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033A -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033A
KR20110064033A KR1020090120449A KR20090120449A KR20110064033A KR 20110064033 A KR20110064033 A KR 20110064033A KR 1020090120449 A KR1020090120449 A KR 1020090120449A KR 20090120449 A KR20090120449 A KR 20090120449A KR 20110064033 A KR20110064033 A KR 2011006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onitrile
resin composition
styrene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388B1 (ko
Inventor
허재준
이주한
강성우
유금선
정명욱
서강준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3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8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1-2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1-20 중량%; 상용화제 1-5 중량%, 아크릴로 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20 중량%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이 좋으면서 또한 저온충격성이 개선되어, 저온충격성, 내열성 및 내후성이 필요로 하는 외장 재료 용품 및 램프 하우징 등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Heat and weather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modified impact strength in low temperature}
본 발명은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80 중량%; 아크릴로 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1-20 중량%;, 아크릴로 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1-20 중량%; 상용화제 1-5 중량%, 아크릴로 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20 중량%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외장재나 램프하우징이나 통신 단자함과 같은 실외용품의 경우, 사용시 저온환경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으며, 자외선과 같은 광원에 노출되기 쉽다. 이에 따라, 높은 내충격성, 특히 -30℃ 정도에서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저온 내충격성이 요구되며, 야외에서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플라스틱이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후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부품 소재들은 여름철 야외의 뜨거운 햇볕에 견딜 수 있도록 110 ℃에서 변형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높은 내열 온도가 필요하며, 금형을 이용하여 복잡한 사출 성형이 가능하도록 높은 유동지수가 요구되고, 사용 중 가해지는 변형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530 이상의 높은 인장 강도가 요구된다.
그런데, 저온 충격성과 인장강도, 유동성 등의 물리적 특성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많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제조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내열성이나 내후성은 통상 저온 충격성과 반비례하는 경향이 심해, 하나의 수지로 여러 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수지들을 적절히 혼련하여 성형할 경우, 각각이 성분이 가지는 특장점을 유지하면서도 각각의 수지가 제공하지 못하는 새로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안들이 고려되고 있으나, 단순한 혼련만으로는 성분들간의 접합력이 떨어져 새로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단순 혼합특성만을 나타내거나 오히려 특성들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특성들을 지니는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는 높은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 인장강도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요 수지로 하는 제품들이 개발되어 왔다.
초기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투명성, 고광택 특성을 지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이므로, 충격보강제와 블렌드하여 성형성, 충격의 두께의존성, 내약품성등과 같은 취약한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한 예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와 블렌드하여 고충격 및 성형가공성을 개선한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알로이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10-1992-0000871 호에서는 ABS 그라프트 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었으나, 내후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802752호에서는 내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내광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를 얼로이하여, 자외선 및 열에 상대적으로 강한 구조를 가진 우수한 내광성을 부여하고, 충격강화를 위하여 저온 충격이 우수한 실리콘계 충격보강재의 보강으로 우수한 충격 특성을 부여한 제품을 개시하고 있다.
PCT/US2006/025527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및 저광택 첨가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때 열가소성 조성물의 60°광택이 ASTM D2457에 따라 측정 시에 90 GU 이하인 제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의 각 상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열 및 햇빛 등에 취약한 내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혼련제품에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반응성기를 포함하는 상용화제를 사용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 경우, 제품 성형후 블렌딩된 수지의 특성이 가공성이나 저온충격성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상용화제 조성물은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후성은 우수하나 저온 환경에 많이 노출되는 자동차 외장 부품 및 생활 용품 등의 부품 소재에는 저온충격성이 취약하여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699560호, 제814360호, 제798014호 등에서는 저온충격을 개선하기 위해서 폴리실록산이 첨가된 폴리카보네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9-69991호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15~35중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5~15중량%,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30~50중량% 및 폴리우레탄 20~30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혼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내후성과 저온충격성이 향상된 새로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후성을 요구되는 무도장 외장재료에 사용되며, 또한 저온 충격이 우수하여 내후성 및 저온충격성이 향상된 것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따른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좋으며, 저온환경에서 충격성을 극복할 수 있어서 저온충격이 요구되는 내열 내후성 제품이 사용되는 자동차 외장 재료 및 기후 온도가 낮은 지역 외장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80 중량%,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1-20중량%,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1-20 중량%, 상용화제 1-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가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2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테트라메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Z-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테트라브로모-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테트라아크릴로-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용성 및 내충격이 좋은 방향족계 폴리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A-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충격강도를 고려하여 고점도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점도 평균분자량이 20,000 - 35,000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22,000에서 27,000 정도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다양한 회사에서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rirex3025A(삼양화성, 대한민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수지 조성물 내에서 50 - 8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78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5-75 중량%이다. 