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024A -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024A
KR20110067024A KR1020117007248A KR20117007248A KR20110067024A KR 20110067024 A KR20110067024 A KR 20110067024A KR 1020117007248 A KR1020117007248 A KR 1020117007248A KR 20117007248 A KR20117007248 A KR 20117007248A KR 20110067024 A KR20110067024 A KR 20110067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on applicator
outer cylinder
large diameter
diameter portion
tamp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와타나베
아키에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2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53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257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53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224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5360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탐폰(2)을 수용하는 대직경부(3A) 및 대직경부(3A)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3A)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3B)를 갖는 외통(3)과, 외통(3) 후단의 개구부(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대직경부(3A)에 수용된 탐폰(2)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외통(3) 전단의 개구부(7)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압출 부재(4)를 가지며, 대직경부(3A)의 외면에, 복수의 오목부(13A 내지 13C)가 형성되고, 대직경부(3A)를, 전방 부분(A1)과 중앙 부분(2A)과 후방 부분(A3)으로 3등분한 경우, 후방 부분(3C)에 형성되는 오목부(13A 내지 13C)의 수는, 전방 부분(A1) 및 중앙 부분(A2)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수 이상이다.

Description

탐폰용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FOR TAMPON}
본 발명은 탐폰을 수용하는 대직경부 및 이 대직경부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직경부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를 갖는 외통과, 이 외통 후단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대직경부에 수용된 탐폰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외통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압출 부재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자가 질강으로부터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꺼냈을 때에, 이러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혈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더러워지는 사태를 막기 위해, 경혈의 흡수 및 유지가 가능한 흡수성 시트에 의해 외통이 피복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998462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489833호
그러나, 전술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는 전술한 흡수성 시트에 의해 외통이 피복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부재 개수의 증가에 의해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이러한 흡수성 시트의 일부가 질강 내에 남을 위험성이 있으며, 외통의 외경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통을 피복하는 흡수성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외통 표면에 부착된 경혈의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탐폰을 수용하는 대직경부 및 이 대직경부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직경부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를 갖는 외통과, 이 외통 후단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대직경부에 수용된 탐폰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외통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압출 부재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탐폰을 수용하는 대직경부 및 이 대직경부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직경부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를 갖는 외통과, 이 외통 후단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대직경부에 수용된 탐폰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외통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압출 부재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면에,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탐폰을 수용하는 대직경부 및 이 대직경부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직경부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를 갖는 외통과, 이 외통 후단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대직경부에 수용된 탐폰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외통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압출 부재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부는, 전방 부분과 중앙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3등분되며, 상기 후방 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수는, 상기 전방 부분 및 상기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수보다 많은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통을 피복하는 흡수성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외통 표면에 부착된 경혈의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대직경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대직경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100A-1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100A-1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대직경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100A-1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대직경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100A-1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대직경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1000A-10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1000A-10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대직경부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외통(3)의 대직경부(3A)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외통(3)과 압출 부재(4)를 갖는다.
외통(3)은 횡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탐폰(2)을 수용하는 대직경부(3A), 및 대직경부(3A)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3A)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3B)를 갖는다.
또한, 외통(3)의 전단에는 방사상 슬릿에 의해 개구부(7)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7)에는 이러한 슬릿에 의해 복수의 편부(片部)(7A)가 형성된다.
압출 부재(4)는 외통(3) 후단의 개구부(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대직경부(3A)에 수용된 탐폰(2)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외통(3) 전단의 개구부(7)로부터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탐폰(2)은 그 후단으로부터 인출 코드(5)가 연장되고, 이러한 인출 코드(5)는 압출 부재(4) 안을 통과하여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 외부에 연장된다.
또한, 외통(3) 안에 수용된 탐폰(2)은 질강 내에 삽입될 때에, 압출 부재(4)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압박되어, 개구부(7)에 형성되는 편부(7A)를 밀어 열어 외통(3)의 외부에 나오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직경부(3A)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10)가 형성된다. 예컨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3A)의 외면에 형성된 개구(10)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어도 좋다.
