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722A -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722A
KR20140002722A KR1020137019937A KR20137019937A KR20140002722A KR 20140002722 A KR20140002722 A KR 20140002722A KR 1020137019937 A KR1020137019937 A KR 1020137019937A KR 20137019937 A KR20137019937 A KR 20137019937A KR 20140002722 A KR20140002722 A KR 20140002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ing
gripping
grip
outer cylind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로 이토
겐타 다니구치
고우이치 야마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 A61F13/266Insertion devices, e.g. rods or plungers, separate from the tamp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흡수체(4)가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흡수체(4)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8)가 제공되고, 타측에 파지 통부(7)가 제공된 외통(2); 및 파지 통부(7)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외통(2) 내로 이동되어 상기 흡수체(4)를 상기 압출 개구(8)를 통해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통(3)을 포함한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또한 상기 외통의 상기 파지 통부(7)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 차양부(11)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파지 차양부(1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걸이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탐폰용 어플리케이터{TAMPON APPLICATOR}
본 발명은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어플리케이터가 붙은 생리용 탐폰이 제공되어 있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는 외통 및 내통을 제공되어 있다. 외통의 내부에는 인출끈을 갖는 흡수체가 수용되어 있다. 생리용 탐폰을 사용시, 사용자가 외통을 파지하여 질에 외통을 삽입한 후, 사용자가 외통을 파지한 상태로 내통을 외통에 대해 압박한다. 사용자가 내통을 외통에 대해 압박할 때, 흡수체가 외통으로부터 압출된 후, 흡수체가 질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생리용 탐폰을 사용시, 사용자가 외통이 적절한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을 삽입하지 않고 흡수체를 압출하면, 종종 질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제조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는 외통의 주위에 연장되는 곡선 형상의 스토퍼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생리용 탐폰을 사용시, 사용자가 스토퍼를 통해 외통을 압박한 후, 질에 외통을 삽입한다. 그 다음, 외통이 적절한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을 삽입한 후, 스토퍼가 질 입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통이 적절한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을 삽입하여, 질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를 배치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321761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스토퍼는 그 외주면이 곡선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삽입시 손가락으로 스토퍼를 파지하려고 하면, 손가락이 미끄러질 우려가 있다. 외통을 삽입할 때 스토퍼를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이 미끄러지면, 적절한 삽입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외통을 삽입할 수 없어서, 질 내부의 적절한 외치에 흡수체를 배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질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는 흡수체가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가 제공되고, 타측에 파지 통부(grip cylinder unit)가 제공된 외통; 파지 통부 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외통 내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흡수체를 상기 압출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통; 및 상기 외통의 상기 파지 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 차양부(grip jaw unit)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파지 차양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파지 차양부의 손가락 걸이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건 상태로 외통을 삽입하기 때문에, 질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또는 각도로 외통을 질에 삽입할 수 있어, 질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흡수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파지 차양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 1에 따른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 2에 따른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3에 따른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4에 따른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5에 따른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6에 따른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파지 차양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파지 차양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7에 따른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파지 차양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며, 도 14(b)는 파지 차양부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외통(2) 및 내통(3)을 갖고 있다. 외통(2) 및 내통(3)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통(2) 및 내통(3) 각각의 단면 형상은 완전한 원의 형상이다. 외통(2) 및 내통(3)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으로 전체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표면을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한 골판지로 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외통(2) 및 내통(3) 각각의 단면 형상은 완전한 원의 형상이지만, 외통(2) 및 내통(3) 각각의 단면 형상은 질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타원형일 수 있다.
외통(2)의 내부에는 탐폰으로서의 흡수체(4)가 수용되어 있다. 흡수체(4)에는 취출 끈(4a)이 연결되어 있다. 취출 끈(4a)은 흡수체(4)의 단부로부터 내통(3)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 삽입 단부가 내통(3)으로부터 빠져 있다. 사용 중에 취출 끈(4a)을 빼는 것에 의해, 흡수체(4)를 신체로부터 뺄 수 있다.
