悬挂、轨道车辆转向架和轨道车辆
CN214112201U (zh) 一种安全且可调节的牵引装置
CN210566009U (zh) 一种建筑机电设备减震连接装置
CN216551682U (zh) 车位锁及其挡车器
CN111661114A (zh) 一种轨道交通综合监控后端通信控制器
CN219927578U (zh) 一种踏步装置以及特种车辆
CN212435090U (zh) 一种防振动船用中压配电板
CN217289808U (zh) 一种轧机主传动轴防水装置
CN219833215U (zh) 一种板对板连接器
CN221033767U (zh) 一种易于装配的减振器连接板
CN204333080U (zh) 一种蓄电池压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