또한, 도 3(a)의 예에서, 개구(관통 구멍)(10)의 직경은 6 ㎜ 이하이고, 대직경부(3A)의 두께는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의 예에서, 개구(관통 구멍)(10) 끼리의 간격은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개구(관통 구멍)(10) 끼리의 간격이, 2 ㎜ 이상인 경우, 반송시 또는 사용시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고, 개구(관통 구멍)(10) 끼리의 간격이, 5 ㎜ 이상인 경우, 강도도 보다 강하며, 탐폰(2)을 노출하지 않아 외관상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정한 개구(관통 구멍)(10A)에서, 외통(3)의 전단 측 측면(10A1)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의 삽입 방향(D1)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30˚)만큼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특정 개구(관통 구멍)(10B)에서, 외통(3) 후단 측의 측면(10B2)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의 인출 방향(D2)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30˚)만큼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특정 개구(관통 구멍)(10C)에서, 외통(3) 전단 측의 측면(10C1)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의 삽입 방향(D1)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30˚)만큼 경사지고, 외통(3) 후단 측의 측면(10C2)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의 인출 방향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30˚)만큼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외통(3)은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에는,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가 표면에 코팅된 종이나 고무나 나일론 등의 재료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외통(3)은 표면 에너지가 31×10-3 N/m 미만인 폴리에틸렌이나, 표면 에너지가 29×10-3 N/m 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표면 에너지가 20×10-3 N/m 미만인 실리콘 수지나, 표면 에너지가 18.5×10-3 N/m 미만인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외통(3)을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이상인 재료(예컨대,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 등)에 의해 형성한 경우, 외통(3) 표면에 부착된 경혈이 외통(3)을 형성하는 재료 내에 흡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표면 에너지는, 예컨대 교와 계면 화학 제조의 전자동 접촉각계 DM700에 의해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면, 질강 내에서 외통(3)의 표면에 부착된 경혈이, 관통 구멍(10) 안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낼 때에 외통(3)의 표면 상을 흐르는 경혈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더러워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면, 외통(3)의 외면 전체 둘레에 걸쳐 관통 구멍(10)이 형성되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낼 때에 외통(3)의 표면 상을 흐르는 경혈을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질강 내에 삽입할 때에 질강 내에 남아 있는 경혈이 관통 구멍(10)으로 유도되어 부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탐폰(2)의 초기 사용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면, 관통 구멍(10A 내지 10C)의 측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질강 내에 삽입할 때에 질강 내에 남아 있는 경혈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통 구멍(10)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면, 외통(3)의 표면을 티슈 등으로 닦아낸 경우라도, 관통 구멍(10)의 측면에 경혈이 부착되어 남아 있기 때문에, 상기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가 사용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서는, 대직경부(3A)를 전방 부분(A1)과 중앙 부분(A2)과 후방 부분(A3)으로 3등분한 경우에, 후방 부분(A3)에 형성된 개구(10)의 수는, 전방 부분(A1) 및 중앙 부분(A2)에 형성된 개구(10)의 수 이상이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개구(예컨대, 관통 구멍)(10)는 후방 부분(A3)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개구(예컨대, 관통 구멍)(10)는 적어도 후방 부분(A3)에 형성되면 좋고, 후방 부분(A3)에 형성된 개구(10)의 수는 전방 부분(A1) 및 중앙 부분(A2)에 형성된 개구(10)의 수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의하면, 후방 부분(A3) 측을 아래로 하여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내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부착된 경혈은 후방 부분(A3)으로 흐르기 쉬워지지만, 전방 부분(A1)이나 중앙 부분(A2)에 개구(관통 구멍)(10)가 있는 경우, 이러한 개구(관통 구멍)(10)보다 후방 부분(A3) 측에 부착된 경혈이 흐름으로써 손이나 의복을 더럽힐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방 부분(A3)에 많은 개구(10)를 형성하는 편이, 전방 부분(A1) 및 중앙 부분(A2)에 많은 개구(10)가 형성되는 경우보다, 흐르는 경혈을 줄일 수 있다.
(변경예 2)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3A)의 외면에 형성된 개구(11)는, 관통 구멍이 아니라, 소정 깊이를 갖는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변경예 3)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에서는, 대직경부(3A)의 외면에 형성된 개구(11)는 원형 이외의 형상에 의해 형성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개구(12)는 외통(3)의 후단 측으로 만곡된 형상(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개구(12)는 하트 형상이나 캐릭터 형상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구성)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100A-1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100A-1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외통(103)의 대직경부(103A)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는 외통(103)과 압출 부재(104)를 갖는다.