외통(2)의 일단에는 흡수체(4)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8)가 제공된다. 압출 개구(8)에는, 흡수체(4)가 압출될 때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변형되는 꽃잎모양체(8a)가 형성되어 있다. 꽃잎모양체(8a)는 항상 압출 개구(8)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닫힌 채로 유지되지만, 내통(3)에 의해 흡수체(4)가 압출될 때 흡수체(4)에 의해 밀려서 넓혀져서 개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수체(4)가 외통(2)으로부터 압출되어 흡수체(4)를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외통(2)의 타단에는, 외통(2) 및 내통(3)의 이동 조작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되는 파지 통부(7)가 제공된다. 파지 통부(7)는 압출 개구(8)와 파지 통부(7) 사이의 외통 본체(9)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파지 통부(7)에 내통(3)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어 있고, 삽입된 내통(3)의 선단면은 흡수체(4)에 면해 있다. 외통 본체(9)의 파지 통부(7)측 단부는, 파지 통부(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좁혀져 있고, 통부의 외단에는 돌기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5)는 후술하는 파지 차양부(11)에 접촉하여, 파지 차양부(11)를 외통 본체(9)측에 이동시키지 않도록, 파지 차양부(11)의 이동을 규제한다.
파지 통부(7)에는, 파지 통부(7)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파지 차양부(11)가 장착되어 있다. 파지 차양부(11)는 돌기부(8)에 접촉하고 있다. 도 3은 파지 차양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파지 차양부의 측면도이다. 파지 차양부(11)에는, 파지 통부(7)가 삽입되는 구멍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1b)이 직경은 파지 통부(7)의 외주의 직경보다 약간 클 수 있거나, 또는 파지 통부(7)의 외주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파지 차양부(11)의 구멍부(11b)의 내경(D1)은 돌기부(5)의 외경(D2)보다 작다. 따라서, 파지 차양부(11)는 파지 통부(7)의 주위 방향 및 축 방향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파지 차양부(11)는 돌기부(5)에 의해서 돌기부(5)보다 외통 본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는, 파지 차양부(11)의 내경(D1)이 9.9 mm이며; 외통 본체(9)의 외경이 13.7 mm이고; 파지 통부(7)의 외경이 9.4 mm이고; 돌기부(5)의 외경이 10.4 mm이다. 또한, 압출 개구(8)측의 외통(2)의 단부로부터 파지 차양부까지의 길이(L1)(도 2 참조)는 50 mm이며, 파지 차양부(11)의 선단측 면으로부터 파지 통부(7)측의 외통(2)의 단부까지의 길이(L2)(도 2 참조)는 10 mm이다. 또한, 파지 차양부(11)의 선단측 면으로부터 파지 통부(7)측의 외통(2)의 단부까지의 길이(L2)는 사용시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의 길이에 상당하므로, 사용자의 파지 용이성을 고려하여 1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차양부(11)의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파지 차양부(11)는, 파지 차양부(11)의 길이 방향(도시된 바의 Z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긴 변(31); 및 파지 차양부(11)의 폭 방향(도시된 바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짧은 변(32)을 갖는다. 짧은 변(32)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걸이부(1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부(11a)는 각각 구멍부(11b)측(중심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이다. 오목부(11a)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오목부(11a) 중 하나를 따라 손가락을 각각 배치하면서, 파지 차양부(11)를 2개의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다. 따라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체내에 삽압시, 파지 차양부(11)를 잡은 손가락이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적절한 삽입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외통(2)을 삽입할 수 있어서, 질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흡수체(4)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파지 차양부(11)의 평면에서 보아 중심은 파지 차양부(11)의 구멍부(11b)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오목부(11a)는 파지 차양부(11)의 구멍부(11b)를 향한 긴 변(31)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측정시, 길이 방향(도시된 바의 Z 방향)에 있어서 치수(HA2 또는 HB2)를 갖는 소정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a) 각각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각각의 공간(WA2 및 WB2)에 의해 파지 차양부(11)의 긴 변(31)으로부터 내측으로 폭 방향(도시된 바의 X 방향)으로 더 이격되어 있다. 파지 차양부(11)의 길이 방향의 길이(H)는, (i) 중심으로부터 오목부(11a)가 형성된 영역까지의 거리(HA1 및 HB1)를, (ii) 오목부(11a)가 형성된 영역의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HA2 및 HB2)와 합하여 얻은 합에 해당한다.
