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180B1 -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 Google Patents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180B1
KR101934180B1 KR1020170019165A KR20170019165A KR101934180B1 KR 101934180 B1 KR101934180 B1 KR 101934180B1 KR 1020170019165 A KR1020170019165 A KR 1020170019165A KR 20170019165 A KR20170019165 A KR 20170019165A KR 101934180 B1 KR101934180 B1 KR 101934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pallet
boxes
box
frui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290A (ko
Inventor
안용균
여영철
Original Assignee
(주)진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영산업 filed Critical (주)진영산업
Priority to KR102017001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1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the stack being lowered by mobile grippers or holders onto ad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상자가 적재된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파레트 피딩수단,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좌, 우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들중 제일 앞열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동작으로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를 파레트에서 빼내 해체시키는 푸셔플레이트로 구성한 제 1해체수단, 상기 제 1해체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푸셔플레이트를 통해 파레트에서 빠져나온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를 공급받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단 네 모서리면을 받쳐주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 하 이동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승, 하강시키는 승강샤프트,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위쪽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샤프트의 동작으로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승강하면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중에서 제 2세트 과일상자의 양측을 가압 클램핑하는 클램프실린더로 구성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진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를 각각 선별장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2해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A REMOVAL DEVICE OF THE KNOB OF FRUIT CONTAINER}
본 발명은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를 해체시켜 선별장치로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한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과일이나 농산물들을 크기별로 대량 선별하여 공급하는 대단지 농장이나 공동단지에서는 자동으로 선별이 가능한 각종 과일이나 농산물(이하, 과일이라 칭함)은 선별기를 이용하여 크기별로 자동 선별하고 있다.
그리고 선별된 과일은 포장라인으로 옮겨 적정 무게별로 포장한 후, 시중에 유통하고 있다.
한편, 과일을 선별하는 기계는 과일을 크기 혹은 무게별로 선별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치로서, 크게 형상선별 방식과 중량선별 방식, 혹은 기계식으로 과일의 크기를 선별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기계적인 과일 선별방식은 선별 대상의 과일이 투입되는 과일 투입유닛, 다수의 선별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과일 투입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 스프링을 통해 상기 과일을 선별하는 과일 선별유닛 및 상기 과일 선별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과일 선별유닛에서 선별된 과일이 배출되는 과일 배출유닛으로 구성하고 있다.
한편, 과일은 선별기로 이송되기 전, 통상 과일상자에 담겨진 상태로 이송되는 데, 이때 과일상자는 파레트 위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된 상태에서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를 통해 선별기로 이송시킨 다음, 작업자가 과일상자를 하나씩 직접 들어낸 후, 과일상자에 담긴 과일을 선별기로 투하시켜 과일을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한다.
그러나 농장이나 공공단지와 같은 곳에서는 하루에도 매우 많은 양의 과일을 선별하게 되는 데, 언급한 바와 같이 선별을 위해 이송된 과일상자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작업자가 들어낼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그만큼 더뎌져 작업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1-0114132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과일박스를 해체시켜 선별장치로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한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박스 해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레트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를 순차적으로 빼내 해체하는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일상자가 적재된 파레트를 이송시키는 파레트 피딩수단,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구동원의 동력으로 좌, 우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들중 제일 앞열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동작으로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를 파레트에서 빼내 해체시키는 푸셔플레이트로 구성한 제 1해체수단, 상기 제 1해체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푸셔플레이트를 통해 파레트에서 빠져나온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를 공급받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단 네 모서리면을 받쳐주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 하 이동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승, 하강시키는 승강샤프트,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위쪽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샤프트의 동작으로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승강하면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중에서 제 2세트 과일상자의 양측을 가압 클램핑하는 클램프실린더로 구성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진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를 각각 선별장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2해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실린더의 아래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진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중에서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중앙에 