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049A - 판재 적치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적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049A
KR20110064049A KR1020090120471A KR20090120471A KR20110064049A KR 20110064049 A KR20110064049 A KR 20110064049A KR 1020090120471 A KR1020090120471 A KR 1020090120471A KR 20090120471 A KR20090120471 A KR 20090120471A KR 20110064049 A KR20110064049 A KR 20110064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drive
load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953B1 (ko
Inventor
이해연
김영주
남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2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9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21D43/22Devices for pil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판재 특히, 후판 제품들을 적치하면서 출하(납기) 순서에 맞추어 해당 후판제품의 추출을 가능하게 한 판재 적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판재 적치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판재의 장치 인입과 추출을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이동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재 승강블록을 포함하는 판재 승강-이송 유닛; 및, 상기 판재 추출용 이송테이블측에 무한 궤도로 작동되는 구동체인에 판재의 임시 적치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판재 적치대를 구비하는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후판 제품들을 이동시키면서 적치하고 출하(납기) 스케줄에 맞추어 원하는 제품의 장치 추출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기존 베드 적치방식에 의한 제품의 납기 지연과 제품 변형이나 표면 결함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고 품질의 제품의 출하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1020090120471
판재 적치, 판재 적치장치, 판재 궤도형 적치

Description

판재 적치장치{Plate St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판재 특히, 후판 제품 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후판 제품들을 궤도 이동시키면서 적치하고 납기 스케줄에 맞추어 원하는 제품의 장치 추출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기존 베드 적치방식에 의한 제품의 납기 지연과 제품 변형이나 표면 결함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고 품질의 제품의 출하를 가능하게 하는 판재 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재 특히, 근래 조선 업계의 호황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선박용 후판 제품은, 원하는 납기에 공급하는 것이 중요함은 물론, 수요가가 원하는 품질에도 맞추어야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근래에서 후판 제품의 생산 단계에서의 품질 유지는 물론, 생산된 후판 제품의 출하 시스템 예를 들어, 후판 제품의 생산, 출하 및 납기가 중요시 되고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종래에 생산된 후판제품의 출하전 적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생산 완료된 판재 특히, 후판제품(100)은, 이송테이블(110)을 따라 정해진 적치장소의 적치베드(120)상에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적치한다.
그런데, 종래 후판제품(110)의 베드 적치방식은, 고객사로부터 주문을 받아 납기 순서가 정해짐에도 불구하고, 그 납기 순서와는 상관없이 단순하게 적치장소로 입고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로 적치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종래 후판제품(100)의 적치방식은, 입고 순서 대로 그냥 쌓아서 적치하기 때문에, 입고 순서와는 다르게 후판제품의 납기일이 서로 다르므로, 실제 출하시에는 후판제품의 적치순서와 출하(납기) 순서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 1에서 하측에 적치된 후판제품(100)을 상측에 적치된 후판제품(100)보다 먼저 출하(납기)하여야 하는 경우, 상측에 적치된 후판제품들을 임시적으로 이적해야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도 1과 같은 단순 베드 적치방식의 경우에는, 생산 완료된 후판제품의 과다한 이적 작업이 발생되고, 이는 불필요한 작업을 동반하게 하는 비효율적인 제품 출하방식인 것이다.