오목부(11a)의 치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영역이 확보되는 정도로 결정된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사용자의 손톱이 걸릴 수 있는 정도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오목부(11a)가 형성된 영역의 길이 방향의 길이(HA2 및 HB2)는 각각 3 mm이고, 오목부(11a)가 형성된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WA1)는 각각 13 mm이다. 손가락 바닥 부분이 각각의 오목부(11a)에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부(11a)가 형성된 영역의 폭 방향의 치수(WA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 차양부(11)의 길이 방향의 치수에 관해, 양단부 사이의 길이인 최대 치수는 26 mm이며, 중심으로부터 오목부(11a)가 형성된 영역까지의 길이(HA1 및 HB1)는 각각 10 mm이다. 또한, 파지 차양부(11)의 폭 방향의 치수에 관해, 양단부 사이의 치수인 최대 폭 치수는 17 mm이며, 오목부(11a)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 양단까지의 치수(WA2 및 WB2)는 각각 2 mm이며, 오목부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직선 길이(WA3)는 10 mm이다.
파지 차양부(11)의 폭 방향의 치수는 구멍부(11b)의 주위에서의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적어도 구멍부의 내경보다 2 mm 외측으로 연장된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 치수는 17 mm이다. 또한, 파지 차양부(11)의 폭 방향의 치수는 파지 차양부(11) 및 질 입구(100)(도 4 참조)를 서로 접촉시, 체액이 손가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적어도 1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손가락 걸이부로서 2개의 오목부가 제공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오목부는 반드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이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는 짧은 변 위(긴 변(31)의 양단부)에 제공되지만, 이들 오목부는 긴 변 위(31)(짧은 변(32)의 양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오목부를 짧은 변 위에 제공함으로써, 오목부는 긴 변(31) 위에 제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목부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서, 사용자가 더 쉽게 파지 차양부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오목부(11a) 사이의 길이(H1)(도 3 참조)는, 파지 통부(7)의 외경보다 크며, 외통 본체(9)의 외경(D4)(도 2 참조)보다 크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11a)의 길이(H1)는 파지 통부(7)에 형성된 돌기부(5)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파지 차양부(11)의 오목부(11a)를 파지함으로써, 외통(2)의 외주면 등을 파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양부를 쉽게 잡을 수 있어, 삽입시에 힘을 가할 수 있다. 특히, 파지 차양부(11)의 오목부(11a)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주면에 대하여 내측을 향해 움푹 패여 있기 때문에, 오목부(11a)의 오목 부분을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어, 외통(2)을 삽입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차양부(11)는 파지 통부(7)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파지 차양부(11)를 파지한 상태로 외통(2)을 체내에 삽입시, 파지 차양부(11)를 외통(2)에 대하여 회전시켜,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외통(2)을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통(2)의 선단인 압출 개구(8)가 질 입구(100)에 접촉한 상태, 및 파지 차양부(11)가 질 입구(100)에 접촉한 상태에 따라,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잡는 손의 각도 또는 위치가 변화된다. 이 때, 외통(2)에 대하여 파지 차양부(11)를 회전시킴으로써,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대한 손의 위치 또는 각도의 변화에 추종시켜, 파지 차양부(11)와 외통(2) 사이의 상대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잡는 손의 각도 또는 위치가 변화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적절한 힘을 가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파지 차양부(11)의 외주 형상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1a)의 형상과는 별도로, 파지 차양부(11)의 외주면과 파지 차양부(11)의 평면 사이의 교차 부분, 및 긴 변 및 짧은 변(32)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 부분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곡선 형상은 뾰족한 각진 부분을 갖지 않은 구성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직선 형상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파지 차양부(11)의 외주 형상이 이와 같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 차양부(11)를 파지시 얻어지는 감촉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차양부(11)는 금형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사출시에, 파지 차양부(11)는 외통(2)이 성형됨과 동시에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개별적으로 성형되어, 제조 공정 중에 일체 성형 단계를 거쳐 외통과 끼워 맞출 수도 있다. 또한, 파지 차양부(11)는 외통(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 전에 사용자가 서로 끼워 맞추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양태를 설명한다. 도 4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사용자는 흡수체(4) 사용시, 우선 외통(2)이 질(101)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2)을 삽입한다. 