정위치시키도록 하는 위치조정실린더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의 앞쪽에는 과일상자가 해체된 빈 파레트를 적재하는 파레트 적재수단이 더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레트 적재수단은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에서 공급된 빈 파레트를 받쳐주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상기 승강대를 승,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의 승강 동작으로 상승한 상기 파레트들중 제일 아래쪽의 파레트 양측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실린더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직접 과일박스를 공급할 필요없이 과일박스가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를 해체장치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과일박스를 파레트에서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빼내 과일 선별을 위한 선별장치로 공급토록 함으로서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높은 작업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일상자가 적재된 파레트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박스 해체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파레트 피딩수단의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제 1해체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제 2해체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제 2해체수단의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14는 파레트 적재수단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파레트 적재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레트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별장치로 공급할 필요없이 파레트에 적재된 상태로 공급된 과일박스를 해체시켜 선별장치로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한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박스 해체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될 해체라는 용어는 파레트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를 자동으로 들어내 선별장치로 이송시키는 의미를 뜻한다. 이때 과일상자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파레트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놓여진 3개의 과일상자를 "제 1세트 과일상자"로 명명할 때, 상기 "제 1세트 과일상자" 옆 횡방향으로 동일한 구조의 "제 1세트과일상자" 3개를 배치하여 바닥에 총 3개의 제 1세트 과일상자가 놓여지도록 하고, 상기 3개의 제 1세트 과일상자 위에 다시 동일한 방식의 제 2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가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5단 적재시킨 상태에서 지게차를 통해 해체장치로 투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체장치는 파레트(P)에 적재된 과일상자들중 제 1해체수단(20)이 동작하여 파레트(P)의 제일 앞열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된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를 인출시키도록 하고, 이어서 제 2해체수단(40)이 동작하여 상기 제 2세트과일상자(2)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5)는 수직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제일 아래쪽에 배치된 제 1세트 과일상자(1)만 다음 공정인 선별장치(200)로 인출시키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파레트(P)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를 선별장치(200)쪽으로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일상자가 적재된 파레트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파레트에는 3개의 개별 과일상자를 한 세트로 구성한 "제 1세트 과일상자(1)" 3개를 파레트(P) 위에 횡방향으로 적재하고, 상기 3개의 제 1세트 과일상자(1) 위에 동일한 방식(즉, 제1세트 과일상자와 같이 3개의 개별 과일상자를 한 세트로 구성)의 3개의 제 2세트 과일상자(2) 내지 3개의 제 5세트 과일상자(5)를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적재시키게 된다.
도 2는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박스 해체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박스 해체장치는 크게 파레트 피딩수단(10), 제 1 내지 제 2해체수단(20, 40) 그리고 파레트 적재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10)은 3개의 개별 과일상자를 한 세트로 구성한 "제 1세트 과일상자(1)"를 4개를 파레트 위에 횡방향으로 적재하고, 상기 4개의 제 1세트 과일상자(1) 위에 동일한 방식(즉, 제1세트 과일상자와 같이 3개의 개별 과일상자를 한 세트로 구성)의 4개의 제 2세트 과일상자(2) 내지 4개의 제 5세트 과일상자(5)가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P)를 제 1해체수단(20)의 입구로 이송시키는 수단이다.
도 4는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10)의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파레트 피딩수단(10)은 기둥부재인 수직프레임(12), 상기 수직프레임(12) 위에 올려지는 지지프레임(14), 상기 지지프레임(14)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며 상기 파레트(P)를 받쳐준 상태에서 구동모터(18)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파레트(P)를 제 1해체수단(20)의 입구쪽으로 이송시키는 롤컨베이어(16)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파레트(P)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았으나, 파레트(P)의 정위치를 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18)를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파레트(P)를 제 1해체수단(20)의 입구쪽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해체수단(20)은 파레트 피딩수단(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10)을 통해 이송된 파레트(P)에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들중 상기 파레트(P)의 제일 앞쪽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즉, 개별 과일상자로는 15개)를 파레트(P)에서 일차적으로 인출시킨 다음, 후 공정인 제 2해체수단(40)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5는 상기 제 1해체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해체수단(20)은 지지수단인 메인프레임(22), 상기 메인프레임(22)에 지지되며 모터(24)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26), 상기 볼스크류(26)의 외경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더(28)에 결합되며 전술한 파레트 피딩수단(10)의 동작으로 제 1해체수단(20)의 입구에 정위치한 과일상자들중 제일 앞쪽에 적재되어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8)의 동작으로 상기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를 파레트에서 인출 동작시키는 푸셔플레이트(30) 및 상기 푸셔플레이트(30)의 동작에 따라 파레트(P)에서 인출 동작한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를 후 공정인 제 2해체수단(40)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2)로 구성한다.
