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117A -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117A
KR20190127117A KR1020180051279A KR20180051279A KR20190127117A KR 20190127117 A KR20190127117 A KR 20190127117A KR 1020180051279 A KR1020180051279 A KR 1020180051279A KR 20180051279 A KR20180051279 A KR 20180051279A KR 20190127117 A KR20190127117 A KR 2019012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rotating plate
air cylinder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윤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구 filed Critical 윤성구
Priority to KR102018005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7117A/ko
Publication of KR2019012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1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3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원단이나 세탁물 등의 건조 처리를 위해 공급되는 열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분배하기 위하여 각 배관라인에 설치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해 관로 내에 설치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로서, 열풍이 유통되는 관로와, 이 관로의 외측에 배치되어 신축되는 로드를 갖는 에어 실린더와, 이 에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색하기 위한 회동판과, 상기 관로의 내벽에 장착되어 회동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탄성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에어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판을 이용하여 대형 배관 내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보다 정확하고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계동작을 수행하는 요소들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고장 발생율을 억제함과 동시에 제작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싼값으로 제품 공급이 가능하다는 잇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OPENING AND CLOSING VALVE DEVICE FOR PIPE}
본 발명은 섬유원단이나 세탁물 등의 건조 처리를 위해 공급되는 열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분배하기 위하여 각 배관라인에 설치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세탁업소에서는 다량의 젖은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해 고온의 열기가 공급되는 챔버(Chamber) 내로 세탁물을 통과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섬유 원단의 염색공정이 완료된 후에 건조를 행하거나 혹은 직물을 일정한 폭으로 조정하여 제품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텐타기의 경우에도 별도 설비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각 배관라인을 통해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대규모 시설에 장착되어 있는 단일 배관이나 혹은 복합적으로 라인을 이루고 있는 배관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체들이 흐르게 되며, 이 유체의 양은 조건에 맞춰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의 이동경로에 따라 특정 배관을 통해서는 유체가 흐르는 것을 차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추기 위한 산업용 밸브는, 대개 작동방식에 따라 핸드 휠, 기어박스, 레버 등을 사용하여 수동에 의해 개폐를 단속하는 수동 밸브나 전동식, 공기식 등의 설비를 이용하여 개폐를 단속하는 자동밸브, 또는 유체 압력, 부력, 원심력 등에 의해 개폐를 단속하는 자주식 밸브로 분류된다.
통상, 대형가스 배관라인 등에 주로 설치되는 볼 밸브를 이용한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케이싱 구조의 밸브몸체 내에 회전개폐 볼 및 밸브스템, 개폐구동수단을 수용한 상태에서 밸브몸체의 상측에 설치된 조작핸들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조작핸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구동수단에 의해 감속 제어되어 밸브스템으로 전달되고, 이 동력에 의해 회전개폐 볼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배관라인의 개폐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볼 밸브는, 다양한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개폐구동수단이 밸브스템과 상시적인 연결관계를 구성하여 밸브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 및 설치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밸브의 개폐조작시에 만족할 만한 토오크 감속기능은 기대할 수 없음은 물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또한, 회전개폐 볼의 작동범위, 예컨대 회전개폐 볼에 의해 이루어진 배관라인의 개폐각도를 작업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으므로 밸브의 개폐 정도를 인지하지 못하여 무리한 동력 전달로 인해 밸브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2011-0139922호(2011.12.30 공개) - 배관 장치. 등록특허 제0936511호(2010.01.05 등록) - 배관용 밸브의 안전 개폐장치.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2722호(2014.05.09 공개) - 배관 개폐장치. 공개실용신안 제2014-0005321호(2014.10.14 공개) - 배관 개폐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배관 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에어 실린더의 가동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열풍의 흐름여부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각각의 연계동작을 수행하는 요소들의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고장 요인을 줄이고 제작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해 관로 내에 설치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로서, 열풍이 유통되는 관로와, 이 관로의 외측에 배치되어 신축되는 로드를 갖는 에어 실린더와, 이 에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색하기 위한 회동판과, 상기 관로의 내벽에 장착되어 회동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탄성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 끝단부는 회동판의 측면부에 유동하도록 결속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을 유지하는 