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133A -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133A
KR20110063133A KR1020090120080A KR20090120080A KR20110063133A KR 20110063133 A KR20110063133 A KR 20110063133A KR 1020090120080 A KR1020090120080 A KR 1020090120080A KR 20090120080 A KR20090120080 A KR 20090120080A KR 20110063133 A KR20110063133 A KR 2011006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rice
instant food
mixed ric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173B1 (ko
Inventor
조병권
Original Assignee
조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권 filed Critical 조병권
Priority to KR102009012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1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쌀 및 분쇄된 채소를 갖는 혼합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재료에 소정 량의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혼합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밥을 동결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며, 식감이 뛰어나면서도 그대로 섭취 가능하거나 조리하기가 용이한 인스턴스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인스턴트, 식품, 동결, 건조

Description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INSTANT-F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식품은 짧은 시간에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이유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종래에 출시되어 있는 인스턴트식품 중 인스턴트 밥은 맨밥만 제공되는 형태의 레토르트식품으로 공급되므로 별도의 반찬이 요구된다.
한편, 밥과, 야채 또는 반찬 등의 첨가물이 별도로 포장되어 공급되는 인스턴트식품도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스턴트식품은 밥과, 야채 또는 반찬 등의 첨가물이 별도로 포장되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섭취하기 위하여 첨가물을 밥에 첨가하여야 하고 물을 부어 조리하여야 하는 등 복잡한 준비 과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가 용이하며, 식감이 뛰어나면서도 그대로 섭취 가능하거나 조리하기가 용이한 인스턴스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조가 용이하며, 식감이 뛰어나면서도 그대로 섭취 가능하거나 조리하기가 용이한 인스턴스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쌀 및 분쇄된 채소를 갖는 혼합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재료에 소정 량의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혼합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밥을 동결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동결 진공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밥을 -40 내지 -10℃ 범위로 5 내지 20시간 동안 동결 냉동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진공건조기에서 0.01 내지 1Torr 범위의 압력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수분 함유량이 1 내지 4%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소정 온도 범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상온으로부터 50 내지 70 ℃의 범위로 0.5 내지 1.5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가열하는 단계와; 50 내지 70℃의 범위로 15 내지 25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와; 50 내지 70℃의 범위로부터 상온으로 0.5 내지 1.5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혼합밥을 과립기에서 낱알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된 혼합밥을 혼합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분말을 소정의 형상으로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 분말이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10%가 되도록 수분을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첨가된 혼합 분말을 500 내지 5000psi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스턴트식품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인스턴트식품에 있어서, 적어도 밥 및 분쇄된 채소를 갖는 혼합 재료로 이루어진 혼합밥이 동결 진공 건조되어 생성되는 것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가 용이하며, 식감이 뛰어나면서도 그대로 섭취 가능하거나 조리하기가 용이한 인스턴스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식품의 일례로 혼합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쌀을 씻고, 채소를 분쇄하여 쌀과 섞은 혼합 재료를 준비한다(S10). 여기서, 채소는 당근, 완두, 옥수수 등 볶음밥 또는 비빔밥 등에 사용되는 채소를 말하며, 그 종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 가능하다. 또한, 혼합 재료는 고기, 새우, 카레, 김치, 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준비된 혼합 재료에 소정 량의 물을 붓고 가열하여 혼합밥을 생성한다(S20). 본 실시예에서 혼합밥은 압력솥으로 한다. 여기서, 혼합밥의 수분 함유량은 4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며, 55 내지 6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혼합밥을 동결 진공 건조한다. 이하, 혼합밥을 동결 진공 건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S20 단계에서 생성된 혼합밥을 냉동고에서 -40 내지 -10℃ 범위로 5 내지 20시간 동안 동결 냉동한다(S30). 여기서, -35 내지 -15℃ 범위로 7 내지 15시간 동안 동결 냉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 내지 -20℃ 범위로 10 내지 13시간 동안 동결 냉동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혼합밥을 냉동하면 수분이 동결되어 얼음이 생성되는데, 이 얼음이 후술하는 건조공정에서 승화되어 혼합밥의 조직에 다공질이 형성된다. 여기서, 동결 냉동이 수행되는 온도에 따라 다공질의 크기 및 수가 결정된다. 사용자가 혼합밥 완제품의 섭취시 물을 첨가하여 불려 섭취하는데, 이때 혼합밥의 조직에 형성된 다공질에는 물이 투입된다.