상기한 제 1해체수단(20)은 파레트 피딩수단(10)의 동작으로 제 1해체수단(20)의 입구에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가 정위치하면 모터(24)가 구동하며 볼스크류(26)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26)의 외경에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더(28)는 상기 볼스크류(26)의 나사산을 타고 이동하며 푸셔플레이트(3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푸셔플레이트(30)에 접촉되어 있던 제일 앞쪽의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5)는 파레트(P)에서 인출된 후, 컨베이어(32)를 통해 제 2해체수단(40)으로 자동 공급되어 진다.
상기 제 2해체수단(40)은 상기 제 1해체수단(20)의 컨베이어(32) 출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 1해체수단(20)의 컨베이어(32)를 타고 이송된 제 1세트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5)중에서 제일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1)부터 순차적으로 빼내 선별장치로 공급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7은 제 2해체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2해체수단(40)은 메인프레임(42), 승강수단(46), 이송컨베이어(44), 센터조정실린더(62) 및 클램프실린더(6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인프레임(42)은 승강수단(46)과 이송컨베이어(44) 그리고 센터조정실린더(62) 및 클램프실린더(66)를 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승강수단(46)은 메인프레임(42)에 지지된 상태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44)를 상, 하 수직 이동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44)로 공급된 제 1세트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5)를 승, 하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승강수단(46)은 구동모터(48), 상기 구동모터(48)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0), 상기 구동기어(50)에 맞물리는 피동기어(52), 상기 피동기어(52)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하는 샤프트(54), 상기 샤프트(54)의 양단에 동력전달수단(56)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44)의 하단 네 모서리면을 받쳐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5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 하 수직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44)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강샤프트(60)로 구성한다.
상기 샤프트(54)와 승강샤프트(60)를 연결하는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샤프트(54)의 양단에 웜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웜기어에 축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축과 상기 승강샤프트를 피니언 및 랙기어로 연결 구성하여 샤프트의 회전력이 상기 승강샤프트로 전해질 수 있도록 하게 되는 바,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의 기어 배열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44)는 상기 승강수단(46)인 승강샤프트(60)의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샤프트(60)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수직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44)는 전술한 제 1해체수단(20)의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한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46)의 동작으로 승, 하강하며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5)를 위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이송컨베이어(44)의 승, 하강 동작은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1)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5)중에서 제일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1)부터 순차적으로 빼내 선별장치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 센터조정실린더(62)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실린더로서, 상기 센터조정실린더(6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조정패드(64)를 전, 후진시켜 이송컨베이어(44)로 공급된 제 1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들중 제일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제 1세트과일상자(1)의 양측에 상기 조정패드(64)가 접촉하도록 하여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가 이송컨베이어(44)의 중앙에 정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실린더(66)는 상기 센터조정실린더(62)의 위쪽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4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실린더로서, 상기 클램프실린더(66)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클램프패드(68)를 전, 후 이동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44)가 승강 동작하여 제 1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가 들려지고 난 뒤, 상기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중에서 제 2세트 과일상자(2)의 양측을 가압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실린더(66)가 제 2세트 과일상자(2)를 클램핑하도록 한 이유는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중에서 제일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1세트 과일상자(1)부터 순차적으로 빼내 해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해체수단의 