축이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동시에 회동판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완충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에는 회동판의 개방시에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에어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판을 이용하여 대형 배관 내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보다 정확하고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계동작을 수행하는 요소들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고장 발생율을 억제함과 동시에 제작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싼값으로 제품 공급이 가능하다는 잇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742445호에 개시된 배관용 밸브 개폐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개폐식별 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5는 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주요 구성도,
도 7은 도 6에서의 회동판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측면에서 본 도면,
도 9는 에어 실린더의 로드와 관로의 밀폐구조를 나타낸 일부분 도면,
도 10a는 에어 실린더의 로드와 회동판의 연계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도면,
도 10b는 스톱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1742445호에 개시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 밸브 개폐장치는, 케이싱 본체(1) 및 상부 마감커버와(2)와, 상기 케이싱 본체(1) 내에 설치되는 동력조합체(3)와, 개폐 식별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 본체(1)에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측 벽의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보며 대향하는 한쌍의 고정브라켓(11)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바닥면에는 작동축 설치공(121)이 마련된 마감판(12)이 형성되며, 외경 둘레에 격벽 공간을 이룸과 동시에 하부면이 개방된 설치유도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 본체(1)의 내측 일면에 수평 돌출구조를 이루는 한쌍의 스톱샤프트(14)가 설치되고, 이 스톱샤프트(14)는 개폐 종동축(33)에 구비된 섹터기어(332)의 좌,우측 단부를 제한된 회동범위 내에서 단속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상부 마감커버(2)는 케이싱 본체(1)의 개방된 상부면에 결합되는 덮개를 구성하게 되며, 상부 일측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된 구동축 설치관(21)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구동축 설치관(21)과 근접한 타측면에 종동축 설치관(2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동력조합체(3)는 케이싱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좌,우 양측 단부에 베어링(B)이 결합되어 일측면에 종동 베벨기어(311)가 구비된 웜 샤프트(31)와, 상단부에 렌치연결구(32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구동 베벨기어(322)가 구비되어 상부 측에 복수개의 베어링(B)이 결합된 구동축(32)과, 하단부에 베어링(B)과 연계된 구동 평기어(33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섹터기어(322)가 구비되어 상부측에 베어링(B)이 결합된 종동축(33)과, 상단부에 베어링(B)과 연계된 종동 평기어(341)가 형성되고 하단면 중앙에 축 연결공(342)이 구비된 작동축(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 식별부재(4)는 원형구조로서 회동유도캡(41)이 형성되고, 이 회동유도캡(41)의 상부면에 방향표시자(42)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배관용 밸브 개폐장치의 결합관계에 있어서는, 케이싱 본체(1)의 내부에 동력조합체(3)를 수용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면에 상부 마감커버(2)를 결합시킨 후 종동축(33)의 상단면에 개폐식별 부재(4)를 결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동력조합체(3)는 한쌍의 고정브라켓(11,11')에 수평 걸림되도록 웜 샤프트(31)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웜 샤프트(31)의 종동 베벨기어(311)에 구동 베벨기어(322)가 맞물리도록 구동축(32)이 설치된다.
상기 웜 샤프트(31)의 타측 외경면에는 섹터기어(332)가 맞물리도록 개폐종동축(33)이 설치되고, 이 개폐종동축(33)에는 구동평기어(331) 및 종동평기어(341)가 맞물린 상태에서 개폐작동축(34)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관용 밸브 개폐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또는 기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회전개폐 볼(10) 및 밸브스템(20)이 내장된 형태로서, 상부면에 개폐장치 설치관(30)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으로 배관(40)이 형성된 통상의 밸브 하우징(1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또, 상기 케이싱 본체(1)의 설치유도홈(13)을 밸브 하우징(100)의 개폐장치 설치관(30)의 상단부 내,외경면에 삽입되게 함에 따라 케이싱 본체(1)를 밸브 하우징(100)과 결합되게 한다.
이 때, 케이싱 본체(1)와 밸브 하우징(10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작동축(34)은 축연결공(342)에 의한 축 연결관계로서 밸브스템(20)의 상단부와 동력이 연결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수동렌치(도시생략)를 렌치연결구(321)에 연결하여, 구동축(3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 회전시키게 되면, 그 구동축(32)의 회전력은 동력연결된 웜 샤프트(31)와, 구동축(33), 그리고 작동축(34)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이 동력은 밸브스템(20)으로 전달되어 회전개폐 볼(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배관라인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작동관계를 통해 배관라인을 단속하는 경우, 종동축(33)의 상단면에 결합된 개폐식별 부재(4)는, 종동축(33)의 정,역 회전방향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게 되며, 작업자로 하여금 밸브의 개폐상태와 개폐범위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싱 본체(1)에 설치된 스톱샤프트(14)는 종동축(33)에 구비된 섹터기어(332)의 동력회전반경을 단속하기 위하여 섹터기어(332)의 좌,우측 단부면과 제한된 반경 범위 내에서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유체 또는 기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회전개폐 볼(10) 및 밸브스템(20)이 내장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배관(40)의 상측에 설치되는 개폐장치 설치관(30)을 포함하여 회전개폐 볼(10)의 형상에 맞춰 배관(40)을 제작해야만 하는 구조상의 어려움이 있다.