특히, 하나의 후판제품을 여러번 이적하는 경우, 이적시 또는 재적치시 제품간 또는 제품과 설비간 충돌 등이 발생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제품 표면에 충돌 홈등과 같은 표면 결함이 발생되고, 이는 정상적으로 생산된 제품을 불량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후판제품의 임시 적치인 이적 작업이 늘어나면서, 불필요한 크레인 작 업과 다수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생산성도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한, 후판제품의 이적과 장기간의 무순서별 적치는 후판제품의 판 변형을 초래하고, 이는 변형된 후판 제품을 다시 교정, 열처리, 초음파 등의 재 생산 작업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들 후판 제품의 공정 투입을 위한 이동에도 상당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순한 베드 적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후판제품의 이적작업 대신에, 이송테이블의 설비 연장을 통하여 이송을 다변화하는 경우에도, 후판제품의 과도한 연장 이송으로 표면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후판 제품을 무한 궤도형의 적치방식을 통하여, 적치 상태에서 원하는 제품의 신속 출하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기본의 이적이 동반된 제품 출하가 방지되어 고 품질의 제품 출하(납기)를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후판 제품들을 궤도 이동시키면서 적치하고 납기 스케줄에 맞추어 원하는 제품의 장치 추출을 가능하게 한 판재 적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베드 적치방식에 의한 제품의 납기 지연과 제품 변형이나 표면 결함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고 품질의 제품의 출하를 가능하게 하는 판재 적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판재의 장치 인입과 추출을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테이블;
상기 이송테이블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이동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재 승강블록을 포함하는 판재 승강-이송 유닛; 및,
상기 판재 추출용 이송테이블측에 무한 궤도로 작동되는 구동체인에 판재의 임시 적치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판재 적치대를 구비하는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적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이송유닛의 이동블록은, 이송 테이블의 이송롤러사이에 설치된 레일에 안착되고, 양측으로 구동 체인 또는 구동 와이어가 연결되어 이송롤 사이에서 왕복 이동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체인과 이동블록사이에는 견인와이어가 연결되고,상기 견인와이어와 구동와이어는 전,후측에 설치된 다수의 구동 스프로켓과 구동풀리를 경유하여 이동블록의 전,후측에 연결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승강-이송 유닛의 판재 승강블록은, 상기 이동블록에 형성된 안착부에 설치된 구동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안착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의 구동체인은, 상기 추출측 이송테이블의 양측으로 전,후방에 설치된 수직 고정대에 모터로서 구동토록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켓과 회전 스프로켓을 매개로 무한 궤도도 회전 작동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의 판재 적치대는, 상기 구동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체인을 가로질러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동아암에 공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블록에 수직 설치되되, 절곡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는 평탄한 판재 적치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판재 적치대는, 판재 적치시 평형을 이루도록 무게 중심이 사전에 조정 설치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측 이송테이블의 이송롤러가 장착된 이송롤러 장착대와 상기 이송롤러 장착대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수직 설치되는 구동실린더로 구성된 이송롤러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후판 제품들을 궤도 이동시키면서 적치하고 납기 스케줄에 맞추어 원하는 제품의 장치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베드 적치방식에 의한 제품의 납기 지연과 제품 변형이나 표면 결함 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고 품질의 제품의 출하를 가능하게 하는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적치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2 및 도 3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판재 승강-이송 유닛(30)의 실시 형태를 다르게 한 차이가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적치장치(1)는, 크게 판재의 장치 인입과 추출을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테이블(10)(20)과, 상기 이송테이블(10)(20)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이동블록(32)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재 승강블록(34)을 포함하는 판재 승강-이송 유닛(30) 및, 상기 판재 추출용 이송테이블(40)측에 무한 궤도로 작동되는 구동체인(62)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판재 적치대(64)를 구비하는 궤도형 판재 적치유 닛(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판재 적치장치(1)는, 이송 테이블(10)(20)을 이용하여 판재 즉, 후판제품(2)의 판재 적치장치 인입과 필요시 추출을 수행하면서, 상기 판재 승강-이송 유닛(30)을 통하여 후판제품(2)은, 상기 입측 및 출하측 이송 테이블 (10)(20)사이에서 이동하고, 이때 후판제품(2)은 상기 궤도형(무한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60)에서 입고 순서 대로 적치되다가 그 출하(납기) 순서에 따라 장치에서의 출하가 수행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장치는 후판 제품들을 다수개 적치하지만, 무한궤도로 후판제품들을 이동시키면서, 장치 추출(출하) 순서에 맞추어 해당 후판제품의 신속한 추출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본 발명 장치는 자체적으로 후판제품들의 이동방식의 적치를 구현하기 때문에, 기존 베드 방식의 후판제품 적치에 의한 과도한 이적작업이 발생되지 않고, 따라서 적치, 출하 과정에서의 제품 품질 저하는 방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 장치의 이송 테이블(10)(20)과 판재 승강 및 이송 유닛(30) 및, 판재 적치유닛(6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 장치와 관련된 이송 테이블(10)(20)은 장치의 전,후측으로 제품 입고측 이송 테이블(10)과 제품 추출측 이송테이블(20)로 구성되고,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들 이송 테이블에는 복수의 이송롤러(12)(22)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전면에서 볼 때, 입고 측 이송 테이블(10)은 장치 우측에서 중앙측까지 이송롤러(12)들이 배치되고, 추출측 이송 테이블(20)은, 장치 중앙에서 장치 좌측으로 이송롤러(22)들이 배치된다.