동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0에서와 같이 승강수단(46)의 구동에 따라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가 올려져 있는 이송컨베이어(44)가 승강하고 나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클램프실린더(66)가 동작하며 제 2세트 과일상자(2)를 클램핑하게 되고, 이어서 도 12에서와 같이 이송컨베이어(44)는 승강수단(46)의 구동으로 하강하며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클램프실린더(66)에 클램핑되어 있는 제 2세트 과일상자(2) 및 상기 제 2세트 과일상자(2) 위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제 3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3, 4, 5)는 클램프실린더(66)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제 2세트 과일상자(2)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1)는 클램프의 구속을 받지않아 상기 이송컨베이어(44)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44)와 함께 하강한 제 1세트 과일상자(1)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4)의 구동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음 공정인 선별장치로 자동 공급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제 1세트 과일상자(1)가 선별장치로 빠져나가고 나면 도 13에서와 같이 승강수단(46)의 구동으로 이송컨베이어(44)는 승강하여 제 2세트 과일상자(2)를 받쳐주게 되고, 이어서 상기 제 2세트 과일상자(2)를 클램핑하는 클램프실린더(66)가 구동하여 제 2세트 과일상자(2)의 클램핑을 해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44)가 다시 하강하면 제 2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2, 3 ,4 ,5)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4)에 다시 올려진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제 2해체수단(40)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제 2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2, 3, 4, 5)역시 제 1세트과일상자(1)와 마찬가지로 순차적으로 해체시켜 선별장치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파레트 적재수단(70)은 파레트 피딩수단(10)의 앞쪽에 배치되어 과일상자의 해체작업이 종료되고 난 뒤, 빈 파레트(P)를 순차적으로 자동 적재시키는 수단이다.
도 14는 파레트 적재수단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파레트 적재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에서와 같이 파레트 적재수단(70)은 메인프레임(72),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10)에서 공급된 빈 파레트(P)를 받쳐주는 승강대(74), 상기 승강대(74)의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상기 승강대(74)를 승,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76) 및 상기 승강대(74)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74)의 승강 동작으로 상승한 상기 파레트(P)들중 제일 아래쪽의 파레트(P1) 양측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실린더(78)로 구성한다.
상기한 파레트 적재수단(70)은 파레트 피딩수단(10)에서 빈 파레트(P)가 공급되면 이미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P)를 위로 들어올린 다음, 새로운 빈 파레트(P)를 승강대(74) 위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빈 파레트(P)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게 되다.
즉,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빈파레트(P)가 공급되기 전, 승강대(74)는 승강실린더(76)의 구동으로 승강하게 되고, 이어서 클램프실린더(78)가 상기 승강대(74)에 올려져 있는 제일 아래쪽의 파레트(P1) 양측을 클램핑하게 되고, 이어서 승강대는 승강실린더의 구동으로 하강하게 되는 데, 이때 승강대가 하강을 하는 동안 파레트는 클램프실린더에 클램핑된 상태로 들려있게 됨으로서 승강대와 파레트 사이에는 새로운 빈 파레트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빈 파레트를 자동으로 승강대 위에 적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박스 해체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지게차를 통해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가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P)를 들어올려 파레트 피딩수단(10)의 이송컨베이어(16)에 올려놓으면 모터(18)가 구동하여 이송컨베이어(16)를 구동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파레트 피딩수단(10)은 전진 이동하며 이송컨베이어(16)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1해체수단(20)의 입구쪽에 정위치하게 된다.
다음, 제 1해체수단(20)의 모터(24)가 구동하며 볼스크류(26)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26)의 외경에 체결되어 있는 슬라이더(28)는 상기 볼스크류(26)의 나사산을 타고 이동하며 푸셔플레이트(3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푸셔플레이트(30)는 파레트(P)에 올려져 있는 과일상자들중 제일 앞열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를 일측 방향으로 끌고가며 파레트(P)에서 빼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플레이트(30)를 통해 파레트(P)에서 빠져나온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는 컨베이어(32)를 타고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 2해체수단(40)의 이송컨베이어로 자동 공급된다.
다음, 제 2해체수단(40)인 승강수단(46)이 구동하여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1, 2, 3, 4, 5)가 올려져 있는 이송컨베이어(44)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어서 클램프실린더가 동작하며 위로 들려진 제 1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중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고 있는 제 2세트 과일상자를 클램핑하게 된다.
