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924B1 -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924B1
KR101183924B1 KR1020100033608A KR20100033608A KR101183924B1 KR 101183924 B1 KR101183924 B1 KR 101183924B1 KR 1020100033608 A KR1020100033608 A KR 1020100033608A KR 20100033608 A KR20100033608 A KR 20100033608A KR 101183924 B1 KR101183924 B1 KR 101183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frame
sorting
packing box
chassi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132A (ko
Inventor
이경숙
채혜선
김효철
박유석
신은식
김관우
김창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3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9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65B25/046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in crate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braking on the running surface, e.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8Wrapping of articles
    • B65B67/10Wrapping-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류(특히, 포도)를 선별하여 포장하는 작업을 편안한 자세에서 실시할 수 있고, 선별 포장된 포장상자를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장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를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상에서 그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정 면적의 수거박스 안착프레임과, 상기 수거박스 안착프레임의 중앙부에 요홈 형상이면서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포장박스 안착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선별 및 포장 작업대와; 구동륜이 양끝단에 장착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샤시프레임과, 상기 샤시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로부터의 포장상자를 적재방향으로 안내하는 포장상자 적재안내수단과, 상기 샤시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장착되어 포장상자를 적재하는 포장상자 안착수단과, 상기 샤시프레임의 양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된 낙하방지용 바와, 상기 샤시프레임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절곡 형상의 운전대와, 상기 운전대와 샤시프레임의 전단부간에는 설치되어 후륜을 구속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하는 이송수레; 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Device for carrying and sorting according to size of a fruit}
본 발명은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류(특히, 포도)를 선별하여 포장하는 작업을 편안한 자세에서 실시할 수 있고, 선별 포장된 포장상자를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선별장치는 과일을 중량 또는 크기별에 따라 분류하는 장치로서, 대부분의 과수 농가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중 하나이다.
사과, 배, 감, 참외 등과 같이 단일 과실이면서 크기가 크고, 그 선별 작업시의 충격에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정도로 단단한 과일의 경우에는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1997-033081호에 개시된 과일 선별 자동장치 등을 이용하여 크기별 및 중량별로 구분하며 선별할 수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557호에 개시된 과일 이송장치 등을 이용하여 과일 선별을 위한 공정간 이송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포도와 같이 하나의 줄기에 다수의 과실이 달린 과일의 경우는 충격에 매우 약하여 쉽게 껍질이 손상되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화로 이루어진 과일 선별 장치를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포도과 같은 과일의 선별 및 포장 작업은 크기 및 중량별 등과 같은 선별 기준에 따라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즉, 기존의 포도 선별 및 포장 작업은 포도밭에서 수확한 포도를 손잡이가 달린 소정 크기의 수거박스에 무작위로 담아서 작업장으로 들고 온 후, 수거박스내의 포도를 일일이 크기 및 중량별로 선별한 다음, 선별된 포도를 소정 크기의 포장박스내에 담아 포장하여 소정의 장소(보관장소, 또는 납품 차량)로 이송하는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도 선별 및 포장 과정이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선별 및 이송을 위한 편의 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작업자에게는 매우 힘들고 고된 작업이 되고 있다.