다음, 도 2, 도 3 및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판재 적치장치(1)의 상기 판재 승강-이동 유닛(30)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판재 승강-이송 유닛(30)에 구비된 이동블록(32)은, 앞에서 설명한 제품 입고 및 추출측 이송 테이블(10)(20)의 이송롤러(12)(22)사이에 설치된 레일(36)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32)의 양측에는 도 2와 같이 길게 연장 설치된 구동체인(40)이 연결된 견인와이어(42)가 연결되거나, 또는 도 3과 같이, 상기 이동블록(32)의 양측에는 구동 와이어(44)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42)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체인(40)은 도 2와 같이, 장치 전,후방으로 설치된 모터(M)로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켓(40a)으로 무한뒈도로 이동한다.
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구동와이어(44)는, 장치 전,후방으로 설치된 모터(M)로서 구동되는 구동풀리(44a)로서 무한뒈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체인과 구동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32)은 레일(36)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블록은 장치에 인입된 후판제품(20)을 상기 적치유닛(60)으로 이동 투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2와 같은 구동체인(40) 또는 도 3과 같은 구동와이어(44)중 하나를 선택하여 판재 이동블록(32)의 전후 이동을 구현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판재 중량이 무거울수록 구동체인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 다.
이때, 상기 레일(36)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입측 및 추출측 이송테이블(10)(20) 보다는 길게 신장되고, 상기 레일과 이동블록은 이송롤러(12)(22)사이로 다수개가 동일한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판재가 후판제품인 경우 그 무게가 상당한 중량을 갖기 때문에, 상기 이동블록(32)은 여러개가 이동하면서 고중량의 후판제품을 이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시 상기 판재 즉, 후판제품(2)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승강 및 이송유닛(30)의 판재 승강블록(34)은, 상기 이동블록(32)에 형성된 안착부(46)에 설치된 구동실린더(48)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48)의 전진시 상기 승강블록(34)은, 이송롤러 사이에서 승강하면서, 이송롤러 상의 후판제품을 약간 상승시키고, 이때 후판제품은 이송롤러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록(32)의 레일을 따른 이동으로 상기 후판제품은 인입측 이송테이블(10)에서 추출측 이송테이블(2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실린더는 도 5와 같이 길게 신장된 이동블록의 내부 안착부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블록이 이동하므로, 실린더의 유압 또는 공압을 구현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유압 또는 공압관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판재 승강-이송 유닛(30)의 이동블록(32)과 레일(36)의 이동 및 설치 높이 및 간격은, 다음에 설명하는 판재 적 치유닛(60)의 판재 적치대(64)의 폭 등을 감안하여 사전에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장치(1)에서, 판재 즉, 후판제품(2)들의 임시적치를 통하여 출하 순서에 맞추어 해당 후판제품을 적정한 시점에서 추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궤도형(무한궤도형) 판재 적치유닛(60)의 구동체인(62)은, 도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 추출측 이송테이블(20)의 양측으로 전,후방에 설치된 수직 고정대(66)에 모터(68)로서 구동토록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켓(70)과 회전 스프로켓(72)을 매개로 무한 궤도도 회전 작동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대(66)는 추출 이송테이블(20)의 좌우 및 전후측에 각각 총 4개기 바닥에서 수직 설치되고, 이들을 가로질러 가로대(미부호)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수직한 고정대(66)의 상,하측에는 모터(68)로서 구동되는 구동 스프로켓(70)과 3개의 회전 스프로켓(72)이 설치되고, 이들사이에 상기 구동체인(62)이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고, 장치 전면에서 볼때 양측에 각각 구동체인(62)이 고정대를 따라 측면에서 볼때 마름모 형태의 무한궤도로 작동된다.
이때, 도 4,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체인(62)을 가로질러 구동체인(62)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동아암(74)에는 여러개의 지지블록(76)들이 베어링(B)을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아암(74)은 실제로는 구동체인 연결핀(미부호)에 커플링(C)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3,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이동아암(74)에는 여러개의 지지블록(76)들이 소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이들 지지블록(76)의 하부 에는 상기 판재 적치대(64)가 장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 적치대(64)는, 판재 적치시 평형을 이루도록 무게 중심이 사전에 조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재 적치대(64)는, 판재인 후판제품(2)이 적치대(64)에 적치되는 경우 평형을 유지하도록 절곡된 형태이고, 특히 이와 같은 판재 적치대의 하부에는 평탄한 판재 적치부(78)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구동체인(62)을 가로질러 설치된 여러개의 이동아암 (74)에는 여러 개의 지지블록(76)과 판재 적치대(64)가 연결되어, 복수의 판재 적치대를 통하여 하나의 판재 즉, 후판제품(2)이 적치 이송될 수 있다.