도 4는 외통이 질(101)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2)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외통(2)의 파지 통부(7)보다 직경이 큰 파지 차양부(11)를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 차양부(11)를 잡아 외통을 적절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오목부를 따라 집으면서 파지 차양부를 잡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손톱이 길거나 또는 사용자가 모조 손톱을 장착한 경우라도, 사용자는 질 입구(100)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손톱을 향하게 할 수 있어, 손톱이 질 입구와 같은 사용자의 신체에 우연히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손가락의 손톱이 긴 사용자가 파지 차양부(11)를 갖지 않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차양부(11)보다 직경이 작은 파지 통부(7)를 파지하기 때문에, 손톱의 선단이 파지 통부(7)의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손가락의 손톱이 파지 통부(7)의 내측을 향한 상태로 외통(2)을 체내에 삽입하는 경우, 손톱의 선단이 질 입구(100) 또는 그 주위의 사용자의 신체에 우연히 닿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파지 차양부(11)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손톱이 신체에 우연히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통이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2)을 삽입한 상태에서, 파지 차양부(11)의 이면(외통 본체측)의 평면은 질 입구 근방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 외통(2)을 더 삽입하려고 해도, 사용자의 신체에 파지 차양부(11)가 접촉한다. 즉, 파지 차양부(11)는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질 입구 근방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파지 차양부(11)가 외통(2)이 더 삽입되는 것을 정지시킬 때, 사용자는 외통이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2)을 삽입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파지 차양부(11)가 파지 통부(7)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 삽입 동안 파지 차양부(11)의 축 방향 이동이 오목부(11a)에 의해 정지된다. 이 경우, 오목부(11a)는 흡수체(4)가 질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적절한 깊이를 한정한다. 또한, 외통이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외통(2)을 삽입한 상태에서, 질 입구(100)와 손가락 사이에 파지 차양부(11)가 배치되기 때문에, 생리혈과 같은 체액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질 내부의 소정 위치에 외통이 도달할 때까지 외통(2)을 삽입한 후, 사용자는 내통(3)을 외통(2)측을 향해 압박으로써, 외통(2)의 압출 개구(8)로부터 흡수체(4)가 압출되고, 흡수체(4)가 질(101)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식으로, 파지 차양부(11)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질 입구 또는 그 근방에 닿지 않고,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흡수체(4)를 배치할 수 있다. 흡수체(4)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시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어, 탐폰의 사용을 쾌적하게 느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11)의 손가락 걸이부는 한 쌍의 짧은 변 위에 각각 제공되고, 2개 위치에 제공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파지 차양부의 2개 이상의 위치에 손가락 걸이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형예에 따른 파지 차양부를 설명한다. 도 5는 변형예 1에 따른 파지 차양부(12)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변형예 2에 따른 파지 차양부(13)의 평면도이다. 하기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동일한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예 1에 따른 파지 차양부(12)의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파지 차양부(12)의 외주면에는, 손가락 걸이부로서 구멍부(12b)측(중심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총 3개의 오목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2a)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며, 3개의 오목부(12a)는 구멍부(12b)의 중심에 대하여 120° 틀어져 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지 차양부(12)의 외주면을 따라 3개의 오목부(12a)를 제공함으로써,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 차양부(12)를 파지할 수 있어서, 외통(2) 삽입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3개의 오목부(12a) 사이의 간격을 서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오목부(12a)를 통해 균일하게 힘을 가하여 파지 차양부(12)를 잡을 수 있어서, 오목부를 파지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변형예 2에 따른 파지 차양부(13)와 같이, 3개 이상의 손가락 걸이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변형예 2에 따른 파지 차양부(13)의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완전한 원형이다. 파지 차양부의 외주면에는, 손가락 걸이부로서 구멍부(13b)측(중심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총 5개의 동일한 오목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5개의 오목부(13a)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이러한 파지 차양부(13)에 따르면, 사용자는 5개의 오목부(13a) 중에서 손가락을 배치하기 쉬운 1 이상의 오목부(13a)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파지 차양부(12)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손의 크기나 손가락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사용자에 있어서도 파지 차양부를 적절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따른 파지 차양부는, 오목부 사이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도록 오목부를 배치하고 있지만, 이들 오목부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변형예 1에 따른 파지 차양부는, 3개의 오목부 중, 2개의 오목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도록 배치하고, 이 2개의 오목부 각각과 다른 오목부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오목부를 연결하는 선이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이 파지 차양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파지 차양부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또는 완전한 원 이외의 다른 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를 손가락 걸이부로서 설정하지만, 오목부와 오목부 사이의 볼록부를 손가락 걸이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변형예 3 내지 변형예 6에 따른 파지 차양부를 설명한다. 도 7은 변형예 3에 따른 파지 차양부(14)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변형예 4에 따른 파지 차양부(15)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5에 따른 파지 차양부(15)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변형예 6에 따른 파지 차양부(17)의 평면도이다.