또한, 포도 선별 및 포장을 위한 작업자의 작업 자세가 일정치 않아, 다리 등과 같은 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고, 특히 보관 및 적재를 위하여 포장박스를 일일이 들고 이동함에 따라 허리 관절 등에도 무리를 주게 되어,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과일류(특히, 포도)를 수거한 수거박스를 올려놓은 후, 크기별로 선별하여 포장박스에 담아주는 선별작업대와, 이 선별작업대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원하는 장소로 포장박스를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수레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선별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편안한 상태에서 선별 및 포장 작업을 할 수 있고, 이송수레를 이용하여 포장박스를 편리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장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를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상에서 그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정 면적의 수거박스 안착프레임과, 상기 수거박스 안착프레임의 중앙부에 요홈 형상이면서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포장박스 안착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선별 및 포장 작업대를 구비하여, 수거박스 안착프레임상에 수확된 과일류가 담긴 수거박스을 올려 놓고, 동시에 포장박스 안착프레임에 포장박스를 올려놓은 후, 수거박스내의 과일류를 크기 및 무게별로 선별하여 포장박스에 담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륜이 양끝단에 장착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샤시프레임과, 상기 샤시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로부터의 포장상자를 적재방향으로 안내하는 포장상자 적재안내수단과, 상기 샤시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장착되어 포장상자를 적재하는 포장상자 안착수단과, 상기 샤시프레임의 양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된 낙하방지용 바와, 상기 샤시프레임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절곡 형상의 운전대와, 상기 운전대와 샤시프레임의 전단부간에는 설치되어 후륜을 구속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하는 이송수레; 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포장박스 안착프레임을 커버하는 동시에 수거박스 안착프레임을 커버하며 안착되는 평상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이송수레의 포장상자 적재안내수단은 샤시프레임의 후단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의 포장상자 안착프레임과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이송수레의 포장상자 안착수단은 샤시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장착되는 상부 개방형 가이드바와, 이 가이드바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적재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샤시프레임의 전단부에서 그 양측 저면에 일체로 된 브라켓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의 양끝단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각회전봉과; 상기 구동륜중 후륜의 표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각회전봉의 상단에 볼트 조립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위한 브레이크 조작봉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봉과 각회전봉간에 일체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조작봉의 조작에 따른 각회전력을 각회전봉에 전달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후단부와 샤시프레임의 전단부 일측 위치간에 연결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전대의 상단 일측에는 브레이크 조작봉의 전후 조작 경로를 안내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전단부에는 브레이크 조작봉을 브레이킹된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일류(특히, 포도)를 수거한 수거박스를 올려놓은 후, 크기별로 선별하여 포장박스에 담아주는 선별작업대와, 이 선별작업대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원하는 장소로 포장박스를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수레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함으로써, 포도 선별 및 포장, 그리고 이송 과정이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선별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편안한 상태에서 포도 등과 같은 과일의 선별 및 포장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선별 포장된 포장박스를 선별작업대에서 이송수레쪽으로 손쉽게 적재하여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선별 및 포장, 그리고 이송 과정에 대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의 선별 및 포장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별 및 포장작업대를 평상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의 이송수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의 선별 및 포장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의 이송수레에 포장상자를 적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의 브레이크 수단 및 그 작동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의 선별 및 포장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의 이송수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과일류(특히, 포도)를 수거하여 쌓아 둔 수거박스를 올려놓은 후, 크기별로 선별하여 바로 옆에 올려져 있는 포장박스에 담아주는 작업을 위한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와, 이 선별 및 포장 작업대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원하는 장소로 포장박스를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수레(200)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는 작업자의 적정 작업 높이(허리를 굽히지 않을 정도)를 갖는 구조물로서, 작업장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104)를 갖는 지지프레임(102)을 골격체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2)은 가로 및 세로빔을 소정의 배열로 배치시켜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그 사방 모서리 저면에는 작업장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104)가 일체로 용접된다.
특히,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의 주된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102)상에는 포도가 담긴 수거박스(110)를 올려 놓기 위한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과, 수거박스(110)로부터 크기별로 선별된 포도 포장용 포장박스를 올려 놓기 위한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이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102)상에서 그 양측부에 소정 면적의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이 일체로 용접되고, 지지프레임의 중앙부 즉, 양측의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의 사이에는 요홈 형상이면서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이 일체로 용접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선별 및 포장작업대(100)에서 이루어지는 포도 선별 및 포장 작업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상에 포도밭에서 수확한 포도가 담긴 수거박스(110)를 등간격으로 정렬시키며 올려 놓고, 동시에 상기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상에 포도 포장을 위한 전용의 포장상자(120)를 일렬로 정렬시키며 올려놓는다.