즉, 판재 적재유낫(60)의 고정대 일측 하부의 구동모터(M)가 구동됨에 따라 무한궤도로 구동체인(62)이 구동되면, 양측 구동체인에 연결된 이동아암(74)에 장착된 지지블록(76)들의 하부 판재 적치대(64)의 판재 적치부(78)에는 후판제품이 적치대 이동방향에 따라 적치되고, 이동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블록(32)과 승강블록(34)을 통하여 이동된 판재 후판제품(2)이 추출 이송테이블(20)의 이송롤러(22)에 안착되면, 상기 적치대(64)가 무한궤도로 이송하다가 이송롤러에 있는 후판제품(2)을 들어서 올리면서 이동시키면서 적치하데 된다.
한편, 여러 개의 후판제품(2)이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여러개의 적치대상에 적치된 상태로 무한궤도 이동하다가, 후판제품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구동체인(62) 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적치대에 적치된 후판제품은 이송테이블의 이송롤러(22)측에 높이고, 따라서 적치대만 도 4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후판제품은 이송테이블의 작동에 따라 추출된다.
즉, 본 발명 판재 적치장치(1)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복수개의 후판제품들을 임시적으로 적치하면서, 출하 순서에 맞추어 후판 제품의 추출을 적정하게 조정하면서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더 바람직한 것은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추출측 이송테이블(20)의 이송롤러들 중 적어도 판재 적치유닛(60)의 고정대 내측에 위치되어 판재 적치대(64)의 이동공간에 배치된 이송롤러(22)들은 판재 적치후 추출시 궤도 이동하는 판재 적치대(64)상의 후판제품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기 이송롤러(22)가 설치되는 롤러 장착대(82)와 상기 롤러 장착대(82)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실린더(84)를 포함하는 이송롤러 승강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판제품(2)이 판재 적치대(64)의 적치부(78)에 적치된 상태에서, 도 2 및 도 4b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후판제품(2)이 추출측 이송테이블(10)의 이송롤러(22)와 간섭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실린더(84)는 후진 작동되고,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84)상의 롤러 장착대(82)와 롤러 장착대상에 설치된 이송롤(22)들이 하강하여 후판제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롤러 승강유닛(80)은, 본 발명 판재 적치대(64)의 궤도 이동방향이 시계반향이든 반시계방향이든 판재가 이송롤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 다.
이때, 상기 판재 적치대(64)의 최하단 부분은 도 4b와 같이, 판재 승강-이동 유닛(30)의 이동블록(32)이 안착되는 이송테이블 사이에 연장 설치된 레일(36) 보다는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후판제품(2)이 추출측 이송테이블로 진입(반시계 또는 시계방향)되기 전체, 상기 이동블록(32)은 추출측 이송테이블의 전방으로 미리 이동되어 있으며, 추출측 이송테이블에서 적치유닛 고정대 내의 후판제품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이송롤러의 하강이 이루어 지면서, 판재의 이동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여러 개의 판재 적치대(64)에 적치된 후판제품중 출하(납기) 순서에 따라 추출이 필요하면, 구동체인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후판제품은 이송테이블의 이송롤러(22)사이로 위치 이동된 이동불록상의 승강블록(34)에 높이고, 승강블록(34)이 하강하면 후판제품(2)은 도 4b와 같이 승강유닛의 작동으로 다른 이송롤러와 동일 선상으로 상승 대기중인 이송롤러에 놓이고, 그 다음 이송테이블을 통하여 해당 후판제품이 추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4b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롤러 승강유닛(80)은 롤러 양측에 설치되고, 이와 같은 이송롤러 장착대(82)는, 롤축이 연결된 베어링블록과 롤러 구동을 위한 모터가 장착대에 설치된 지지판상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판재 적치장치(1)에 의하면, 다량의 후판제품을 이동시키면서 적치하고, 필요한 경우 출한(납기) 순서에 해당하는 후판제품을 적정한 시기에 출하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 베트 적치방식에 비하여 후판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면 원활한 출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판재 적치후 추출시 발생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개랙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적치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 판재 적치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장치와 연계되는 판재 인출 및 추출 이송테이블을 기준으로 도 3의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에서 판재 승강-이송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 판재 승강-이송 유닛의 판재 승강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의 판재 적치유닛의 적치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장치의 판재 적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판재 적치장치 10,20.... 이송테이블
30.... 판재 승강-이송 유닛 32.... 이동블록
34.... 판재 승강블록 36.... 레일
40.... 구동체인 42.... 견인와이어
44.... 구동와이어 46.... 안착부
48.... 구동실린더 60.... 판재 적치유닛
62.... 구동체인 64.... 판재 적치대
66.... 수직 고정대 68.... 모터
70.... 구동 스프로켓 72.... 회전 스프로켓
74.... 이동아암 76.... 지지블록
78.... 판재 적치부 80.... 이송롤러 승강유닛