변형예 3에 따른 파지 차양부(14)의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부분적으로 타원형이며,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손가락 걸이부로서 구멍부(14)측(중심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오목부(14a)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파지 차양부(14)에 의해서도, 파지 차양부의 양단부를 2개의 손가락으로 적절히 집을 수 있다.
변형예 4에 따른 파지 차양부(15)의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하트형이다. 파지 차양부의 외주면에는, 손가락 걸이부로서 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15d), 및 볼록부(15d) 사이에서 중심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 차양부(15)에 따르면, 사용자는 볼록부(15d) 또는 오목부(15a)를 손가락으로 걸면서 파지 차양부(15)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차양부(15)의 외형이 하트형이기 때문에, 의료용구적인 탐폰을 파지 차양부(15)에 의해 귀엽게 장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생리시의 우울한 기분을 완화할 수 있어, 다음 번의 탐폰의 사용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통(2)의 삽입시에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잡지 않은 손으로 대음순을 넓힐 수 있어, 이 상태로 외통(2)을 질내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신체의 앞측으로부터 손을 뻗어 대음순을 넓히기 때문에, 신체의 앞측의 대음순이 넓어지고, 신체의 뒤측(항문측)의 대음순은 넓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대음순의 개구 형상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이 된다. 한편, 하트형의 파지 차양부(15)는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대음순의 개구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대음순의 개구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파지 차양부를 이용함으로써, 파지 차양부(15)가 대음순에 잘 걸리지 않아, 탐폰용 어플리케이터(1)를 체내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변형예 5에 따른 파지 차양부(16)의 외형 및 변형예 6에 따른 파지 차양부(17)의 외형은 평면에서 보아 각각 동물의 머리 형상이다. 파지 차양부(16)는 곰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지 차양부(17)는 고양이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곰의 귀 부분 및 고양이의 귀 부분은 얼굴 부분보다 외측으로 더욱 돌출되어 있어, 손가락 걸이부로서의 볼록부(16d, 17d)가 된다. 또한, 귀 부분인 볼록부(16d, 17d) 사이의 오목부는 각각 손가락 걸이부로서의 오목부(16a, 17a)의 하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지 차양부의 외형을 동물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의료용구적인 탐폰을 파지 차양부에 의해 귀엽게 장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생리시의 우울한 기분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파지 차양부에 색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파지 차양부에 부여하는 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하트형의 파지 차양부에는 적색 또는 핑크색을 부여할 수 있거나, 또는 곰 형상의 파지 차양부에는 갈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파지 차양부에 색을 부여함으로써, 파지 차양부를 눈에 띄게 할 수 있어서, 특히 화장실과 같은 어두운 장소에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파지 차양부(18)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파지 차양부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용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18)에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와 같이, 외통(2)의 파지 통부(7)가 삽입되는 구멍부(18b)가 형성되어 있고, 구멍부의 표면에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11)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18)는 외형 및 손가락 걸이부의 구성이 서로 상이하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18)의 외주 형상은 완전한 원의 형상이다. 손가락 걸이부는 사용자의 손톱이 걸리는 손톱 걸이부(18e)이다. 손톱 걸이부(18e)는 구멍부(18b)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평면(18f)에 형성되어 있고, 파지 차양부(18)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지 차양부(18)가 제공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사용시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의 손톱을 손톱 걸이부(18e)에 삽입하여 외통(2)을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질 입구(100)에 외통(2)을 접촉시키면서 질에 삽입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바닥 부분에서 외통(2)을 파지하고; 외통(2)이 최종 단계에서 눌릴 때에는, 사용자가 손톱을 손톱 걸이부(18e)에 삽입함으로써, 파지 차양부(18)를 통해 외통(2)이 체내로 밀릴 수 있다.