이어서, 작업자가 수거박스(110)내에 담겨져 있던 포도를 크기별 또는 무게별로 선별한 후, 해당 포장상자(120)에 담아주게 된다.
이러한 선별 및 포장 작업이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는 높이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선별 및 포장 작업을 매우 편안한 자세에서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과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상에 평상용 플레이트(130)를 안착시킴으로써, 선별 및 포장 작업 이외에 작업자가 쉴 수 있는 평상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레(200)는 선별 및 포장이 종료된 포장상자(120)를 적재한 후, 소정의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다.
즉, 상기 이송수레(200)는 포장상자(120)가 정렬되어 있는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의 일측 개방부에 일단 위치시켜 포장상자(120)를 적재한 후,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다.
상기 이송수레(200)의 골격체 즉, 샤시프레임(210)은 가로 및 세로빔을 소정의 배열로 배치시켜 용접으로 연결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그 전후단부의 저부에는 구동륜(202)이 양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204)이 조립되며, 이에 이송수레(200)를 네바퀴 전후진 구름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운전하여 끌고 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후단부에는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로부터의 포장상자(120)를 적재방향으로 안내하는 포장상자 적재안내수단(220)로서, 한 쌍의 안내롤러(222)가 구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장상자의 적재안내수단(220)인 한 쌍의 안내롤러(222)가 샤시프레임(210)의 후단부에서 그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전후 방향으로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한 쌍의 안내롤러(222)는 포도상자(120)가 안착되어 있는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의 포장상자 안착프레임(108)과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샤시프레임(210)에는 포도상자의 적재 바닥면을 이루게 되는 포장상자 안착수단(230)이 전후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장상자 안착수단(230)은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가이드바(232)와, 이 가이드바(232)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적재롤러(234)로 구성되는 바, 상기 가이드바(232)는 샤시프레임(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장착되는 상부가 개방된 요홈 구조로 채택되고, 상기 다수개의 적재롤러(234)는 가이드바(232)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전후방향으로 구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양측단부에는 적재된 포장상자가 좌우측으로 이탈되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낙하방지용 바(206)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에는 이송수레(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게 조작하기 위한 수직 절곡 형상의 운전대(208)가 일체로 용접된다.
이렇게 구비된 이송수레(200)에 포장상자를 적재하여 이송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이송수레(200)의 후단부를 포장상자(120)가 정렬되어 있는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의 일측 개방부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상에 정렬된 포장상자(120) 즉, 선별된 포도가 담겨져 있는 포장상자(120)를 작업자가 이송수레(200)의 후단부쪽으로 가볍게 밀어주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120)가 한 쌍의 안내롤러(222)의 구름 안내를 받으면서 이송수레(200)의 적재 바닥면을 이루는 포장상자 안착수단(230)쪽으로 향하게 된다.
연이어, 작업자가 안내롤러(222)의 구름 안내를 받은 포장상자(120)를 이송수레(200)의 전단부 방향으로 살짝 밀어주게 되면, 포장상자(120)는 포장상자 안착수단(230)의 적재롤러(234)의 구름 안내를 받으면서 샤시프레임(210)의 가장 앞쪽 적재공간으로 이동되고, 계속해서 그 다음의 포장상자(120)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재된다.
이렇게 포장상자가 적재 완료되면, 운전대(208)를 잡고 원하는 장소로 이송수레(200)를 끌고 가면 되므로, 결국 포장상자의 적재 및 이송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자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송수레(200)에는 운전대(208)와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간에는 설치되어 후륜(202a)을 구속하는 브레이크 수단(2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크 수단(240)의 일 구성으로서,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에서 그 양측 저면에 일체로 된 브라켓(241)을 관통하여 연결축(24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연결축(242)의 양끝단부에는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각회전봉(243)이 일체로 장착된다.