실험 결과, 사용자가 혼합밥 완제품을 섭취하는 경우 -30 내지 -20℃ 범위로 10 내지 13시간 동안 동결 냉동하였을 때, 조직감이 가장 좋았다. 이는, 혼합밥을 동결 냉동하는 공정에서 적절한 입자 크기 및 수의 얼음 결정이 형성되어, 다공질의 크기 및 수가 적절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동결 냉동 공정에서 혼합밥의 동결 냉동 온도가 -40℃ 이하인 경우 얼음 결정이 작게 형성되므로, 건조 공정에서 혼합밥의 조직에 작고 조밀한 다공질이 형성된다. 이 경우, 건조 공정에서 혼합밥이 잘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사용자가 혼합밥 완제품을 섭취할 때 조직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동결 냉동 공정에서 혼합밥의 동결 냉동 온도가 -10℃ 이상인 경우 얼음 결정이 크게 형성되므로, 건조 공정에서 혼합밥의 조직에 큰 다공질이 형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혼합밥 완제품을 섭취하고자 물을 부으면, 혼합밥이 물을 많이 머금어 죽 형태로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다음,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진공건조기에서 0.01 내지 1Torr 범위의 압력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한다(S40). 여기서,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수분 함유량이 1 내지 4%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분 함유량이 2 내지 3%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건조 공정에서 냉동 된 혼합밥의 조직에 포함된 얼음 결정이 수증기로 승화되면서, 혼합밥의 조직에 다공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건조 공정에서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소정 온도 범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건조 공정(S4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0.01 내지 1Torr 범위의 압력의 내부 압력이 형성된 진공건조기에 넣은 후, 진공건조기 내부에 구비된 열판을 가열하여 상온으로부터 50 내지 70℃의 범위로 0.5 내지 1.5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가열한다(S41). 여기서, 급속하게 가열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가열하는 이유는 동결 냉동된 혼합밥이 열화되어 식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 50 내지 70℃의 범위로 15 내지 25시간 동안 유지한다(S43).
다음, 50 내지 70℃의 범위로부터 상온으로 0.5 내지 1.5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냉각한다(S45).
이와 같은 공정(S10~S40)을 통하면, 낱알이 뭉쳐져 있는 형태의 동결 건조된 혼합밥이 생성된다. 이러한 동결 건조된 혼합밥을 과립기에 넣어 낱알을 분리한다(S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혼합 재료로 혼합밥을 지은 후, 동결 진공 건조하여 생성된 혼합밥은 볶음밥 완제품 또는 비빔밥 완제품 등의 혼합밥 완제품으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식품의 변형예로 혼합밥 압착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혼합밥을 준비한다. 혼합밥은 전술한 혼합밥 제조 방법(S10~S50)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다. 여기서, 혼합밥은 S40 단계에서 건조된 혼합밥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S50 단계에서 낱알이 분리된 혼합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혼합밥 또는 낱알이 분리된 혼합밥을 혼합 분말로 분쇄한다(S60).
다음, 혼합 분말을 소정의 형상으로 압착한다(S70). 이하, 이러한 압착 공정(S7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혼합 분말의 수분 함유량이 낮으므로, 혼합 분말에 수분을 첨가한다(S71). 여기서, 수분이 첨가된 혼합 분말의 수분 함유량은 5 내지 10%가 바람직하며, 6 내지 7%가 더욱 바람직하다. 혼합 분말의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10%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압착된 압착식품이 쉽게 부서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혼합 분말에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철분, 비타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의 영양분을 갖는 첨가제 분말을 섞을 수 있다.
수분이 첨가된 혼합 분말을 소정의 형틀을 갖춘 압착기로 압축하여 압착식품을 생성한다(S73). 여기서, 수분이 첨가된 혼합 분말을 500 내지 5000psi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00 내지 2500psi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착식품은 압착기의 형틀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원형 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결 건조된 혼합밥에 수분을 첨가하고 압착하여 생성된 압착 식품은 완제품으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채소 및 첨가물 등이 별도 포장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혼합밥 및 압착식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결 건조 공정에 의하여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낱알이 분리되어 있으며, 유통기간을 길게 할 수 있는 혼합밥 및 압착식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거나, 물만 부으면 섭취 가능한 식감이 좋은 혼합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혼합밥을 압착하여 사용자가 조리하지 않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압착식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제조 공정도이다.