더구나, 회전개폐 볼(1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여러 기어들의 맞물림에 의존하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시에 연계동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유체 흐름에 대한 누수를 방지할 수 없고, 대형 배관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a, 도 10b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기술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된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보일러(도시생략)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이 유통되는 관로(50)와, 이 관로(50)의 외측에 배치된 에어 실린더(51)와, 이 에어 실린더(51)의 작동에 의해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색하기 위한 회동판(52)과, 상기 관로(50)의 내벽에 장착되는 탄성링(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관로(50)의 경우, 대형 세탁물 처리업체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배관 시설을 갖추고 있는 업체에서 많이 사용되는 Ø300㎜ 정도 이상인 것으로서, 관로(50) 내에는 고온/고압의 열풍이 흘러 각각의 사용처로 공급된다.
또, 상기 에어 실린더(51)는 관로(5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 패널 상의 제반 입력조건에 따라 작동하여 로드(54)를 소정 행정만큼 신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통상의 시판중인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 실린더(51)의 로드(54)는 관로(5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조립되어 직선운동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로드(54)와 관로(50) 사이를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로(50)의 내부에는 에어 실린더(51)의 가동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판(52)이 설치되어 축(55)을 중심으로 정,역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축(55)의 양 끝단부는 관로(50)에서 돌출하여 하우징(56) 내로 수용됨과 동시에 완충패킹(57)을 개재하여 볼트(58a)로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56)의 상단에 커버(59)가 씌워져 볼트(58b)에 의해 폐색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51)를 구성하는 로드(54)의 끝단부에는 브라켓(60a)이 장착됨과 동시에 회동판(52)의 일 측면부에 연계된 브라켓(60b)이 연결편(61)을 개재하여 핀(62a,62b)을 중심으로 유동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회동판(52)이 작동하도록 중심을 이루는 축(55)은 회동판(52)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간격(L)을 두고 일측으로 편심(偏心)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회동판(5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완충링(63)이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관로(50)의 내벽에 장착되는 탄성링(53)은 고무 등의 탄력을 갖는 몸체(64a) 및 이 몸체(64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편(64b)을 포함하여 관로(50)의 홈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64c)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로(50)의 내벽면에 볼트(6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관로(50)의 일측에는 회동판(52)의 개방시에 회동되는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6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스톱퍼(66)는 관로(50) 상에 장착되어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봉(67a)을 포함하여 관로(50)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돌출링(67b) 및 덮개(67c) 사이에 시일링(68)을 개재하여 볼트(69)로 체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실린더(51)의 로드(54)가 조립되는 관로(50)에는 밀폐부재(7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밀폐부재(70)는 외주 둘레면이 관로(50)에 용접 처리되는 케이싱(71) 및 이 케이싱(71)에 시일링(72)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마감캡(73)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71)의 내부에 패킹(74) 및 스프링(7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은 관로(50)를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하게 되며, 열풍 공급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 전기적인 제어를 통해 에어 실린더(51)를 가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에어 실린더(51)에 의해 로드(54)를 당겨주게 되면 회동판(52)이 축(5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탄성링(53)에 접촉하여 도 7에서와 같이 관로(50)를 막아 열풍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링(53)에 형성된 고정돌기(64c)가 관로(50)의 홈에 끼워져 유지됨에 따라 탄성링(53)이 밀려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회동판(5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완충링(63)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로드(54)와 회동판(52)은 각각의 브라켓(60a,60b)이 연결편(61)에 의해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에어 실린더(51)의 가동에 의해 로드(54)를 밀어주게 되면 회동판(52)이 축(5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탄성링(53)에서 분리되어 관로(50)를 열어 줌으로써 열풍을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 스톱퍼(66)를 구성하는 고정봉(67a)에 의해 회동판(52)이 개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동판(52)을 유지하기 위한 축(55)은 회동판(52)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간격(L)을 두고 일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작동시의 저항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축(55)의 양 끝단부는 관로(50)의 외주면 상에 장착된 하우징(56) 내에 수용되어 완충패킹(57)을 개재하여 커버(59)에 의해 폐색됨에 따라 누수 방지는 물론 유지보수를 손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봉(67a)의 경우, 양측 끝단부가 관로(50)의 외측에 설치되는 돌출링(67b) 및 덮개(67c) 사이에 시일링(68)을 개재하여 볼트(69)로 체결되어 있고, 또 상기 에어 실린더(51)의 로드(54)와 관로(50) 사이에는 밀폐부재(7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에 있어서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회동판을 이용하여 대형 배관 내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보다 정확하고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계동작을 수행하는 요소들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고장 발생율을 억제함과 동시에 제작 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싼값으로 제품 공급이 가능하다는 잇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50: 관로 51: 에어 실린더