또한, 손톱 걸이부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18)의 손톱 걸이부(18e)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변형예 7에 따른 파지 차양부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변형예 7에 따른 파지 차양부(19)의 평면도이다.
파지 차양부(19)의 외주 형상은 완전한 원 형상이다. 파지 차양부(19)의 손가락 걸이부는, 손가락의 바닥 부분이 걸리는 오목부(19a); 및 손가락의 손톱 부분이 걸리는 손톱 걸이부(19a)를 갖는다. 오목부(19a)는 파지 차양부(19)의 외주면으로부터 구멍부(19b)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톱 걸이부(19e)는 구멍부(19b)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평면(19f)에 형성되어 있고 파지 차양부(19)의 두께 방향으로 파지 차양부(19)를 관통하는 구멍부이다. 또한, 파지 차양부(19)는 손가락의 바닥 부분이 접하는 오목부(19a); 및 손가락의 손톱 부분이 접하는 손톱 걸이부(19e)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삽입시에 어느 하나의 손가락 걸이부를 적절히 선택하여 파지 차양부(19)를 잡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며, 유사한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의 파지 차양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20)는 손가락 걸이부로서의 고무부(20g)를 갖는다. 고무부(20g)는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외주면을 덮도록 제공된다. 이 파지 차양부(20)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 차양부(20)를 파지할 때, 파지 차양부(20)의 고무부(20g)가 탄성 변형하여, 손가락으로 고무부를 집었을 때 느끼는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 계수가 높은 고무부(20g)를 이용함으로써 손가락이 잘 미끄러지지 않아, 적절하게 파지 차양부(20)를 지지한 상태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를 체내에 삽입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파지 차양부(20)에는 외주면에 고무부가 제공되지만, 이러한 고무부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무부를 파지 차양부(20)의 구멍부(20b)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파지 차양부의 전체 표면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 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의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 항목으로 정리될 수 있다:
흡수체; 상기 흡수체가 수용되며, 대향측, 대향측의 하나에 있는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 및 타측에 있는 파지부를 갖는 중공형 외측 부재; 중공형 외측 부재에 삽입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여 흡수체를 압출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압출하는 내측 부재; 및 중공형 외측 부재의 파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 차양부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파지 차양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톱에 의한 파지 차양부의 파지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톱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적어도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파지 차양부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상기 오목부가 파지 차양부의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압출 개구로부터 떨어진 파지 차양부의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상기 오목부가 상기 평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지 차양부는 파지부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은 흡수체; 상기 흡수체가 수용되며, 대향측, 대향측의 하나에 있는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 및 타측에 있는 파지부를 갖는 중공형 외측 부재; 중공형 외측 부재에 삽입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여 흡수체를 압출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압출하는 내측 부재; 및 중공형 외측 부재의 파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 차양부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파지 차양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파지 차양부의 파지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변형되거나 이를 마찰에 의해 끼워 맞추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정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톱 걸이부는 파지 차양부의 두께 방향 전체에 연장되지 않고 파지 차양부의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여 있다. 또한, 손가락 걸이부는 파지 차양부의 두께 방향으로 파지 차양부의 전체 두께를 관통할 수 있다. 파지 차양부는 파지 통부의 축 방향으로 파지 통부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외통은 축 방향으로 파지 차양부의 이동을 제한하고 흡수체가 사용자의 체내에 배치될 수 있는 적절한 깊이를 한정하는 볼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 차양부는 외통에 착탈 가능하다.
본원은 그 개시 내용 전체를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일본 출원 제2010-290081호의 우선권 주장을 청구한다.