Claims (11)

  1.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쌀 및 분쇄된 채소를 갖는 혼합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재료에 소정 량의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혼합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밥을 동결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진공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밥을 -40 내지 -10℃ 범위로 5 내지 20시간 동안 동결 냉동하는 단계와;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진공건조기에서 0.01 내지 1Torr 범위의 압력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수분 함유량이 1 내지 4%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식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소정 온도 범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동결 냉동된 혼합밥을 상온으로부터 50 내지 70℃의 범위로 0.5 내지 1.5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가열하는 단계와;
    50 내지 70℃의 범위로 15 내지 25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와;
    50 내지 70℃의 범위로부터 상온으로 0.5 내지 1.5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혼합밥을 과립기에서 낱알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혼합밥을 혼합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분말을 소정의 형상으로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 분말이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10%가 되도록 수분을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첨가된 혼합 분말을 500 내지 5000psi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
  9. 인스턴트식품에 있어서,
    상기 제7항에 따른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스턴트식품.
  10. 인스턴트식품에 있어서,
    상기 제8항에 따른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스턴트식품.
  11. 인스턴트식품에 있어서,
    상기 제9항에 따른 인스턴트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스턴트식품.
KR1020090120080A 2009-12-04 2009-12-04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32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80A KR101323173B1 (ko) 2009-12-04 2009-12-04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80A KR101323173B1 (ko) 2009-12-04 2009-12-04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133A true KR20110063133A (ko) 2011-06-10
KR101323173B1 KR101323173B1 (ko) 2013-10-30

Family

ID=4439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080A KR101323173B1 (ko) 2009-12-04 2009-12-04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143A1 (es) * 2011-12-23 2013-06-27 Aceites De Moratalla, S.L. (50%)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preparado alimentario a partir de alimentos elaborado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60B1 (ko) * 2014-02-14 2015-03-20 최승희 갈아만든 채소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726A (ko) * 2001-12-12 2002-03-29 임승수 채소류를 혼입하여 제조한 냉동밥
KR100614618B1 (ko) * 2004-09-03 2006-08-22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동결건조 기법을 이용한 블록형상의 혼합이유식 및 그제조방법
KR101023811B1 (ko) * 2009-02-11 2011-03-21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 기술을 이용한 우주환경에서도 취식이 가능한 비빔밥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143A1 (es) * 2011-12-23 2013-06-27 Aceites De Moratalla, S.L. (50%)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preparado alimentario a partir de alimentos elaborados
ES2415582A1 (es) * 2011-12-23 2013-07-25 Universidad De Murcia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un preparado alimentario a partir de alimentos elaborad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173B1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1741A (zh) 一种对食用谷、豆、薯类杂粮的预处理方法
CN104543784B (zh) 一种fd方便燕麦复配米饭及其制作方法
KR100980386B1 (ko) 즉석 건조밥 제조방법
CN101720802A (zh) 海鲜饼的制作方法
KR101710660B1 (ko) 즉석 조리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즉석 조리밥
KR101323173B1 (ko) 인스턴트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34828B1 (ko) 버섯 함유 수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버섯 함유 수프
KR20100031400A (ko) 즉석 죽 제조용 곡물 퍼핑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005632A (ko) 냉동육포의 제조방법
KR101156459B1 (ko) 동결건조 비빔밥의 제조방법
KR100920676B1 (ko) 성게알을 이용한 즉석 식품형 된장 및 이에 의해 제조된즉석 식품형 된장
KR101375526B1 (ko) 즉석조리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즉석조리식품
CN102648754A (zh) 一种冻干饺子的生产方法
CN1094731C (zh) 一种脱水快餐羊肉泡馍食品及其生产工艺
CN110367496A (zh) 一种速食汤的制作技术
KR101983062B1 (ko) 닭고기 스낵의 제조방법
KR100791561B1 (ko) 큐빅화된 스프블럭
KR20220103605A (ko) 냉동 블록의 제조 방법, 냉동 블록, 및 냉동 식품
JP7140536B2 (ja) 魚肉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14908B1 (ko) 식육을 이용한 미트페이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트페이퍼
KR101053520B1 (ko) 연근 가스의 제조방법
CN103907913B (zh) 速食平菇及其制备方法
KR101453831B1 (ko) 냉콩국수의 제조방법
US2022031281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aking a jackfruit product
CN104431780A (zh) 一种脱水速食炒面块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