특히, 상기 각회전봉(243)의 상단에는 브레이크 패드(244)가 볼트로 조립되는 바, 이 브레이크 패드(244)는 구동륜(202)중 후륜(202a)의 표면과 마주보게 조립되어, 브레이크 패드(244)가 후륜(202a)의 표면에 밀착되며 마찰되면 브레이킹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후륜의 표면에 대한 브레이크 패드(244)의 마찰력이 해제되면 구동륜(202)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운전대(208)의 일측에는 작업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위한 브레이크 조작봉(245)이 전후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브레이크 조작봉(245)은 상기 각회전봉(243)과 연결봉(246)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고, 이때 상기 연결봉(246)의 후단부와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 일측 위치간에는 스프링(247)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운전대(208)의 상단 일측에는 브레이크 조작봉(245)이 전후방향 으로 조작되었을 때, 그 조작 경로를 직선으로 안내하는 슬롯(248)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248)의 전단부에는 브레이크 조작봉(245)을 브레이킹된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249)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조작봉(245)을 슬롯(248)의 가장 뒤쪽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후륜(202a)의 표면으로부터 브레이크 패드(244)가 떨어지는 상태가 되어, 구동륜(202)의 회전에 따른 이송수레(200)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면에, 첨부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레(200)의 브레이킹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봉(245)을 당겨서 슬롯(248)의 가장 앞쪽에 위치시킨 후, 슬롯(248)의 앞쪽에 형성된 고정홈(249)내에 브레이크 조작봉(245)을 끼워서 고정시키게 되는 바, 이때 브레이크 조작봉(245)을 당겨주면 연결봉(246)이 스프링(247)을 인장시키는 동시에 각회전봉(243)을 전방으로 각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각회전봉(243)에 일체로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244)가 후방으로 각회전을 하여 후륜(202a)의 표면에 밀착되며 마찰되어, 결국 이송수레(200)의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 및 포장 작업대를 이용하여 포도 등과 같은 과일의 선별 및 포장 작업을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선별 포장된 포장박스를 선별 및 포장작업대로부터 이송수레쪽으로 손쉽게 적재한 후,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선별 및 포장, 그리고 이송 과정에 대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선별 및 포장 작업대 102 : 지지프레임
104 : 지지다리 106 : 수거박스 안착프레임
108 : 포장박스 안착프레임 110 : 수거박스
120 : 포장상자 130 : 평상용 플레이트
200 : 이송수레 202 : 구동륜
202a : 후륜 204 : 회전축
206 : 낙하방지용 바 208 : 운전대
210 : 샤시프레임 220 : 포장상자 적재안내수단
222 : 안내롤러 230 : 포장상자 안착수단
232 : 상부 개방형 가이드바 234 : 적재롤러
240 : 브레이크 수단 241 : 브라켓
242 : 연결축 243 : 각회전봉
244 : 브레이크 패드 245 : 브레이크 조작봉
246 : 연결봉 247 : 스프링
248 : 슬롯 249 : 고정홈

Claims (7)

  1. 작업장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104)를 갖는 지지프레임(102)과, 상기 지지프레임(102)상에서 그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정 면적의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과, 상기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의 중앙부에 요홈 형상이면서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으로 이루어진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를 구비하여,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상에 수확된 과일류가 담긴 수거박스(110)을 올려 놓고, 동시에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에 포장박스(120)를 올려놓은 후, 수거박스(110)내의 과일류를 크기 및 무게별로 선별하여 포장박스(120)에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을 커버하는 동시에 수거박스 안착프레임(106)을 커버하며 안착되는 평상용 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3. 구동륜(202)이 양끝단에 장착된 회전축(204)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샤시프레임(210)과,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청구항 1의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로부터의 포장상자(120)를 적재방향으로 안내하는 포장상자 적재안내수단(220)과,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장착되어 포장상자를 적재하는 포장상자 안착수단(230)과,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양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된 낙하방지용 바(206)와,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 절곡 형상의 운전대(208)와, 운전대(208)와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간에는 설치되어 후륜(202a)을 구속하는 브레이크 수단(240)을 포함하는 이송수레(200)를 구비하여,