Claims (8)

  1. 흡수체가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흡수체가 압출되는 압출 개구가 제공되고, 타측에 파지 통부(grip cylinder unit)가 제공된 외통;
    파지 통부 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외통 내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흡수체를 상기 압출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압출 가능한 내통; 및
    상기 외통의 상기 파지 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파지 차양부(grip jaw unit)
    를 포함하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상기 파지 차양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파지 차양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파지 차양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차양부의 외주 형상은 곡선 형상인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차양부에는 상기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는 3 이상의 동일한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파지 차양부의 외주면에 제공된 고무부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파지 차양부의 표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손톱이 걸리는 손톱 걸이부를 갖는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차양부는 상기 외통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KR1020137019937A 2010-12-27 2011-12-27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KR201400027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0081 2010-12-27
JP2010290081A JP5851094B2 (ja) 2010-12-27 2010-12-27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PCT/JP2011/007305 WO2012090488A1 (en) 2010-12-27 2011-12-27 Tampon appl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22A true KR20140002722A (ko) 2014-01-08

Family

ID=4638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937A KR20140002722A (ko) 2010-12-27 2011-12-27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86282B2 (ko)
EP (1) EP2658495A4 (ko)
JP (1) JP5851094B2 (ko)
KR (1) KR20140002722A (ko)
CN (1) CN103269665B (ko)
AU (1) AU2011353402B2 (ko)
TW (1) TW201238571A (ko)
WO (1) WO20120904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117A (ko) 2018-05-03 2019-11-13 윤성구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1310B2 (ja) * 2011-03-01 2015-10-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5715993B2 (ja) * 2012-09-12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6043566B2 (ja) * 2012-10-01 2016-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5623666B1 (ja) * 2014-04-04 2014-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のアプリケータ
CN105342744B (zh) * 2015-12-08 2017-12-15 张波 一种小巧的女用避孕套置入器及其使用方法
WO2017117313A2 (en) 2015-12-29 2017-07-06 CEEK Enterprises Sleeve for speculum and use thereof
CA3009515A1 (en) 2015-12-29 2017-07-06 CEEK Enterprises Insertable sleeve for speculum and use thereof
EP3397133B1 (en) 2015-12-29 2020-04-22 Ceek Women's Health, Inc. Speculum with locking mechanism
EA201891552A1 (ru) * 2015-12-30 2019-02-28 В-Вейл-Ап-Фарма Лимитед Морфо-анатомическое гибкое полотно
USD816839S1 (en) * 2016-07-22 2018-05-01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Menstrual product applicator
USD819814S1 (en) * 2016-07-22 2018-06-05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Menstrual product applicator
USD819206S1 (en) * 2016-07-22 2018-05-29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USD829905S1 (en) 2016-07-22 2018-10-02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USD819813S1 (en) 2016-07-22 2018-06-05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CN108313660B (zh) * 2017-01-16 2024-05-03 北京想象无限科技有限公司 用于吸收体的定向系统及定向方法
US10456016B2 (en) 2017-05-05 2019-10-29 CEEK Enterprises Applicator for a speculum accessory sleeve and use thereof
USD986415S1 (en) 2020-09-11 2023-05-16 Ceek Women's Health, Inc. Speculum
WO2022197981A1 (en) * 2021-03-17 2022-09-22 Folluo Sarah Protective ring for tampon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5113A (en) * 1975-01-09 1978-11-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licator for inserting hygienic media into body cavities
US4048998A (en) * 1976-02-19 1977-09-20 The Gillette Company Tampon inserter
US4198978A (en) * 1977-09-29 1980-04-22 The Gillette Company Adjustable tampon inserter
US4447222A (en) * 1981-08-03 1984-05-08 Sarnt Sartinoranont Tampon inserter
JPS606518U (ja) * 1983-06-22 1985-01-17 花王株式会社 タンポンのアプリケ−タ−
US4895559A (en) * 1987-08-04 1990-01-23 Shippert Ronald D Nasal pack syringe
ZA938595B (en) * 1992-12-23 1994-08-05 Ndm Acquisition Corp Wound dressing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deep wounds.