Claims (7)

  1. 판재의 장치 인입과 추출을 가능토록 제공된 이송테이블;
    상기 이송테이블사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이동블록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판재 승강블록을 포함하는 판재 승강-이송 유닛; 및,
    상기 판재 추출용 이송테이블측에 무한 궤도로 작동되는 구동체인에 판재의 임시 적치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판재 적치대를 구비하는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적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승강-이송 유닛의 이동블록은, 이송 테이블의 이송롤러사이에 설치된 레일에 안착되고, 양측으로 구동 체인 또는 구동 와이어가 연계되어 이송롤 사이에서 왕복 이동토록 구성된 판재 적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인과 구동와이어는 전,후측에 설치된 다수의 구동 스프로켓과 구동풀리를 경유하여 이동블록의 전,후측에 연계 구성된 판재 적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승강-이송 유닛의 판재 승강블록은, 상기 이동블록에 형성된 안착부에 설치된 구동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안착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판재 적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의 구동체인은, 상기 추출측 이송테이블의 양측으로 전,후방에 설치된 수직 고정대에 모터로서 구동토록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켓과 회전 스프로켓을 매개로 무한 궤도도 회전 작동토록 제공된 판재 적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형 판재 적치유닛의 판재 적치대는, 상기 구동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체인을 가로질러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동아암에 공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블록에 수직 설치되되, 절곡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는 평탄한 판재 적치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판재 적치대는, 판재 적치시 평형을 이루도록 무게 중심이 사전에 조정 설치된 판재 적치장치.
  7.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추출측 이송테이블의 이송롤러가 장착된 이송롤러 장착대와 상기 이송롤러 장착대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수직 설치되는 구동실린더로 구성된 이송롤러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판재 적치장치.
KR1020090120471A 2009-12-07 2009-12-07 판재 적치장치 KR101271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71A KR101271953B1 (ko) 2009-12-07 2009-12-07 판재 적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71A KR101271953B1 (ko) 2009-12-07 2009-12-07 판재 적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49A true KR20110064049A (ko) 2011-06-15
KR101271953B1 KR101271953B1 (ko) 2013-06-07

Family

ID=4439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471A KR101271953B1 (ko) 2009-12-07 2009-12-07 판재 적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55259A (zh) * 2015-01-16 2015-04-29 中国重汽集团青岛重工有限公司 新型卷绕式动力传递装置
KR102473280B1 (ko) * 2021-08-27 2022-12-05 주식회사 포스로지스 후판 적치 보관을 위한 이동식 스토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후판 선별 및 정렬 시스템, 그리고 후판 선별 및 정렬 시스템의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833A (ja) * 1995-04-15 1996-10-29 Nippon Steel Corp 板材の昇降移載装置
JP3386960B2 (ja) * 1995-11-27 2003-03-17 松下電工株式会社 板材の積載方法及びその積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953B1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3555B2 (ja) 板材搬出入棚装置
US4764074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JP5643804B2 (ja) 板材保管棚
CN109703096B (zh) 一种开板机
CN212531447U (zh) 一种自动化板材码垛装置
CN112707174A (zh) 一种物流搬运用的设备
KR101934180B1 (ko)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KR101271953B1 (ko) 판재 적치장치
CN112027681A (zh) 一种自动化板材码垛装置
KR100974063B1 (ko) 창고용 박스 반입 및 반출 시스템
JP2009298540A (ja) 長尺材の集積装置
KR100467540B1 (ko) 환봉 자동공급장치
RU25006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заготовок с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н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CN216637711U (zh) 一种储片机
KR101622278B1 (ko) 이송물 적재장치
CN209480456U (zh) 一种存储升降机
KR100782730B1 (ko) 후크 위치 가변형 선재코일 이송장치
KR101576619B1 (ko) 연탄의 정렬 및 적재기구
CN115228973B (zh) 桥梁钢板矫平装置
CN109573627A (zh) 一种包装箱码垛机
KR101559355B1 (ko) 타이어의 분배 장치
CN215796163U (zh) 一种钢带加工线的钢板储存装置
US3139170A (en) Blasting machine loader
JPS6229333B2 (ko)
KR200303891Y1 (ko) 환봉 자동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