52: 회동판 53: 탄성링
54: 로드 55: 축
56: 하우징 57: 완충패킹
58a,58b: 볼트 59: 커버
60a,60b: 브라켓 61: 연결편
62a,62b: 핀 63: 완충링
64a: 몸체 64b: 고정편
64c: 고정돌기 65: 볼트
66: 스톱퍼 67a: 고정봉
67b: 돌출링 67c: 덮개
68: 시일링 69: 볼트
70: 밀폐부재 71: 케이싱
72: 시일링 73: 마감캡
74: 패킹 75: 스프링

Claims (4)

  1.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생성된 열풍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해 관로 내에 설치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로서,
    열풍이 유통되는 관로(50)와,
    이 관로의 외측에 배치되어 신축되는 로드를 갖는 에어 실린더(51)와,
    이 에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관로를 개방하거나 폐색하기 위한 회동판(52)과,
    상기 관로(50)의 내벽에 장착되어 회동판(52)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탄성링(5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51)의 로드(54) 끝단부는 회동판(52)의 측면부에 유동하도록 결속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52)을 유지하는 축(55)이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는 동시에 회동판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완충링(63)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51)의 로드(54)가 조립되는 관로(50)에는 밀폐부재(70)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밀폐부재는 관로에 용접 처리되는 케이싱(71) 및 이 케이싱에 시일링(72)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마감캡(73)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패킹(74) 및 스프링(7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50)에는 회동판(52)의 개방시에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6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KR1020180051279A 2018-05-03 2018-05-03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KR20190127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79A KR20190127117A (ko) 2018-05-03 2018-05-03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79A KR20190127117A (ko) 2018-05-03 2018-05-03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17A true KR20190127117A (ko) 2019-11-13

Family

ID=6853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279A KR20190127117A (ko) 2018-05-03 2018-05-03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7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7062A (zh) * 2023-08-08 2023-09-05 福建菲达阀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蝶阀软密封阀座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11B1 (ko) 2008-12-31 2010-01-15 (주)폴리텍 배관용 밸브의 안전 개폐장치
KR20110139922A (ko) 2010-06-24 2011-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장치
KR20140002722A (ko) 2010-12-27 2014-01-0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KR20140005321A (ko) 2011-04-04 2014-01-1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11B1 (ko) 2008-12-31 2010-01-15 (주)폴리텍 배관용 밸브의 안전 개폐장치
KR20110139922A (ko) 2010-06-24 2011-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장치
KR20140002722A (ko) 2010-12-27 2014-01-0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탐폰용 어플리케이터
KR20140005321A (ko) 2011-04-04 2014-01-1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7062A (zh) * 2023-08-08 2023-09-05 福建菲达阀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蝶阀软密封阀座结构
CN116697062B (zh) * 2023-08-08 2023-10-24 福建菲达阀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蝶阀软密封阀座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4950A (en) Valve
NO20120540A1 (no) Koplingsapparat som brukes sammen med elektriske aktuatorer
US3015963A (en) Valve mechanism
US20180180186A1 (en) Line blind valve
KR20190127117A (ko) 배관용 개폐밸브 구조체
US2973181A (en) Valve
KR20090055322A (ko) 보일러용 삼방밸브
US20040183040A1 (en) Flow control valve
US3529621A (en) Integral stop construction for plumbing fitting
US3387631A (en) Push-pull valve
US3580540A (en) Rotatable multiport valve with fluid pressure controlled valve means
US3584784A (en) Mixing valve for hot and cold water
US2718233A (en) Valves
CN114294438B (zh) 一种具有紧急阻断功能的石油机械阀门
US3364944A (en) Valve
US2971533A (en) Pressure operated mixing valve
CN111059315B (zh) 一种全焊接锻钢球阀
US3680597A (en) Dual valve construction
US3913618A (en) Valve
US2974767A (en) Combined pump and torque transmitting coupling
US2961003A (en) Single-acting piston pump and valve unit
US2444018A (en) Hydraulic pulsator drive mechanism
CN220037810U (zh) 一种手动阀制动阀双水路结构
CN214946451U (zh) 一种带锁定功能的蝶阀
KR20110071369A (ko) 수동 회전이 가능한 3방 밸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