US5397332A (en) * 1993-09-02 1995-03-14 Ethicon, Inc. Surgical mesh applicator
US5395309A (en) * 1993-10-08 1995-03-07 Merocel Corporation Nasal pack applicator
US5437628A (en) * 1993-11-10 1995-08-01 Kimberly-Clark Corporation Curved tampon applicator having an improved fingergrip
US5507807A (en) * 1994-03-01 1996-04-16 Shippert; Ronald D. Apparatus for the release of a substance within a patient
JP3217617B2 (ja) 1994-10-21 2001-10-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5683358A (en) * 1994-12-29 1997-1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licator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substance
US5709652A (en) * 1995-06-28 1998-01-20 Mcneil-Ppc, Inc. Tampon applicator tube having apertured finger grip
US5817047A (en) * 1997-03-17 1998-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22531B1 (en) * 1999-06-25 2001-11-27 Mcneil-Ppc, Inc. Insertable applicator having a pivotal finger grip tab
US6511452B1 (en) * 2001-09-21 2003-01-28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pplicator with improved fingergrip
US6786883B2 (en) * 2002-04-15 2004-09-07 Ronald D. Shippert Applicator for insertion of cargo into a body cavity
US7141036B2 (en) * 2002-06-04 2006-11-28 Syringe, Llc Methods of applying a medicinal substance
JP4249047B2 (ja) * 2004-01-30 2009-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7846171B2 (en) * 2004-05-27 2010-12-07 C.R. Bar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prosthetic fabric into a patient
US20070021708A1 (en) * 2005-07-22 2007-01-25 Bertulis Eugenia M Tampon applicator having a multi-directional rim
WO2007146270A2 (en) * 2006-06-12 2007-12-21 Playtex Products, Inc. Tampon assembly providing proper bodily placement of a pledget
KR101166956B1 (ko) * 2006-08-04 2012-07-19 플레이텍스 프로덕츠, 엘엘씨. 개선된 제어 및 거즈 배치를 위한 탐폰 삽입 장치
US20080167599A1 (en) 2007-01-10 2008-07-10 The Procter & Gamble Comapny Active applicator
US20080167598A1 (en) * 2007-01-10 2008-07-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e applicator
US8062245B2 (en) * 2007-02-08 2011-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f-orienting applicator
US8075512B2 (en) * 2007-04-13 2011-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or having an enhanced gripping region
US7935098B2 (en) * 2008-03-31 2011-05-03 Mcneil-Ppc, Inc. Applicator for intravaginal devices
US8529598B2 (en) * 2009-02-20 2013-09-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puncture closur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117A (ko) 2018-05-03 2019-11-13 윤성구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0488A1 (en) 2012-07-05
EP2658495A1 (en) 2013-11-06
AU2011353402A1 (en) 2013-07-18
US20130331763A1 (en) 2013-12-12
CN103269665A (zh) 2013-08-28
JP5851094B2 (ja) 2016-02-03
CN103269665B (zh) 2015-07-01
EP2658495A4 (en) 2017-06-07
AU2011353402B2 (en) 2015-12-10
US9186282B2 (en) 2015-11-17
TW201238571A (en) 2012-10-01
JP2012135450A (ja)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722A (ko)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EP2578195B1 (en) Tampon applicator
US7241274B2 (en) Sanitary tampon
US6890324B1 (en) Tampon applicator
CA2659887C (en) Tampon applicator fingergrip having one or more flared portions
US20040199102A1 (en) Tampon applicator assembly
TWI533850B (zh) Tampons for tampons
CN111093578B (zh) 卫生棉条施加器
CN211485255U (zh) 导管式卫生棉条及其伸缩导管组及卫生棉条指套
KR20090031013A (ko) 탐폰 어플리케이터
CA2521246C (en) Improved tampon applicator assembly
JP6043566B2 (ja)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AU2004228005B2 (en) A barrel for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US20210052435A1 (en) Catheter tampon and telescopic catheter set and finger sheath thereof
CN112402107A (zh) 导管式卫生棉条及其伸缩导管组及卫生棉条指套
ITVA20030008U1 (it) Pettine con dentatura intercambiabile innestabile in una impugnatura
CA2779057A1 (en) Tampon applicator fingergrip having one or more flared por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