다음, 이송컨베이어(44)는 승강수단(46)의 구동으로 하강하며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클램프실린더(66)에 클램핑되어 있는 제 2세트 과일상자(2) 위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제 3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3, 4, 5)는 클램프실린더(66)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제 2세트 과일상자(2)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제 1세트 과일상자(1)는 클램프실린더(66)의 구속을 받지않아 상기 이송컨베이어(44)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다음, 상기 이송컨베이어(44)와 함께 하강한 제 1세트 과일상자(1)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4)의 구동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음 공정인 선별장치로 자동 공급되어 진다.
그리고 클램프실린더(66)에 지지되어 있는 제 2세트 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 과일상자(2, 3, 4, 5) 역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별장치로 자동 공급되어 과일 선별작업을 거치도록 한다.
한편, 파레트(P)에 과일상자가 전부 해체되고 나면 빈 파레트(P)는 앞쪽으로 이동한 후, 파레트 적재수단(70)에 자동 적재된다.
즉, 빈파레트가 공급되기 전, 파레트 적재수단(70)인 승강대(74)는 승강실린더(76)의 구동으로 승강하게 되고, 이어서 클램프실린더(66)가 상기 승강대(74)에 올려져 있는 제일 아래쪽의 파레트(P) 양측을 클램핑하게 된다.
다음, 승강대(74)는 승강실린더(74)의 구동으로 하강하게 되는 데, 이때 승강대(74)가 하강을 하는 동안 파레트(P)는 클램프실린더(78)에 클램핑된 상태로 들려있게 됨으로서 승강대(74)와 파레트(P) 사이에는 새로운 빈 파레트(P1)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공간으로 빈 파레트(P1)가 진입하여 승강대(74) 위에 올려진다.
다음, 승강대(74)는 다시 상승하여 클램프실린더(78)에 클램핑되어 있는 파레트(P)를 받쳐준 다음, 클램프실린더(78)의 클램핑 동작이 해지되면 다시 하강하여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1: 제 1세트 과일상자 2: 제 2세트과일상자
3: 제 3세트 과일상자 4: 제 4세트과일상자
5: 제 5세트 과일상자
10: 파레트 피딩수단 20: 제 1해체수단
40: 제 2해체수단 70: 파레트 적재수단

Claims (4)

  1. 파레트(P)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를 순차적으로 빼내 해체하는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일상자가 적재된 파레트(P)를 이송시키는 파레트 피딩수단(10);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10)의 일측에 배치되며 모터(24)의 동력으로 좌, 우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8);
    상기 슬라이더(28)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P)에 적재되어 있는 과일상자들중 제일 앞열에 수직으로 다단 적재되어 있는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8)의 동작으로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를 파레트(P)에서 빼내 해체시키는 푸셔플레이트(30)로 구성한 제 1해체수단(20);
    상기 제 1해체수단(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푸셔플레이트(30)를 통해 파레트(P)에서 빠져나온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를 공급받는 이송컨베이어(44);
    상기 이송컨베이어(44)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42);
    상기 메인프레임(42)에 지지되는 구동모터(48);
    상기 구동모터(48)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0);
    상기 구동기어(50)에 맞물리는 피동기어(52);
    상기 피동기어(52)에 결합되어 회전 동작하는 샤프트(54);
    상기 샤프트(54)의 양단에 동력전달수단(56)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44)의 하단 네 모서리면을 받쳐준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5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 하 수직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44)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강샤프트(60);
    상기 이송컨베이어(44)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42)에 지지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구동하는 클램프실린더(66);
    상기 클램프실린더(66)에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실린더(66)의 구동으로 전, 후 이동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44)의 승강 동작으로 들려진 상기 제 1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중에서 상기 제 2세트 과일상자(2)의 양측을 가압 클램핑하는 클램프패드(68)로 구성하여, 하강 동작이 이루어진 상기 이송컨베이어(44)에 상기 제 1세트 과일상자(1)만 올려지도록 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44)의 동작으로 상기 제 1세트 과일상자(1) 부터 순차적으로 빼내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해체수단(40) 및 ;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10)의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파레트 피딩수단(10)에서 공급된 빈 파레트(P)를 받쳐주는 승강대(74);