    청구항 1의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의 포장박스 안착프레임(108)으로부터 포장박스(120)를 옴겨 실어서 소정의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레(200)의 포장상자 적재안내수단(220)은,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후단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전후방향으로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선별 및 포장 작업대(100)의 포장상자 안착프레임(108)과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2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레의 포장상자 안착수단(230)은,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2열 이상으로 장착되는 상부 개방형 가이드바(232)와, 이 가이드바(232)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적재롤러(2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수단(240)은,
    상기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에서 그 양측 저면에 일체로 된 브라켓(241)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축(242)과;
    상기 연결축(242)의 양끝단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각회전봉(243)과;
    상기 구동륜(202)중 후륜(202a)의 표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각회전봉(243)의 상단에 볼트 조립되는 브레이크 패드(244)와;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위한 브레이크 조작봉(245)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봉(245)과 각회전봉(243)간에 일체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조작봉(245)의 조작에 따른 각회전력을 각회전봉(243)에 전달하는 연결봉(246)과;
    상기 연결봉(246)의 후단부와 샤시프레임(210)의 전단부 일측 위치간에 연결되는 스프링(247);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운전대(208)의 상단 일측에는 브레이크 조작봉(245)의 전후 조작 경로를 안내하는 슬롯(248)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248)의 전단부에는 브레이크 조작봉(245)을 브레이킹된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2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KR1020100033608A 2010-04-13 2010-04-13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KR10118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08A KR101183924B1 (ko) 2010-04-13 2010-04-13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08A KR101183924B1 (ko) 2010-04-13 2010-04-13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32A KR20110114132A (ko) 2011-10-19
KR101183924B1 true KR101183924B1 (ko) 2012-09-27

Family

ID=4502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08A KR101183924B1 (ko) 2010-04-13 2010-04-13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582B1 (ko) 2016-08-24 2018-03-28 엄 헌 수 과실 수확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180B1 (ko) 2017-02-13 2018-12-31 (주)진영산업 파레트에 적재된 과일상자 해체장치
KR102138108B1 (ko) * 2020-01-17 2020-07-27 김경준 과일 집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6821A1 (en) 2005-05-05 2006-11-09 Barry Charles Burrows Packing a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6821A1 (en) 2005-05-05 2006-11-09 Barry Charles Burrows Packing a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582B1 (ko) 2016-08-24 2018-03-28 엄 헌 수 과실 수확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32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088B2 (en) Storage system having a dynamic support of moving elements and a pusher assembly carried by a frame
US20120207572A1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in a transporting unit, in particular an interchangeable container, and unloading apparatus
KR101183924B1 (ko) 과일류 선별 포장 및 이송 장치
US10602723B2 (en) Method of tending to livestock within a livestock confinement facility
US7811042B1 (en) Vertical carousel for lumber
GB2273691A (en) A movable, load-supporting apparatus
JP6622333B2 (ja) 収穫作業補助台
CN210708237U (zh) 一种袋装物料整平装置
CN210162354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多功能纸箱装料装置
CN105857354A (zh) 一种便携式搬运器
US2812190A (en) Hand truck with convertible platform
JP6893041B2 (ja) 収穫箱載置装置
JP3004591B2 (ja) 物品の移載装置
CN105150186B (zh) 用于管料的倾斜式料架
KR102375838B1 (ko) 과일 수확용 집하장치
CN221023432U (zh) 一种鲜烟负载运送机
US20240166454A1 (en) Harvesting mechanism integrating manual crop picking with automated full-container pallet accumulation
CN210191554U (zh) 一种薄壳山核桃种植用运苗车
CN214776241U (zh) 一种物料自动转运小车
CN213566046U (zh) 一种物流拣选车
CN220549672U (zh) 一种异型卷烟分拣周转装置
CN219905442U (zh) 一种物流箱运输物流架
CN216071884U (zh) 一种水果清洗机的上料装置
KR20110012999A (ko) 농작물 수확을 위한 손수레 겸용 좌식 작업차
CN214932918U (zh) 小配件智能仓储用无尘式货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