만일,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충격 강도 및 내열성을 얻기 어렵고, 80 중량% 보다 과량이면 가공성 및 내후성 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는 유화 중합 제조 방법에 의한 구조 변경 및 조성 성분의 함량 조절로 성형가공성,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 외장 생활 용품 및 자동차 등의 산업 분야에 단독 또는 상기에 설명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와 블렌드하여 충격 보강재 형태로 많이 사용되는 수지이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와 달리 분자 구조가 디엔형이 아닌 안정한 포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도장을 하지 않아도 옥외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취약한 충격 특성을 보완하며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격 보강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아크릴 고무함량이 30-70% 정도이며, 분자량이 200,000 400,000 정도인 고분자량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 최적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분자량이 300,000 이상이며, 고무함량이 40-60%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200,000 미만이면 최종 조성물의 원하는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얻기 어렵고, 400,000 이상이면 기계적 강도는 좋으나 유동성 저하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가 4-8의 아크릴레이트이며,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의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는 통상의 에멀젼 중합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도 이용가능하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의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는 XC-500 그레이드(금호석유, 대한민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에서 1 - 2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함유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최종 조성물의 원하는 충격 특성 및 내후성을 얻기 어렵고, 20 중량% 보다 과량이면 유동성 저하 및 성형시 가스 발생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는 또한, Bulk polymerization 방법으로 조성 성분의 함량 조절로 강성 및 내약품성이 조절되며, 폴리카보네이트의 취약한 가공 특성을 보완하며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0-40% 정도이며, 분자량이 80,000 200,000 정도인 고분자량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 최적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분자량이 120,000 이상이며, 아크릴로니트릴(AN) 함량이 25-35%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80,000 미만이면 최종 조성물의 원하는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얻기 어렵고, 200,000 이상이면 유동성 저하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는 통상의 벌크 중합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도 이용가능하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는 SAN-326 그레이드(금호석유, 대한민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에서 1 - 2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1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함유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취약해질 수 있으며, 20 중량% 초과하면 충격강도 및 저온 충격강도가 취약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수지 상호 간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반응성기로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가 그라프트된 EPDM을 사용하 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용화제는 수지 조성물에서 함유량이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조성물 내에서 상용화제의 함량이 1%이하에서는 충격 특성 및 상용성을 발현 시키지 못하고 5%이상에서는 내열성 및 표면 불량(가스발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상업적으로도 이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KEPA-1130(금호EP, 대한민국)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수지 조성물의 저온충격성, 내후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솔루션 중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고분자량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분자량은 10만에서 40만 사이이고 고무함량이 40-60% 정도의 제품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 가공성을 고려하여 분자량이 20만이상, 고무함량이 45에서 55%제품이 사용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수지 조성물에서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2-17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적으면 효과를 내기 어렵고, 함량이 많으면, 전체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적어져 내열내후성 수지 고유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수지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자체가 아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그라프트 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상업적으로도 이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SR-372P (UNIROYAL, USA)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는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저온충격성을 개선한 내열내후성용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점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중점도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상용화제를 분자량 및 함량을 조절하여 내열 내후성 수지를 개선하였고, 저온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이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첨가하여 사출 성형용 재료로서 우수한 특성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제, 안료,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 충전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블렌드 하는 방법으로 밴버리 믹서, 압출기 같은 일반적인 혼합 용융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성물 분자량 차이 조절 및 각 성분에 상용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비율을 혼합하여 접착강도 및 중공 성형성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상용화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이 그라프트 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조성물로 사출 성형성 및 사출 성형의 한 성형품인 Room lamp housing 및 통신 단자함과 같은 외장용 소재에 내열 내후성이 필요한 저온환경에서 취약한 수지의 저온충격성을 개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하여 균일한 배합을 위해 소형의 텀블러 믹서로 충분히 혼합한 후 φ=30mm인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 온도가 230 ∼ 260℃ 범위에서 압출하여 냉각, 고화하여 펠렛 형태로 만든후 90℃유지된 순환 열풍 건조기에서 4시간 건조후 160톤 사출기에서 사출온도를 230-260℃까지 변화시키고, 금형온도를 60℃로 하여 물성 시편을 제작하였고, 내후성을 검토하기 위해 Color-chip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 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과 상기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이상의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7에 따라 제조된 시편을 24시간 방치 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펠렛은 건조후 유동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멜트플로우 인덱스지수(g/10분)
ASTM D1238법을 사용하였으며, 230℃, 2160 g이었다. 유동성 지수는 실제 실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하여 50 이상인 것을 제공 가공시 성형이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2) 저온충격성(kgf·cm/cm)
ASTM D256법을 사용하였으며, -30℃에서 Notched Izod Impact Strength를 3.2mm에서 측정하였다. 저온충격성은 실제 실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하여 15 이상인 것을 제품 자유낙하 및 낙구충격테스트시 저온충격성이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내후성