외통(103)은 횡단면이 대략 원형이고, 탐폰(102)을 수용하는 대직경부(103A), 및 대직경부(103A)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103A)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103B)를 갖는다.
또한, 외통(103)의 전단에는, 방사상 슬릿에 의해 개구부(107)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07)에는 이러한 슬릿에 의해 복수의 편부(107A)가 형성된다.
압출 부재(104)는 외통(103) 후단의 개구부(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대직경부(103A)에 수용된 탐폰(102)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외통(103) 전단의 개구부(107)로부터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탐폰(102)은 그 후단으로부터 인출 코드(105)가 연장되고, 이러한 인출 코드(105)는 압출 부재(104) 안을 통과하여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외부에 연장된다.
또한, 외통(103) 안에 수용된 탐폰(102)은 질강 내에 삽입될 때에, 압출 부재(104)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압박되어, 개구부(107)에 형성되는 편부(107A)를 밀어 열어 외통(103)의 외부에 나오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직경부(103A)의 외면에 복수의 볼록부(11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110) 중 하나 이상은 연속된 형상으로 대직경부(1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된 형상으로 대직경부(1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볼록 홈)(110)가 병행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볼록부(110)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된 단면 내에서 주회하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그 외 단면 내에서 주회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볼록부(110)가 대직경부(103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볼록부(110)는 연속된 형상으로 대직경부(103A)의 일부에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9(a)의 예에서, 볼록부(110)의 높이는 0.1 ㎜ 이상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부(110)의 높이가 3 ㎜ 이하인 경우, 외관상 울퉁불퉁한 느낌이나, 사용시의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0)의 높이가 1.5 ㎜ 이하인 경우, 볼록부(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닿은 경우라도, 사용자는 통증 등의 위화감 없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를 질강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0)의 높이가 0.1 ㎜ 이상이 아니면, 외통(103)의 표면에 부착된 경혈을 닦아내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도 9(a)의 예에서, 볼록부(110) 끼리의 간격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부(110) 끼리의 간격은 1 ㎜보다 작으면, 외통(103)을 금형에서 뺄 때에, 볼록부(110)가 부러지거나 조금 부서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볼록부(110) 끼리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볼록부(110)와 볼록부(110) 사이에 들어가는 경혈의 용량이 적어져, 경혈이 볼록부(110)의 측면에 부착되지 않고 넘치기 때문에, 볼록부(110) 끼리의 간격은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볼록부(110)의 폭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또한, 볼록부(110)의 폭은 0.1 ㎜ 이상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록부(110)의 폭은 0.1 ㎜ 미만인 경우, 사용자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사용시에, 통증을 느끼거나, 질강 내에 상처가 날 가능성이 있고, 또한 외통(103)을 금형에서 뺄 때에, 볼록부(110)가 부러지거나 조금 부서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볼록부(110)의 폭이 0.4 ㎜ 이상 3 ㎜ 이하이면, 사용자는 통증 없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를 사용할 수 있고, 제조자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0)의 폭이 8 ㎜보다 크면, 외통(103)의 표면에 부착된 경혈을 닦아내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특정한 볼록부(110)에서, 외통(103) 전단 측의 측면 또는 외통(103) 후단 측의 측면 중 한쪽 이상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삽입 방향 또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인출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볼록부(110)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외통(103) 후단 측의 높이가 외통(103) 전단 측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예컨대,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103) 후단 측의 높이가 외통(103) 전단 측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볼록부(110A)의 상면이 경사져 있어도 좋고, 볼록부(110A)의 상면에 단차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외통(103)은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에는,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가 표면에 코팅된 종이나 고무나 나일론 등의 재료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외통(103)은 표면 에너지가 31×10-3 N/m 미만인 폴리에틸렌이나, 표면 에너지가 29×10-3 N/m 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표면 에너지가 20×10-3 N/m 미만인 실리콘 수지나, 표면 에너지가 18.5×10-3 N/m 미만인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외통(103)을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이상인 