    상기 승강대(74)의 하단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상기 승강대(74)를 승,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76) 및 ;
    상기 승강대(74)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승강대(74)의 승강 동작으로 상승한 상기 파레트(P)들중 제일 아래쪽의 파레트(P) 양측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실린더(78)로 구성하여, 과일상자가 해체된 빈 파레트(P)를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파레트 적재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실린더(66)의 아래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4)에 올려진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 중에서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1)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 1세트과일상자 내지 제 5세트과일상자(1, 2, 3, 4, 5)를 상기 이송컨베이어(44)의 중앙에 정위치시키도록 하는 센터조정실린더(62)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19165A 2017-02-13 2017-02-13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KR101934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65A KR101934180B1 (ko) 2017-02-13 2017-02-13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65A KR101934180B1 (ko) 2017-02-13 2017-02-13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90A KR20180093290A (ko) 2018-08-22
KR101934180B1 true KR101934180B1 (ko) 2018-12-31

Family

ID=6345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65A KR101934180B1 (ko) 2017-02-13 2017-02-13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9819B (zh) * 2020-01-07 2021-10-22 武汉轻工大学 一种敞口盒体自动供送装置
CN114435969A (zh) * 2020-10-30 2022-05-06 上海聚唯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叠盘机
KR20220076956A (ko) 2020-12-01 2022-06-08 김명관 차량용 과일박스 적재 고정구
CN116654392B (zh) * 2023-07-31 2023-10-03 烟台金丝猴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机送料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22Y1 (ko) * 2003-07-07 2003-11-07 김영우 판상자재와 팔레트의 분리 이송 시스템
JP4641859B2 (ja) * 2005-04-26 2011-03-0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収納用箱状容器の位置調整装置
JP5917818B2 (ja) * 2011-03-25 2016-05-18 アンリツインフィビス株式会社 選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924B1 (ko) 2010-04-13 2012-09-27 대한민국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22Y1 (ko) * 2003-07-07 2003-11-07 김영우 판상자재와 팔레트의 분리 이송 시스템
JP4641859B2 (ja) * 2005-04-26 2011-03-0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収納用箱状容器の位置調整装置
JP5917818B2 (ja) * 2011-03-25 2016-05-18 アンリツインフィビス株式会社 選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90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180B1 (ko)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CN211337960U (zh) 一种料盘全自动上下料设备
KR100930536B1 (ko) 사료포대 적재시스템
JPH0747409B2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AU2003224557A1 (en) Application of loading ledges
CN109229461B (zh) 一种全自动码垛装箱设备
CN112707174A (zh) 一种物流搬运用的设备
CN107176405A (zh) 一种建材自动存放装置
CN102976139A (zh) 一种自动收纸堆垛机
CN112824261A (zh) 一种双组托盘自动上下料装置
CN110775650A (zh) 一种袋装物料包的自动拆垛系统
KR102459081B1 (ko) 물품 적재 시스템
CN112719616B (zh) 自动胶壳镭雕机
KR20090101586A (ko) 골판지포장판재의 적재장치
CN108946183B (zh) 高效盒体码垛机
KR101481055B1 (ko) 사료포대 이송 자동화 시스템
CN108177915B (zh) 一种洁净自动库仓储系统
KR200484482Y1 (ko) 박스 적재장치
JP5866748B2 (ja) コンテナの段ばらし装置
CN203187187U (zh) 一种自动收纸堆垛机
KR100467540B1 (ko) 환봉 자동공급장치
CN114435896A (zh) 一种复判缓存设备及复判缓存方法
KR101576619B1 (ko) 연탄의 정렬 및 적재기구
CN113716123A (zh) 一种料片自动装箱装置、生产线及其应用
CN113247637A (zh) 一种接线盒包装箱体自动码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