SAE J1960 (Artificial Exposure Using a controlled Irradiance Water Cooled Xenon Arc) 법을 따르며 ATLAS에 의해 실험하였다. 내후성은 실제 실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하여 Standard 시편 기준 ΔE 3 이하인 것을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4) 인장강도(kgf/cm2)
ASTM D638법을 사용하였으며, 인장강도는 강성을 평가하는 인자로써 실제 실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하여 530 이상인 것을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5) 내열성
ASTM D648법을 사용하였으며, 열변형온도는 실제 실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하여 110 이상인 것을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조성물
(중량%)
A 중점도 70 70 50 70 70 70 70 70 70
고점도 70
B 7 7 7 7 17 12 27 10
C 중점도 10 10 30 10 10 10 27 10
고점도 10
D 3 3 3 3 3 3 3 3 3
E 10 10 10 10 5 17 10
특성 성형성 양호 불량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저온
충격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내후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양호 양호
강성, 신율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내열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주)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점도:Trirex 3025A, 고점도:Trirex3030A, 삼양화성,)
B)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고점도: XC-500 파우더:금호석유)
C)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중점도: SAN-326, 고점도: SAN-350:금호석유)
D)상용화제 (KEPA-1130:금호EP)
E)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그라프트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SR-372P:Uniroyal)
상기 표 에서 보면, 실시예 1 ∼ 3의 경우 저온충격성 및 내열내후성이 비교예에 비해 전반적으로 좋은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고점도인 폴리머를 사용하였을 때는 충격성 및 내열성이 좋아지는 반면에 성형성이 낮아진다. 반면에 비교예 1∼ 4의 경우 E 함량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저온충격성이 좋아지는 반면 내후성 및 원가경쟁력이 낮아진다. 또한 비교예 5 ∼ 7에서는 내열성 및 성형성은 양호하나 다른 특성이 만족되지 않아 내열내후성 재료로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80 중량%; 아크릴로 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1-20 중량%; 아크릴로 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1-20 중량%; 상용화제 1-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이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2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점도 평균분자량이 22,000 ∼ 27,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에서 아크릴로 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평균 분자량이 200,000에서 400,000이며, 아크릴레이트 고무가 40-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 ∼ 20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용화제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가 그라프트된 EPD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분자량은 10만-40만이며, 고무함량이 4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를 가공하여 제조되는 옥외용 부재.
KR1020090120449A 2009-12-07 2009-12-07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5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49A KR101154388B1 (ko) 2009-12-07 2009-12-07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49A KR101154388B1 (ko) 2009-12-07 2009-12-07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33A true KR20110064033A (ko) 2011-06-15
KR101154388B1 KR101154388B1 (ko) 2012-06-15

Family

ID=4439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449A KR101154388B1 (ko) 2009-12-07 2009-12-07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3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66B1 (ko) * 2012-07-31 2015-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648547B1 (ko) * 2015-10-26 2016-08-16 이희산 자동차 외장 부품용 수지 조성물
KR102326937B1 (ko) * 2020-06-24 2021-11-1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이음 발생을 저감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KR20240048181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이음 발생을 저감한 재활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1650A (zh) * 2020-06-30 2021-12-3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686A (ja) 1994-09-09 1996-05-21 Nippon G Ii Plast Kk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US5910538A (en) * 1998-04-24 1999-06-08 Bayer Corporation Compatibilized ABS polycarbonate molding
JP2002105299A (ja) 2000-09-29 2002-04-10 Asahi Kasei Corp ポリカーボネート系難燃樹脂組成物
KR100886348B1 (ko) 2008-04-14 2009-03-03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개선된 난연 내스크래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66B1 (ko) * 2012-07-31 2015-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도장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648547B1 (ko) * 2015-10-26 2016-08-16 이희산 자동차 외장 부품용 수지 조성물
KR102326937B1 (ko) * 2020-06-24 2021-11-17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이음 발생을 저감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KR20240048181A (ko) 2022-10-06 2024-04-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이음 발생을 저감한 재활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388B1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56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666797B1 (ko) 고충격성 및 내후성을 가지는 저광택도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조성물
KR101154388B1 (ko)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내열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49110B1 (ko) 무도장 고광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263983B1 (ko)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KR101947230B1 (ko)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070017872A (ko)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0714194B1 (ko) 고유동 고내충격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EP3042931B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EP3385331A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with high fluidity
KR1024573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80275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23145927A1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CN111269581A (zh) 热塑性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28620B1 (ko) 내열성 및 고유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조성물
KR101440732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352760B1 (ko) 저 비중, 내스크래치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114994A (ko) 저경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12724578B (zh) 一种聚丙烯复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KR101580957B1 (ko)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20121397A (ko) 가교 수지를 포함하는 분말형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0842161B1 (ko) 흐름성과 무광 특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