재료(예컨대,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 등)에 의해 형성한 경우, 외통(103)의 표면에 부착된 경혈이 외통(103)을 형성하는 재료 내에 흡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표면 에너지는, 예컨대 교와 계면 화학 제조의 전자동 접촉각계 DM700에 의해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의하면, 질강 내에서 외통(103) 표면에 부착된 경혈이, 볼록부(110)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낼 때에 외통(103)의 표면 상을 흐르는 경혈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더러워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의하면, 외통(103)의 외면을 주회하도록 연속된 형상의 볼록부(110)가 형성되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낼 때에 외통(103)의 표면 상을 흐르는 경혈을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의하면, 볼록부(110A 내지 110C)의 측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를 질강 내에 삽입할 때에 질강 내에 남아 있는 경혈을 보다 효율적으로 볼록부(110A 내지 110C)의 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의하면, 외통(103)의 표면을 티슈 등으로 닦아낸 경우라도, 볼록부(110)의 측면에 경혈이 부착되어 남아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의 사용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서는, 대직경부(103A)를, 전방 부분(A101)과 중앙 부분(A102)과 후방 부분(A103)으로 3등분한 경우에, 후방 부분(A103)에 형성된 볼록부(110)의 수는, 전방 부분(A101) 및 중앙 부분(A102)에 형성된 볼록부(110)의 수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볼록부(110)는 후방 부분(A103)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볼록부(110)는 적어도 후방 부분(A103)에 형성되면 좋고, 후방 부분(A103)에 형성된 볼록부(110)의 수는, 전방 부분(A101) 및 중앙 부분(A102)에 형성된 볼록부(110)의 수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의하면, 후방 부분(A103) 측을 아래로 하여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내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부착된 경혈은 후방 부분(A103)으로 흐르기 쉬워지지만, 전방 부분(A101)이나 중앙 부분(A102)에 볼록부(110)가 있는 경우, 이러한 볼록부(110)보다 후방 부분(A103) 측에 부착된 경혈이 흐름으로써 손이나 의복을 더럽힐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방 부분(A103)에 많은 볼록부(110)를 형성하는 편이, 전방 부분(A101) 및 중앙 부분(A102)에 많은 볼록부(110)가 형성되는 경우보다, 흐르는 경혈을 줄일 수 있다.
(변경예 2)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서는, 외통(103)의 외면에 형성된 볼록부(111) 중 하나 이상은 연속한 대략 파형으로 대직경부(1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된다.
(변경예 3)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서는, 복수의 볼록부 중에서, 외통(103)의 가장 후단 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높이가 가장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12A 내지 112C) 중에서, 외통(103)의 가장 후단 측에 형성된 볼록부(112C)의 높이가 가장 높아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볼록부(112A)의 높이가, 볼록부(112A)보다 외통(103)의 후단 측에 형성된 볼록부(112B)의 높이보다 낮아도 좋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13A 내지 113C) 중에서, 외통(103)의 가장 후단 측에 형성된 볼록부(113C)의 높이가 가장 높아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볼록부(113C) 이외의 볼록부(113A, 113B)의 높이가 동일하여도 좋다.
(변경예 4)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서는, 외통(103)에 형성된 볼록부(114) 중 하나 이상은 간헐적인 형상으로 대직경부(1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1)에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선(V1 내지 V3)을 그은 경우, 이러한 가상선(V1 내지 V3)이, 간헐적인 형상으로 대직경부(1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되는 볼록부(114)와 반드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구성)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의 1000A-10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의 1000 A-1000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서의 외통(1003)의 대직경부(1003A)의 확대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는 외통(1003)과 압출 부재(1004)를 갖는다.
외통(1003)은 횡단면이 대략 원형이고, 탐폰(1002)을 수용하는 대직경부(1003A), 및 대직경부(1003A)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1003A)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1003B)를 갖는다.
또한, 외통(1003)의 전단에는 방사상 슬릿에 의해 개구부(1007)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007)에는 이러한 슬릿에 의해 복수의 편부(1007A)가 형성된다.
압출 부재(1004)는 외통(1003) 후단의 개구부(10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대직경부(1003A)에 수용된 탐폰(1002)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외통(1003) 전단의 개구부(1007)로부터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탐폰(1002)은 그 후단으로부터 인출 코드(5)가 연장되고, 이러한 인출 코드(5)는 압출 부재(1004) 안을 통과하여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의 외부에 연장된다.
또한, 외통(1003) 안에 수용된 탐폰(1002)은 질강 내에 삽입될 때에, 압출 부재(1004)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압박되어, 개구부(1007)에 형성되는 편부(1007A)를 밀어 열어 외통(1003)의 외부에 나오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직경부(1003A)의 외면에, 복수의 오목부(1010A 내지 1010C)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010A 내지 1010C) 중 하나 이상은 연속된 형상으로 대직경부(10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된 형상으로 대직경부(10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오목 홈)(1010A 내지 1010C)가 병행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오목 홈(1010A 내지 1010C)은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절단된 단면 내에서 주회하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그 외 단면 내에서 주회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1010A 내지 1010C)가 대직경부(1003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오목부(1010A 내지 1010C)는 연속된 형상으로 대직경부(1003A)의 일부에서 형성되어도 좋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010A 내지 1010C)에서, 외통(1003)의 후단 측의 깊이가 외통(1003)의 전단 측의 깊이보다 깊어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1010A 내지 1010C) 중에서, 외통(1003)의 가장 후단 측에 형성된 오목부(1010C)의 깊이[오목부(1010C) 안의 최심부의 깊이]가 가장 깊어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오목부(1010A)의 깊이[오목부(1010A) 안의 최심부의 깊이]가 오목부(1010A)보다 외통(1003)의 후단 측에 형성되는 오목부(1010B)의 깊이[오목부(1010B) 안의 최심부의 깊이]보다 얕아도 좋고, 오목부(1010C) 이외의 오목부(1010A, 1010B)의 깊이[오목부(1010A, 1010B) 안의 최심부의 깊이]가 동일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1010A 내지 1010C)의 폭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1010A 내지 1010C) 끼리의 간격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한 오목부(1010A 내지 1010C)에서, 외통(1003) 전단 측의 측면 또는 외통(1003) 후단 측의 측면 중 한쪽 이상이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의 삽입 방향 또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의 인출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외통(1003)은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에는,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가 표면에 코팅된 종이나 고무나 나일론 등의 재료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외통(1003)은 표면 에너지가 31×10-3 N/m 미만인 폴리에틸렌이나, 표면 에너지가 29×10-3 N/m 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표면 에너지가 20×10-3 N/m 미만인 실리콘 수지나, 표면 에너지가 18.5×10-3 N/m 미만인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외통(1003)을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이상인 재료(예컨대,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 등)에 의해 형성한 경우, 외통(1003) 표면에 부착된 경혈이 외통(1003)을 형성하는 재료 내에 흡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표면 에너지는, 예컨대 교와 계면 화학 제조의 전자동 접촉각계 DM700에 의해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의하면, 질강 내에서 외통(1003) 표면에 부착된 경혈이, 오목부(1010A 내지 1010C) 안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낼 때에 외통(1003)의 표면 상을 흐르는 경혈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더러워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의하면, 외통(1003)의 외면을 주회하도록 연속되는 형상으로 오목부(오목 홈)(1010A 내지 1010C)가 형성되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낼 때에 외통(1003)의 표면 상을 흐르는 경혈을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의하면, 오목부(1010A 내지 1010C)의 측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를 질강 내에 삽입할 때에 질강 내에 남아 있는 경혈을 보다 효율적으로 오목부(1010A 내지 1010C) 안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의하면, 외통(1003) 표면을 티슈 등으로 닦아낸 경우라도, 오목부(1010A 내지 1010C) 측면에 경혈이 부착되어 남아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가 사용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와의 상위점을 착안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서는, 외통(1003)의 외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011) 중 하나 이상은 연속된 대략 파형으로 대직경부(1003A)를 주회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오목부(1011)에서, 폭이 상이한 부분이 형성된다. 예컨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011)에서, 외통(1003)의 후단 측으로 만곡된 곡 형상 부분(X)의 폭(W1)은, 외통(1003)의 전단 측으로 만곡된 산 형상 부분(Y)의 폭(W2)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011)에서, 외통(1003)의 후단 측으로 만곡된 곡 형상 부분(X)의 깊이가, 외통(1003) 전단 측으로 만곡된 산 형상 부분(Y)의 깊이보다 깊어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변경예 2)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2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오목 홈)(1012)가, 교차하는 2개의 평면(L, M)에 평행한 단면 내에서 주회하도록 형성된다. 평면(L) 및 평면(M)은 직교 관계에 있어도 좋고, 소정 각도로 교차하는 관계여도 좋다.
(변경예 3)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서는, 대직경부(1003A)를, 전방 부분(A1001)과 중앙 부분(A1002)과 후방 부분(A1003)으로 3등분한 경우에, 후방 부분(A1003)에 형성되는 오목부(1013A 내지 1013C)의 수는, 전방 부분(A1001) 및 중앙 부분(A1002)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수보다 많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오목부(1013A 내지 1013C)는 후방 부분(A1003)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예컨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오목부(1013A 내지 1013C)는 후방 부분(A1003)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오목부(1013A 내지 1013C)는 적어도 후방 부분(A1003)에 형성되면 좋고, 후방 부분(A1003)에 형성되는 오목부(1013)의 수는, 전방 부분(A1001) 및 중앙 부분(A1002)에 형성된 개구(13)의 수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의하면, 후방 부분(A1003) 측을 아래로 하여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내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부착된 경혈은 후방 부분(A1003)으로 흐르기 쉬워지지만, 전방 부분(A1001)이나 중앙 부분(A1002)에 오목부(1013A 내지 1013C)가 있는 경우, 이러한 오목부(1013A 내지 1013C)보다 후방 부분(A1003) 측에 부착된 경혈이 흐름으로써 손이나 의복을 더럽힐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방 부분(A1003)에 많은 오목부(1013)를 형성하는 편이, 전방 부분(A1001) 및 중앙 부분(A1002)에 많은 오목부(1013)가 형성되는 경우보다 흐르는 경혈을 줄일 수 있다.
본 변경예 3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의하면, 전방 부분(A1001) 및 중앙 부분(A1002)에 많은 오목부(1013A 내지 1013C)가 형성되는 경우보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를 질강 내로부터 꺼낼 때에 외통(1003)의 표면 상을 흐르는 경혈을 줄일 수 있다.
(변경예 4)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4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001)와의 상위점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되는 형상으로 외통(1003)의 외면을 주회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오목 홈)(1014) 위에, 개구(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 구멍)(1014A)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개구(1014A)의 직경은 오목부(14)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22478호(2008년 8월 29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22575호(2008년 8월 29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22472호(2008년 8월 29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의하면, 외통을 피복하는 흡수성 시트를 이용하지 않고, 외통 표면에 부착된 경혈의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서 유용하다.

Claims (14)

  1. 탐폰을 수용하는 대직경부 및 이 대직경부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직경부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를 갖는 외통과, 이 외통 후단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대직경부에 수용된 탐폰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외통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압출 부재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를, 전방 부분과 중앙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3등분한 경우에, 상기 후방 부분에 형성된 개구의 수는, 상기 전방 부분 및 상기 중앙 부분에 형성된 개구의 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직경은 6 ㎜ 이하이고, 상기 대직경부의 두께는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끼리의 간격은 2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6. 탐폰을 수용하는 대직경부 및 이 대직경부보다 기부 측에 위치하는 상기 대직경부보다 소직경인 소직경부를 갖는 외통과, 이 외통 후단의 개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대직경부에 수용된 탐폰을 후방으로부터 압박하여 상기 외통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압출 부재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면에,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를, 전방 부분과 중앙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3등분한 경우에, 상기 후방 부분에 형성된 볼록부의 수는, 상기 전방 부분 및 상기 중앙 부분에 형성된 볼록부의 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중 하나 이상은 연속 또는 간헐적인 형상으로 상기 대직경부를 주회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중 하나 이상은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에서, 상기 외통의 가장 후단 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높이가 가장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0.1 ㎜ 이상 3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끼리의 간격은 1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기 외통 후단 측의 높이가, 상기 외통 전단 측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14.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표면 에너지가 37×10-3 N/m 미만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KR1020117007248A 2008-08-29 2009-08-28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KR20110067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2472 2008-08-29
JPJP-P-2008-222478 2008-08-29
JP2008222472A JP5285359B2 (ja) 2008-08-29 2008-08-29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JP-P-2008-222575 2008-08-29
JP2008222575A JP5285361B2 (ja) 2008-08-29 2008-08-29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2008222478A JP5285360B2 (ja) 2008-08-29 2008-08-29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024A true KR20110067024A (ko) 2011-06-20

Family

ID=4172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248A KR20110067024A (ko) 2008-08-29 2009-08-28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75977A1 (ko)
EP (1) EP2340795B1 (ko)
KR (1) KR20110067024A (ko)
CN (1) CN102137648A (ko)
AU (1) AU2009284950A1 (ko)
WO (1) WO2010024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23308B (sl) 2010-03-14 2017-07-31 Tosama Tovarna Sanitetnega Materiala D.O.O. Aplikator za iztiskanje vsebin, prednostno tamponov
USD756518S1 (en) * 2014-08-15 2016-05-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US10111786B2 (en) 2015-04-10 2018-10-30 First Quality Hygienic, Inc. Tampon applicator including beveled portion
US9532907B1 (en) * 2015-07-22 2017-01-03 Thinx Inc. Reusable tampon applicato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methods of use
USD772409S1 (en) 2015-11-09 2016-11-22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USD787673S1 (en) 2015-11-09 2017-05-23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Telescoping plunger
CN110505857A (zh) 2017-04-26 2019-11-26 瑞诺福第二附属有限公司 尿失禁装置的导引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3524D0 (en) * 1991-11-06 1992-01-02 Tambrands Ltd Sanitary tampon
US5395308A (en) * 1993-09-24 1995-03-07 Kimberly-Clark Corporation Thermoplastic applicator exhibiting accelerated breakup when immersed in water
US5709652A (en) * 1995-06-28 1998-01-20 Mcneil-Ppc, Inc. Tampon applicator tube having apertured finger grip
US6019743A (en) * 1997-06-30 2000-02-01 Mcneil-Ppc, Inc. Flexible applicator for inserting an article into a mammalin body cavity
DE19856639A1 (de) * 1998-12-03 2000-06-08 Johnson & Johnson Gmbh Tampon-Applikator
JP3998462B2 (ja) * 2001-11-21 2007-10-24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のアプリケータ
EP1832265A3 (en) * 2002-06-21 2012-10-31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pplicator with improved fingergrip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8222575A (ja) 2007-03-08 2008-09-25 Kose Corp 化粧用不織布、該化粧用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該化粧用不織布を用いた化粧方法
JP5023744B2 (ja) 2007-03-09 2012-09-12 Tdk株式会社 グリーンシート用塗料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8222478A (ja) 2007-03-12 2008-09-25 Mitsubishi Chemicals Corp 配向層の形成方法、結晶製造方法、基板、半導体素子、およびiii族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37648A (zh) 2011-07-27
EP2340795A1 (en) 2011-07-06
WO2010024398A1 (ja) 2010-03-04
EP2340795A4 (en) 2014-04-30
EP2340795B1 (en) 2018-03-07
AU2009284950A1 (en) 2010-03-04
US20110275977A1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7024A (ko)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NL1030938C1 (nl) Tampon.
JP5249786B2 (ja) タンポン
JP6337310B1 (ja) 月経用カップ
RU2523111C2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тампона
TWM278379U (en) Sanitary tampon for physiological use
EP1704841B1 (en)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RU2633227C2 (ru) Тампон с вытянутыми формами желобка
US20110238028A1 (en) Tampon with modified constricted withdrawal end
KR20140002722A (ko)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KR20040035840A (ko) 개선된 그립을 가지는 탐폰 어플리케이터
JP5285360B2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5285361B2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5080092B2 (ja) 生理用タンポン
JP5285359B2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2003180742A (ja) 生理用タンポンのアプリケータ
EP3474801B1 (en) Package assembly for or with a tampon applicator
JP2003180741A (ja) タンポン
EP3782594A1 (en) Catheter tampon and telescopic catheter set and finger sheath thereof
KR200382893Y1 (ko) 생리용 탐폰
BE1021216B1 (nl) Tampon met aangepast vernauwd terugtrekkingsei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